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006Y1 -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006Y1
KR200266006Y1 KR2020010037837U KR20010037837U KR200266006Y1 KR 200266006 Y1 KR200266006 Y1 KR 200266006Y1 KR 2020010037837 U KR2020010037837 U KR 2020010037837U KR 20010037837 U KR20010037837 U KR 20010037837U KR 200266006 Y1 KR200266006 Y1 KR 200266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pace
reinforcement
colum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2020010037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006Y1/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50607호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철근받침대는 기둥의 강화를 위해서 형성시킨 보강골조로 인하여 기둥에 형성된 내부공간(가)의 상당부분이 가리워져 있어 내부공간(가)으로의 콘크리트 유입이 방해되어, 이러한 내부공간이 콘크리트 양생후 빈 공간으로 남게되는 결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기둥을 구성하는 부재를 두꺼운 하나의 판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부재가 형성시키는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구조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하여, 그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자유로이 유통될 수 있게 함으로써 양생 후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일을 방지하고, 나아가, 기둥부재인 판체에 하근받침부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하여 기다란 철근받침대의 용도 다양화를 기하여 콘크리트 내에 혼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시공중 배근된 철근 위로 하중이 큰 수레 등이 이동할 때에 발생될 수 있는 철봉의 휘임 염려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철근 받침대 {Support for steel reinforcing}
본 고안은 기다란 철봉에 다수개의 기둥을 설치하여서된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50607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기다란 철봉에 다수개의 다리를 설치하여서 된 철근받침대는 일반적으로 하근 받침대로만 사용하여 왔던 바, 본인의 위 실용신안으로 이를 상근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기다란 철봉으로 된 철근받침대를 상근받침대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기둥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고, 이러한 기둥의 강화를 위해서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을 구성하는 부재에 다수의 보강골조를 설치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보강골조는 내부공간을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내부공간은 보강골조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해되어 물만이 유입되고 그리하여 양생후에는 빈 공간으로 남게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기둥을 구성하는 부재를 두꺼운 하나의 판체로 형성시킴으로써 기둥부재로부터 부재가 형성시키는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구조물을 제거하여, 부재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하더라도 그 공간 내부에 콘크리트가 자유로이 유통될 수 있게 하여 양생 후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일을 방지하고, 나아가, 기둥부재인 판체에 하근받침부를 형성시킬 수 있게 하여, 본 고안의철근받침대가 하근까지 받칠 수 있게 하며, 그리하여 시공중 배근된 철근 위로 하중이 큰 수레 등이 이동할 때에 발생될 수 있는 철봉의 휘임 염려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철근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봉
2. 기둥
20. 결합구 21, 22. 가지다리 23. 내부공간 24. 보강돌조
25. 결합공
3. 받침대
4. 레벨봉
받침봉(1)에 다수의 기둥(2)이 결합되어 거푸집(가)위에 배근되는 철근(나)의 높이를 유지시키며, 기둥(2)의 상부에 받침봉(1)이 결합되는 결합구(20)를 형성시켜 기둥(2)과 받침봉(1)을 착탈시킬 수 있게 구성시켜서 되는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본 고안은 기둥(2) 본체를 두꺼운 판체로 형성시키되, 판체로 된 기둥(2) 본체는 받침봉(1)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펼쳐지는 두 개의 가지다리(21, 22)를 가지게 하고, 두 개의 가지다리(21, 22) 사이에 공간(23)이 생기게 하여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기둥(2) 본체는 결국, 말굽(馬蹄; Horseshoe)의 형상을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지다리(21, 22)는 그 위에 배근되는 철근이 요동을 하여 본 고안의 철근받침대가 횡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철근받침대가 전도되거나 각개의 기둥이 횡방향으로 회동하여 기둥의 구실을 하지 못하게 되는 일을 방지한다.
