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658Y1 -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 Google Patents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658Y1
KR200270658Y1 KR2020010039921U KR20010039921U KR200270658Y1 KR 200270658 Y1 KR200270658 Y1 KR 200270658Y1 KR 2020010039921 U KR2020010039921 U KR 2020010039921U KR 20010039921 U KR20010039921 U KR 20010039921U KR 200270658 Y1 KR200270658 Y1 KR 200270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edestal
bookshelf
book
groov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9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연래
Original Assignee
임연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래 filed Critical 임연래
Priority to KR2020010039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6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658Y1/en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받침대가 선반에 장착되는 책장 선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책장 선반의 칸막이가 이동가능한 책장 선반을 제공한다. 그리고, 책상 선반에 있어서도 책꽂이 대신 책장 선반에 부착된 책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case shelf in which the book rest is mounted on a shelf. It also provides a bookcase shelf in which the partition of the bookcase shelf is movable. In addition, the desk shelf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ead of the bookshelf provides a book stand attached to the bookshelf shelf.

Description

책 받침대를 장착한 선반{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Shelf with book stand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본 고안은 책장 또는 책상 선반에 진열된 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책 받침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 받침대가 장착된 책장 또는 책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book stand that can more efficiently support books displayed on a bookshelf or desk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kshelf or desk structure equipped with a book stand.

일반적으로 책장에는 다수의 책을 진열할 수 있는 선반이 다단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책장 선반에 다량의 책을 진열하는 경우 진열된 책이 점차적으로 흐트러지거나, 책장 선반의 빈 공간의 방향으로 책들이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다량의 책이 쓰러지지 않더라도 오랜 시간 동안 책들을 진열할 경우 빈공간 측에 진열된 책의 경우 정렬이 흐트러지게 되어 책이 변형되는 문제가 또한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 책을 가지런히 정렬하면서도 책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책받침대를 이용하고 있다.In general, a bookcase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shelf that can display a number of books. When a large number of books are displayed on a bookshelf shelf, the displayed books are gradually disturbed or books fall down toward the empty space of the bookshelf shelf. Even if a large number of books do not fall down, if books are displayed for a long time, the books displayed on the empty space may be distorted, resulting in a deformation of the book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 books are used to align the books while using a separate book stand to prevent the books fall.

도 1은 이러한 책받침대(10)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 받침대(11)와 제2 받침대(12)가 직각으로서 일체로 체결 고정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책받침대를 이용하여 책의 측면과 제1 받침대(11)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 제2 받침대(12) 상에 책들이 놓이도록 한다. 책이 넘어지는 방향인 제1 받침대(11)쪽으로 힘을 가하지만, 제2 받침대(12) 상에 가해진 책의 하중으로 인해 제1 받침대(11)가 밀려나지 않게 됨으로써, 진열된 책들을 효과적으로 정렬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받침대(11)에 가해지는 힘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제2 받침대(12) 상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야한다. 따라서, 제2 받침대(12) 상에 다수의 책들이 놓여져서 제2 받침대(12)를 누르는 하중이 커야 하므로, 비교적 제2 받침대(12)의 길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1 shows a structure of an example of such a book holder 10. In other words, the first pedestal 11 and the second pedestal 1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edestal 11 and the second pedestal 12 are integrally fastened and fixed. Using this structure of the book stand, the side of the book and the first pedestal 1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books are placed on the second pedestal 12. Although the force is applied toward the first pedestal 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k falls, the first pedestal 11 is not pushed out by the load of the book applied on the second pedestal 12, thereby effectively aligning the displayed books. Done. Therefore, in order to firmly support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pedestal 11, the load on the second pedestal 12 must be large. Therefore, since a plurality of books are placed on the second pedestal 12 and the load for pressing the second pedestal 12 must be l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pedestal 12 is relatively large.

