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443Y1 - A dryer - Google Patents

A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443Y1
KR200271443Y1 KR2020020000508U KR20020000508U KR200271443Y1 KR 200271443 Y1 KR200271443 Y1 KR 200271443Y1 KR 2020020000508 U KR2020020000508 U KR 2020020000508U KR 20020000508 U KR20020000508 U KR 20020000508U KR 200271443 Y1 KR200271443 Y1 KR 200271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dryer
couple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5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오
Original Assignee
이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오 filed Critical 이강오
Priority to KR2020020000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44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443Y1/en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원고안은 걸이부(24)를 건조실(4)내에서 패널(20)에 수직되게 설치하여 간격을 좁히므로써, 다량의 건조물(22)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걸이부(24)에 건조물(22)을 용이하게 걸어 놓거나 꺼낼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makes it possible to install a large amount of the dry matter 22 by installing the hook portion 24 vertically to the panel 20 in the drying chamber 4, and furthermore, the hanger 24 can be installed with the dry matter (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ier to hang or take out 22).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조실(4)을 형성하며 구성되는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히터(12)를 내장하는 에어블로어(8)와, 상기 에어블로어(8) 선단부에 연결되면서 하우징(6)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닥트(14)와, 상기 칼럼닥트(14)에 후단부를 위치시키며 패널(20)에 결합되는 가이드튜브(26)와, 상기 가이드튜브(26) 선단부에 안내공(34)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슬리브(32)와, 상기 슬리브(32) 선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면서 배기공(38)을 형성한 하부트레이(21)와, 상기 하부트레이(21)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트레이(42)로 이루어진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housing 6 is configured to form a drying chamber (4), the air blower (8) to be built in the heater 12, the air blower (8) built i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6, and the air blower ( 8) a column duct 14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installed vertically to the housing 6, a guide tube 26 coupled to the panel 20 with a rear end positioned at the column duct 14, and the guide tube. (26) a sleeve 32 coupled to the front end to form a guide hole 34, a lower tray 21 integrally exte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sleeve 32 to form an exhaust hole 38, and the lower tray (21) relates to a dryer consisting of an upper tray 42 coupled to an upper portion.

Description

건조기{A dryer}Dryer {A dryer}

본 고안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걸이부를 건조실내에서 패널에 수직되게 설치하여 간격을 좁히므로써 다량의 건조물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걸이부에 건조물을 용이하게 걸어 놓거나 꺼낼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in particular, the hook portion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anel in the drying room to close the gap, so that a large amount of dry matter can be installed, and also the hanger can be easily hung or taken out of the hanger for convenience. It relates to a dryer that allows for further improvement.

일반적으로 장화, 운동화, 구두, 안전화 등을 평소에 장시간 착용하거나 우천시 착용하고 이동하게 되면, 내부에 습기와 악취가 발생하거나 물이 유입되는데, 이때 물등을 사용하여 내부를 보통 세척하여 청결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다.In general, if you wear rain boots, sneakers, shoes, safety shoes, etc. for a long time, or if you move in rainy weather, moisture and odors are generated or water flows in. At this time, the inside is usually cleaned with water to keep clean. I'm making it.

따라서 세척을 한 건조물은 보통 자연상태에서 건조시키는 수단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단은 시간이 상당히 경과하여야 하므로 단시간내에 다량의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대체적으로 별도의 건조장치를 필요로 한다.Therefore, the dried products that have been washed usually have a means of drying in the natural state, but such a means that a considerable time must pass, so in order to dry a large amount of dry matter within a short time generally requires a separate drying device.

이러한 건조장치는 건조물을 단 시간내에 건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좁은 면적내에서 다량의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것도 하나의 해결문제로 대두되고 있다.In such a drying apparatus, it is important to dry the dry matter within a short time, but it is also a problem to dry a large amount of dry matter in a narrow area.

