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403Y1 - 신발창의 아웃솔 - Google Patents

신발창의 아웃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403Y1
KR200271403Y1 KR2020010040569U KR20010040569U KR200271403Y1 KR 200271403 Y1 KR200271403 Y1 KR 200271403Y1 KR 2020010040569 U KR2020010040569 U KR 2020010040569U KR 20010040569 U KR20010040569 U KR 20010040569U KR 200271403 Y1 KR200271403 Y1 KR 20027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ole
outsole
lower body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면
김동식
Original Assignee
강상면
김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면, 김동식 filed Critical 강상면
Priority to KR2020010040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40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체(30)와 하부체(10)를 적층결합시킨 신발창의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 하부체(10)의 뒷꿈치 부위에 탄성부(20)를 형성하여, 그 상면에 직립상태로 상향개구된 중공부(21a)를 가지는 탄성관체(21)를 형성하고, 상부체(30)에는 탄성관체(2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1)를 하향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부체(30)를 탄성부(20)에 요철 결합되는 구조에 의하여 결합시키며, 결합돌기(31)의 하단 외주부에 형성된 접착부(32)에만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탄성부(20)와 상부체(30)의 접착부위를 감소시킨 것으로, 탄성관체(2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마감재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탄성관체(21)의 본래의 쿠션감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고, 요철구조에 의한 결합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며, 타제품과의 디자인의 차별화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창의 아웃솔{outsole of shoe}
본 고안은 신발창의 아웃솔(outsol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뒷꿈치부에 복수의 탄성관체를 구비하여 쿠션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요철 상태의 조립구조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시킨 신발창의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바닥창은 몰드물로 제작되어 신발 본체의 하면에 접착되는데 착용시의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신발과의 사이에 두꺼운 두께를 갖는 쿠션층을 접착하거나, 에어백을 신발창의 내부에 밀봉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쿠션층은 몰드창이기 때문에 재질상 신발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고, 에어백을 구비한 경우에도 에어백을 보호하기 위하여 딱딱한 소재로 마무리하기 때문에 쿠셔감을 느끼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바닥창은 최하측의 밑창과 쿠션층이 면(面)접합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최하측 밑창과 쿠션층의 가장자리부분을 정확하게 접착시키지 않으면 접착불량이 발생되는 가공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접합되는 부위가 넓기 때문에 접착제의 사용량도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쿠션감이 향상된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성이 향상된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창의 접착부위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독특한 디자인의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신발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발 본체 10,10",10'" ; 하부체
20 ; 탄성부 21,21',21" ; 탄성관체
21a ; 중공부 21b ; 탄성홈
21c ; 돌기 30,30'30" ; 상부체
31,31',10'"a ; 결합돌기 32 ; 접착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체와 하부체가 부착되어 조립되는 신발창의 아웃솔에 있어서, 중공부가 형성되어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관체를 상,하부체의 발뒷꿈치부위에 구비하고, 상기 상부체 또는 하부체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탄성관체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한 신발창의 아웃솔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창의 아웃솔은 탄성부의 탄성관체가 직립상태로 상부체의 결합돌기에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발뒷꿈치 부위의 쿠션감을 향상시키게 되며, 조립공정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고, 탄성관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디자인이 타제품과 차별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아웃솔이 적용된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아웃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아웃솔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아웃솔은 탄성부(20)를 가지는 최하층인 하부체(10)와, 하부체(10)와 신발(1) 사이에 부착되는 상부체(30)로 구성된다.
하부체(10)는 지면과 접촉되는 바닥면이 형성된 창으로, 발바닥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체(10)의 발뒷꿈치부분의 상면에 부착되는 탄성부(20)는 네 모서리 부위에 각각 탄성관체(21)가 직립상태로 형성되어 모두 4개의 탄성관체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다. 탄성관체(21)는 상향개구된 중공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관체(21)의 외주면 중간부에는 탄성홈(21b)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20)의 저면에는 돌기(21c)가 형성되어 하부체(10)의 관통공(11)을 통해 결합되며, 하부체(10)의 저면과 동일평면을 이루거나 약간 돌출되어 있다.
탄성부(20)의 탄성관체(21)에는 상부체(30)가 결합되는 바, 상부체(30)의 저면에는 탄성관체(21)의 중공부(21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1)가 하향돌출되어 있고, 탄성관체(21)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상부체(30)의 저면에는 탄성관체(21)상단의 외주면을 감씨주는 돌기부(33)를 가지는 접착부(32)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관체(21)의 상단부가 접착부(32)로 삽입되어 이를 돌기부(33)가 감싸는 상태로 접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아웃솔이 결합된 상태의 신발은최하층인 하부체(10)의 상면에 발뒷꿈치의 하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직립상태로 형성된 탄성관체(21)를 구비한 탄성부(20)을 접착시키도록 하고, 탄성부(20)의 상측에는 상부체(30)를 결합시키되, 상부체(30)의 결합돌기(31)를 탄성관체의 중공(21a)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며, 이때, 상부체의 결합돌기(31)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접착부(32)가 형성되어 있어 접착부(32)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탄성관체(21)의 상단부가 접착부(32)에 삽입된 상태로 접착되며, 돌기부(33)가 탄성관체(21)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탄성관체(21)에 상부체의 결합돌기(31)를 삽입하는 상태로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해지며, 상부체(30)의 접착부(32)에만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부(20)와 상부체(30)의 접착면적이 감소되는 것이다.
하부체(10)에 상부체(30)가 접착된 아웃솔을 신발 본체(1)에 부착시키면 신발의 뒷꿈치 부위는 상부체(30)의 상면과 부착되고, 앞부분은 하부체(10)의 상면과 부착되는 상태로 신발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본 고안에 의한 아웃솔은 탄성부(20)에 형성된 탄성관체(21)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탄성관체(21)가 지닌 본래의 쿠션감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쿠션감을 발휘하는 탄성관체(21)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신발의 쿠션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관상으로 타제품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아웃솔이 적용된 신발은 착용시 발뒷꿈치로 전달되는 착용자의 하중을 4개의 탄성관체(21)에서 균일하게 분산시켜 완충시키므로 각각의 탄성관체(21)에 의한 쿠션력에 의해 착용자가 보다 안정적인 쿠션감을 느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탄성부(20)와 하부체(30)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탄성부(20)와 하부체(10)를 일체로 성형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장부(19)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체(30')의 하면에 2개의 결합돌기(31')를 형성하고, 탄성관체(21')를 결합돌기(31')를 삽입한 상태에서 탄성관체(21')를 하부체(10")에 부착하여 결합하여 구성한다.
하부체(10")의 발뒷꿈치부위의 상면에는 탄성관체(21')가 결합된 상부체(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0"a)을 형성하고, 결합홈(10"a)의 좌우측을 관통하여 개구부(10"b)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관체(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체(30")측에 2개의 탄성관체(21")를 형성되어 있고, 하부체(10'")에는 탄상관체(21')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10'"a)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2개의 탄성관체(2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2개 또는 4개의 탄성관체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균일하게 발휘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탄성관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아웃솔은 복수의 관형 탄성체를 직립상태로 상,하부체 사이에 구비하여 발뒷꿈치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쿠션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체의 탄성부 및 상부체의 접착부위가 신발의 바닥면에서 전체에 걸치지 않고 일부 면적으로 감소되므로 접착이 용이해지고, 상부체의 결합돌기가 탄성관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져 조립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탄성관체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신발의 외관디자인이 타제품과 차별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발형상의 하부체(10)의 상측에 상부체(30)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신발창의 아웃솔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0)와 하부체(10) 사이의 발뒷꿈치부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며, 중공부(21a)가 형성된 복수의 탄성관체(21)와;
    상기 상부체(30)의 하면 또는 하부체(10)의 상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관체(21)의 중공부(21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0)의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31)가 하향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0)는 하부체 바닥부(10')와, 탄성부 바닥부(22) 및 상기 결합돌기(31)가 삽입되는 복수의 탄성관체(21)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체 바닥부(10')의 발뒷꿈치 부위에 접착되는 탄성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관체(21)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상부체(30)의 하면에 상기 탄성관체(21)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돌기부(33)를 가지는 접착부(32)가 형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0)의 발뒷꿈치부위의 후단부에 상,하부체 결합용 연장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0)의 바닥부(2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21c)가 상기 하부체(10)의 관통공(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1c)가 탄성관체(21)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0')의 저면에 복수의 결합돌기(31')가 하향형성되고, 상,하부체(30',10")와 분리형성된 탄성관체(21')가 결합돌기(31')에 결합되며, 탄성관체(21')는 하부체(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0"a)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0")의 결합홈(10"a)의 양측에는 개구부(1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0")의 저면에는 복수의 탄성관체(21")가 상부체(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0'")에는 탄성관체(2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0'"a)가 상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관체(21")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11.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9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관체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12.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9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관체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아웃솔.
KR2020010040569U 2001-12-28 2001-12-28 신발창의 아웃솔 KR20027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569U KR200271403Y1 (ko) 2001-12-28 2001-12-28 신발창의 아웃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569U KR200271403Y1 (ko) 2001-12-28 2001-12-28 신발창의 아웃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403Y1 true KR200271403Y1 (ko) 2002-04-09