그러나, 이와 같이 제2 받침대(12)의 길이가 큰 책받침대인 경우라 하더라도, 제1 받침대(11)의 크기보다 비교적 큰 규모의 책을 소량 진열하는 경우 제2 받침대(12) 상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제1 받침대(11) 상에 가해지는 힘이 더 커지게 되어 책받침이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책의 정렬의 제대로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second pedestal 12 is a large book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second pedestal 12 when a small amount of books are displayed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pedestal 11. The force exerted on the first pedestal 11 is greater than tha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book support falls down, and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ooks are not properly aligned.

또한, 책 받침이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because the book holder is provided separately, it may be lost.

그리고, 책들이 진열된 책장의 선반 표면과 제2 받침대 표면과의 단차(a)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책들이 동일 높이를 유지하면서 질서 있게 정렬되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elf surface of the bookshelf where the books are displayed and the second pedestal surface (a), it cannot be said that the books are arranged in order while maintaining the same height.

또한, 이러한 책받침대의 기능을 돕기 위해, 선반 상에 고정된 칸막이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칸막이의 위치까지 책이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는 책받침대의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help the function of the book holder, a partition is fixed on the shelf is installed, but if the book is not aligned to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can not act as a book holder at all.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제2 받침대의 길이가 짧더라도 책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받침대의 분실의 염려가 없으면서, 정렬되는 책이 모두 선반 표면 상의 동일 높이에서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책받침대, 및 책받침대가 장착되는 선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irmly support a book even if the length of the second pedestal is short, but also without fear of losing the book rest, the books to be aligned are all at the same height on the shelf surface. And a shelf structure to which the book stand can be arranged, and a shelf structure on which the book stand is mounted.

또한, 본 고안은 책받침대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칸막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이동가능 칸막이형 선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movable partition type shelf structure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artition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book stand.

또한, 본 고안은 책장 선반에 내설된 책받침대를 탈착가능하게 함으로서, 책받침대가 필요없거나, 책장 선반의 길이 방향 전체적으로 책을 정렬할 때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책장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kshelf shelf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when aligning the book in the entire length direction of the bookshelf shelf by eliminating the book stand, built in the bookshelf shelf is removable. do.

본 고안에 따른 책장 선반은 선반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칸막이를 포함하되, 칸막이는 책장 선반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 장착 선반은 책장 선반, 책장 선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반 내에 형성된 홈 안내부, 및 서로 직교하는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를 포함하고, 제2 받침대가 홈 안내부에 내설되어 선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으며, 책장 선반에 형성된 홈 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책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 장착 선반은 책상 선반, 책상 선반의 소정의 위치에 직선 방향을 따라 선반 내에 형성된 홈 안내부, 및 서로 직교하는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를 포함하고, 제2 받침대가 상기 홈 안내부에 내설되어 선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으며, 책상 선반에 형성된 홈 안내부의 직선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책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 장착 선반은 홈 안내부가 선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반에 형성된 제1 홈 안내부, 및 제1 홈 안내부 내에 형성된 제2 홈 안내부를 포함하고, 제2 받침대는 제2 홈 안내부 내에 형성되되, 제2 홈 안내부는 제2 받침대의 표면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 장착 선반은 책받침대의 제1 받침대 및 제2 받침대가 서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Bookshelf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partitions installed in the shelf, the part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kshelf shelf. The bookshelf mount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kshelf shelf, a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shelf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okshelf shelf, and a first pedestal and a second pedestal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edestal is mounted on the groove guide. And it does not protrude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shel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ok support movabl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bookshelf shelf. The bookshelf mount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k shelf, a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shelf along a linear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esk shelf, and a first pedestal and a second pedestal orthogonal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book holders which are installed in the groove guides and do not protrude higher than the shelf surface, and which are movable only in a linear direction of the groove guides formed on the desk shelf. Bookshelf mount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shel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and a second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groove guide portion, the second pedestal is a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the second groove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vers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Bookshelf mount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of the book stand is removable from each other.

도 1은 종래 책받침대(10)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ook holder 10.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100)가 설치된 책장(1)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okcase 1 is installed bookshelf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는 도 2에 도시된 책받침대가 내설된 선반의 일실시예의 정단면도 및 책받침대(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Figures 3a and 3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shelf with the book rest shown in Figure 2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book rest 100.