상기한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종래의 기술은 동일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번호 제256102호(명칭:건조장치)에서 살펴보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constituting the drying apparatus is described in the registration number 256102 (name: drying apparatus) registered and registered by the same person as follows.

먼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2)에는 하우징(10)이 구성되는데, 상기 하우징(10)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내부로 공급하는에어블로어(16)가 가이드닥트(12)를 결합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닥트(12)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닥트(12) 출구에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칼럼닥트(6)가 연결되면서 하우징(10)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6, a dryer 10 is configured with a housing 10. An air blower 16 that introduces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guide duct 12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It is installed while coupling, the heater 14 for heating the air flowing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in the guide duct 12, the column duct 6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s connected to the guide duct 12 outlet While being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에어블로어(16)와, 히터(14)에 작동을 조정하는 컨트롤부(18)가 하우징(10)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면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컨트롤부(18)에 오존가스발생기(20)가 연결되면서 하우징(10) 상단부에 설치된다.The air blower 16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unit 18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4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 is connected, and also the ozone gas generator to the control unit 18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

계속하여 상기 칼럼닥트(6) 일측에는 공기흐름을 안내하면서 지지역할을 하는 서포트닥트(8)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닥트(8) 상부에는 건조물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한 걸이부(26)가 수직으로 설치된다.Subsequently, one side of the column duct 6 is provided with a support duct 8 for guiding air flow while supporting the air flow, and a hanger 26 vertical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duct 8 to hang the building. Is installed.

상기한 걸이부(26)는 서포트닥트(8)상에 하단부를 고정하는 지주(30)가 구성되고, 상기 지주(30) 상단부에는 건조물을 끼워 놓을 수 있도록 한 러그(34)가 결합되는데, 상기 러그(34)는 지주(30)와 결합하는 슬리브(32)와, 상기 슬리브(32)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공기를 토출시키는 노즐공(38)과, 상기 노즐공(38)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윙(40)으로 이루어진다.The hook portion 26 is composed of a support (30) for fixing the lower end on the support duct (8),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 is coupled to the lug (34) to insert the dry, The lug 34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32 coupled to the support 30, the nozzle hole 38 for discharging air while being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32, and both sides of the nozzle hole 38. The wing 40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건조기(2)를 작동시키기 위해 컨트롤부(18)를 조작하면 히터(14)와 오존가스발생기(20)와 에어블로어(16)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공기는 오존가스발생기(20)로부터 제공되는 오존을 포함하면서 히터(14)에 의해 가열되며 칼럼닥트(6)로 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the control unit 18 is operated to operate the dryer 2, the heater 14, the ozone gas generator 20, and the air blower 16 operate simultaneously to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The ozone provided from the gas generator 20 is heated by the heater 14 and moved to the column duct 6.

계속하여 가열된 상기 공기는 서포트닥트(8)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주(30)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이동한 공기는 슬리브(32)와 노즐공(38)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러그(34)에 설치된 건조물로 토출되는데, 이와 같이 토출된 공기는 건조물 내부를 순환한 후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heated air moves upwardly through the support 30 while moving along the support duct 8, and the air moved as described above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leeve 32 and the nozzle hole 38. It is discharged to the dry matter installed in the lug 34, the air discharged in this way is moved to the outside after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dry matter.

상기와 같이 건조물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포함되어진 오존이 건조물을 멸균시키게 되고, 동시에 가열된 공기가 건조물에 포함되어진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작업을 완료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d into the building is contained in the ozone to sterilize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ed air evaporate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building to complete the drying operation.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하우징 내부벽면과 평행하게 걸이부가 설치되어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인해, 다량의 건조물을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을 지니고 있고, 또한 걸이부가 세워져 있어 건조물을 끼우거나 빼어낼 때 불편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The conventional technique described above has a drawback in that a hanger part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which takes up a lot of space, and thus a large amount of dry matter cannot be installed. It has an uncomfortable problem.

