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888Y1 -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 Google Patents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888Y1
KR200265888Y1 KR2020010034247U KR20010034247U KR200265888Y1 KR 200265888 Y1 KR200265888 Y1 KR 200265888Y1 KR 2020010034247 U KR2020010034247 U KR 2020010034247U KR 20010034247 U KR20010034247 U KR 20010034247U KR 200265888 Y1 KR200265888 Y1 KR 200265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eflector
lane
wast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종기
Original Assignee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filed Critical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Priority to KR2020010034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88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888Y1/en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 기술구성은 부분원호상의 폐타이어와; 상기 도로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폐타이어의 단부 영역이 수용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이어수용부와, 상기 타이어수용부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수용부를 갖는 타이어고정부재와; 상기 반사체수용부에 수용되는 반사체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control block using waste tires installed on a road.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te tire on a partial arc; A fixed part fixed on the road, a tire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end region of the waste tire is received and coupled, and at least on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ire accommodating part. A tire fixing member; It consists of a reflector accommodated in the said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차선이탈과 충돌에 의한 차량의 심한 파손 및 운전자의 중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주간, 야간 식별이 용이하고, 제작과 시공이 간편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선 규제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revents severe damage of the vehicle and serious injury of the driver due to lane departure and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it is easy to identify day and night,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nd is easy to maintain the lane regulation block. Can be provided.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Lane Regulation Block Using Waste Tires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본 고안은 차선 규제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선이탈과 충돌에 의한 차량의 심한 파손 및 운전자의 중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주, 야간 식별이 용이하고, 제작과 시공이 간편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선 규제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regulation block,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severe damage of the vehicle and serious injury of the driver due to lane departure and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o easily identify day and night, and to make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imple. And lane maintenance blocks that are easy to maintain.

통상적인 도로상에는 차량의 주행을 안내하는 차선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차선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인도하는 주행선과, 반대방향의 주행도로와의 구별을 위한 중앙선, 그리고, 주행중인 주도로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지점에 표시되어 차량을 안내하는 분기선, 고가도로나 지하차도 및 터널입구 등에 표시되는 진입선 등으로 구별된다.On normal roads, lanes that guide driving of the vehicle are displayed. These lanes may be divided into a driving line for guid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center line for distinguishing the driving road in the opposite direction, a branching line for guiding the vehicle at a branching point diverging from the driving lane, and an overpass or an underground roadway; It is distinguished by an entrance line displayed on the tunnel entrance and the like.

이러한 차선 중 중앙선과 분기선 및 진입선 등에는 차량이 진행방향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차선 규제봉과 도로표지병 등이 차선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Among these lanes, lane control rods and road signs are installed along the lane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escaping in the center line, the branch line, and the entry line.

차선 규제봉은 탄력을 갖는 봉형상의 플라스틱 제품으로서 도로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차량운전자에게 주의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도로표지병은 외표면에 불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야간에도 운전자가 차선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Lane control rods are resilient, rod-shaped plastic products that send caution signals to vehicle drivers so that vehicles do not leave the lane when installed on the roadway. In addition, the road sign bottle has a reflector that reflects light on the outer surface, and serves to make the driver easily identify the lane at night.

그러나, 이러한 차선 규제봉과 도로표지병은 불의의 사고에 의한 차량의 차선 이탈을 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se lane control rods and road signs can not prevent the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due to an accide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lead to a large accident when the vehicle leaves the lane.

한편, 중앙선과 분기선 및 진입선 등에 차량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철제 가아드레일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로 제작된 차선 규제 블록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in the center line, branch line and the entrance line, there is a case where a steel guardrail or a lane control block made of concrete is installed.

하지만, 이러한 철제 가아드레일과 콘크리트 차선 규제 블록은 그 강성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차선 이탈은 막을 수 있으나 차량의 심한 파손 및 운전자에게 중상을 입히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철제 가아드레일과 콘크리트 차선 규제 블록은 제작 및 시공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tiffness of the steel guard rail and the concrete lane control block are so strong, they can prevent lane departure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but cause serious damage to the vehicle and serious injury to the driver. In addition, the steel guardrail and concrete lane control block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8-02461호에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8-02461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lane control block using waste tires".

