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200Y1 - Apparatus for drying lav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ying la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200Y1
KR200268200Y1 KR2020010039797U KR20010039797U KR200268200Y1 KR 200268200 Y1 KR200268200 Y1 KR 200268200Y1 KR 2020010039797 U KR2020010039797 U KR 2020010039797U KR 20010039797 U KR20010039797 U KR 20010039797U KR 200268200 Y1 KR200268200 Y1 KR 200268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onveyor
upstream duct
drying
he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7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2020010039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2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200Y1/en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풍기(40)와 히팅코일(35)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해태를 건조하는 화입기에 있어서: 투입되는 해태를 컨테이너(15)에 수용하여 적절한 속도로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컨베이어(10); 상기 히팅코일(35)의 열풍을 컨베이어(10) 측으로 고르게 분배하도록 설치되는 상류덕트(20); 상기 상류덕트(20)와 연통되어 열풍을 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순환유로 수단; 및 상기 순환수단을 거친 열풍에 외기를 혼합한 다음 히팅코일(35)을 거쳐 상류덕트(20) 측으로 보내도록 설치되는 히터박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wer for drying the haetai using hot air generated by the blower 40 and the heating coil 35: a conveyor for receiving the haeta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5 to be discharged at an appropriate speed ( 10); An upstream duct 20 installed to evenly distribute the hot air of the heating coil 35 to the conveyor 10 side; Circulating flow path means communicating with the upstream duct 20 so as to circulate hot air; And a heater box 30 installed to mix the outside air with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means and then send it to the upstream duct 20 through the heating coil 35.

따라서, 건조를 위한 열풍을 순환시키면서 작업공정의 연속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저렴한 경비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work process while circulating the hot air for drying has the effect of producing a high quality product at a low cost.

Description

해태 화입기 {Apparatus for drying laver}Haitai Fire Blower {Apparatus for drying laver}

본 고안은 해태 화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를 위한 열풍을 순환시키면서 작업공정의 연속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저렴한 경비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해태 화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itai bl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itai blower capable of producing a high-quality product at a low cost by enabling the continuation of the work process while circulating the hot air for drying.

일반적으로 해태(김)는 다른 홍조류보다 월등하게 단백질, 색소, 비타민, 미네랄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해수면에 근접하여 성장하기 때문에 다른 식용 해조류보다 맛과 향이 우수하며 영양이 매우 풍부하다. 단백질은 30∼40% 정도인 반면 지방은 거의 없다. 이외에도 트레오닌·발린·로이신·리신·페닐알라닌·트립토판 등의 필수아미노산 및 비타민이 비교적 많아 오랜 기간동안 우리의 식탁을 유지하고 있다.In general, Haitai (kim) is rich in protein, pigments, vitamins, minerals, etc. than other red algae, and because it grows closer to sea level, it has a better taste and aroma than other edible algae and is very rich in nutrition. Protein is 30-40%, but little fat. In addition, essential amino acids and vitamins, such as threonine, val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and tryptophan, are relatively high and have kept our table for a long time.

이러한 해태는 자연 번식만으로는 그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 인공양식이 이용되는데, 각포자가 나오는 가을에 각포자를 붙일 재료를 바다에 설치하여 채묘하고 가꾸게 된다. 생해태의 경우에는 수분이 8-12% 정도로서 날씨가 더워지면 장기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건조과정이 필요하다. 이 또한 자연건조에 의존하기보다는 온풍건조실에 넣어 재건조하는 화입 과정을 거쳐 수분을 2-3%수준으로 낮춘 다음 방습 포장하는 방식으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This type of habitation can not meet the demand by natural breeding alone, and artificial farming is used. In the autumn when the spores are installed, the materials for attaching the spores are gathered and planted in the sea. In the case of live-sea larvae, the drying process is necessary because the moisture is about 8-12% and long-term storage is difficult when the weather gets hot. Also, rather than relying on natural drying, it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by lowering moisture to 2-3% level through the ignition process in a warm air drying room and re-drying it.