본원고안은 걸이부를 건조실내에서 패널에 수직되게 설치하여 간격을 좁히므로써 다량의 건조물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걸이부에 건조물을 용이하게 걸어 놓거나 꺼낼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install the hanger vertically to the panel in the drying room to close the gap to install a large amount of dry matter, and also to make it easier to hang or take out the dry part in the hang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Has its purpose.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조실을 형성하며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히터를 내장하는 에어블로어와, 상기 에어블로어 선단부에 연결되면서 하우징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닥트와, 상기 칼럼닥트에 후단부를 위치시키며 패널에 결합되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 선단부에 안내공을형성하며 결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선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면서 배기공을 형성한 하부트레이와, 상기 하부트레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트레이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a housing configured to form a drying chamber, an air blower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a built-in heater, a column duct connected to the housing vertically connected to the air blower tip, and the column A guide tube coupled to the panel at the rear end of the duct, a sleeve coupled to form a guide hole at the tip of the guide tube, a lower tray integrally extending at the tip of the sleeve to form an exhaust hol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tray. It consists of an upper tray coupled to.

도 1 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건조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drying apparatu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 는 도 1 의 A - A선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도 3 은 본 고안이 설치된 건조장치의 측 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ying apparatus is installed.

도 4 는 본 고안인 걸이부의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o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인 걸이부의 결합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o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건조기의 평 단면도.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dryer showing the prior art.

도 7 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건조장치 4:건조실 6:하우징2: Drying device 4: Drying room 6: Housing

8:에어블로어 10:가이드닥트 12:히터8: Air blower 10: Guide Doc 12: Heater

14:칼럼닥트 16:컨트롤부 18:오존발생기14: Column Doc 16: Control unit 18: Ozone generator

20:패널 22:건조물 24:걸이부20: panel 22: building 24: hanger

26:가이드튜브 28:칼라 30:고정부재26: guide tube 28: color 30: fixing member

32:슬리브 34:안내공 36,46:노즐공32: sleeve 34: guide 36, 46: nozzle

38,48:배기공 40,44:보스 42:상부트레이38, 48: Exhaust ball 40, 44: Boss 42: Upper tray

49:배기공 50:도어 51:고정나사49: Exhaust ball 50: Door 51: Fixing screw

52:힌지축52: hinge axis

본 고안을 설치하고 있는 건조장치(2)를 도 1 내지 도 3에서 살펴보면, 먼저 상기 건조장치(2)(도1참조)는 내부에 건조실(4)을 형성한 하우징(6)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6) 상단부에는 외부공기를 건조실(4)로 공급하는 에어블로어(8)가 가이드닥트(10)를 구비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닥트(10)(도2참조) 내부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2)가 설치된다.Looking at the drying device 2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s 1 to 3, first, the drying device 2 (see Figure 1) is composed of a housing 6 formed with a drying chamber 4 therein, An air blower 8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drying chamber 4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6 with the guide doc 10 therein,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guide doc 10 (see FIG. 2). A heater 12 for heating the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가이드닥트(10) 선단부에는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면서 분배하는 칼럼닥트(14)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칼럼닥트(14)는 하우징(6) 배면에 위치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된다.The guide duct 10 is connected to a column duct 14 for guiding and distributing the flow of heated air, and the column duct 14 is vertically installed while being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6.