이 차선 규제 블록은 폐차장 등에서 버려진 폐타이어를 1/2크기로 잘라 반원호상의 폐타이어 블록을 형성하고, 폐타이어 블록의 양 단부영역 측벽을 절개하여 접지부를 형성한 다음, 접지부에 복수의 볼트구멍을 형성하는 가공 단계를 거쳐서 제작된다. 이 폐타이어 블록의 외표면에는 운전자의 주의를 요하도록 도색이 이루어져 있으며, 야간에도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야광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다.The lane regulation block cuts waste tires discarded in the junkyard into 1/2 size to form a semi-circular arc of waste tire blocks, and cuts the side walls of both end regions of the waste tire blocks to form a ground portion. It is produced through a processing step of forming a hole. The outer surface of the waste tire block is painted to require the driver's attention, and there is a luminous sign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at night.

이와 같이 제작된 폐타이어 블록의 설치는 그 접지부를 도로의 설치면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접지부의 볼트구멍으로 앵커볼트를 도로에 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은 폐타이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저렴하고,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에 의한 차량의 심한 파손 및 운전자의 중상을 방지할 수 있다.Installation of the waste tire block thus manufactured is performed by constructing the anchor bolt on the road through the bolt hole of the ground part while the ground part is ground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road. Since the lane control block using waste tires uses waste tires, the production cost is low, and severe damage to the vehicle and serious injuries of the driver can be prevented by mitigating impact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에 관한 기술은 폐타이어의 접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잡한 가공단계를 거쳐야 하고, 파손 및 유지보수를 위해 도로로부터 분리할 때는 접지부의 앵커볼트를 일일이 체결 해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lane-blocking blocks using waste tires has to go through complicated processing steps in order to form the ground portion of the waste tire, and the anchor bolts of the ground portion are unfastened when separating from the road for breakage and maintenance.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don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차선이탈과 충돌에 의한 차량의 심한 파손 및 운전자의 중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주,야간 식별이 용이하고, 제작과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선 규제 블록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serious damage and serious injury of the driver due to lane departure and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o easily identify day and night, and to easily manufacture, construct, and maintain the lane regulation block. To provid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ne regulating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차선 규제 블록 분해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ne regulation block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차선 규제 블록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lane regulating block of FIG. 1;

도 4는 도 1의 차선 규제 블록 설치상태도,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lane restricting block of FIG. 1;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ne regulating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ne regulating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선 규제 블록 3 : 도로1: lane regulation block 3: road

10 : 폐타이어 11 : 타이어고정부재10: waste tire 11: tire fixing member

13 : 반사체 21 : 고정부13 reflector 21 fixed part

23 : 타이어수용부 25 : 반사체수용부23: tire housing 25: reflector housing

상기 목적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 블록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원호상의 폐타이어와; 상기 도로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폐타이어의 단부 영역이 수용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이어수용부와, 상기 타이어수용부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수용부를 갖는 타이어고정부재와; 상기 반사체수용부에 수용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e control block installed on a road, including: at least a partial tire on a partial arc; A fixed part fixed on the road, a tire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end region of the waste tire is received and coupled, and at least on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ire accommodating part. A tire fixing member; It is achieved by a lane control block using a waste ti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flector accommodated in the reflector accommoda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타이어고정부재는 상기 폐타이어의 양 단부 영역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ire fixing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to correspond to both end regions of the waste tire.

이때, 상기 양 타이어고정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측부에는 상호 평면 이동 가능하게 겹쳐지는 제1 및 제2가이드부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 중 어느 일측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 중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overlapping the mutually opposite sides of the tire fixing member so as to be mutually planarly extended are extended; At least one guide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in an extending direction, and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to be movable in the guide groove. You can do that.

한편, 상기 반사체는 상기 반사체수용부의 함몰면에 부착되는 초고휘도 반사지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more effective that the reflector is an ultra-high brightness reflector attached to the recessed surface of the reflector accommodation por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선 규제 블록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선 규제블록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은 폐타이어(10)와, 폐타이어(10)를 도로(도 4의 도면부호 3)상에 고정하기 위한 타이어고정부재(11)와, 타이어고정부재(1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반사체(13)를 갖는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ne regulating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ne regulating block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lane regulating block of FIG. 1.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lane regulating bloc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waste tire 10 and the waste tire 10 on the road (reference numeral 3 of FIG. 4). And a tire fixing member 11 and a reflector 13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ire fixing member 11.

