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081Y1 -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081Y1
KR200269081Y1 KR2020010038588U KR20010038588U KR200269081Y1 KR 200269081 Y1 KR200269081 Y1 KR 200269081Y1 KR 2020010038588 U KR2020010038588 U KR 2020010038588U KR 20010038588 U KR20010038588 U KR 20010038588U KR 200269081 Y1 KR200269081 Y1 KR 200269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handbill
advertis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홍
Original Assignee
김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홍 filed Critical 김길홍
Priority to KR2020010038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081Y1/ko

Links

Landscapes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장이 되는 프레임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결부와 광고지, 중량축 및 프레임을 바닥면에서 적정위치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한 설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장이 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측이 걸려져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일정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광고지와, 상기 광고지의 하부 끝단 내측에 간섭되도록 끼워지고, 자중에 의해 광고지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는 중량축과, 상기 프레임이 바닥면에서 적정위치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과 결합된 설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과 결합되고, 외면에 광고지가 걸려지도록 하여 광고지가 일정궤적 유동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측단에 구동축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어 광고지가 구동축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량축은 광고지가 유동되는 궤적에서 안정적인 회전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고지의 하단에서 직하방으로 향하는 하중을 제공하고, 광고지의 유동과 회전되기 위해 광고지 하단에 간섭되도록 끼워진 원통축과, 상기 원통축의 양측단에 원통축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어 일정궤적 유동되는 광고지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부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양측에 형성된 연결 브래킷과, 상기 연결 브래킷에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정과 벽면에 결합되거나 바닥면에 세워져 구비된 지지대와 결합되는 설치브래킷과,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광고도안에 따라 음향이 발생되는 음향발생부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Winding device with banner}
본 고안은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장이 되는 프레임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결부와 광고지, 중량축 및 프레임을 바닥면에서 적정위치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한 설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전시회, 백화점 세일(Sale) 및 이벤트 사업과 같이 단 시간이내에 자사 제품의 광고 및 홍보를 위해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전시회, 백화점 세일 및 이벤트 사업을 통하여 자사의 제품을 광고 및 홍보할 경우에는 소비자가 확인이 용의 하도록 현수막(1)과 깃발형태의 광고용(2)품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현수막(1)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깃발형태의 광고용품(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로에 위치하게 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현수막(1)과 깃발형태의 광고용품(2)은 하나의 광고만을 인쇄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 여러가지의 제품을 광고 및 홍보할수 없으며, 장시간 사용시 소비자에게 자사의 제품을 인지시키기 어려우며, 행사 기간이 끝나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가 없으며, 시각적인 광고만을 하는 것으로 광고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정과 벽면 및 바닥면 모두에 설치 사용가능하고, 광고지가 일정궤적에 따라 유동되어 다수의 광고를 하나의 광고장치를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를 할 수 있으며, 광고 도안에 따라 음향이 발생되어 광고효과를 증대시키고, 단기간은 물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한 목적이 있다.
도 1 본 종래기술에 따른 현수막의 사시도.
도 2 본 종래기술에 따른 깃발형태의 광고용품의 사시도.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시도.
도 3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단면도.
도 4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광고지 회전도.
도 5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7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100 : 프레임 30 : 구동부
32 : 동력발생수단 34 : 구동축
36, 54 : 이탈방지편 40 : 광고지
50 : 중량축 52 : 원통축
60 : 설치부 62 : 고정부
64, 110 : 연결브래킷 66 : 설치브래킷
68 : 지지대결합부 70 : 램프부
80 : 음향발생부 90 : 지지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외장이 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와, 상기 구동부(30)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측이 걸려져 구동부(30)의 동력에 의해 일정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광고지(40)와, 상기 광고지(40)의 하부 끝단 내측에 간섭되도록 끼워지고, 자중에 의해 광고지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는 중량축(50)과, 상기 프레임(20)이 바닥면에서 적정위치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20)과 결합된 설치부(60)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30)는 프레임(2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32)과, 상기 동력발생수단(320과 결합되고, 외면에 광고지가 걸려지도록 하여 광고지(40)가 일정궤적 유동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4)과, 상기 구동축(34)의 양측단에 구동축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어 광고지(40)가 구동축(34)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량축(50)은 광고지(40)가 유동되는 궤적에서 안정적인 회전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고지(40)의 하단에서 