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928Y1 - 봉걸레 세척기 - Google Patents

봉걸레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928Y1
KR200269928Y1 KR2020010038596U KR20010038596U KR200269928Y1 KR 200269928 Y1 KR200269928 Y1 KR 200269928Y1 KR 2020010038596 U KR2020010038596 U KR 2020010038596U KR 20010038596 U KR20010038596 U KR 20010038596U KR 200269928 Y1 KR200269928 Y1 KR 200269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opening
water
dehydration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남익현
Original Assignee
김재수
남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남익현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2020010038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928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 상단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며 작은 원호를 갖는 배수구가 형성된 세척수용기와; 상기 세척수용기의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면들에 탈수부고정구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의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의 외주를 따라 절취부에 의해 이격되는 다수의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지지편은 각각 승강부와 하강부가 한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하강부의 타측이 상기 개구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받침부에 연결되는 탈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탈수구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 발생이 감소되며, 또한, 단순히 봉걸레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만 걸레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걸레 세척기{Apparatus for laundering a mop}
본 고안은 봉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 후 탈수가 용이한 봉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사무실, 영업장, 공장 및 병원 등과 같이 비교적 넓은 지역의 바닥을 청소할 때 봉걸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봉걸레는 길이를 갖는 봉의 끝단에 실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걸레가 장착된 것으로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상체를 구부리지 않아 쉽게 넓은 지역을 물 청소할 수 있다.
봉걸레는 바닥을 청소하는 중 어느 정도 닦아 걸레가 때, 먼지 및 티끌 등의 이물질에 의해 더러워지면 걸레를 물에 의해 세척하여 이물질들을 제거한 다음 다른 장소를 닦아 청소를 완료한다. 상기에서 걸레를 상수도와 같이 흐르는 물로 세척할 수도 있는 데, 이러한 경우 걸레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흘려 보내는 물이 많아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걸레를 별도의 세척통과 같은 용기에 담겨진 물로 세척하는 경우 물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세척통 속의 걸레를 세척할 물에 소독제 또는 향기나는 세제 등을 첨가하므로써 청소가 완료된 바닥이 소독되거나 또는 향기를 발생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걸레를 상수도와 같이 흐르는 물로 세척하거나 세척통과 같은 용기에 담겨진 물로 세척하는 경우에도 세척된 걸레에 흡수된 물을 어느 정도 제거하여야 한다. 즉, 세척된 걸레에 흡수된 물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봉걸레를 들고 이동하는 도중에 바닥에 물이 흘러 지저분해지고 청소한 바닥에도 물이 오랫동안 마르지 않아서 청소 상태가 깨끗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기에 의해 미끄러져 사람이 다치는 경우까지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척된 걸레를 손으로 짜거나 발로 밟아 흡수된 물을 제거하여 적당한 상태로 탈수시켜야 한다. 그러나, 세척된 걸레를 손 또는 발을 사용하여 물을 제거하면 번거롭고, 손 및 발이 물에 젖을 수도 있으며, 또한, 탈수가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봉걸레를 세척하고 세척된 걸레에 흡수된 물을 제거하여 탈수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가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0-16375호(고안의 명칭 : 봉걸레 세척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봉걸레 세척용기는 용기의 일측에 고정롤러와 이동롤러를 장착하여 용기에 담겨진 물에 봉걸레를 세척하고, 걸레를 고정롤러와 이동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걸레에 흡수되어 있는 물을 고정롤러와 이동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제거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용기에 담겨진 세척수에 봉걸레를 넣어 흔들거나 비틀면서 세척하고 나서 이동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봉걸레의 걸레를 끼워 넣은 다음 절곡부를 발로 밟아 이동롤러를 고정롤러 쪽으로 이동시켜 걸레를 압착하면서 봉걸레를 들어 올려 걸레에 흡수되어 있는 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봉걸레 세척용기는 걸레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이동롤러를 고정롤러 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걸레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발로 절곡부를 밟으면서 봉걸레를 들어올리는 두 동작을 동시에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걸레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봉걸레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히 봉걸레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만 걸레의 물기를 제거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봉걸레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 세척기는 일측면 상단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며 작은 원호를 갖는 배수구가 형성된 세척수용기와; 상기 세척수용기의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면들에 탈수부고정구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의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의 외주를 따라 절취부에 의해 이격되는 다수의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지지편은 각각 승강부와 하강부가 한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하강부의 타측이 상기 개구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받침부에 연결되는 탈수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탈수부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구가 원형 또는 5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탈수부고정구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에 봉걸레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 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수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봉걸레 세척기 13 : 세척수용기 15 : 배출구
17 : 탈수부 19 : 몸체 20 : 지지편
23 : 절취부 25 : 받침부 27 : 물구멍
29 : 탈수부고정구 31 : 봉걸레고정구 33 : 봉걸레
35 : 봉 37 : 걸레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세척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수부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 세척기(11)는 세척수용기(13)와 탈수부(17)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세척수용기(13)는 봉걸레(33)의 걸레부(37)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담겨지는 것으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또는, 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세척수용기(13)는 상단 일측면에 배출구(15)가 형성된다. 배수구(15)는 세척수용기(13)의 세척수를 버리는 부분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며 작은 원호를 갖도록 형성된다. 배수구(15)는 통과하는 세척수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므로 세척수용기(13) 내의 세척수를 주입구가 좁은 하수구나 배수통 내에 외부로 튀거나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버릴 수 있다.
탈수부(17)는 봉걸레(33)의 걸레부(37)를 세척한 후 봉(35)을 눌러 걸레부(37)에 흡수된 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이 좋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탈수부(17)는 내측이 원형의 개구를 갖는 데, 이 개구의 원주를 따라 절취부(23)에 의해 이격되며 승강부(21)와 하강부(22)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편(20)이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탈수부(17) 내측에 형성된 개구는 원형 뿐만 아니라 5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수의 지지편(20)을 이루는 각각의 승강부(21)는 일측이 몸체(19)와 연결되며 타측이 각각의 하강부(22)의 일측과 연결되고, 각각의 하강부(22)는 일측이 각각의 승강부(21)의 타측과 연결되며 타측이 받침부(25)와 연결된다. 받침부(25)는 각각의 하강부(22)의 타측이 모아지며 중앙에 다수의 물구멍(27)이 형성된다.
또한, 탈수부(17)는 몸체(19)에 세척수용기(13)의 상부와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탈수부고정구(29)가 형성된다. 탈수부고정구(29)는 몸체(19)의 외부면에 세척수용기(13)의 배출구(15)가 형성된 일측면을 제외한 3개의 타측면들의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탈수부(17) 몸체(19)의 탈수부고정구(29)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에 봉걸레(33)이 봉(35)을 끼울 수 있는 봉걸레고정구(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봉걸레고정구(31)는 봉걸레(33)를 사용하지 않을 때 봉걸레세척기(11)에 결합시켜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의 봉걸레세척기(11)는 세척수용기(13)에서 봉걸레(33)의 걸레부(37)를 세척한 후, 물을 흡수하고 있는 걸레부(37)를 탈착부(17) 상에, 즉, 받침부(25)와 하강부(22)에 접촉되게 올려 놓는다. 이 때, 걸레부(37)에 과하게 흡수되어 있던 물이 받침부(25)에 형성된 다수의 물구멍(27)과 다수의 지지편(20)이 사이에 형성된 절취부(23)를 통해 세척수용기(13)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봉(35)에 힘을 가하여 하부 방향으로 누르면 걸레부(37)를 지지하는 받침부(25)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지지편(20)의 하강부(22)도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 다수의 지지편(20)은 자체 탄성과 절취부(2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걸레부(37)를 압박한다. 즉, 다수의 지지편(20)은 하강부(22)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부(21)의 타측이 하강부(22)와 함께 받침부(25)의 중심 쪽으로 수평 이동한다.
그러므로, 하강부(22)는 걸레부(37)를 압박하며, 이에 의해, 걸레부(37)가 흡수하고 있던 물은 제거되어 다수의 지지편(20) 사이의 절취부(23)와 받침부(25)의 구멍(27)을 통해 세척수용기(13)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에서 탈수부(17) 내측에 형성된 개구가 원형 또는 5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므로 하강부(22)는 걸레부(37)를 균일하게 압박한다.
그리고, 걸레부(37)의 세척을 완료한 후 세척수용기(13)의 세척수를 배수구(15)를 통하여 버리면 세척수의 단면적이 감소되므로 주입구가 좁은 하수구나 배수통 내에 외부로 튀거나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버릴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 세척기는 탈수구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 발생이 감소되며, 또한, 단순히 봉걸레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만 걸레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일측면 상단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며 작은 원호를 갖는 배수구가 형성된 세척수용기와;
    상기 세척수용기의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면들에 탈수부고정구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의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의 외주를 따라 절취부에 의해 이격되는 다수의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지지편은 각각 승강부와 하강부가 한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하강부의 타측이 상기 개구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받침부에 연결되는 탈수부를 포함하는 봉걸레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봉걸레 세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원형 또는 5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된 봉걸레 세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탈수부고정구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에 봉걸레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된 봉걸레 세척기.
KR2020010038596U 2001-12-14 2001-12-14 봉걸레 세척기 KR200269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96U KR200269928Y1 (ko) 2001-12-14 2001-12-14 봉걸레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96U KR200269928Y1 (ko) 2001-12-14 2001-12-14 봉걸레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928Y1 true KR200269928Y1 (ko) 2002-03-27

