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333Y1 -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 Google Patents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333Y1
KR200269333Y1 KR2020010038632U KR20010038632U KR200269333Y1 KR 200269333 Y1 KR200269333 Y1 KR 200269333Y1 KR 2020010038632 U KR2020010038632 U KR 2020010038632U KR 20010038632 U KR20010038632 U KR 20010038632U KR 200269333 Y1 KR200269333 Y1 KR 200269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hydraulic
sheav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6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환웅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8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3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333Y1/en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저부에 형성된 시브에 감지스위치를 설치하여 로프의 처짐 및 단선 등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계실에 설치된 유압 파워 유닛과 승강로에 설치된 플랜저와 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압 잭을 유압 배관에서 연결하고 유압 파워 유닛을 통하여 기름을 유압 잭에 주입 및 추출함으로서 유압 잭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ㆍ하강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측에는 로프가 권취되는 한 쌍의 시브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시브에는 각각의 축에 양단부가 결합된 연결부재가 설치된 유압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로프의 절단이나 처짐과 같은 로프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2)의 대략 중앙부분의 하면에는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50)의 상면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트(50)의 하부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시브(30)의 외주면에 권취된 로프(40)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감지부(62)가 전방에 돌출 형성된 마이크로 스위치(60)가 안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a rope sag of an elevator, by installing a detection switch on a sheave formed at the bottom of an elevator car to more accurately detect a sag and disconnection of a rope, and to easily install an elevator. To provide a rope deflection detection device, a hydraulic jack consisting of a hydraulic power unit installed in a machine room and a flanger and a cylinder installed in a hoistway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jack by injecting and extracting oil into the hydraulic jack through the hydraulic power unit. The elevator car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 pair of sheaves in which a rope is woun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pair of sheaves ar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respective shafts. Cutting or sagging of the rope in the device In the device for detecting an abnormal state of the same rope,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50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32,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50 The upp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unit 62 is coupled so that the micro-switch 60 is formed protruding forwar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rope 40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ir of sheaves 30.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Rope sag detection device of elevator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단선으로 인하여 처짐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킴으로서 안전성이 보다 강화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rope deflection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an apparatus for detecting rope deflection of an elevator to detect safety when a deflection occurs due to disconnection of an elevator and to stop the elevator quickl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으로 지어진 각종 건물에는 사람이나 사물 등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이 설치되는데, 특히 상기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서 엘리베이터 카 내에 탑승한 사람이나 사물 등을 신속하게 해당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대표적인 종적 교통기관이다.In general, an elevator or an escalator is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built for residential or business use to move a person or an object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elevator quickly corresponds to a person or an object in an elevator car in a high-rise building. It is a representative longitudinal transportation with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to the floor.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방법에 따라로프식 엘리베이터와 유압식 엘리베이터로 구분되며, 상기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elevator is divided into a rope type elevator and a hydraulic elevator according to the method of lif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the configuration of the hydraulic elevator is as shown in FIG.

도 1은 일반적인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상기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에 설치하는 유압 파워 유닛(12)과 승강로에 설치하는 실린더(14)와 플랜저(16)로 이루어진 유압 잭(18)을 유압 배관에서 연결하고 유압 파워 유닛(12)으로부터 기름을 유압 잭(18)에 주입 및 추출함으로서 상기 유압 잭(18)에 다수개의 시브(30) 및 로프(40)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10)를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general hydraulic elevator, wherein the hydraulic elevator is a hydraulic power unit 12 installed in a machine room, a hydraulic jack 18 including a cylinder 14 and a flanger 16 installed in a hoistway. )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jack 18 via a plurality of sheaves 30 and ropes 40 by connecting the hydraulic pipe 18 to the hydraulic jack 18 and injecting and extracting oil from the hydraulic power unit 12. It is made so that the elevator car 10 can be raised and lowered.

한편,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상기 유압 잭(18)으로부터 다수개의 시브(30)를 경유하여 엘리베이터 카(10)에 연결되는 로프(40)의 단선 및 처짐 등과 같은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로프처짐 감지장치가 형성되는데, 종래의 엘리베이터 로프처짐 장치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지지판(26)이 고정된 지지봉(22)이 베이스(2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6)을 통하여 로프(40)의 일단부가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봉(27)이 관통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device as described above can detect variou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disconnection and sag of the rope 40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10 via a plurality of sheaves 30 from the hydraulic jack 18.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the form is formed,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rope sag device, as shown in Figure 2, the support rods 22 fixed to the upper plate 26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27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40 through the support plate 26 are penetrated.