직하방으로 향하는 하중을 제공하고, 광고지(40)의 유동과 회전되기 위해 광고지(40) 하단에 간섭되도록 끼워진 원통축(52)과, 상기 원통축(52)의 양측단에 원통축(5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어 일정궤적 유동되는 광고지(40)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54)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부(60)는 프레임(10)과 결합되는 고정부(62)와, 상기 고정부(62) 양측에 형성된 연결 브래킷(64)과, 상기 연결 브래킷(64)에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정과 벽면에 결합되거나 바닥면에 세워져 구비된 지지대(90)와 결합되는 설치브래킷(66)과,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광고도안에 따라 음향이 발생되는 음향발생부(80)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 고안은 프레임(20), 구동부(30), 광고지(40), 중량축(50) 및 설치부(6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외장이 되는 것으로 내부의 구동부(30)를 은폐시키고, 광고지(40)의 교체가능하도록 커버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는 동력발생수단(32)과 이탈방지편(36)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축(34)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32)은 프레임(2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며, 일반적으로 모터 또는 회전 실린더 등과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34)은 동력발생수단(32)과 결합되고, 외면에 광고지(40)가 걸려지도록 하여 광고지(40)가 일정궤적으로 유동되기 위한 동력을 동력발생수단(32)으로 부터 전달받아 작동한다.
상기 이탈방지편(36)은 구동축(34)의 양측단에 구동축(34)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광고지(40)가 구동축(34)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광고지(40)는 프레임(20) 내부 일측에 구성된 구동축(34)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측이 걸려져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일정궤적으로 유동되며, 외면으로 광고 도안이 인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지(40)는 직물지, 박형의 합성수지와 같이 표면에 광고 도안이 표현될 수 있는 박형의 부재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중량축(50)은 광고지(40)의 하부 끝단 내측에 간섭되도록 끼워지고, 자중에 의해 광고지(40)가 원활히 유동되도록하며, 광고지(40)가 유동되는 궤적에서 안정적인 회전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고지(40)의 하단에 직하방으로 향하는 하중을 제공하고, 광고지(40)의 유동과 회전되는 위해 광고지(40) 하단에 간섭되도록끼워진 원통축(52)과 상기 원통축(52)의 양측단에 원통축(5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어 일정궤적 유동되는 광고지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54)이 구성된다.
또한, 설치부(60)는 프레임(20)과 결합되는 고정부(62)와 상기 고정부(62) 양측에 형성된 연결브래킷(64)과 상기 연결브래킷(64)과 연결되어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고, 천정과 벽면 및 지지대(90)에 고정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설치 브래킷(6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래임(20) 내부에 램프부(70)를 설치하여 광고지(40)에 표현되어 있는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음향발생부(80)를 구성하여 광고지(40)가 유동되는 속도에 맞게 음향을 저장하여 광고도안과 음향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
도 4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광고지 회전도이고, 도 5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20)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62)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브래킷(64)을 상측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래킷과 결합되어 있는 설치브래킷(66)을 이용하여 천정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30)에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구동부(30)의 동력발생수단(32)이 작동을 하여 구동축(34)이 회전을 하게된다.
상기 구동축(34)이 회전을 하면 구동축(34)과 중량축(50)이 걸려져 연결되어 있는 광고지(40)가 회전을 하면서, 상기 광고지(40)에 표현되어 있는 다수의 광고가 순차적으로 광고하며, 음향발생부(80)에 의해 광고에 맞는 광고음향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축(50)의 자중에 의해 광고지(40)가 원활히 유동되며, 구동축(34)과 중량축(50)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편(36, 54)에 의해 광고지(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6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20)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62)의 양측에 형성되어있는 연결브래킷(64)을 직각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래킷과 결합되어 있는 설치브래킷(66)을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한 것이다.
도 7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20)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6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브래킷(64)을 직각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래킷에과 결합되어 있는 설치브래킷(66)에 지지대결합부(68)를 연결한 후, 상기 지지대결합부(68)에 지지대(90)를 결합하여 지지대(90)의 무게중심에 의해 광고장치가 바닥면에서 적정위치에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20)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6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브래킷(64)을 직각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래킷과 결합되어 있는 설치브래킷(66)에 지지대결합부(68)를 연결한 후, 상기 지지대결합부(68)의 타측으로 다른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있는 연결브래킷(110)을 연결하여 두개의 광고장치를 하나의 광고장치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결합부(68)에 지지대(90)를 결합하여 지지대의 무게중심에 의해 두개의 광고장치가 바닥명에서 적정위치에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천정과 벽면 및 바닥면 모두에 설치 사용가능하고, 광고지가 일정궤적에 따라 유동되어 다수의 광고를 하나의 광고장치를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를 할 수 있으며, 광고 도안에 따라 음향이 발생되어 광고효과를 증대시키고, 단기간은 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를 적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는 물론 생산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5)

