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317Y1 -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317Y1
KR200269317Y1 KR2020010038361U KR20010038361U KR200269317Y1 KR 200269317 Y1 KR200269317 Y1 KR 200269317Y1 KR 2020010038361 U KR2020010038361 U KR 2020010038361U KR 20010038361 U KR20010038361 U KR 20010038361U KR 200269317 Y1 KR200269317 Y1 KR 200269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finishing material
user
impact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Original Assignee
김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수 filed Critical 김춘수
Priority to KR2020010038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317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마감재로 끝단이 처리된 가구에 있어서, 가구마감재의 본체에 해당하는 구조체와; 그 구조체에 부착하여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충격완충재와; 그 충격완충재를 감싸는 보호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구마감재를 가구의 끝단에 몰딩 마감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가구 및 사용자를 보호하는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가구는 그 끝단에 형성되는 가구마감재의 충격 완충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가 가구의 모서리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가구 측면에서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가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의 끝단에 처리된 가구마감재의 외피에 해당되는 보호시트는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한 색상과 조화되는 색으로 선택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의 연출에도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Furniture buffering outer impact}
본 고안은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마감재로 끝단이 처리된 가구에 있어서, 가구마감재의 본체에 해당하는 구조체와; 그 구조체에 부착하여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충격완충재와; 그 충격완충재를 감싸는 보호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구마감재를 가구의 끝단에 몰딩 마감하여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가구 및 사용자를 보호하는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그 본래의 용도에 의하여 사용자의 생활을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디자인 측면에서도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의 가구는 그 마감 처리에 있어서 각종의 마감 시트를 부착하여 색이나 질감으로서 단지 디자인을 돋보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가구라는 물품에 있어서 고유의 기능 뿐만 아니라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가구에 형성되는 모서리나 끝 단면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부딪히게 되는 경우 위험한 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특히, 어린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아이가 가구에 부딪히는 경우는 흔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실내용 가구에 형성되는 모서리나 끝 단면은 사용자에게 있어 생활의 위험 요소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한 생활 가구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은 실제로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빈번하게 발생되며 심각한 사용자의 부상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어린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사고 발생 및 가구 손상의 우려 때문에 새로운 가구의 구입을 꺼리는 주요인이 된다. 또한, 가구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구의 손상 및 실내 인테리어 측면에서의 부조화는 가구 본래의 활용 용도로서 기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가구를 구입하게 되는 낭비의 윈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가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가구는 사용자와 가구가 부딪히는 경우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실내 인테리어에 걸맞는 가구마감재를 선택하여 실내 분위기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가구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경제적인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마감재와 가구의 결합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구마감재를 접착한 가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구 2 : 책상면
3 : 서랍 모서리 4 : 가구마감재
5 : 보호시트 6 : 충격완충재
7 : 구조체 8 : 돌출부
9 : 요홈부 10 : 가구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는, 가구마감재로 끝단이 처리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마감재의 본체에 해당하는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여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충격완충재와; 상기 충격완충재에 부착하는 보호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가구마감재를 상기 가구의 끝단에 몰딩 마감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가구 및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조체는, 그 부착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가구측 부착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결합되며, 상기 충격완충재는, 강화 스폰지 또는 발포성 합성수지재를 이용하며, 상기 보호시트는, 천, 인조가죽 또는 가죽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는, 가구 본래의 활용 용도로서의 사용 기능과 더불어 안전 측면에서도 사용자의 부상 및 가구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적 기능을 가지며, 디자인 측면에서도 더욱 향상된 미감을 불러일으킨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마감재(4)와 가구의 결합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구마감재(4)를 접착한 가구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마감재(4)로 처리된 가구의 실시예로서 책상이 도시되어 있다. 