그리고, 상기 연결봉(27)의 하부에는 고무판(24) 및 받침판(23)이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34b)가 각각 체결되고, 상기 지지판(26)의 일측부에 감지스위치(28)가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감지스위치(28)에 연결된 누름봉(28a)은 받침판(23)에 접촉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nut 34b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in a state where the rubber plate 24 and the support plate 23 are coupled, and the sensing switch 2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26. In addition, the pressing rod 28a connected to the sensing switch 28 h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23.

따라서, 상기 로프(40)가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누름봉(28a)이 고정된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 로프(40)에 이상상태가 발생되어 로프(40)가 처지거나 단선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봉(27)이 하부에 결합된 고무판(24) 및 받침판(23)과 함께 하강하여 상기 감지스위치(28)의 누름봉(28a)으로부터 상기 받침판(23)이 벗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감지스위치(28)가 온 상태가 되어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Therefore, when the rope 40 is in a normal state, the push bar 28a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ut an abnormal state occurs in the rope 40 so that the rope 40 sags or a disconnection occurs. In this case, the connecting rod 27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rubber plate 24 and the supporting plate 23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supporting plate 23 is released from the pressing rod 28a of the sensing switch 28, and thus sensing is performed. The switch 28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로프처짐 감지장치에 있어서는 반드시 모든 로프가 처지거나 절단이 되어야만 상기 감지스위치가 동작되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로프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대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함과 더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증대되므로 인하여 경제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rope deflection detecting device made as described above, since all the ropes must be sag or cut, the detection switch is opera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and respond to abnormal conditions of the rope quickly and accurately. However,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increased installation co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의 저부에 형성된 시브에 감지스위치를 설치하여 로프의 처짐 및 단선 등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ensing switch on the shea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sag and disconnection of the rope, etc.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an elevator for easy install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실에 설치된 유압 파워 유닛과 승강로에 설치된 플랜저와 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압 잭을 유압 배관에서 연결하고 유압 파워 유닛을 통하여 기름을 유압 잭에 주입 및 추출함으로서 유압 잭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ㆍ하강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측에는 로프가 권취되는 한 쌍의 시브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시브에는 각각의 축에 양단부가 결합된 연결부재가 설치된 유압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로프의 절단이나 처짐과 같은 로프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대략 중앙부분의 하면에는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의 상면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트의 하부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시브의 외주면에 권취된 로프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감지부가 전방에 돌출 형성된 마이크로 스위치가 안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hydraulic jack consisting of a hydraulic power unit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and the flanger and the cylinder installed in the hoistway in the hydraulic pipe and hydraulic oil through the hydraulic power unit By injecting and extracting into the jack, the elevator car connected to the hydraulic jack is lifted and lowered. A pair of sheave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and a rope is wound. In the hydraulic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both ends, the device for detecting an abnormal state of the rope, such as cutting or sagging of the rope, the bracket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he upper surface of the is coupled, the lower upper side of the bracket Add detection to have a sheave the rop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ke-up of a p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to the micro-switch is mounted protruding from the front.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트는 대략 "┎" 형상을 갖는 상부부재와 대략 "┕" 형상을 갖는 하부부재의 측면이 볼트 및 너트 등으로 결합되어 대략 "ㄷ" 형상이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member having an approximately "┎" shape and the lower member having an approximately "┕" shape is coupled to the bolt and nut, etc. to have an approximately "C" shape.

또한,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측면에 천공되는 결합홀은 대략 타원형상으로 천공되어 상기 결합홀에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 및 상기 감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drilled in the sid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ope and the detecti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bolt and nut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로프의 절단이나 처짐 등으로 인한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시브에 권취된 로프의 하측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감지부를 통하여 마이크로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an abnormal condition due to cutting or sagging of the rope occurs, the micro switch detects this through a sensing unit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sheave, and the detected signal Can be sent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to immediately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도 1은 일반적인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hydraulic elevator,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elevator,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처짐 감지장치의 브라켓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of the elevator rope deflec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엘리베이터 카, 12: 유압 파워 유닛,10: elevator car, 12: hydraulic power unit,