도 4는 책받침대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book support.

도 5는 홈 안내부(30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groove guide part 300.

도 6은 착탈가능 책받침대의 일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6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example of a removable book suppo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책장1: bookshelf

10, 100 : 책받침대10, 100: Book stand

200 : 책장 선반200: bookshelf shelf

300 : 홈 안내부300: home guid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100)가 설치된 책장(1)의 구조를 도시하고있다.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bookcase 1 is installed bookshelf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100)가 부설된 책장 선반(200)은, 다수의 책을 정렬할 수 있는 책장 선반(200)과, 책장 선반 상의 책이 정렬되는 방향인 길이 방향을 따라 선반 표면 중앙에 형성된 홈 안내부(300)와, 받침대의 일부가 내설된 책받침대(10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bookshelf shelf 200 in which the book stand 10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kshelf shelf 200 capable of arranging a plurality of books and a direction in which books on the bookshelf shelf are aligned. The groove guide part 30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helf surfa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phosphorus, and the book rest part 100 in which a part of the base was built.

이와 같이 책받침대의 일부를 홈 안내부(300)에 내설하도록 함으로써, 홈 안내부(300)를 따라 책받침대(100)가 이동가능하게 되고, 정렬된 책들을 자유롭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book holder is installed in the home guide part 300, so that the book holder 100 is movable along the home guide part 300 and freely fixes the aligned books.

도 3a 및 3b는 도 2에 도시된 책받침대가 내설된 선반의 일실시예의 정단면도 및 책받침대(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받침대(100)중 제2 받침대(120)의 상면이 선반 상면 상에 돌출되지 않도록 홈 안내부(300)에 내설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정렬되는 책의 정렬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선반(200) 상에 책을 정렬할 시 제1 받침대(110)의 폭이외의 공간만큼만 제외하고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정렬할 수 있는 책의 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제2 받침대(120)는 홈 안내부(300)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며, 제2 받침대(120)의 상면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제1 받침대(1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역할을 하는 제2 받침대(120)의 상면이 올라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제1 받침대(110)가 넘어질 염려가 없게 된다.3A and 3B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of one embodiment of the shelf with the book rest illustrated in FIG. 2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book rest 100. As shown in FIG. 3A,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120 of the book support 100 is installed in the groove guide part 300 so as not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This can be aligned because the alignment height of the books to be aligned can be made constant, and at the same time, the books can be aligned except for the space oth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edestal 110 when the books are aligned on the shelf 200. The volume of books will increase.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edestal 120 is movabl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uide part 300, the second pedestal 120 is not movable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second pedestal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120 to be supported so as not to be raised so that there is no fear that the first pedestal 110 falls.

도 3에 도시된 제2 받침대의 단면 구조는 역 T자형의 구조이지만, 그 단면이 가로 일자형의 구조이더라도 무관하다. 제2 받침대(120)의 단면이 어떠한 구조이더라도, 제2 받침대(120)의 상면중 일부를 덮는 구조의 홈 안내부(300)를 포함하는 것이면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받침대(120)의 단면이 가로 일자형의 구조인 경우에는, 제2 받침대(120)에 연결된 제1 받침대(110)의 일부가 홈 안내부에 내설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2nd pedestal shown in FIG. 3 is an inverted T-shaped structure, even if the cross section is a horizontal linear structure, it is irrelevant. Even i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pedestal 120 has any structure,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includes the groove guide part 300 having a structure cover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pedestal 120 has a horizontally straight structure, a part of the first pedestal 110 connected to the second pedestal 120 is installed in the groove guide part. May be