이를 위해 다양한 자동식 인공 화입장치가 도입되나 원료해태의 질에 관계없이 일정온도의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실로 이동시켜주도록 되어 있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건조상태가 균일하거나 적절하지 못하여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해태의 가장자리가 우글쭈글 해지는 등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To this end, various automatic artificial ignition devices are introduced, but it is difficult to produce high quality products because they are moved to a drying room supplied with hot air at a constant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raw materials, and the drying conditions are not uniform or appropriate. In the process of storage and distribution, the edges of Haitai have a big effect on the merchandise.

또 해태를 상기 화입장치 내부에 다단 적층하여 화입시킬 때 열풍이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 순환되도록 되어 있어, 해태의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따라서 상품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폐단이 따르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ot air is circulated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art when haetae is multi-stacked and fired inside the ignition apparatus,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dry the haetae, thus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merchandise.

또한, 해태의 표면을 덮은 수분을 제거한 다음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건조에만 초점을 두는 구조이기 때문에 자연히 과도한 열손실에 의한 제조경비 증가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 device that sequentially removes water that covers the surface of Haitai and then removes water inside has been proposed, but since the structure focuses only on drying,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ed manufacturing cost due to excessive heat loss. have.

또한, 건조가 완료된 해태를 계수하고 포장하는 후속처리에 있어서 작업인력이 과다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생산원가가 많이 들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ubsequent processing of counting and packing the dried seas, the workforce has to be excessively charged, resulting in high production costs due to the increase in labor costs.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를 위한 열풍을 순환시키면서 작업공정의 연속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저렴한 경비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해태 화입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Haitai blower capable of producing a high-quality product at a low cost by enabling the continuous work process while circulating the hot air for drying.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입기를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입기를 나타내는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입기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컨베이어 15: 컨테이너10: conveyor 15: container

20: 상류덕트 30: 히터박스20: upstream duct 30: heater box

35: 히팅코일 40: 송풍기35: heating coil 40: blower

45: 습기배출관 50: 분기덕트45: moisture discharge pipe 50: branch duct

55: 가이드 60: 하류덕트55: guide 60: downstream duct

70: 제어기70: controll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송풍기(40)와 히팅코일(35)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해태를 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되는 해태를 컨테이너(15)에 수용하여 적절한 속도로 이송 배출시키는 컨베이어(10); 상기 히팅코일(35)의 열풍을 컨베이어(10) 측으로 고르게 분배하도록 설치되는 상류덕트(20); 상기 상류덕트(20)와 연통되어 열풍을 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순환유로 수단; 및 상기 순환수단을 거친 열풍이 히팅코일(35)을 거쳐 상류덕트(20) 측으로 보내도록 설치되는 히터박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drying haetaetae using hot air generated by the blower 40 and the heating coil 35: the taetae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5 to be transported at an appropriate speed. A conveyor 10 for discharging; An upstream duct 20 installed to evenly distribute the hot air of the heating coil 35 to the conveyor 10 side; Circulating flow path means communicating with the upstream duct 20 so as to circulate hot air; And a heater box 30 installed to send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means to the upstream duct 20 through the heating coil 35.

또한, 상기 컨베이어(10)의 컨테이너(15)는 절개홈(15a)을 포함한 적어도 3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15 of the conveyor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t least three sides including the cutting groove (15a).

또한, 본 고안의 순환유로 수단은 컨베이어(10)를 통과한 열풍을 양분하는 가이드(55)와, 상기 분류된 열풍을 송풍기(40)로 유도하는 복수의 하류덕트(60)를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irculation passag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guide 55 for dividing the hot air passed through the conveyor 10, and a plurality of downstream ducts (60) for guiding the classified hot air to the blower (40). It is done.