폐타이어(10)는 폐차장 등에서 버려지는 타이어를 반원형상 즉, 1/2크기로 나누어 제작된다. 그리고, 폐타이어(10)의 단부영역 양측벽에는 타이어고정부재(11)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한 쌍의 결합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폐타이어(10)는 부분원호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waste tire 10 is manufactured by dividing a tire discarded in a junkyard or the like into a semicircular shape, that is, a half size. At least one pair of coupling holes 31 for coupling with the tire fixing member 11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end region of the waste tire 10. Here, the waste tire 10 may be formed in a partial arc shape.

이 폐타이어(10)의 외표면에는 차량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띠 형상 등을 도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색에 사용되는 도료는 도색이 용이하고 운전자가 야간 및 우천시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흡착력과 발광도가 우수한 아크릴 우레탄계의 발광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It is preferable to paint a stripe shape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ste tire 10 so that a vehicle driver can easily identify it. At this time, the paint used for painting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acrylic urethane-based light-emitting paints excellent in adsorption power and luminescence so that the paint is easy to be identified, even at night and rainy weather.

타이어고정부재(11)는 도로(3)상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이어수용부(23)와, 타이어수용부(2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반사체수용부(25)를 갖도록 제작되며, 폐타이어(10)의 양 단부를 도로(3)상에 고정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 타이어고정부재(11)는 차량 바퀴와의 접촉 및 외부충격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의 합금 주물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경화 수지를 재료로하여 사출성형 된다.The tire fixing member 11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21 fixed on the road 3, the tire accommodating portion 23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21 and the tire accommodating portion 23. It is manufactured to have a reflector accommodating portion 25 to be formed, and is provided in pair to fix both ends of the waste tire 10 on the road 3. The tire fixing member 11 is injection molded using a hardened resin such as an alloy casting of metal or an engineering plastic so as to prevent breakage due to contact with the vehicle wheel and external impact.

고정부(21)는 도로(3)면에 접면한 상태에서 앵커볼트(41)에 의해 도로(3)상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서 고정부(21)에는 복수의 볼트통과공(35)이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part 21 is fixed on the road 3 by the anchor bolt 41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3,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bolt passing holes 35 are formed in the fixing part 21. It is.

타이어수용부(23)는 폐타이어(10)의 단부영역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고정부(21)의 상부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타이어수용부(23)의 양 측벽에는 폐타이어(10)의 결합공(31)에 대응하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폐타이어(10)의 양단부를 타이어수용부(23)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3)과 결합공(31)을 통해 볼트(43)와 너트(45)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ire accommodating part 23 is formed to protrude in a U shape on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21 so that the end region of the waste tire 10 can be accommodated. Through-holes 33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31 of the waste tire 10 ar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tire accommodating portion 23. Here, a method of fixing both ends of the waste tire 10 to the tire accommodating portion 23 may be used in various ways, but as shown in FIG. 2 for a more secure fixing, the through hole 33 and the coupling hole ( It is preferable to fasten the bolt 43 and the nut 45 through 31.

그리고, 반사체수용부(25)는 타이어수용부(23)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반사체수용부(25) 내에 배치되는 반사체(13)가 차량 바퀴의 접촉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타이어고정부재(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25 is recess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 accommodating part 23. This is to prevent the reflector 13 disposed in th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25 from being damaged or detached from the tire fixing member 11 by the contact of the vehicle wheel.

반사체(13)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지로 마련되어 반사체수용부(25) 내에 부착된다. 이 반사지는 교통표지판, 차량용 번호판 및 교통안전시설물 등에 사용되는 스티커형식의 반사지 중 반사성능이 우수한 특수 입방체 (Prismatic Cube Corner) 반사 구조의 초고휘도 반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or 13 is provided as a reflector capable of effectively reflecting ligh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attached to th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25. It is preferable to use an ultra-high brightness reflector having a prismatic cube corner reflecting structure, which is excellent in reflecting performance, among sticker-type reflectors used in traffic signs, vehicle license plates,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여기서, 반사체(13)는 외측면에 난반사패턴이 형성된 광투과성 플라스틱재의 반사판으로 제작되어 반사체수용부(25)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난반사패턴은 반사판의 외측면에 다수의 요철 또는 볼 형상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외부로부터의 빛이 요철 또는 볼 표면에서 불규칙하게 난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반사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Here, the reflector 13 may be made of a reflecting plate made of a light-transmissive plastic material having a diffuse reflection patter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may be attached to th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25. At this time,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is to form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r ball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flecting plate, which improves the reflection performance by using the principle that irregularly diffuse reflection of light from the outside irregularities or the ball surfac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 타이어고정부재(11)를 도 2와 같이, 폐타이어(10)의 양 단부 간격에 대응하도록 정해진 도로(3) 설치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앵커볼트(41)를 이용하여 도로(3)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반사체수용부(25) 내에 미리 반사지를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타이어고정부재(11)의 설치 또는 폐타이어(10)의 설치 후 반사지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a method of installing the lane restricting bloc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2, the road 3 using the anchor bolt 41 in a state where the tire fixing member 11 is disposed on the road 3 installation surfac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waste tire 10. Firmly). In this case, the reflector may be attached to th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25 in advance, or the reflector may be attached after the tire fixing member 11 is installed or the waste tire 10 is installed.