책장 선반에 다양한 크기의 책을 진열하는 경우, 책받침대와 접촉하는 책의 크기가 작고 제1 받침대의 표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책받침대를 설치하더라도 책의 진열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1 받침대의 표면이 책장 선반 공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클수록 바람직하다. 도 2의 책받침대(100')는 제1 받침대의 표면적과 책장 선반의 책이 수용되는 크기의 단면적과 대응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책받침대를 설치하는 경우, 종래의 책장에서의 칸막이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책받침대의 기능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책장 선반에 수용가능한 모든 크기의 책들을 효율적으로 정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책장 선반 내에 필요에 따라 다수의 칸막이가 설치되는 책장의 구조에 있어서, 이와 같은 칸에 대응하는 칸막이를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책장 선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displaying books of various sizes on a bookshelf shelf, when the size of the book in contact with the book support is small and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pedestal is smal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book display cannot be properly displayed even if the book stand is install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first pedestal is large 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range of the bookshelf shelf space. The book stand 100 ′ of FIG. 2 show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pedestal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ize in which the book of the bookshelf shelf is accommodated.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bookshelf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artition in the conventional bookshelf but also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bookshelf, and to efficiently arrange books of all sizes that can be accommodated on the bookshelf shelf. There is this. Therefore, in the structure of a bookcas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provided in the bookcase shelf as necessary, the partitions corresponding to these compartments can be moved, so that the bookcase shelf space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도 5는 홈 안내부(3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선반 내에 직접적으로 홈 안내부를 형성할 수 있지만, 책장 선반에 제1 홈 안내부(310)를 형성한 다음, 제1 홈 안내부(310) 내에 제2 받침대(120)의 상면 표면의 일부를 덮는 다양한 구조의 제2 홈 안내부(3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홈 안내부(32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받침대의 표면과의 마찰력이 적은 재질의 나무또는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제2 받침대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제2 받침대에 바퀴의 설치와 함께 바퀴 고정 수단 등을 다양한 이동 보조 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실시예 또한 바람직하다.5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groove guide part 300. Although the groove guide may be formed directly in the shelf as shown in FIG. 3, the first groove guide 310 is formed in the bookshelf shelf, and then the second pedestal 120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guide 310. The second groove guide part 320 may be installed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When the second groove guide portion 320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use a wood or plastic material having a low frictional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pedestal. Alternatively, it is also preferred to additionally install various movement aids such as wheel fixing means and the like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wheels on the second pedestal so as to facilitat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edestal.

