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00Y1 - 합지 팔렛트 - Google Patents

합지 팔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00Y1
KR200270500Y1 KR2020020001448U KR20020001448U KR200270500Y1 KR 200270500 Y1 KR200270500 Y1 KR 200270500Y1 KR 2020020001448 U KR2020020001448 U KR 2020020001448U KR 20020001448 U KR20020001448 U KR 20020001448U KR 200270500 Y1 KR200270500 Y1 KR 200270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base
paper
pallet
le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중
Original Assignee
심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우중 filed Critical 심우중
Priority to KR2020020001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00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를 적층하여 압축시키면서 접착한 합지로 만들어지는 팔렛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팔렛트는,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사각형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세로방향으로 부착되고, 공통되는 위치에 한쌍의 절개홈이 성형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부(20);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베이스의 저면에 부착되는 보강프레임(30)을 포함하고; 합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지지레그부 및 보강프레임은 합지를 접어서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지 팔렛트{Pallet made of stacked paper}
본 고안은 상품을 상부에 적재한 상태로 이송 및 보관에 이용되는 팔렛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분한 지지강도를 구비하고 합지로 만들어지는 팔렛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지게차를 이용하여 제품을 이동시킬 때 팔렛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팔렛트는 전통적으로는 목재로 만들어져 왔다. 그러나 목재에 있는 병충해 등의 문제로 인하여 국제적으로 그 사용이 많이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목재에 대신하여,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팔렛트를 사용하기에 이르렀으나, 합성수지재 팔렛트는 제조 단가가 비싸고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경제적인측면 및 활용성에 있어서 그리 유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방안으로, 골판지를 이용하여 팔렛트를 제조하기도 하나, 실질적으로 골판지는 기본적인 재질에 기인하는 수분에 대한 취약성과 지지강도상의 문제로 장기간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제기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합지를 이용하여 팔렛트를 제조하는 것에 의하여, 팔렛트에서 필요로 하는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팔렛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팔렛트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팔렛트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20 ..... 지지레그부
22 ..... 절개홈 30 ..... 보강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팔렛트는,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사각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세로방향으로 부착되고, 공통되는 위치에 한쌍의 절개홈이 성형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부;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베이스의 저면에 부착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합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지지레그부 및 보강프레임은 합지를 접어서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지지레그부보다 높이가 낮아서, 지면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지지레그부 사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합지를 접어서 박스형상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지지레그부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단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지지레그부에는, 이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내장된 보강블럭이 삽입되고, 상기 보강블럭은 합지를 접어서 박스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팔렛트는 합지로 만들어진다. 합지는, 종이를 여러겹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압축하면서 접착된 것으로서, 골판지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지지강도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팔렛트는, 제품 또는 상품 등을 올려놓고 적재할 수 있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접착되어 베이스를 지면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부(20),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지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보강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일정한 넓이를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제품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물론이고, 지지레그부(20) 및 보강프레임(30)은, 모두 합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는 일정한 방향(예를 들면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부(20)가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레그부(20)는 합지를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도록 접은 상태, 또는 단면이 상부를 향하여 개구된 ㄷ자형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20)는 합지의 일측방향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부(20)가 설치되는 방향을 세로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지지레그부(20)는 베이스(10)의 저면에서 그 세로방향과 완전히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레그부(20)에는 각각 한쌍의 절개홈(22)이 성형되어 있는데, 상기 절개홈(22)은 지면과 일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지게차의 한쌍의 아암이 들어와서, 팔렛트 전체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절개홈(22)은, 복수개의 지지레그부(20)에서 모두 공통적인 부분에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20)의 내부에는, 별도의 강도 보강을 위한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사각형단면을 가지는 상기 지지레그부(20)의 내부에, 합지로 만들어지는 별도의 보강재를 넣어두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부(20)는, 양측면에서는 한쌍의 지지레그부(20a,20b)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베이스(10)의 상면에 물품이 적재될 때, 본 고안의 팔렛트의 양측단부의 강도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측단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지레그부(20)의 내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블럭(24)을 내장할 수 있다. 상기 보강블럭(24)은, 상기 나란한 지지레그부(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그 내부에 삽입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블럭(24)도, 합지로 만들어지고 사각형단면을 가질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의 합지를 접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부(20)의 방향을 베이스(10)에 대하여 세로방향이라고 할 때,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지지레그부(20)에 직각으로 배열되는 방향(예를 들어 상기 지지레그부의 배치 방향을 세로방향이라고 하면 가로방향으로)으로 복수개의 보강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베이스(10)와 지지레그부(20) 사이에 설치됨으로서, 팔렛트의 전체적인 강도보강을 위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베이스(10)의 저면에서 부착될 때 지지레그부(20)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지면(바닥면)에는 접촉하지 않고, 강도만을 보강하는 부분이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합지를 단면이 사각을 가지도록 접은 상태, 또는 단면이 상부를 향하여 개구된 ㄷ자형상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30)은, 베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레그부(20)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지지레그부(20)를 관통하는 부분에도, 접착제에 의하여 지지레그부(20)와 견고하게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가로방향 전체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강프레임(30)은, 모든 지지레그부(20)를 관통하면서, 전체적으로 강도 보강을 위한 프레임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상기 보강프레임(30)은 베이스(10)의 전체 가로방향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보든 지지레그부(20)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베이스(10)의 저면에서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부(20)에서, 인접하는 지지레그부(20) 사이에는 보조프레임(3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32)은 인접하는 지지레그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부분에서의 강도보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32)은, 베이스(10)의 중심부분에 있는 지지레그부(20) 사이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고, 인접한 지지레그부(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부분의 강도를 부분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서와 같이, 베이스(10) 상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중심부분의 지지레그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성이다.
그리고 도 2는, 베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되는 지지레그부(2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지지레그부(20)는, 도 1에서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두개의 지지레그부(20)를 보이고 있다. 상기 지지레그부(20)에는, 복수개의 보강프레임(30)이 관통하면서 조립되기 위한 조립공(26)이 사각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공(26)에 보강프레임(30)을 끼워서 조립하는데, 이 때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중간부분 상면에는 조립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홈(36)에 지지레그부(20)를 끼워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부분의 지지레그부(20)에, 복수개의 보강프레임(30)이 끼워지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부분에 위치하는 지지레그(20a,20b)를 다시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외측에 끼운 후, 전체를 베이스(10)의 저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의한 팔렛트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합지로 만들어지고 베이스(10)와 지지레그부(20)와 보강프레임(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팔렛트는, 합지로 만들어져서 환경친화적인 팔렛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되어, 팔렛트로써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합지로 제조되는 본 고안의 팔렛트는 저렴한 경비로 생산 가능한 부수적인 잇점도 가지고 있다.

