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283Y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9283Y1 KR200269283Y1 KR2020010037457U KR20010037457U KR200269283Y1 KR 200269283 Y1 KR200269283 Y1 KR 200269283Y1 KR 2020010037457 U KR2020010037457 U KR 2020010037457U KR 20010037457 U KR20010037457 U KR 20010037457U KR 200269283 Y1 KR200269283 Y1 KR 2002692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lower fixing
- fixing plates
- lower hinge
- bodie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첩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의 연결부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힌지홈이 형성된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 1 바디와; 제 1 바디와 대칭되는 형태로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의 연결부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디의 상,하 힌지부 사이로 배열 설치되며 내부에 힌지홈이 형성된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 2 바디와; 제 1, 2 바디의 상,하 힌지부의 힌지홈에 끼워 삽입되는 상,하 힌지축;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경첩이 제 1, 2 바디로 분리 구성되고 또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상,하 힌지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하나의 힌지축을 분리 시킬 경우, 분리되지 않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 1 바디를 제 2 바디로 또는 반대로 절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첩을 집중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예컨대 도배용 작업대의 디딤판에 적용시킬 경우, 큰 하중이 걸려도 휨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하 힌지축을 모두 결합 시킨 상태에서는 절첩되려는 하중을 분산 흡수 가능함으로써 절첩에 의한 작업자의 낙상에 따른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축 즉 상,하 힌지축을 갖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이라 함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장롱이나 경대, 장식장 등의 가구 및 주방에서의 씽크대의 개폐문 및 측면에 부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행하거나, 절첩 가능한 도배용 작업대에서 디딤판의 절첩이나 지지대의 절첩을 위하여 사용되는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배용 작업대의 디딤판을 절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경첩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도배용 작업대의 디딤판(10)은,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좌,우 디딤판(11,12)로 분리 형성되고, 이 좌,우 디딤판(11,12)의 경계면 사이에 경첩(20)을 마련하고 있다.
이 경첩(20)의 상세 구조를 보면, 좌,우 디딤판(11,12)에 고정스크류(s) 등을 통해 고정되는 좌,우 고정 플레이트(21,22)를 구비하고, 이 좌,우 고정 플레이트(21,22)의 대응되는 내측에는 상호 교호(交互)적으로 위치되어 내부에 힌지축(30)이 결합되는 힌지홈을 형성하는 힌지부(23,24)가 마련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디딤판(10) 즉, 좌,우 디딤판(11,12)을 필요에 따라 절첩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디딤판(10)은 작업자가 발을 딛고 서는 부분이기 때문에 펼쳐진 상태에서는 절첩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작업대의 좌,우 레그(40) 사이에 보강 프레임이나 와이어(50)를 개재하여 절첩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배용 작업대에 적용된 경첩(20)은 작업자가 디딤판(10)을 딛고 서있는 과정에서 보강 프레임이나 와이어(50)를 통해 절첩되려는 것이 어느정도 차단되는 것이지만, 그 지지력이 한계가 있고, 특히 집중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휨 변형이 발생되게 되어 경첩(20) 고유의 기능을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거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절첩되어 작업자가 낙상함으로써 신체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첩 고유의 기능 즉, 절첩 가능하게 디딤판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충분한 하중 지지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됨으로써 휨 변형이 야기되지 않고, 디딤판의 사용할 때 절첩되지 않아 작업자의 낙상에 따른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경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경첩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사시도.
도 3은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디딤판 11,12 : 좌,우 디딤판
40 : 좌,우 레그 50 : 와이어
100,200 : 제 1, 2 바디
110,120,210,220 : 상,하 고정 플레이트
130,140,230,240 : 상,하 힌지부
300,400 : 상,하 힌지축
h : 힌지홈
H : 고정구멍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은,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의 연결부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힌지홈이 형성된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와 대칭되는 형태로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의 연결부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디의 상,하 힌지부 사이로 배열 설치되며 내부에 힌지홈이 형성된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 2 바디와; 상기 제 1, 2 바디의 상,하 힌지부의 힌지홈에 끼워 삽입되는 상,하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제 1, 2 바디의 상,하 고정 플레이트상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은, 크게 제 1, 2 바디(100,200)와 상,하 힌지축(300,400)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바디(100)는,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110,120)를 구비한다.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110,120)의 연결부위측에는 소정간격으로 내부에 힌지홈(h)을 형성하는 상,하 힌지부(130,140)가 일체로 마련된다.
제 2 바디(200)는 제 1 바디(100)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 2 바디(200)는, 역시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210,220)를 구비하며,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210,220) 사이의 연결부측에는 제 1 바디(100)의 상,하 힌지부(130,140) 사이에 교호적으로 위치되며 역시 내부에 힌지홈(h)을 형성하는 상,하 힌지부(230,240)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제 1, 2 바디(100,200)는 거의 동일 형상으로 위치되고, 상호 대칭되게 위치되는 것이다.
