KR200271961Y1 - 건축용 차음시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차음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61Y1
KR200271961Y1 KR2020010026368U KR20010026368U KR200271961Y1 KR 200271961 Y1 KR200271961 Y1 KR 200271961Y1 KR 2020010026368 U KR2020010026368 U KR 2020010026368U KR 20010026368 U KR20010026368 U KR 20010026368U KR 200271961 Y1 KR200271961 Y1 KR 200271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cific gravity
sound insulation
spong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식
Original Assignee
서일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6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61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층간 슬래브에 시공되는 건축용 차음시트를 제공하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층세대의 중진동음과 경진동음에 대해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건축용 차음시트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산업폐기물로서 처리에 고충이 큰 폐 스펀지를 재활용 할 수 있는 차음시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층간 슬래브에 부설하는 차음시트에 있어서, 중진동음 흡수용 스펀지판(1)과 경진동음 흡수용 스펀지판(2)과 차음 커버판재(3)를 샌드위치상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건축용 차음시트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차음시트{NOISE INTERCEPTION SHEET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차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대부분의 공동주택들은 층간 슬래브에 특별한 차음 설비를 부설하지 못한 건축물이었다. 차음설비를 구비하지 아니하는 건축물의 슬래브는 슬래브판의 상부에 온수관과 바닥 몰탈을 시공하고, 슬래브의 하부에 천장재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상층세대의 생활 진동음이 대부분 하층세대로 전달되는 것이었다.
근래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차음기술은 층간 슬래브판의 상부에 차음을 위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층을 삽입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층간슬래브를 통한 하층세대의 진동음은 슬래브판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종단하는 고체 진동음으로서 경량 기포콘크리트 만으로서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에 미흡한 것이었다.
도5는 실내소음 평가방법으로서 활용되는 NC(Noise Criteria) 곡선 그래프이다. NC곡선은 소음의 주파수별 실내 소음강도를 나타낸다.
도5 그래프는 옥타브 밴드 중심주파수 (Hz) 변동에 따른 옥타브밴드 음압레벨(dB)의 변화 곡선을 평면 좌표에 단계별 평가 곡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표 1은 NC곡선 평가에 의한 국제적 실용도별 실내소음 권장치 이다.
<표 1>
실 종류 NC 치 소음레벨 (dBA)
주택/호텔/병원 25~30 35~45
방송녹음스튜디오 15~20 25~30
콘서트홀 15~20 30~35
교실.강당 20~25 30~40
표1에 의하면 주택의 경우 NC 25~30이 권장되고 있다.
본 고안은 다층 건축물의 층간 슬래브에 시공되는 건축용 차음시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층간 슬래브의 차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층간슬래브를 종단하는 소음의 현상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공동주택에 있어서 상층세대의 거실의 마루판 울림 ·욕실의 바닥 울림 ·침실의 생활진동이 층간슬래브를 고체 진동음으로서 종단하고, 하층세대의 생활공간에 공기 진동음으로서 전파된다.
상기 하층세대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소음은 대체로 중량물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중진동음(진동 에너지가 큰 진동음)과 일상적인 생활에 의해 발생하는 경진동음(진동에너지가 작은 진동음)이 복합되어 나타난다.
물론 경제성과 시공조건의 제약을 벗어난다면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경제성과 시공조건을 고려한 경우 상기 차음용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시공 만으로서는 상기한 중진동음과 경진동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가 없다.
따라서 층간 슬래브의 차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구별되는 두 가지 음원에 대한 각각의 차음 대책을 세워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두 가지 음원에 의한 소음을 구별하여 차음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하는 건축용 차음시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경제성있는 차음시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산업폐기물(폐기물 처리에 고충이 큰 폐 스펀지)을 재 활용할 수 있는 차음시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4는 폐 스펀지를 재활용 한 스펀지 판재의 사시도
도5는 실내소음 평가방법으로 활용되는 NC 곡선 그래프
도6은 본 고안 실시 예 1의 소음측정 그래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2:스펀지판 3:커버판 4:차음시트
본 고안을 실시 예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차음시트는 층간 슬래브와 바닥 마감재 사이, 좀더 자세히는 슬래브와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의 사이에 시공하거나,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마감 몰탈층의 사이에 부설 시공한다.
본 고안은 구별되는 상기 두가지 음원에 대한 차음판을 적층한 차음시트(4)이다.
본 고안의 샌드위치상의 시트를 이루 차음시트(4)는,
중진동음 흡수용 고비중 스펀지판(1)과;
경진동음 흡수용 저비중 스펀지판(2)과;
차음 커버판재(3)로서 구성하였다.