그런다음, 폐타이어(10)의 양단부를 타이어고정부재(11)의 타이어수용부(23)에 수용시킨 후 타이어수용부(23)의 관통공(33)과 폐타이어(10)의 결합공(31)을 통해 볼트(43)와 너트(45)를 체결하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때, 볼트(43)의 머리부와 타이어수용부(23)의 외측면 사이에는 와셔(47) 및 스프링와셔(49)를 개재시키고, 너트(45)와 폐타이어(10)의 내측벽 사이에는 와셔(47)를 개재시킴으로써, 볼트(43)와 너트(45)의 임의적이 체결해제를 방지한다.Then, the both ends of the waste tire 10 is accommodated in the tire receiving portion 23 of the tire fixing member 11, and then the coupling hole of the through hole 33 and the waste tire 10 of the tire receiving portion 23 ( When the bolt 43 and the nut 45 are fastened through 31,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installation of the lane regulating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ply completed. At this time, a washer 47 and a spring washer 49 are interposed between the head of the bolt 4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 accommodating part 23, and between the nut 45 and the inner wall of the waste tire 10. By interposing the washer 47, arbitrary loosening of the bolt 43 and the nut 45 is prevented.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3)의 중앙선(5), 분기선, 진입선 등의 설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In this way, the lane regulating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center line 5, the branch line, the entry line, etc. of the road 3, as shown in FIG.

한편, 사고 및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된 폐타이어(10)를 교체하거나 폐타이어(10)의 도색 보수 등을 위한 폐타이어(10)의 분리시에는, 폐타이어(10)와 타이어고정부재(11)를 결속시키고 있는 볼트(43)와 너트(45)를 풀어주면 폐타이어(10)가 타이어고정부재(11)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되어 교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eplacing the waste tire 10 damaged by accidents and external shocks or the separation of the waste tire 10 for painting and repairing the waste tire 10, the waste tire 10 and the tire fixing member 11 Loosen the bolt (43) and the nut (45) to bind the waste tire 1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ire fixing member 11 can be easily performed replacement and maintenance.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01)은 한 쌍의 타이어고정부재(111a,111b)(이하 "제1,제2타이어고정부재"라 함)가 제1실시예와는 달리 평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된다. 이를 위해서 제1 및 제2타이어고정부재(111a,111b)의 상호 대향하는 측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가이드부(127a,127b)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ne control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lane restricting block 1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tire fixing members 111a and 111b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tire fixing member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y are mutually approached and spaced apart by the plane sliding movement. To this end,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27a and 127b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tire fixing members 111a and 111b, respectively.

여기서, 제1 및 제2가이드부(127a,127b)는 각 타이어고정부재(111a,111b)의 고정부(121a,121b)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제1가이드부(127a)와 제2가이드부(127b)가 상하로 겹쳐지도록 상호 높이차이를 두고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부(127a)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137)가 돌출되어 있으며, 제2가이드부(127b)에는 제1가이드부(127a)의 가이드돌기(137)에 대응하는 장공상의 가이드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가이드부(127a,127b)의 겹쳐지는 위치와 가이드돌기(137) 및 가이드홈(139)의 형성위치는 여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가이드부(127a,127b)의 형성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27a and 127b are formed to extend from end portions of the fixing parts 121a and 121b of the tire fixing members 111a and 111b, respectively, and the first guide part 127a and the second guide part. The height difference is provided so that the part 127b may overlap up and down. 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37 protrude from the first guide portion 127a, and a long guide having a long hol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137 of the first guide portion 127a in the second guide portion 127b. The groove 139 is formed. Here, the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27a and 127b and the forming positions of the guide protrusions 137 and the guide grooves 139 may vary depending on conditions. In addition,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27a and 127b may also be changed.