14: 실린더, 16: 플랜저,14: cylinder, 16: flanger,

18: 유압 잭, 19: 작동유,18: hydraulic jack, 19: hydraulic fluid,

20: 베이스, 22: 지지봉,20: base, 22: support rod,

23: 받침판, 24: 고무판,23: support plate, 24: rubber plate,

26: 지지판, 27: 연결봉,26: support plate, 27: connecting rod,

28: 감지스위치, 28a: 누름봉,28: detection switch, 28a: push rod,

30: 시브, 32: 연결부재,30: sheave, 32: connecting member,

34a: 볼트, 34b: 너트,34a: bolt, 34b: nut,

40: 로프, 50: 브라켓트,40: rope, 50: bracket,

52: 상부부재, 54: 하부부재,52: upper member, 54: lower member,

55,56a,56b,58: 결합홀, 60: 마이크로 스위치,55, 56a, 56b, 58: coupling hole, 60: micro switch,

62: 감지부.62: detection unit.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측에 설치되고, 그 축은 연결부재(3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시브(30)에 권취된 로프(40)에 하측에 설치되며,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50) 및 상기 브라켓트(50)에 결합되어 로프(40)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pe rope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draulic elevator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the shaf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pe 40 wound on the pair of sheaves 3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2, the bracket made of approximately "c" shape 50 is coupled to the bracket 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 switch 60 for detecting an abnormal state of the rope 40.

여기에서, 상기 브라켓트(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 형상을 갖는 상부부재(52)와 대략 "┕" 형상을 갖는 하부부재(54)의 측면이 볼트(34a) 및 너트(34b)를 통하여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부재(52) 및 하부부재(54)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홀(56a,56b)은 종방향으로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부재(52)와 하부부재(54)의 결합시에 볼트(34a) 및 너트(34b)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브라켓트(5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부재(52)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재(3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의 결합홀(55)이 천공되어짐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54)의 하면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타원형상의 홀(58)이 천공된다.Here, the bracket 50, as shown in Figure 5, the side of the upper member 52 having an approximately "┎" shape and the lower member 54 having an approximately "┕" shape bolts (34a) and It is fastened through the nut 34b, and the coupling holes 56a and 56b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member 52 and the lower member 54 ar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52.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5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bolt 34a and the nut 34b are fastened when the lower member 54 is coupled to the upper member 52. The upper surface of the) is a circular coupling hole 55 is drill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32 and a plurality of the micro switch 60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54 Oval-shaped holes 58 are drilled.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54)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홀(58)을 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60)는 전방에 감지부(6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62)는 상기 한 쌍의 시브에 권취된 로프(40)의 하측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프(40)의 처짐이나 절단 등과 같은 이상상태의 발생시에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60)를 통하여 중앙 컨트롤판넬(도시안됨)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icro switch 60 coupl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58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54 has a sensing unit 62 protruding from the front thereof, and the sensing unit 62 is The micro switch 60 is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rope 40 wound on the pair of sheave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etects an abnormal state such as sagging or cutting of the rope 40 and detects the detected signal. It is configured to output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not shown) through).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측에 위치한 한 쌍의 시브 (30)의 축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 연결부재(32)의 중앙부분 하면에는 대략 "┎" 형상을 갖는 상부부재(52)와 대략 "┕" 형상을 갖는 하부부재(54)가 결합되어 형성된 브라켓트(50)를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부재(54)의 상면에는 감지부(62)가 상기 한 쌍의 시브(30)를 경유하여 권취된 로프(40)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마이크로 스위치(60)를 결합시킨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member 52 having an approximately " 형상 "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2 connected to both shafts of the pair of sheaves 30 located below the elevator car, respectively. The bracket 50 is formed by coupling the lower member 54 having an approximately "┕" shape, and the sensing unit 62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54 via the pair of sheaves 30. Coupling the micro switch 60 protruding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wound rope 40.

이때, 상기 로프(40)의 어느 한곳으로부터 로프(40)의 처짐이나 단선 등과 같은 이상상태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시브(30)에 권취된 로프(40)는 하측을 향해 처짐이 발생한다.At this time, when an abnormal condition such as sag or disconnection of the rope 40 occurs from any one of the ropes 40, the rope 40 wound on the sheave 30 generates sag toward the lower side.

따라서, 상기 처짐이 발생한 로프(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갖도록 그 하측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62)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감지부(62)를 통해 감지된 로프(40)의 이상신호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60)를 통하여 중앙의 컨트롤판넬(도시안됨)로 전달되도록 하므로서, 상기와 같이 이상상태가 발생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즉시 중지시키고, 이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rope 40 in which the deflection occurs is in contact with the detection unit 62 installed below the predetermined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the abnormality of the rope 40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62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not shown) through the micro switch 60, thereby immedia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in which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as described above, and thus can quickly take act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하측에 형성된 한 쌍의 시브에 권취된 로프의 하측에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로프의 절단이나 이상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로프의 이상상태 발생시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한 후, 안전하게 조치를 취할 수가 있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detection device on the lower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pair of sheave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so that the cutting or abnormal state of the rope can be accurately detected, the abnormality of the rope When a condition occurs, it can be quickly detected, and the safe action can be taken,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elevator.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가 있으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greatly reduc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etc.,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economics.