이때, 본 고안의 하류덕트(60)는 상류덕트(20)의 단열을 위해 적어도 2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ownstream duct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surround at least two sides for the insulation of the upstream duct (2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송풍기(40)와 히팅코일(35)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해태를 건조하는 화입기에 관련된다. 종래에는 단순히 해태를 임의의 수량 단위별로 통에 담고, 이를 건조기에 넣어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건조가 완료되면 동시에 꺼내어 계수, 분류 및 포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건조기 내의 열풍 순환이 고르지 못하므로 해태의 품질이 제각각일 뿐 아니라 건조 상태에서 계수하면 해태가 손상되기 쉬워 수득율이 저하된다. 본 고안은 열풍이 고르게 미치도록 하면서 계수 과정의 손상을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하도록 제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drying Haitai using hot air generated by the blower 40 and the heating coil 35. Conventionally, Haitai is simply put in a container by any quantity unit, and put it in a dryer and dry it using hot air, and when drying is completed, simultaneously take out, counting, sorting and packing. However, because the circulation of hot air in the dryer is uneven, the quality of the pacific is not only different, but if it is counted in the dry state, the ecchi is likely to be damaged and the yield is lowere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counting process while the hot air evenly spread.

본 고안에 따르면 투입되는 해태를 컨테이너(15)에 수용하여 적절한 속도로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컨베이어(10)가 사용된다. 컨베이어(10)는 단위셀을 체인 형태로 연결한 구조로서 양단의 휠을 포함한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이송된다. 해태를 일정 수량씩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15)는 컨베이어(10)의 단위셀마다 동일한 구조로 동일하게 고정된다. 도 1에 의하면 컨테이너(15)가 컨베이어(10)의 상면을 이동하는 동안 인접한 것끼리 간격없이 밀착되어 사실상 4면 형태로 되므로 수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100장씩 묶인 것을 풀어 삽입 할수 있어 건조후 배출되는 해태를 다시 단위별로 묶을 때 매우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or 10 is used to receive the introduced tai chi in the container 15 and to transport it to be discharged at an appropriate speed. The conveyor 10 is a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are connected in a chain form, and is conveyed in a stat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including wheels at both ends. The container 15 for accommodating a certain amount of Haitai is fixed in the same structure for each unit cell of the conveyor 10. According to Figure 1, while the container 15 is mo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10, the adjacent on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 gap in the form of virtually four sides to prevent the escape of the received Haitai, can be inserted by unpacking 100 pieces This can be done very quickly and easily when uniting the Haitai discharged after drying.

이때, 상기 컨베이어(10)의 컨테이너(15)는 절개홈(15a)을 포함한 적어도 3면으로 구성된다. 도시에는 명확하지 않으나 컨테이너(15)의 ㄷ자 구조는 중앙과 양측을 포함한 3면 형태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ㄷ자 형태에서 양측의 절곡턱을 제외한 중앙의 평판에 절개홈(15a)을 형성하여 해태가 수용된 상태에서 열풍이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절개홈(15a)은 폭을 작게 하는 대신 길이와 설치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15 of the conveyor 10 is composed of at least three sides including the incision groove (15a). Although not clear in the figure, the c-shaped structure of the container 15 means that it has a three-sided shape including a center and two sides. In the U-shape form the incision groove (15a) in the center of the plate except the bent jaw on both sides to allow the hot air to pass smoothly in the state of accommodating.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groove 15a is increased in length and number of installations instead of making the width small.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히팅코일(35)의 열풍을 컨베이어(10) 측으로 고르게 분배하도록 상류덕트(20)가 설치된다. 컨베이어(10)가 비교적 넓은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만큼 상류덕트(20)도 적절한 간격으로 구분되도록 설치되어 열풍의 고른 분배를 유도한다. 상류덕트(20)의 구분 간격은 반드시 세밀하게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어느 일부분에서 급격한 온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온도 편차범위를 유지하면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stream duct 20 is installed to evenly distribute the hot air of the heating coil 35 toward the conveyor 10 side. As the conveyor 10 is installed over a relatively wide length, the upstream duct 20 is also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to induce even distribution of hot air. The division interval of the upstream duct 20 is not necessarily to be determined in detail, bu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deviation range so that a sudden temperature rise does not occur in any part.