상기 에어블로어(8)와 히터(12)에 작동을 조정하는 컨트롤부(16)가 연결되면서 하우징(6)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부(16)에는 오존발생기(18)가 연결되면서 하우징(6) 상단부에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er 8 and the heater 12 is connected to the housing 6,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6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16 is connected to the ozone generator 18, the housing (6) It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이와 함께 상기 칼럼닥트(14)(도3참조) 전면에 형성된 패널(20)에는 건조물(22)을 끼울 수 있게 한 다수개의 걸이부(24)가, 건조실(4)내에서 상, 하, 좌, 우로 동일한 간격을 두며 수직으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anel 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lumn duct 14 (see FIG. 3)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24 allowing the building 22 to be fitted into the top, bottom, and left sides of the drying chamber 4. They are installed vertically at equal intervals.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걸이부(24)를 도 4, 5에서 살펴보면, 먼저 상기 걸이부(24)(도5참조)는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튜브(26)가 후단부를 칼럼닥트(14)내에 위치시키면서 건조실(4)내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가이드튜브(26) 후미에 칼라(28)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28)와 결합하면서 가이드튜브(2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가 상기 패널(20)에 설치된다.Referring to the hook portion 24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n FIGS. 4 and 5, first, the hook portion 24 (see FIG. 5) is provided with a guide tube 26 for guiding the flow of heated air at a rear end of the column duct ( 14 is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4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chamber, wherein a collar 28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guide tube 26, and the fix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guide tube 26 while engaging the collar 28. Is installed in the panel 20.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고정부재(30)는 패널(20)을 관통하여 결합되면서 내부에 가이드튜브(26) 후미를 결합하는 슬리브(31)가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31)의 외주 중간부에 패널(20) 전면과 밀착하는 칼라(33)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31) 선단부에는 상기 칼라(28)와 결합하면서 가이드튜브(26)를 고정시키는 로크(35)가 나사 결합된다.The fixing member 3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has a sleeve 31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tube 26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panel 20, and the panel at an outer circumferential middle portion of the sleeve 31. (20) A collar 33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is formed, and the lock 35 for fixing the guide tube 26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llar 28 is screwed to the front end of the sleeve 31.

또한 상기 슬리브(31) 후미에는 패널(20) 배면에 밀착하는 너트(37)가 나사 결합된다.In addition, the nut 37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20 is screwed to the rear of the sleeve 31.

그리고 상기 가이드튜브(26) 선단부에는 연결체인 슬리브(32)가 안내공(34)을 형성하며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32) 선단부에는 원형을 이루면서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트레이(21)가 일체로 연장되면서 형성된다.The sleeve 32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guide tube 26 to form a guide hole 34, and the lower tray 21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and extends integrally to the front end of the sleeve 32. Is formed.

상기 하부트레이(21) 선단부에는 가열된 공기가 걸이부(24) 앞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한 다수개의 노즐공(36)이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트레이(21) 후미측에는 가열된 공기가 걸이부(24) 하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한 배기공(38) 2개가 일정 거리를 두면서 형성되며, 상기 하부트레이(21) 중앙에는 보스(4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tray 21, a plurality of nozzle holes 36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o allow heat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hook part 24, and heated air at the rear side of the lower tray 21. Two exhaust holes 38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osses 40 are vertic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1.

또한 상기 하부트레이(21) 상부에는 동일한 모양을 하면서 볼록하게 형성된 상부트레이(42)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ower tray 21 is provided with an upper tray 42 formed convexly while having the same shape.

상기 상부트레이(42) 중앙에는, 상기 하부트레이(21) 중앙에 위치한보스(40) 상단부와 마주 접하는 동일한 모양의 보스(44)(도5참조)가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상부트레이(42) 선단부에는 상기 하부트레이(21)에 형성된 노즐공(36)과 동일하게 다수개의 노즐공(46)이 위치하면서 형성된다.In the center of the upper tray 42, a boss 44 (see FIG. 5) having the same shape facing the upper end of the boss 4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1 is formed while being vertically positioned, and the upper tray ( 42) A plurality of nozzle holes 46 are formed at the distal end por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nozzle holes 36 formed in the lower tray 21.