Claims (5)

  1.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사각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세로방향으로 부착되고, 공통되는 위치에 한쌍의 절개홈이 성형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부(20);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베이스의 저면에 부착되는 보강프레임(30)을 포함하고;
    합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지지레그부 및 보강프레임은 합지를 접어서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지지레그부(20) 보다 높이가 낮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3.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지지레그부(20) 사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보조프레임(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합지를 접어서 박스형상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지지레그부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레그부에는, 이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내장된 보강블럭(24)이 삽입되고, 상기 보강블럭은 합지를 접어서 박스형상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KR2020020001448U 2002-01-17 2002-01-17 합지 팔렛트 KR200270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48U KR200270500Y1 (ko) 2002-01-17 2002-01-17 합지 팔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48U KR200270500Y1 (ko) 2002-01-17 2002-01-17 합지 팔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00Y1 true KR200270500Y1 (ko) 2002-04-03

Family

ID=7311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448U KR200270500Y1 (ko) 2002-01-17 2002-01-17 합지 팔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58B1 (ko) 2005-04-15 2007-03-23 이원강 종이팔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58B1 (ko) 2005-04-15 2007-03-23 이원강 종이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1911B1 (en) Shipping pallet apparatus and methods
US5941177A (en) Recyclable, heavy duty, lightweight, moisture resistant corrugated fiberboard pallet
GB2281280A (en) Knock down plastic pallet
US20050011418A1 (en) Cargo handling pallet
US6079337A (en) Supporting structure
US20040187745A1 (en) Fiberboard pallet
KR101383233B1 (ko) 파렛트 지지부재의 성형 방법
KR200270500Y1 (ko) 합지 팔렛트
JP2008536763A (ja) ベースレール
KR200473315Y1 (ko) 파레트
EP3875394B1 (en) A cargo carrier element, a method of stacking a number of packages, and a stack of packages
KR102410054B1 (ko)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KR101713623B1 (ko) 합판을 이용한 파렛트
KR200476627Y1 (ko) 2-방향 파레트
KR200413675Y1 (ko) 스틸팔레트
KR200341593Y1 (ko) 골판지 팔레트
KR200476631Y1 (ko) 4-방향 파레트
KR200415948Y1 (ko) 종이파렛트용 받침구
CN220147857U (zh) 拼接式纸板托盘
KR20140010220A (ko) 팔레트 제조방법 및 팔레트
KR101806018B1 (ko) 목재부가 구비된 금속팔레트
KR200250709Y1 (ko) 종이 파레트
WO2005090176A1 (en) Pallet
RU2333875C2 (ru) Транспортный поддон и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из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285601Y1 (ko) 종이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