전술한 컨베이어(10)에서 선단 및 후단은 장치의 상류덕트(20)에서 노출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장치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15)는 곡률면을 돌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류덕트(20)의 개구(도시 생략)에 들어간다. 이러한 구조의 컨베이어(10) 및 컨테이너(15)를 사용하면 상류덕트(20)의 개구를 통한 열풍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열손실이 최소화된다.In the conveyor 10 described above, the front and rear ends are exposed in the upstream duct 20 of the device and the remaining part is received in the device. As a result, the container 15 enters an opening (not shown) of the upstream duct 2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15 is turned vertically. Using the conveyor 10 and the container 15 of this structure can prevent the outflow of hot air through the opening of the upstream duct 20, thereby minimizing heat loss.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류덕트(20)와 연통되어 열풍을 순환시키도록 순환유로 수단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류덕트(20)에서 컨베이어(10)로 보내진 열풍을 컨베이어(10)의 하류측에서 포집하여 다시 송풍기(40) 측으로 보내야 하며, 이때 해태 건조과정에서 발생된 습기와 폐열의 일부가 배출구(4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순환유로 수단은 열풍을 순환함에 따라 가열원인 히팅코일(35)의 작동시간을 줄인다. 상세한 구성과 작동은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passage means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upstream duct 20 to circulate the hot air. To this end, the hot air sent from the upstream duct 20 to the conveyor 10 should be collected at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or 10 and sent to the blower 40 again. At this time, some of the moisture and waste heat generated during the Haitai drying process will be discharged. Through 45). The circulation passage means reduces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ing coil 35 as a heating source by circulating the hot air.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fer to FIG. 3 described later.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순환수단을 거친 열풍이 히팅코일(35)을 거쳐 상류덕트(20) 측으로 보내도록 히터박스(30)가 설치된다. 히터박스(30)는 상류측으로 송풍기(40)와 배관 연결되고, 하류측으로 히팅코일(35)을 구비한다. 송풍기(40)는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45)을 상방향으로 구비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box 30 is installed so that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means is sent to the upstream duct 20 through the heating coil 35. The heater box 30 is connected to the blower 40 and the pipe upstream, and has a heating coil 35 on the downstream side. The blower 4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45 for discharging the moisture in the upward direction.

통상 열풍온도와 건조시간은 반비례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를 제어기(70)에 저장한다. 제어기(70)는 최적의 열풍온도와 건조시간을 맞추기 위해 히팅코일(35)의 온오프 주기와 컨베이어(1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지만, 사용자가 입력을 변경하면 그에 따른 조건으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70)는 히팅코일(35)에 의한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및 컨베이어(10)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In general, the hot air temperature and the drying time are inversely proportional, and this data is stored in the controller 70.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on / off cycle of the heating coil 35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or 10 in order to match the optimum hot air temperature and drying time, but if the user changes the input,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conditions accordingly. To this end, the controller 70 performs feedback control by using a signal of a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of the hot wind by the heating coil 35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or 10.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된다.3 is a side view showing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순환유로 수단은 컨베이어(10)를 통과한 열풍을 양분하는 가이드(55)와, 상기 분류된 열풍을 히터박스(30)로 유도하는 복수의 하류덕트(60)를 구비한다. 가이드(55)는 철판의 중앙을 약간 절곡하여 삼각 형태로 설치하고, 하류덕트(60)는 상류덕트(20)의 전후 공간을 이용하여 히터박스(30) 또는 송풍기(40)에 연통시킨다. 가이드(55)는 열풍의 분기에 따른 저항을 줄여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irculation passa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55 for dividing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onveyor 10, and a plurality of downstream ducts 60 for guiding the sorted hot air to the heater box 30. The guide 55 is installed in a triangular form by slightly bending the center of the iron plate, and the downstream duct 60 communicates with the heater box 30 or the blower 40 using the front and rear spaces of the upstream duct 20. The guide 55 reduces the resistance caused by the branching of the hot air to allow a smooth circulation.