그리고 상기 상부트레이(42) 후미에는 가열된 공기를 걸이부(24) 상부측으로 토출시키는 2개의 배기공(48)이 일정 거리를 두며 형성된다.At the rear of the upper tray 42, two exhaust holes 48 for discharging the heated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hook part 24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와 함께 상기 상부트레이(42)에 형성된 보스(44)에 고정나사(51)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나사(51)는 하부트레이(21)에 형성된 보스(40)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상부트레이(42)와 하부트레이(21)가 상호 결합을 이루게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screw 51 is coupled to the boss 44 formed on the upper tray 42, wherein the fixing screw 51 is fastened to the boss 40 formed on the lower tray 21 so that the upper tray ( 42 and the lower tray 21 to form a mutual coupling.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걸이부(24)는 패널(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걸이부(24) 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20)에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The hook part 24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anel 2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hook parts 24 can be narrowed, and thus a plurality of hook parts 24 can be installed in the panel 20.

한편 상기한 칼럼닥트(14)(도3참조) 하단부에 건조실(4)과 연결하고 있는 안내공(58)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58)에 연결되면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플로어닥트(60)가 다수개의 배기공(62)을 형성하며 플로어(56)상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어(56) 일측단부에는 건조물(22)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하는 드레인홀(6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Meanwhile, a guide hole 58 connected to the drying chamber 4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olumn duct 14 (see FIG. 3), and is connected to the guide hole 58 to guide the flow of air. The duct 60 forms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62 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56, and a drain for guiding water falling from the building 22 to the outsid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loor 56. The hole 64 is formed through.

그리고 상기 하우징(6) 상부에는 에어블로어(8)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기관(49)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배기관(49)은 하부를 건조실(4)측으로 상단부는 하우징(6) 외부로 위치시키면서 설치된다.And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6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ipe 49 for guid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8 to the outside, the exhaust pipe 49 is the upper end to the drying chamber 4 side It is installed while positioning the housing 6 outside.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6)(도1참조)의 건조실(4) 입구에는 유리로 된 한 쌍의 도어(50)가 여닫이식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각각의 도어(50) 일단부에는 회전중심을 이루는 힌지축(52)이 결합되면서 상기한 하우징(6) 측단부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pair of doors 50 made of glass are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drying chamber 4 of the housing 6 (see FIG. 1), and one end of each door 50 forms a rotation center. As the hinge shaft 52 is coupled, the hinge shaft 52 is installed at the side end of the housing 6.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건조장치(2)를 사용하기 위하여 컨트롤부(16)를 조작하면 히터(12)와 오존발생기(18), 에어블로어(8)가 각각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에어블로어(8)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면서 히터(12)에 의해 가열되고, 동시에 오존발생기(18)로부터 제공되는 오존이 상기 공기에 포함되어지며 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unit 16 to use the drying apparatus 2, the heater 12, the ozone generator 18, and the air blower 8 operate at the same time. Heated by the heater 12 while being introduced inside by (8), and at the same time, the ozone provided from the ozone generator 18 is contained in the air and moves.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오존을 포함하고 있는 가열된 공기는 가이드닥트(10)를 통하여 칼럼닥트(14)로 유입되고, 계속하여 상기 공기는 패널(20)에 다수개가 설치된 걸이부(24)를 통하여 건조실(4)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heated air containing ozone as described above is introduced into the column duct 14 through the guide duct 10, and the air is subsequently dried in the drying chamber through the hook part 24 installed in the panel 20. It moves to (4), which is explained as follows.

먼저 상기 칼럼닥트(14)로 유입되는 가열된 공기는 슬리브(32)를 지나 가이드튜브(26) 후미를 통해 앞측으로 이동하고, 상기와 같이 이동하여 온 공기는 가이드튜브(26) 선단에 위치한 슬리브(32)의 안내공(34)을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되면서 상, 하부트레이(42, 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First, the heated air flowing into the column duct 14 passes through the sleeve 32 and moves forwar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guide tube 26, and the air moved as described above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guide tube 26. Discharge forward through the guide hole 34 of the 32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lower trays (42, 21).