기둥(2) 상부에 설치되어 받침봉(1)을 결합시키는 결합구(20)는 이를 받침봉(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시켜 받침봉(1)이 그 길이 방향으로 요동을 하더라도 기둥(2)이 받침봉(1)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터운 판체로 된 기둥(2)의 가지다리(21, 22) 내외 변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받침대(3)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대(3)는 기둥(2)의 가지다리(21, 22) 내외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 상하 위치를 달리하여 2개를 설치하여 높이가 다른 2개의 철근을 받치게 할 수 있다. 기다란 철봉으로 된 받침봉(1)으로 구성시킨 철근받침대가 이와 같은 별도의 받침대(3)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은, 기둥(2)을 두터운 판체로 형성시킨 결과이다. 본 고안은, 기둥(2) 본체를 두터운 판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그 내부공간(23)을 가로막는 골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게 하여, 내부공간(23)으로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통될 수 있게 하여 양생후 내부공간(23)이 빈 공간으로 남게 되지 아니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철근받침대를 구성하는 기둥(2) 본체를 두터운 판체로 형성시키는 것은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는 내부공간(23)을 가로막는 골조를 배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내부공간(23)을 가로막지 아니하는 한 기둥(2) 본체에 임의의 보강돌조(24)를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보강돌조(24)는 기둥(2) 본체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그 내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제품은 이물질로 간주되며 이러한 합성수지가 점하는 공간은 빈 공간으로 간주되는 바, 따라서 단일의 빈 공간이 큰 체적을 가지는 것보다는 빈 공간이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이 공간형성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이 기둥(2) 본체에 다수의 보강돌조(24)를 형성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일 수 있다.
본고안은, 기둥(2) 본체에 결합공(25)을 설치하여 이에 레벨봉(Level棒)(4)을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그 상면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둥(2) 본체를 단일의 두터운 판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내부공간(23)을 가로막는 보강골조의 설치를 배제할 수 있게 하여 내부공간(23)으로 콘크리트가 출입 유통하는 것을 자재롭게 하며, 그리하여 양생후 내부공간(23)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기둥(2) 본체에 하근을 받쳐줄 수 있는 별도의 받침대(3)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별도의 하근받침대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다수개의 기둥(2) 중 임의의 기둥(2)에 콘크리트 타설 상면 높이를 안내하는 레벨봉(Level棒)을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레벨봉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받침봉(1)에 다수의 기둥(2)이 결합되어 거푸집(가)위에 배근되는 철근(나)의 높이를 유지시키며, 기둥(2)의 상부에 받침봉(1)이 결합되는 결합구(20)를 형성시켜 기둥(2)과 받침봉(1)을 착탈시킬 수 있게 구성시켜서 되는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기둥(2) 본체를 두꺼운 판체로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판체로 된 기둥(2) 본체는 받침봉(1)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펼쳐지는 두 개의 가지다리(21, 22)를 가지게 하고, 두 개의 가지다리(21, 22) 사이에 공간(23)이 생기게 하여 형성시켜서 된 철근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두터운 판체로 된 기둥(2)의 가지다리(21, 22)에 받침대(3)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둥(2) 본체에 결합공(25)을 설치하여 이에 레벨봉(Level棒)(4)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KR2020010037837U 2001-12-07 2001-12-07 철근 받침대 KR200266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37U KR200266006Y1 (ko) 2001-12-07 2001-12-07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37U KR200266006Y1 (ko) 2001-12-07 2001-12-07 철근 받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504A Division KR100453799B1 (ko) 2002-10-09 2002-10-09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006Y1 true KR200266006Y1 (ko) 2002-02-25

Family

ID=7307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837U KR200266006Y1 (ko) 2001-12-07 2001-12-07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0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WO2003048471A1 (en) Embedment-type mould for manufacturing building slab structures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023179B1 (ko) 티형 리브드 슬래브,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100131264A (ko) 건축용 데크패널
KR200266006Y1 (ko) 철근 받침대
KR100453799B1 (ko) 철근 받침대
JP5984754B2 (ja) Pcユニットを用いたベタ基礎工法、及びpcユニット
KR100492469B1 (ko) 저장탱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1020583A1 (en) Beam bottom,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for the production of a beam therewith
KR100860422B1 (ko) 수평,수직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장치
KR200408429Y1 (ko) 건축용 방수턱 거푸집
JP200323943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60011254A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200293483Y1 (ko) 저장탱크구조물
KR102112780B1 (ko)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KR102409032B1 (ko) 별도의 장선재 없는 리브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CN112663679B (zh) 一种集水坑与后浇带碰撞节点及施工方法
CN210370713U (zh) 仰拱纵向止水带固定装置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KR200305915Y1 (ko) 철근 받침대
KR200367714Y1 (ko) 전기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KR200406771Y1 (ko) 옹벽용 블록
KR200367616Y1 (ko) 거푸집 지지용 수직조절대
KR200342799Y1 (ko) 수평,수직 구조를 갖는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4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