이때, 하류덕트(60)는 상류덕트(20)를 감싸는 형태로 단열 기능을 지니므로 가열원인 히팅코일(35)의 작동시간을 줄여 소비전력을 절감한다. 물론 하류덕트(60)의 외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ownstream duct 60 has a heat insulating function in the form of wrapping the upstream duct 20, thereby reduc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ing coil 35 as a heating sourc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course, it is also preferable to attach the heat insulato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wnstream duct 60.

작동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어기(70) 상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조건을 설정한 다음 컨테이너(15)에 해태를 계수하여 투입하면, 해태가 설정된 속도로 컨베이어(10)를 지나는 동안 상류덕트(2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건조되고, 상류덕트(20)를 나오는 순간 투입된 상태 그대로 컨테이너(15)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즉, 건조전의 해태를 계수하여 컨테이너(15)에 넣어 두기만 하면 건조 상태가 말끔하고 건조된 상태에서 따로 계수할 필요도 없다.In operation, when the user sets a condition using a switch on the controller 70 and counts and adds the tai chi into the container 15, the tai chi is removed from the upstream duct 20 while passing the conveyor 10 at the set speed. The hot air is supplied and dried, and it can be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5 as it is injected as soon as it exits the upstream duct 20. In other words, if the decontamination before drying is counted and placed in the container 15, the dry state is neat and there is no need to count separately in the dried state.

이와 같이 하면 설사 상류덕트(2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컨테이너(15)에 담겨 컨베이어(10)를 이송하는 모든 해태가 동일한 조건을 통과하기 때문에 품질이 균일해진다.In this way,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diarrhea upstream duct 20, the quality is uniform because all the feces in the container 15 and the conveyor 10 pass the same conditions.

물론 해태를 탈수하여 예비건조 상태로 본 고안의 장치에 투입되도록 한다면 컨베이어(10)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상류덕트(20)를 통한 열풍으로 해태를 신속하고 충분하게 건조시켜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Of course, if dehydration is to be put into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drying state, even if the length of the conveyor 10 is shortened by the hot air through the upstream duct 20 to dry quickly and sufficiently to obtain a high-quality product have.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히터박스(30)와 히팅코일(35)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장착한 구조이므로 각각의 온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해태의 일차 건조(항률건조)와 이차 건조(감률건조)를 구분하여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어기(70)를 통하여 조절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heater box 30 and the heating coil 35 are separated and mounted on both sides,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each temperature differently. This is a method for performing the Haitai's primary drying (constant drying) and secondary drying (decay drying) can be easily changed through the controller 70.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건조를 위한 열풍을 순환시키면서 작업공정의 연속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저렴한 경비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stitution and ac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ntinuation of the work process while circulating the hot air for drying, thereby producing a high quality product at a low cost.

Claims (4)

송풍기(40)와 히팅코일(35)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해태를 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drying Haitai using hot air generated by the blower 40 and the heating coil 35: 투입되는 해태를 컨테이너(15)에 수용하여 적절한 속도로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컨베이어(10);Conveyor 10 for receiving the added taetae into the container 15 to be transported to discharge at an appropriate speed; 상기 히팅코일(35)의 열풍을 컨베이어(10) 측으로 고르게 분배하도록 설치되는 상류덕트(20);An upstream duct 20 installed to evenly distribute the hot air of the heating coil 35 to the conveyor 10 side; 상기 상류덕트(20)와 연통되어 열풍을 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순환유로 수단; 및Circulating flow path means communicating with the upstream duct 20 so as to circulate hot air; And 상기 순환수단을 거친 열풍에 외기를 혼합한 다음 히팅코일(35)을 거쳐 상류덕트(20) 측으로 보내도록 설치되는 히터박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화입기.Haitai in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er box (30) which is installed to mix the outside air to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means and then sent to the upstream duct 20 through the heating coil (35).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베이어(10)의 컨테이너(15)는 절개홈(15a)을 포함한 적어도 3면으로 구성되어 해태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화입기.The container (15) of the conveyor (10) is composed of at least three sides including an incision groove (15a) to accommodate the haetai, characterized in that to accommodate haeta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순환유로 수단은 컨베이어(10)를 통과한 열풍을 양분하는 가이드(55)와, 상기 분류된 열풍을 히터박스(30)로 유도하는 복수의 하류덕트(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화입기.The circulation passage means includes a guide 55 for dividing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onveyor 10 and a plurality of downstream ducts 60 for guiding the sorted hot air to the heater box 30. Blow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하류덕트(60)는 상류덕트(20)의 단열을 위해 적어도 2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화입기.The downstream duct 60 is Haitai in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cover at least two sides for the insulation of the upstream duct (20).
KR2020010039797U 2001-12-22 2001-12-22 Apparatus for drying laver KR2002682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797U KR200268200Y1 (en) 2001-12-22 2001-12-22 Apparatus for drying la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797U KR200268200Y1 (en) 2001-12-22 2001-12-22 Apparatus for drying la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200Y1 true KR200268200Y1 (en) 2002-03-15