한편,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01)의 폐타이어(110) 및 반사체(113)의 형상 및 설치방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hap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waste tire 110 and the reflector 113 of the lane restricting block 1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lmost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01)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타이어고정부재(111a)를 정해진 도로 설치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앵커볼트(141)를 이용하여 도로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By such a configuration, a method of installing the lane restricting block 1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first tire fixing member 111a is firmly fixed to the road using the anchor bolt 141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on a predetermined road installation surface.

그런 다음, 폐타이어(110)의 일단부를 제1타이어고정부재(111a)의 타이어수용부(123a)에 수용시킨 후 타이어수용부(123a)의 관통공(133)과 폐타이어(110)의 결합공(131)을 통해 볼트(143)와 너트(145)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Then, one end of the waste tire 110 is accommodated in the tire receiving portion 123a of the first tire fixing member 111a, and then the through-hole 133 of the tire receiving portion 123a and the waste tire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olt 143 and the nut 145 are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ball 131.

그리고, 제2타이어고정부재(111b)의 제2가이드부(127b)를 제1타이어고정부재(111a)의 제1가이드부(127a) 상부에 배치시킨다. 이때, 제2가이드부(127b)의 가이드홈(139) 내에 제1가이드부(127a)의 가이드돌기137)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2타이어고정부재(111b)의 타이어수용부(123b)내에 페타이어(110)의 타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타이어고정부재(111b)를 도 5의 화살표방향(A-A')으로 적절히 평면 이동시켜서 위치를 설정한다.The second guide part 127b of the second tire fixing member 111b is disposed above the first guide part 127a of the first tire fixing member 111a.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137 of the first guide portion 127a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9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27b. In this state, the second tire fixing member 111b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A of FIG. 5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et tire 110 can be accommodated in the tire receiving portion 123b of the second tire fixing member 111b. Set the position by moving the plane properly with ').

그런 다음, 제2타이어고정부재(111b)를 앵커볼트(141)로 도로에 고정시키고, 폐타이어(110)의 타단부를 제2타이어고정부재(111b)의 타이어수용부(123b)에볼트(143)와 너트(145)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01)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된다.Then, the second tire fixing member 111b is fixed to the road with an anchor bolt 141, and the other end of the waste tire 110 is bolted to the tire receiving portion 123b of the second tire fixing member 111b. 143 and the nut 145 are fastened and fixed, the installation of the lane restricting block 1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simply completed.

즉,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101)은 제1 및 제2타이어고정부재(111a,111b)가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근 및 이격되기 때문에, 시공시 폐타이어(110)의 규격에 상관없이 제1 및 제2타이어고정부재(111a,111b)의 위치설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타이어고정부재(111a,111b)가 자연스럽게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공 및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ane regulating block 1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pproaches and is spaced apart by sliding the first and second tire fixing members 111a and 111b to each other, Regardless, the positioning of the first and second tire fixing members 111a and 111b is made simpl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tire fixing members 111a and 111b are naturally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Thereb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work can be made easy.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201)은 제1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타이어고정부재(211)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일부재로 제작된다. 그리고, 타이어고정부재(211)에 형성되는 타이어수용부(223) 역시 폐타이어(210)의 양단부 간격에 대응하도록 단일의 수용부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ne control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figure,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lane restricting block 20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made of a single member in which the tire fixing member 211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tire accommodating part 223 formed on the tire fixing member 211 is also formed as a single accommodating part so as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waste tire 210.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201)은, 타이어고정부재(211)를 정해진 도로 설치면에 앵커볼트(241)로 고정시킨 후, 폐타이어의 양단부를 타이어수용부(223) 내에 수용시켜서 볼트(243)와 너트(245)로 체결함으로써,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때, 타이어수용부(223)의 양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공(233)을 도 6과 같이 장공상으로 형성하면 다양한 규격의 폐타이어(210)를 타이어고정부재(211)에 고정시킬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lane restricting block 20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tire fixing member 211 to the fixed road installation surface with an anchor bolt 241, and then, both ends of the waste tire are accommodated in the tire accommodating portion. By accommodating in 223 and fastening with the bolt 243 and the nut 245, the installation work is simply completed. At this time, if the through-holes 233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tire accommodating part 223 are formed in the long hole as shown in FIG. 6, the waste tires 210 having various specifications may be fixed to the tire fixing members 211.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 블록은, 폐타이어와, 폐타이어의 설치를 위해 도로상에 고정되어 타이어고정부재와, 타이어고정부재의 함몰된 반사체수용부에 수용되는 반사체로 구성됨으로써, 제작과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과 동시에, 차량의 차선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폐타이어의 충격흡수능력에 의해 차량의 심한 파손 및 운전자의 중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체수용부에 수용되는 반사체에 의해 주, 야간 식별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lane regul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being composed of a waste tire, a tire fixing member fixed to a road for installation of the waste tire, and a reflector accommodated in a recessed reflector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tire fixing member. In additi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re easy, and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and the shock absorbing ability of the used tires can prevent severe damage to the vehicle and serious injury of the driver. Moreover, the day and night identification is easy by the reflector accommodated in the reflector accommodation por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차선이탈과 충돌에 의한 차량의 심한 파손 및 운전자의 중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주,야간 식별이 용이하고, 제작과 시공이 간편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선 규제 블록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evere damage of the vehicle and serious injury of the driver due to lane departure and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identify day and night, easy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nd easy to maintain. Easy lane regulation blocks are provided.