상기와 같이 이동하여 온 공기는 계속하여 이동하여 오는 공기에 의해 밀려지면서 다수개의 노즐공(36, 46)을 통하여 걸이부(24) 전방을 향하여 일부가 토출되고, 동시에 상기 상, 하부트레이(42, 21)에 각각 형성된 배기공(38, 48)을 통하여 토출되는데, 이때 상기 각각의 배기공(38, 48)을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는 걸이부(24) 상부와 하부를 향하여 각각 토출된다.The air that has been moved as described above is pushed by the air that continues to move, and a part of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hook part 24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 holes 36 and 46,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and lower trays 42 , 21 ar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s 38 and 48, respectively, wherein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respective exhaust holes 38 and 48 is discharg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hook portions 24,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면 일부공기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물(22) 내부에서 순환하며 외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기 중에 내포된 오존은 멸균작용을 하게되고, 가열된 공기는 건조물(22)에 내포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게 된다.When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some air circulates in the building 22 and moves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5, wherein the ozone contained in the air is sterilized, and the heated air i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dry matter 22 is evaporated and dried.

계속하여 상기 걸이부(24)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건조물(22) 내부에서 순환한 후 외부로 이동하여 건조실(4) 내부에서 재차 순환하게 되고, 이와 같이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건조물(22) 표면에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동시에 멸균작용을 하면서, 상기 건조실(4) 상부로 이동하여 배기관(49)을 통해 하우징(6) 외부로 배기된다.Subsequent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ook part 24 circulates in the building 22 and then moves to the outside to circulate again in the drying chamber 4, and the air circulated in this way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uilding 22. While evaporating the moisture present at the same time while sterilizing, it moves to the upper drying chamber 4 and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ipe 49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6.

이와 동시에 상기 칼럼닥트(14)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안내공(58)을 통하여 플로어닥트(60) 전체에 걸쳐 고르게 퍼지면서 배기공(62)을 통하여 건조실(4)로 배기된다.At the same time, the air moving downward along the column duct 14 is discharged to the drying chamber 4 through the exhaust hole 62 while spreading evenly throughout the floor duct 60 through the guide hole 58.

상기와 같이 배기되는 공기는 건조실(4)내에 있는 건조물(22)의 표면을 지나면서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건조물(22)은 걸이부(24)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플로어닥트(6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내, 외부가 동시에 건조되므로 건조시간이 단축되어지게 된다.Air exhausted as described above is dried by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building 22 in the drying chamber 4, which causes the building 22 to be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from the hook portion 24 and the floor duct 60. Since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simultaneously dried by the supplied air, the drying time is shortened.

계속하여 상승하는 공기는 배기관(49)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The continuously rising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49.

상기와 같이 건조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건조물(22)로부터 물방울이 플로어(56)상으로 낙하하면서 일측으로 흘러가 드레인홀(6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건조물(22)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한 걸이부(24)에 바로 걸어 놓거나 거꾸로 걸어 놓을 수 있다.In the dry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droplets fall from the dried material 22 onto the floor 56 and flow to one side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64. In this case, the building 22 may be immediately hanged on the hook part 24 or hanged upside down as necessary.

상기와 같이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유리로 된 상기한 도어(50)를 통하여 내부에 위치한 건조물(22)을 확인한 후, 상기 도어(50)를 열고 건조실(4)내에 위치한 건조물(22)을 꺼낸다.After the drying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fter confirming the building 22 located inside through the door 50 made of glass, the door 50 is opened and the building 22 located in the drying chamber 4 is taken out. .

본원고안은 걸이부가 건조실내에서 패널에 수직되게 설치하여 간격을 좁히므로써 다량의 건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걸이부에 건조물을 용이하게 걸어 놓거나 꺼낼 수 있는 편리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hook portion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anel in the drying chamber to narrow the gap, it is possible to install a large amount of dry matter, and also has a convenient effect to easily hang or take out the dry matter to the hook portion.