상기 중진동음 흡수용 고비중 스펀지판(1)은 비중이 0.1이상인 스펀지이다.차음용 스펀지판의 비중이 대체로 1을 넘지 않으므로 상기 고비중이 스펀지판의 비중을 고쳐쓰면 0.1~1이 된다.
상기 경진동음 흡수용 저비중 스펀지판(2)은 비중이 0.04~0.15인 스펀지이다.상기 고비중 스펀지판(1)과 저비중 스펀지판(2)의 일부 비중 영역이 중복되고 있다. 이는 도6에 보인바와 같이 중진동음과 경진동음이 주파수에 영역에 따라 소음강도 영역을 공유하는 소음 특성이 반영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 고비중 스펀지판(1)을 중진동 흡수용 스펀지판으로, 저비중 스펀지판(2)을 경진동 흡수용 스펀지판으로 이해 한다)
상기 차음 커버판(3)은 비중 0.8~5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판재이다.
상기 고비중 스펀지판(1)의 두께는 대체로 3~25mm이다.
상기 저비중 스펀지판(2)의 두께는 대체로 3~25mm이다.
상기 차음 커버판(3)의 두께는 대체로 1~5mm이다.
상기 두 스펀지 판(1,2)과 커버판재(3)는 접착제로서 접착되어 샌드위치 시트(4)를 이루고 있다.
상기 두 스펀지판(1,2)은 고무계 스펀지나 우레탄계 스펀지가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 우레탄계 스펀지가 권장된다.
상기 차음 커버판(3)은 고무판재 또는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판재를 사용한다.
상기 층간 접착제는 고무계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 우레탄계 접착제가 권장된다.
상기 고비중 스펀지판과 저비중 스펀지의 두께 대비는 복합 소음의 분석결과에 따라 그 두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중진동음의 발생 빈도가 큰 경우에 고비중 스펀지판을 두껍게 하고, 경진동음의 비중이 큰 경우에 저비중 스펀지판을 두껍게 한다.
본 고안에서 샌드위치 시트(4)의 두께를 대체로 7~55mm 범위 내에서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차음시트의 시공 예를 도3의 실시 예를 인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서 층간 슬래브(5)의 상부에 두께 17mm인 본 고안의 샌드위치 시트(4)를 커버판(3)이 위로 향하게 부설하고, 그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6)과 몰탈층(7)과 바닥 마감재(8)를 시공하였다.
상기 시공의 결과 상층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은 상기 마감재(8), 몰탈층(7), 경량기포콘크리트층(6) 및 슬래브(5)를 고체진동으로 횡단하고, 횡단 고체 진동음은 하층 주거 공간에 공기 진동음으로 전파된다.
물론 상기 진동음의 일부는 상기 전파경로를 통과하면서 감쇄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진동음은 고체진동 전파경로를 통과하면서 샌드위치 시트에 흡수되어 상당량이 소멸함으로써 상층의 진동음의 전파 경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체 진동음의 성분 중 진동에너지가 크고 진동 주파수가 높은 중진동음은 대개 고비중 스펀지판(1)에 입사되면서 그 에너지를 스펀지에 빼앗기고, 진동 에너지가 작고 진동 주파수가 낮은 경진동음은 대체로 저비중 스펀지판(2)의 층에 입사되면서 그 에너지를 잃게 된다.
또한 상기 차음 커버판(3)은 시공시 스펀지의 상부로 위치시켜 시공과정에서 스펀지의 특성을 보존시키고, 진동 에너지를 스펀지판재에 넓게 분산시키고, 일부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1 :
중진동음 중심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차음시트
차음 커버판(3)은 두께 2mm의 고무판재로,
고비중 스펀지판(1)은 두께 10mm, 비중 0.2인 우레탄계 스펀지로,
저비중 스펀지판(2)은 두께 5mm, 비중 0.7±0.3인 우레탄계 스펀지로,
층간 접착제는 우레탄계 접착제로 하여 차음 시트(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경진동음 중심의 소음을 차음하기 위한 차음시트
차음 커버판(3)은 두께 1.5mm인 고무계 판재로,
저비중 스펀지판(2)은 두께 10mm, 비중 0.1인 우레탄계 스펀지로,
고비중 스펀지판(1)은 두께 5mm, 비중 0.2인 우레탄계 스펀지로,
층간 접착제는 우레탄계 접착제로 하여 차음 시트(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폐 스펀지를 이용한 차음시트의 제조
수집된 폐 스펀지를 비중 1이상과, 비중 0.04~0.15것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두 그룹의 스펀지를 각각 크기 1cm전후의 조각으로 파쇄 하고;
상기 파쇄된 스펀지에 각각 우레탄계 접착제를 분사하면서 사각형 큰 몰드에 넣고 압축상태로 방치하여 비중별 사각형 스펀지 덩어리를 제조하고;
상기 사각형 스펀지 덩어리를 필요한 두께로 절단하여, 조각스펀지 결합문양(d)이 절단면에 나타나는 비중 1이상인 고비중 스펀지판(1)과 저비중 스펀지판(2)을 각각 얻고,
상기 재활용 스펀지판으로 실시예 1의 차음시트(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실시예 2의 차음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험결과 :
실시예 1의 차음시트를 층간슬래브에 시공하고 차음효과를 측정하여 도6의 그래프를 얻었다.