도 6은 제1 받침대(110)와 제2 받침대(120)의 착탈가능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책장 선반 전체에 책을 정렬하는 경우, 또는 책의 정렬시 책받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책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받침대(110)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 받침대(110)와 제2 받침대(120)를 서로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제2 받침대(120)의 표면 상에 소정 깊이의 홀(130)을 형성하고, 제1 받침대(110)의 하부에 홀에 대응하는 크기의 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도 6은 착탈가능한 가장 간단한 구조를 하나의 예로서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 실시가능한 다양한 착탈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structure of the first pedestal 110 and the second pedestal 120. When the books are aligned on the shelves of the bookshelf or when the books are not used when the books are not aligned, the first pedestal 110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when the problem is not caused by the alignment of the book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nd the second pedestal 120 in a removable structure. In FIG. 6, a hole 13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1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destal 110 includes a protrusion 140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le. . 6 merely illustrates by way of example the simplest detachable structure, and various removable structures may be employed.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책장 선반에 대해서만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책상 표면의 상단에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책받침대를 내설할 수도 있다. 따라서, 책상 위에 책꽂이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ile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for a bookshelf shelf, one or more bookshelves may be housed on top of the desk surfac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bookshelf on the desk.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가 내설된 책장 선반은 제2 받침대의 길이가 짧더라도 책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받침대의 분실의 염려가 없으면서, 정렬되는 책이 모두 선반 표면 상의 동일 높이에서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는 책받침대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칸막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칸막이의 공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대는 책받침대를 탈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책장 선반의 길이 방향 전체적으로 책을 정렬할 때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bookshelf shelf with built-in book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irmly support the book even if the length of the second stand is short, but also ensure that the book stand is not lost, and all books aligned are the same height on the shelf surface.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sorted in. In addition, the boo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t the space of the partition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artition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book. In addition, the book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able by the book st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when aligning the boo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kshelf shelf.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게는 본 고안을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한되고 청구범위 내에 해당하는 모든 수정 및 등가물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ny wa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책장 선반에 있어서,For bookshelf shelves, 상기 선반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칸막이를 포함하되,One or more partitions installed in the shelf, 상기 칸막이는 상기 책장 선반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선반.The partition is a bookcas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kshelf shelf. 책장 선반,Bookshelf shelves, 상기 책장 선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선반 내에 형성된 홈 안내부, 및A groove guide formed in the shelf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bookshelf shelf, and 서로 직교하는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받침대의 표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2 받침대가 상기 홈 안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선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책장 선반에 형성된 홈 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책 받침대And a first pedestal and a second pedestal orthogonal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pedestal is installed in the groove guide to cover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and does not protrude higher than the shelf surface, and is formed on the bookshelf shelf. Book stand movabl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uid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장착 선반.Book stand mounting shelf comprising a. 책상 선반,Desk shelf, 상기 책상 선반의 소정의 위치에 직선 방향을 따라 상기 선반 내에 형성된 홈 안내부, 및A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shelf along a straight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esk shelf, and 서로 직교하는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받침대의 표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2 받침대가 상기 홈 안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선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책상 선반에 형성된 홈 안내부의 직선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책 받침대A first pedestal and a second pedestal orthogonal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pedestal is installed in the groove guide to cover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and is not protruded higher than the shelf surface; One or more book holders that can only be moved in the straight direction of the groove guid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장착 선반.Book stand mounting shelf comprising a.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홈 안내부는 상기 선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선반에 형성된 제1 홈 안내부, 및 상기 제1 홈 안내부 내에 형성된 제2 홈 안내부를 포함하고,The groov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shelf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and a second groov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groove guide portion. 상기 제2 받침대는 상기 제2 홈 안내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홈 안내부는 상기 제2 받침대의 표면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장착 선반.The second pedestal is formed in the second groove guide portion, the second groove guide portion shelf, characterized in that covering the part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책받침대의 제1 받침대 및 제2 받침대는 서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장착 선반.And a first pedestal and a second pedestal of the book rest are removable from each other.
KR2020010039921U 2001-12-24 2001-12-24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KR2002706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21U KR200270658Y1 (en) 2001-12-24 2001-12-24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21U KR200270658Y1 (en) 2001-12-24 2001-12-24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658Y1 true KR200270658Y1 (en) 2002-04-03

Family

ID=7311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921U KR200270658Y1 (en) 2001-12-24 2001-12-24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65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301B2 (en) Laterally stabilizing drawer slide for tall cupboard pull-out
EP1585407B1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EP1149544A3 (en) Storage cabinet removably mounted on a worksurface by support stanchions
US6170677B1 (en) Storage tray for paperwork and the like
JPH09202378A (en) Housing case for floppy disks or the like
KR200270658Y1 (en) Lathe mounting book support means
US9282821B2 (en) Rack assembly
KR200315595Y1 (en) bookcase
KR100619428B1 (en) Bookcase
KR200378394Y1 (en) Bookrack
US20020080568A1 (en) Tool-less pedestal for a computer system
KR960005593Y1 (en) Rack for storing books
KR200184962Y1 (en) Megazine loading stand
JP2000270937A (en) Newspaper/magazine storage rack
JPH0437464Y2 (en)
JP2012120732A (en) Desk apparatus
KR200337573Y1 (en) A variable type a drawer partition
KR200393416Y1 (en) Length adjustable book rack
JP3656216B2 (en) Shelving
KR200390890Y1 (en) Bookcase
JP4504583B2 (en) Desk with shelf
KR200219417Y1 (en) Multipurpose cabinet
JP2005323660A (en) Drawer structure for cabinet
KR200243381Y1 (en) A Sectional Bookend
JP2889539B2 (en) Organizing shelves, storing and storing method of storing shelves, and method of forming storage space by organizing she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