Family

ID=7311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596U KR200269928Y1 (ko) 2001-12-14 2001-12-14 봉걸레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9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961A1 (en) * 2012-06-26 2014-0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wringer for a buck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961A1 (en) * 2012-06-26 2014-0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wringer for a bucket
US9161673B2 (en) 2012-06-26 2015-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ringer for a bucket
EP2863790A4 (en) * 2012-06-26 2016-03-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USWRINGER FOR A BU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44516A (zh) 槓桿式拖把及其水桶
KR200269928Y1 (ko) 봉걸레 세척기
KR200268623Y1 (ko) 밀걸레 전용 세탁기
KR200412913Y1 (ko) 봉걸레 세척기
KR20090003925U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물기제거기
KR200284417Y1 (ko) 걸레 세척장치
KR102521390B1 (ko) 마포걸레용 세척탈수기
KR200252410Y1 (ko) 물걸레 세척통
KR101394182B1 (ko) 빨래판 기능이 구비된 씽크대
KR100604648B1 (ko) 마포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
CN216317461U (zh) 一种清洗刷的挤水装置
JPH11151396A (ja) 洗濯機能付容器及びその洗濯板
KR101381838B1 (ko) 걸레 탈수장치
KR20160003522U (ko) 마대걸레 세척장치
KR920006230Y1 (ko) 식기 세척기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CN217852818U (zh) 拖布挤水装置
KR200255743Y1 (ko) 휴대용 마포걸레 탈수기.
KR200187435Y1 (ko) 비누용기
CN201506920U (zh) 清洗甩干排水装置
KR200207232Y1 (ko) 밀대걸레용 탈수용구
KR200352687Y1 (ko) 마포걸레
JPH036297Y2 (ko)
RU21350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ытья полов помещений "белоручка"
KR860002321Y1 (ko) 세척을 겸한 스폰지걸레의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