책상용 가구를 형성하는 책상면(1)의 끝단과 서랍 모서리(3)에는 충격완충재(5)가 내장된 가구마감재(4)로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구와 부딪히는 경우, 충격완충재(5)가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상의 염려가 없다. 그리고 이사할 때와 같이 가구의 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가구의 흠집이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가구마감재(4)의 표피를 구성하는 보호시트(7)의 재질을 블랙톤 또는 브라운톤의 천연 가죽으로 구성하면 그 안정성과 더불어 고급 사무실에 걸맞는 품위있는 공간으로의 연출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책상면(2)의 테두리에 해당되는 가구재(10)와 가구마감재(4)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다. 가구마감재의 몸체에 해당되는 구조체(7)는 결합면을 제외한 외표면이 충격완충재(6) 및 보호시트(5)로 싸여져 있으며 결합면에 형성된 돌출부(凸)(8)는 가구재(10)의 결합면에 형성된 요홈부(凹)(10)에 결합되어 조립식으로 몰딩 마감하여 일체화한다. 구조체(7)의 재질은 목재 및 기타 다른 재질(고무, 플라스틱, 우레탄)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립식이 아닌 가구에 접착됨으로써 일체화되는 가구재(10)와 가구마감재(4)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책상을 지지하는 하부의 서랍 모서리(3)에 적용되는 구조로서, 가구재(10)에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충격완충재(6)를 부착하고, 그 외표면에 다시 보호시트(5)를 접착하여 몰딩처리함으로써 일체화를 형성한다. 상기 충격완충재(6)의 재질은 스폰지 또는 발포성 합성수지재 및 기타 재료(라텍스, 섬유재 등)로서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보호시트(5)는 천, 인조가죽, 천연가죽 및 기타 재료(나무목 무늬 시트 등)로서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예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는 모서리나 끝 단면이 충격 완충 기능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구와 부딪히는 경우, 사용자의 부상을 안전하게 방지하는 효과와 더불어 가구의 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가구의 손상도 함께 방지할 수 있어 오래 동안 가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가구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마감재는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실내 분위기의 조화를 위해 디자인 요소로서 교체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용 가구로부터 고급 사무실용 가구까지 기존의 실내 분위기에 따른연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마감재만 교체함으로써 가구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가구마감재로 끝단이 처리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마감재의 본체에 해당하는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여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충격완충재와;
    상기 충격완충재에 부착하는 보호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가구마감재를 상기 가구의 끝단에 몰딩 마감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가구 및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그 부착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가구측 부착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 가구의 외표면에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충격완충재를 부착하고, 상기 충격 완충재의 외표면에 보호시트를 부착하여 가구의 끝단을 몰딩 마감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가구 및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KR2020010038361U 2001-12-12 2001-12-12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 KR200269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61U KR200269317Y1 (ko) 2001-12-12 2001-12-12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61U KR200269317Y1 (ko) 2001-12-12 2001-12-12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317Y1 true KR200269317Y1 (ko) 2002-03-23

Family

ID=7307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361U KR200269317Y1 (ko) 2001-12-12 2001-12-12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3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31A (ko) * 2002-07-16 2004-01-24 윤점중 가죽필름이 부착된 가구
KR101239173B1 (ko) * 2012-10-30 2013-03-05 주식회사 쏘피체 엣지면에 마감부재가 부착된 목재패널,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31A (ko) * 2002-07-16 2004-01-24 윤점중 가죽필름이 부착된 가구
KR101239173B1 (ko) * 2012-10-30 2013-03-05 주식회사 쏘피체 엣지면에 마감부재가 부착된 목재패널,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6609A (en) Protective bumper
CN105188433A (zh) 具有变化的厚度的格栅支撑结构的防护装置
KR200269317Y1 (ko)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
MY111799A (en) Wristwatch case.
CN2248466Y (zh) 护膝护肘
KR100664541B1 (ko) 조립식 골판지 테이블
KR102175985B1 (ko) 가구용 코너안전캡
GB2151931A (en) Bats e.g. for table tennis
CN214386536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桌子
KR200321322Y1 (ko) 충격감소 핸드폰케이스
DE69502107D1 (de) Verbundwerkstücke
KR102377456B1 (ko) 유아용 벽보호대
KR200191542Y1 (ko) 유리 테이블
JPH0724133Y2 (ja) スポーツ用プロテクター
JP2001316447A5 (ko)
JPH0131255Y2 (ko)
CN211066348U (zh) 一种皮肤美容用毛孔分泌物清洗装置
CN216610326U (zh) 一种新型微孔透气pu革
KR200169073Y1 (ko) 쇼파용 탁자
KR200342556Y1 (ko) 충격완화 핸드폰 케이스
KR200314926Y1 (ko) 테두리 마감부재를 갖는 가구
KR200431917Y1 (ko) 머리 보호 비옷
KR200215942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코팅 바닥재
KR200338539Y1 (ko) 성형이 자유로운 모자
KR200195306Y1 (ko) 침대용 매트리스의 바닥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