Family

ID=7307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797U KR200268200Y1 (en) 2001-12-22 2001-12-22 Apparatus for drying la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200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73B1 (en) * 2006-09-25 2008-12-26 임정미 Haitai Drying Equipment
WO2016052920A1 (en) * 2014-09-30 2016-04-07 김연주 Hot-air laver roasting device
KR101621474B1 (en) 2014-04-25 2016-05-16 강신탁 Apparatus for roasting and drying laver
KR101759629B1 (en) 2016-07-25 2017-07-19 김연주 Laver Roaster Using Hot Air
KR102052599B1 (en) * 2018-06-15 2020-01-22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바로원푸드 Drying lav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73B1 (en) * 2006-09-25 2008-12-26 임정미 Haitai Drying Equipment
KR101621474B1 (en) 2014-04-25 2016-05-16 강신탁 Apparatus for roasting and drying laver
WO2016052920A1 (en) * 2014-09-30 2016-04-07 김연주 Hot-air laver roasting device
KR20160041074A (en) * 2014-09-30 2016-04-18 김연주 Laver Roaster Using Hot Air
KR101716000B1 (en) 2014-09-30 2017-03-22 김연주 Laver Roaster Using Hot Air
KR101759629B1 (en) 2016-07-25 2017-07-19 김연주 Laver Roaster Using Hot Air
KR102052599B1 (en) * 2018-06-15 2020-01-22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바로원푸드 Drying la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6965A (en) Energy-saving partitioned belt dryer
CN206478995U (en) A kind of feed granules circulate drying plant
KR200268200Y1 (en) Apparatus for drying laver
CN103919250A (en) Fruit and vegetable drying machine
CN105300073A (en) Belt drier
CN111829322A (en) High-efficient environment-friendly grain drying-machine
CN214802222U (en) Drying-machine of preparation acorn
US6487790B2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unpackaged food products, in particular vegetables
CN203735425U (en) Continuous type vegetable drying system
US4479310A (en) Continuous dehydration device and process
CN201182191Y (en) Special-purpose equipment for redrying smoked sheet
US1547294A (en) Drying apparatus
CN211695666U (en) Aquatic product drying device
CN209689350U (en) A kind of drying of Chinese wolfberry machine
CN203969183U (en) A kind of conditioning device of smoked sheet multiple roasting machine
CN202179100U (en) Entermorpha dryer
CN219612996U (en) Be applied to drying system of wild jujube
CN212253541U (en) Drying device for automatic flow production line of vegetables
CN201600004U (en) Continuous band dryer
CN207600141U (en) Drying device and conveying device
CN206165720U (en) Modified cooling system that disinfects of lactone bean curd industrialization continuous production
CN217284640U (en) Enzyme-killing equipment for grain processing
CN216770113U (en) Circulating high-efficient corn drying equipment
CN210299293U (en) Novel fish and shrimp processing equipment in seafood processing field
KR20150123508A (en) Apparatus for roasting and drying la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