Claims (4)

도로상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 블록에 있어서,In the lane regulation block installed on the road, 적어도 부분원호상의 폐타이어와;Waste tires on at least partial arcs; 상기 도로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폐타이어의 단부 영역이 수용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이어수용부와, 상기 타이어수용부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수용부를 갖는 타이어고정부재와;A fixed part fixed on the road, a tire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end region of the waste tire is received and coupled, and at least one reflector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ire accommodating part. A tire fixing member; 상기 반사체수용부에 수용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And a reflector accommodated in the reflector accommoda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타이어고정부재는 상기 폐타이어의 양 단부 영역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The tire fixing member is a lane control block using a waste ti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air to correspond to both end regions of the waste tir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양 타이어고정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측부에는 상호 평면 이동 가능하게 겹쳐지는 제1 및 제2가이드부가 연장되어 있고;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overlapping with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ire fixing member so as to be mutually planarly movable extend from each other;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 중 어느 일측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 중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At least one guide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in an extending direction, and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to be movable in the guide groove. Lane control block using waste tire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사체는 상기 반사체수용부의 함몰면에 부착되는 초고휘도 반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선 규제 블록.And the reflector is an ultra-high brightness reflector attached to a recessed surface of the reflector accommodation portion.
KR2020010034247U 2001-11-08 2001-11-08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KR2002658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47U KR200265888Y1 (en) 2001-11-08 2001-11-08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47U KR200265888Y1 (en) 2001-11-08 2001-11-08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888Y1 true KR200265888Y1 (en) 2002-02-25

Family

ID=7311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47U KR200265888Y1 (en) 2001-11-08 2001-11-08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88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74B1 (en) 2009-12-28 2011-03-09 김상우 Shock absorber hving median strip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74B1 (en) 2009-12-28 2011-03-09 김상우 Shock absorber hving median strip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565Y1 (en) A regulation-block for traffic lane
US4542709A (en) Highway warning device
KR100619807B1 (en) Electric apparatus of trafic facilities for road
KR200265888Y1 (en) Divisional strip using waste tire
JP3823179B2 (en) Pedestrian crossing prevention fence
KR102071829B1 (en) delineator for guardrail pillar
KR0131498Y1 (en) Road stud
KR200207038Y1 (en) A median strip of the highway
KR20030071682A (en) Guardrail with rollers attached
KR200217640Y1 (en) road boundary stone
KR100236776B1 (en) Traffic stud
KR102062009B1 (en) aluminum delineator of guardrail attachment type
KR200211502Y1 (en) Road boundary stone
KR200228524Y1 (en) Damage Prevention Road Marker
KR200234898Y1 (en) median strip of road
KR200293152Y1 (en) Guardrail
KR200184733Y1 (en) Road sign bottle
KR200401523Y1 (en) Structure for delineator in road
KR200235031Y1 (en) Luminous protective stone used in road
KR200216852Y1 (en) Highway median strip
KR200220468Y1 (en) Safety lamp for a pedestrian
KR200218348Y1 (en) Safety lamp for a pedestrian
KR200272872Y1 (en) The boundary block which is using of road
JP2000230221A (en) Concrete protective barrier
KR200307740Y1 (en) Base cover of support for a road guide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