Family

ID=7307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569U KR200271403Y1 (ko) 2001-12-28 2001-12-28 신발창의 아웃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91B1 (ko) 2012-11-15 2013-11-29 유성엽 뒷굽 또는 앞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91B1 (ko) 2012-11-15 2013-11-29 유성엽 뒷굽 또는 앞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2702B2 (en) Article of footwear
CA2016672C (en) Sports shoe incorporating an elastic insert in the heel
US6564476B1 (en) Flex sole
US20070028484A1 (en) Shoe bottom heel portion
KR20060125989A (ko) 신발 밑창
CN109156930A (zh) 一种扣合式固接鞋底及具有该鞋底的气密式减震呼吸换气鞋子
KR20100050274A (ko) 기능성 밑창을 구비한 조립식 신발
JP3501444B2 (ja) インソールボード分割型の靴底構造
JP2002336003A (ja) 靴底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71403Y1 (ko) 신발창의 아웃솔
JPH042041B2 (ko)
US6408544B1 (en) Flex sole
KR101249696B1 (ko) 신발
KR960013055B1 (ko) 완충성과 경량성이 양호한 개량 신발
KR20020007262A (ko) 샌들 밑창
JPH11164704A (ja) 通気性靴底及び通気性靴
KR200390917Y1 (ko) 신발깔창
KR200265531Y1 (ko) 샌들 밑창
KR20000061730A (ko) 조립식 완충 구두굽
CN218999672U (zh) 鞋底及鞋子
KR200146192Y1 (ko)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KR200265361Y1 (ko) 샌달용 이중 밑창
KR200183136Y1 (ko) 신발깔창용 에어쿠션
KR20000030266A (ko) 신발
KR100479224B1 (ko) 밑창과 뒷굽이 일체로 형성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