도6에서 중진동음은 평가곡선에 비교하여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차음 효과를 보이고 있고, 경진동음은 주파수 대역의 양단(도6기준)에서 좋은 차음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의 경진동음과 중진동음에 대한 구별된 차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 들의 차음효과는 표2와 같다.
<표 2>
경진동음(dBA) 중진동음(dBA) 옥타브밴드 주파수(Hz)
실시 예 1 60 52 250
실시 예 2 55 50 250
실시 예 3 53 50 250
실시 예 4 50 48 250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층간 슬래브에 부설되는 건축용 차음시트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고안은 상층 세대의 중진동음과 경진동음에 구별하여 차음대책을 세울수 있는 건축용 차음시트를 제공하는 것이고, 폐 스펀지를 재활용 할 수도 있고 시공이 용이한 차음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주파수 대역 양단에서 차음효과가 높은 저비중 스펀지판과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차음 효과가 높은 고비중 스펀지판을 적절히 선택하여 복합 진동음에 대한 차음 대책을 수립할 수 있어, 건축물의 차음 분야에 널리 응용할 수 있고, 동시에 경제적 가치가 큰 고안이다.

Claims (3)

  1. 층간 슬래브에 부설하는 차음시트에 있어서,
    비중이 0.1~1인 중진동음 흡수용 고비중 스펀지판과;
    비중이 0.04~0.15인 경진동음 흡수용 저비중 스펀지판과;
    차음 커버판을;
    샌드위치상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건축용 차음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스펀지판의 두께가 3~25mm 이고;
    상기 저비중 스펀지판의 두께가 3~25mm 인;
    건축용 차음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음시트는 재활용 고비중 스펀지판과 재활용 저비중 스펀지판 (고비중과 저비중으로 분류된 폐 스펀지를 각각 1cm전후의 크기로 파쇄 하고, 파쇄 스펀지를 각각 접착제로서 사각형 덩어리가 되게 접착 한 후 필요한 두께의 판상으로 각각 절단하여 얻는 재활용 스펀지 판)으로 구성한 건축용 차음시트.
KR2020010026368U 2001-08-30 2001-08-30 건축용 차음시트 KR200271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368U KR200271961Y1 (ko) 2001-08-30 2001-08-30 건축용 차음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368U KR200271961Y1 (ko) 2001-08-30 2001-08-30 건축용 차음시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713A Division KR100524365B1 (ko) 2003-03-26 2003-03-26 건축용 차음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961Y1 true KR200271961Y1 (ko) 2002-04-13

Family

ID=7310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368U KR200271961Y1 (ko) 2001-08-30 2001-08-30 건축용 차음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3921C (en) Sound and thermal insulating non-woven synthetic sheet material
KR20150093628A (ko)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KR20070096270A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KR20160104507A (ko) 소음방지재
KR200311493Y1 (ko) 방진 및 방음 패널
KR200399170Y1 (ko) 소음차단제
KR200277719Y1 (ko) 건축물의 차음장치
KR20070010256A (ko) 소음차단제
KR20030012958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JP2011017236A (ja) 遮音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した遮音室
KR200271961Y1 (ko) 건축용 차음시트
KR100524365B1 (ko) 건축용 차음시트
JP2013023962A (ja) 遮音パネル
KR19980087556A (ko) 다층의 차음 구조가 구비된 소음방지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KR100475210B1 (ko) 방음성 바닥재
KR200181811Y1 (ko) 소음 및 진동 차폐용 공동주택 바닥구조
KR200328912Y1 (ko)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KR100450351B1 (ko) 건축물의 차음장치
CN101597924B (zh) 泡沫聚苯乙烯构件及具有该构件的吸音板
KR2004002060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040027554A (ko) 벽식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독립/이중 뜬 바닥및 그 시공방법
CN219241000U (zh) 一种木结构建筑保温隔声楼板
KR200339327Y1 (ko) 주거용 건물의 바닥 차음재
KR200309422Y1 (ko) 공동주택 층간 차음장치
KR100281242B1 (ko) 공명구조가 구비된 소음방지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