Claims (3)

기계실에 설치된 유압 파워 유닛과 승강로에 설치된 플랜저와 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압 잭을 유압 배관에서 연결하고 유압 파워 유닛을 통하여 기름을 유압 잭에 주입 및 추출함으로서 유압 잭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ㆍ하강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측에는 로프가 권취되는 한 쌍의 시브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시브에는 각각의 축에 양단부가 결합된 연결부재가 설치된 유압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로프의 절단이나 처짐과 같은 로프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The hydraulic jack connected to the hydraulic jack is lifted and lowered by connecting the hydraulic jack consisting of the hydraulic power unit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and the flanger and cylinder installed in the hoistway in the hydraulic pipe and injecting and extracting oil into the hydraulic jack through the hydraulic power unit. I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is provided with a pair of sheaves in which the rope is wound, and the pair of sheaves are cut or sag in the hydraulic elevator apparatu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both ends thereof. In the device for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same rope, 상기 연결부재(32)의 대략 중앙부분의 하면에는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50)의 상면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트(50)의 하부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시브(30)의 외주면에 권취된 로프(40)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감지부(62)가 전방에 돌출 형성된 마이크로 스위치(60)가 안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50 having an approximately "c" shape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32,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sheaves 30 is provided on the lower upper side of the bracket 50. Elevator deflection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unit 62 is coupled so that the micro-switch 60 is formed to protrude in front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wound rope (4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라켓트(50)는 대략 "┎" 형상을 갖는 상부부재(52)와 대략 "┕" 형상을 갖는 하부부재(54)의 측면이 볼트(34a) 및 너트(34b) 등으로 결합되어 대략 "ㄷ" 형상이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The bracket 50 has a side surface of an upper member 52 having an approximately "┎" shape and a lower member 54 having an approximately "┕" shape by a bolt 34a, a nut 34b, or the like.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ma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부부재(52) 및 하부부재(54)의 측면에 천공되는 결합홀(56a,56b)은 대략 타원형상으로 천공되어 상기 결합홀(56a,56b)에 체결되는 볼트(34a) 및 너트(34b)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40) 및 상기 감지부(6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처짐 감지장치.Coupling holes 56a and 56b drilled in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member 52 and the lower member 54 are bored in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and bolts 34a and nuts 34b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s 56a and 56b. Rope sag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be able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rope (40) and the detection unit (62) according to the coupling position.
KR2020010038632U 2001-12-14 2001-12-14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KR2002693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632U KR200269333Y1 (en) 2001-12-14 2001-12-14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632U KR200269333Y1 (en) 2001-12-14 2001-12-14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333Y1 true KR200269333Y1 (en) 2002-03-21

Family

ID=7311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632U KR200269333Y1 (en) 2001-12-14 2001-12-14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33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243B2 (en) Platform lifting mechanism provided with a driving pulley and corresponding driving system
JP2004509032A (en) Lifting tool for integrated elevator installation
KR200269333Y1 (en) Drooping rope sensor of elevator
US7946391B2 (en) Hydraulic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2002003118A5 (en)
KR200445923Y1 (en) Up and Down System for Fire Detection Sensor Unit
KR20100135114A (en) A overspeed governor for elevator
JP3140819U (en) Lifting device using hydraulic cylinder
CN214990086U (en) Hydraulic lifting device for masonry platform
CN212740558U (en) Drilling derrick plays puts monitoring devices
CN106194040A (en) Light-duty monitoring holes rig
CN211056446U (en) Down rope looseness detection device of indoor elevator
KR20090006206U (en) 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lift with ascent auto-detection means of cage
CN206751259U (en) A kind of bucket type mixing plant steel wire rope three-dimensional stopping means
CN102887415A (en) Elevator
CN110626907B (en) Overload detection device of indoor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by using overload detection device
KR940006625Y1 (en) Stage system
CN203212170U (en) Elevator
KR10217901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CN209337909U (en) Advanced single rope winding hoist rope-loosing protection device
CN220814845U (en) Elevator well lifting platform
CN217867946U (en) Lifting and stacking device for constructional engineering
CN112229726B (en) Automatic lifting high-rise building railing horizontal thrust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control system
US6769322B2 (en) Lift for sealing device
KR101842183B1 (en) Cable protection of construction li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