Claims (8)

건조실(4)을 형성하며 구성되는 하우징(6)과,A housing 6 configured to form a drying chamber 4, 상기 하우징(6)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히터(12)를 내장하는 에어블로어(8)와,An air blower 8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6 and having a heater 12 therein; 상기 에어블로어(8) 선단부에 연결되면서 하우징(6)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닥트(14)와,A column duct 14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air blower 8 an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housing 6; 상기 칼럼닥트(14)에 후단부를 위치시키며 패널(20)에 결합되는 가이드튜브(26)와,A guide tube (26) coupled to the panel (20) and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column duct (14), 상기 가이드튜브(26) 선단부에 안내공(34)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슬리브(32)와,A sleeve 32 coupled to form a guide hole 34 at the tip of the guide tube 26; 상기 슬리브(32) 선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면서 배기공(38)을 형성한 하부트레이(21)와,A lower tray 21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sleeve 32 and forming an exhaust hole 38; 상기 하부트레이(21)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트레이(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Dry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upper tray 42 is coupled to the upper upper tray (21).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트레이(21) 선단부에 노즐공(3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zzle hole 36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tray (21).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6) 상단부에, 배기관(49)이 하단부를 건조실(4)에 위치시키고상단부는 외부에 위치시키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The upper end of the housing (6), the exhaust pipe (49) is located in the drying chamber (4)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is located on the outside is install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상부트레이(42) 선단부에 노즐공(4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zzle hole 46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tray (42).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상부트레이(42)에 배기공(4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hole 48 is formed in the upper tray (4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가이드튜브(26) 후미에 칼라(28)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튜브(26) 후단부에 칼라(28)가 패널(20)에 밀착하며 고정될 수 있게 한 고정부재(3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A collar 28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guide tube 26, and a fixing member 3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tube 26 to allow the collar 28 to be tightly fixed to the panel 20. As a dry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칼럼닥트(14) 하단부에 안내공(58)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공(58)에 연결되면서 배기공(62)을 형성한 플로어닥트(60)가 플로어(56)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A guide hole 58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olumn duct 14, and a floor duct 60 connected to the guide hole 58 and having an exhaust hole 62 is installed on the floor 56. One dry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플로어(56)에 드레인홀(6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조기.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64 is formed in the floor (56).
KR2020020000508U 2002-01-08 2002-01-08 A dryer KR2002714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08U KR200271443Y1 (en) 2002-01-08 2002-01-08 A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08U KR200271443Y1 (en) 2002-01-08 2002-01-08 A dry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239A Division KR20030054125A (en) 2001-12-24 2001-12-24 A d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443Y1 true KR200271443Y1 (en) 2002-04-09

Family

ID=7311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508U KR200271443Y1 (en) 2002-01-08 2002-01-08 A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44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52239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662364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CN110461144B (en) Drying device for pet
EP316453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BRPI0715349A2 (en) Multiple article handling machine to be washed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BRPI0715947A2 (en) multiple washing machine
JP3535135B2 (en) Drying equipment
KR200381792Y1 (en) An apparatus for drying shoes
KR20180045246A (en) A pet drier
KR200271443Y1 (en) A dryer
KR20030054125A (en) A dryer
JP3619203B2 (en) Drying equipment
KR100625104B1 (en) Shoes drier
KR200252089Y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rying rubber gloves
KR100637881B1 (en) Footwear dry system
KR101426332B1 (en) Apparatus for drying laundry
KR200262063Y1 (en) Device for drying shoes
KR200304476Y1 (en) A dry apparatus
KR200361284Y1 (en) multipurpose drier
JP3639252B2 (en) Drying equipment
KR200256102Y1 (en) A dryer
KR200250731Y1 (en) Shoes drying equipment
JP3723128B2 (en) Shoe structure of footwear storage
KR101509644B1 (en) Apparatus for drying dehydrating member us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dry la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