상,하 힌지축(300,400)은, 전술한 제 1, 2 바디(100,200)의 상,하 힌지부(130,140,230,240)에 의해 형성된 힌지홈(h)을 각각 끼워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2 바디(100,200)의 각 상,하 고정 플레이트(110,120,210,220)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H)이 관통 형성되는 바, 이 고정구멍(H)으로는 경첩이 사용되는 예컨대 도배용 작업대의 디딤판(10)에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경첩은, 도 3에서와 같이 어느 일측의 힌지축(400)을 분리 시키게 되면, 분리되지 않은 힌지축(300)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제 1 바디(100)를 제 2 바디(200)로 절첩시키거나 제 2 바디(200)를 제 1 바디(100)로 절첩 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첩을 도배용 작업대에 사용한 예를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로 분리 구성된 디딤판(10)의 좌,우 디딤판(11,12) 사이에 경첩을 위치시키게 되면, 제 1, 2 바디(100,200)의 상부 고정 플레이트(110,210)은 좌,우 디딤판(11,12)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 고정 플레이트(120,220)은 하부에 밀착된채 위치된다.
이때 각 고정 플레이트(110,120,210,220)에 형성된 고정구멍(H)를 통해 고정스크류가 체결된 상태이고, 각 힌지부(130,140,230,240)의 힌지홈(h)으로 상,하 힌지축(300,400)이 결합된 상태이다.
이와같이 경첩의 제 1, 2 바디(100,200)의 상,하 고정 플레이트(110,120,210,220)이 좌,우 디딤판(11,12)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이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좌,우 레그(40) 사이의 보강 프레임이나 와이어(50)와 함께 좌,우 디딤판(11,12)이 절첩되려는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며, 집중적인 하중이 가해져도 분산 흡수됨으로써 변형이 초래되지 않는다.
한편, 작업 완료후 좌,우 디딤판(11,12)을 절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 힌지축(400)을 분리시키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제 1 바디(100)가 상부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제 2 바디(200)로 절첩 가능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좌,우 디딤판(11,12)의 절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경첩은 도배용 작업대에 적용시킨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큰 하중이 걸리는 절첩부분에 즉, 가정용이나 각종 가구류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경첩이 제 1, 2 바디로 분리 구성되고 또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상,하 힌지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하나의 힌지축을 분리 시킬 경우, 분리되지 않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 1 바디를 제 2 바디로 또는 반대로 절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첩을 집중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예컨대 도배용 작업대의 디딤판에 적용시킬 경우, 큰 하중이 걸려도 휨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하 힌지축을 모두 결합 시킨 상태에서는 절첩되려는 하중을 분산 흡수 가능함으로써 절첩에 의한 작업자의 낙상에 따른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의 연결부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힌지홈이 형성된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 1 바디와;상기 제 1 바디와 대칭되는 형태로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상,하 고정 플레이트와, 이 상,하 고정 플레이트의 연결부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디의 상,하 힌지부 사이로 배열 설치되며 내부에 힌지홈이 형성된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 2 바디와;상기 제 1, 2 바디의 상,하 힌지부의 힌지홈에 끼워 삽입되는 상,하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바디의 상,하 고정 플레이트상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7457U KR200269283Y1 (ko) | 2001-12-05 | 2001-12-05 | 경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7457U KR200269283Y1 (ko) | 2001-12-05 | 2001-12-05 | 경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9283Y1 true KR200269283Y1 (ko) | 2002-03-23 |
Family
ID=7307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7457U KR200269283Y1 (ko) | 2001-12-05 | 2001-12-05 | 경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9283Y1 (ko) |
-
2001
- 2001-12-05 KR KR2020010037457U patent/KR2002692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53394C (en) | Modular folding table | |
CA2608874C (en) | Folding work bench | |
US10674816B1 (en) | Storage cabinet structure | |
WO1998024342A1 (en) | Folding table | |
CA2153469A1 (en) | Appliance hinge | |
KR200269283Y1 (ko) | 경첩 | |
CA2338992A1 (en) | Modular support system | |
US20060254858A1 (en) | Folding sawhorse | |
US20040255829A1 (en) | Portable folding table | |
US5165349A (en) | Worktable with recessed leg supporting gussets | |
GB2380123A (en) | Support frame for office desk | |
KR200266484Y1 (ko) | 도배 작업대용 경첩 | |
WO1999002220A3 (en) | Folding table tennis table, assembly and method | |
CN219882436U (zh) | 一种折叠式工作台 | |
US1635902A (en) | Tub bench | |
KR200190536Y1 (ko) | 다리미판의 지지대 조립구조 | |
KR200411266Y1 (ko) | 도배발판용 절첩장치 | |
JP2875194B2 (ja) | 台板に対する脚の取付構造 | |
KR200339875Y1 (ko) | 건축 작업용 작업대 | |
KR200215217Y1 (ko) | 절첩식 도배용 작업대 | |
JPS6219230Y2 (ko) | ||
KR200395292Y1 (ko) | 작업대의 힌지결합구조 | |
KR200390994Y1 (ko) | 도배발판의 힌지 결합구조 | |
KR0117169Y1 (ko) | 상다리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table legs) | |
KR200378267Y1 (ko) | 건축 작업용 작업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