  1. 외장이 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측이 걸려져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일정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광고지와, 상기 광고지의 하부 끝단 내측에 간섭되도록 끼워지고, 자중에 의해 광고지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는 중량축과, 상기 프레임이 바닥면에서 적정위치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과 결합된 설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과 결합되고, 외면에 광고지가 걸려지도록 하여 광고지가 일정궤적 유동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측단에 구동축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어 광고지가 구동축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축은
    광고지가 유동되는 궤적에서 안정적인 회전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고지의 하단에서 직하방으로 향하는 하중을 제공하고, 광고지의 유동과 회전되기 위해 광고지 하단에 간섭되도록 끼워진 원통축과, 상기 원통축의 양측단에 원통축 보다큰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어 일정궤적 유동되는 광고지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양측에 형성된 연결 브래킷과, 상기 연결 브래킷에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정과 벽면에 결합되거나 바닥면에 세워져 구비된 지지대와 결합되는 설치브래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광고도안에 따라 음향이 발생되는 음향발생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KR2020010038588U 2001-12-14 2001-12-14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KR200269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88U KR200269081Y1 (ko) 2001-12-14 2001-12-14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88U KR200269081Y1 (ko) 2001-12-14 2001-12-14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176A Division KR100408424B1 (ko) 2001-12-14 2001-12-14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081Y1 true KR200269081Y1 (ko) 2002-03-18

Family

ID=7311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588U KR200269081Y1 (ko) 2001-12-14 2001-12-14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0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209B1 (en) Overhead media display system
US7610704B1 (en) Display structure with moving attraction elements
KR100408424B1 (ko)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KR200269081Y1 (ko) 광고 도안이 유동되는 광고장치
KR101929392B1 (ko) 회전형 광고판
KR20210037486A (ko) 회전식 광고판
KR101902431B1 (ko) 회전형 광고장치
KR100709897B1 (ko) 다층회전식 광고장치
KR200451978Y1 (ko) 회전형 주상광고장치
KR200347649Y1 (ko) 이중 구동수단을 갖는 광고장치
KR20170023253A (ko) 광고용 게시물 거치장치
KR100566940B1 (ko) 이중 구동수단을 갖는 광고장치
KR200419016Y1 (ko) 회전 광고판 스탠드용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을 포함하는회전 광고판 스탠드
KR102217656B1 (ko) 회전식 입체 광고판
KR200451979Y1 (ko) 회전형 광고장치
KR100613302B1 (ko) 광고간판
KR102178365B1 (ko) 배너 광고 장치
KR200363710Y1 (ko) 광고간판
KR20200012659A (ko) 엘이디 회전형 광고판
KR200191796Y1 (ko) 구조물 기둥에 설치 가능한 광고물
KR200402276Y1 (ko) 회전식 광고장치
KR102329864B1 (ko) 수평방향으로 광고물을 이동시키는 등신대
KR200223555Y1 (ko) 회전식 광고장치
KR20150078754A (ko) 절첩식 회전간판
KR200231516Y1 (ko) 옥외 광고물 게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