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955Y1 -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 Google Patents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55Y1
KR200271955Y1 KR2020010017078U KR20010017078U KR200271955Y1 KR 200271955 Y1 KR200271955 Y1 KR 200271955Y1 KR 2020010017078 U KR2020010017078 U KR 2020010017078U KR 20010017078 U KR20010017078 U KR 20010017078U KR 200271955 Y1 KR200271955 Y1 KR 200271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resent
water
secondary air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의
Original Assignee
(주)토탈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토탈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2020010017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55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변시와 소변시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절수를 도모하는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공기부가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1차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2차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반구형의 하우징과; 상기 내부에 2차공기부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상면 중앙에 대변고리가 형성된 천정부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천정부가 상하측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둘레에 주름부가 형성되고, 힌지부가 형성된 일측단부의 반대편 상측에 소변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챔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곳의 둘레에는 다수의 유량눈금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새겨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많은 양의 물을 절수할 수 있고,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오작동이 없을 뿐만아니라 제작 및 설치가 쉬워 매우 경제적이며, 임의대로 세척수의 배출양을 조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A chamber pot of water saving}
본 고안은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변시와 소변시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절수를 도모하는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양변기용 절수기는 두 가지로 양분되어 있다.
종래의 레버 하나로 구성된 절수기는 대변시나 소변시에 같은 양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그 절수량이 크지 않다.
그리고 두 개의 레버가 달린 절수기는 정확한 세척수의 양이 배출되지 않는 기능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부정확한 량이 배출되고,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하기가 굉장히 힘든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오작동이 없고 임의대로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기부가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1차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2차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반구형의 하우징과; 상기 내부에 2차공기부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상면 중앙에 대변고리가 형성된 천정부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천정부가 상하측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둘레에 주름부가 형성되고, 힌지부가 형성된 일측단부의 반대편 상측에 소변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챔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곳의 둘레에는 다수의 유량눈금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새겨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소변시 및 대변시)
도 5는 본 고안의 공기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평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공기부 2 : 1차공기구멍
3 : 2차공기구멍 4 : 주름부
5 : 소변고리 6 : 대변고리
7 : 천정부 8 : 배수구
10 : 하우징 11 : 챔버
11a : 힌지부 12 : 유량눈금
13 : 2차공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먼저, 하우징(10)은 내측에 공기부(1)가 형성되도록 반구형으로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그 저면 중앙에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차공기구멍(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일측에는 2차공기구멍(3)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상측 단부는 후술할 챔버(11)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절곡된다.
다음으로 챔버(11)는 내부에 2차공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그 상측에는 상면 중앙에 대변고리(6)가 형성된 천정부(7)가 형성되며, 상기 천정부(7)의 둘레에 주름부(4)가 형성되는데 상기 주름부(4)는 외력에 의해 상기 천정부(7)가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측에는 한 쌍의 힌지부(11a)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1a)의 반대편에는 소변고리(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해 천정부(7)와 주름부(4)가 하측으로 압착된 상태로 배수구(8)를 폐쇄하게 된다.
본 고안이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변고리(5)에 연결된 끈을 당겼을 때에는 세척수가 1차공기구멍(2)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공기가 2차공기구멍(3)으로 빠지게 되고 1차공기구멍(2)으로 들어오게 된 물은 일정한 수위까지만 차게되며 물이 공기부(1)에 차게 되면 물의 무게로 인하여 본 고안이 배수구(8)로 내려오게 되어 물이 빠져 나가는 것을 막게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변고리(6)에 연결된 끈을 상측으로 잡아 당겼을 때에는 주름부(4)의 변형으로 상기 천정부(7)가 상측으로 상승하여 복원된다. 그러면 1차공기구멍(2)으로 물이 들어가고 동시에 2차공기구멍(3)으로 공기가 빠지면서 물이 공기부(1) 내에서 일정한 수위까지 차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상기 소변시와는 달리 천정부(7)가 상측으로 복원되었으므로 2차공기부(13)가 더 형성되어 2차공기부(13)의 부력으로 인해 본 고안이 소변시 보다 더 오래 위에 머물게 되므로 물이 그 시간만큼 배수구(8)를 통해 오랫동안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면 부력이 약해진 본 고안이 배수구(8)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대변시보다 소변시에 더 적은 양의 물을 배수시켜 절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곳의 둘레에는 다수의 유량눈금(12)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새겨진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세척수의 사용량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차공기구멍(3)의 위치가 0도에서 90도로 순차적으로 바뀜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같은 수압조건에서 0도에 고정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10∼50%의 물을 더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명백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대변시와 소변시를 구분하여 많은 양의 물을 절수할 수 있고,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오작동이 없을 뿐만아니라 제작 및 설치가 쉬워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2차공기구멍을 회전시켜 그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임의대로 세척수의 배출양을 조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공기부(1)가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1차공기구멍(2)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2차공기구멍(3)이 형성되는 반구형의 하우징(10)과;
    상기 내부에 2차공기부(13)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상면 중앙에 대변고리(6)가 형성된 천정부(7)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천정부(7)가 상하측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천정부(7)의 둘레에 주름부(4)가 형성되고, 힌지부(11a)가 형성된 일측단부의 반대편에 소변고리(5)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챔버(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곳의 둘레에는 다수의 유량눈금(12)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3. 삭제
KR2020010017078U 2001-06-08 2001-06-08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KR200271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078U KR200271955Y1 (ko) 2001-06-08 2001-06-08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078U KR200271955Y1 (ko) 2001-06-08 2001-06-08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955Y1 true KR200271955Y1 (ko) 2002-04-13

Family

ID=7306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078U KR200271955Y1 (ko) 2001-06-08 2001-06-08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33588U (zh) 一种用于增强马桶虹吸负压的吸气装置
CN204456351U (zh) 一种限流调节拨片防跑位装置
KR200271585Y1 (ko)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KR200271955Y1 (ko) 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US4232410A (en) Water closet
CN201539010U (zh) 直冲浮塞阀式便器
CN202718223U (zh) 大便器排污自闭阀
CN114045913B (zh) 水箱式排便器用排水阀
CN216276014U (zh) 一种水箱式排便器用排水阀
KR200187598Y1 (ko) 좌변기용 절수형 차단벽
KR200210865Y1 (ko) 변기용 절수기
CN220167081U (zh) 一种小便器
CN210562474U (zh) 设置在虹吸式马桶水箱内带空气平衡管的辅助虹吸装置
CN201574462U (zh) 一种水箱排水阀底座
KR200169271Y1 (ko) 절수형 좌변기용 배수밸브
CN218466650U (zh) 一种座便器用的内置式水箱结构
CN213329344U (zh) 一种直插式防溢水地漏
CN201843201U (zh) 一种座便器
CN2471849Y (zh) 马桶节水器
CN2414116Y (zh) 密闭旋流式坐便器
KR200335749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0338291Y1 (ko) 절수구조를 갖는 좌변기
CN204435517U (zh) 省水止水阀
KR20020224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230317Y1 (ko) 절수식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