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037Y1 - 식품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037Y1
KR200265037Y1 KR2020010036382U KR20010036382U KR200265037Y1 KR 200265037 Y1 KR200265037 Y1 KR 200265037Y1 KR 2020010036382 U KR2020010036382 U KR 2020010036382U KR 20010036382 U KR20010036382 U KR 20010036382U KR 200265037 Y1 KR200265037 Y1 KR 200265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od
container
air circulation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2020010036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037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와 덮개의 외곽 테두리상에 암수 한 쌍의 록킹부재를 마련하여 이로서 덮개가 원터치로서 용이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다수의 돌편들을 이용하여 몸체에 덮개가 덮어질때 그 경계부위상에 몸체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순환로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서 몸체 내부에 충분한 량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고, 돌편들에 의해 마련된 공기순환로를 이용해서는 덮개를 몸체로부터 열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대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용기 자체의 기능적인 부분을 추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순환 대류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보관중에 있는 식품의 부폐를 미연에 예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보관용기{Food conserving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을 보관하며 몸체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성형되어 몸체 개방부위를 업다운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용기 몸체와 덮개의 외곽 테두리상에 암수 한 쌍의 록킹부재를 마련하여 이로서 덮개가 원터치로서 용이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다수의 돌편들을 이용하여 몸체에 덮개가 덮어질때 그 경계부위상에 몸체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순환로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서 몸체 내부에 충분한 량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고, 돌편들에 의해 마련된 공기순환로를 이용해서는 덮개를 몸체로부터 열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대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용기 자체의 기능적인 부분을 추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순환 대류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보관중에 있는 식품의 부폐를 미연에 예방토록 한 것이다.
식품 보관용기라 함은 과일이나 야채등의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함체형태의 몸체(1)를 구성하고, 상면에 다수의 통기공(2a)을 구비한 덮개(2)를 상기한 몸체의 일측으로 일체로 성형하여 업다운 방식으로서 개폐토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와 덮개의 외곽으로는 각기 암수로서 끼워질 수 있는 사각의 요홈부(2b)와 돌부(1a)를 요철형태로 구성하여 이로서 덮개가 몸체의 개방부위에 록킹 고정되는 것은 물론, 덮개와 몸체의 경계부위가 긴밀하게 폐쇄되어있어 이러한 경계부위를 통한 외부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덮개의 사각 요홈부 일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2c)를 형성하여 이를 잡고 덮개를 몸체로부터 열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선, 덮개를 몸체로부터 열기 위한 손잡이부가 덮개의 사각 요홈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용기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덮개와 몸체가 상호 요철형태로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덮개의 개폐 동작이 용이하지 못한 것이다.
아울러, 덮개의 상면에 마련된 공기통공외에 별도의 공기순환로를 마련하고 있지 않아 몸체 내부에 충분한 량의 신선한 외부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몸체내에서 머물러 보관중이 식품을 오랜시간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는 제반 문제점이 노출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몸체와 덮개의 외곽 플랜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암수 록킹부재를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마련함으로서 용기 전체의 미감을 해치지 않는 심플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고, 덮개를 몸체로부터 개폐할 때 원터치로 록킹되는 록킹부재를 일부에 걸쳐 형성하고 있어 덮개의 개폐동작을 용이간편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와 몸체에 상호 동일수직선상에서 만나는 다수의 돌편들로서 몸체와 덮개의 경계부위에 충분한 공기순환유로가 마련되어 덮개에 마련된 통기공과 더불어 공기가 몸체 내부를 순환 대류토록 하여 보관식품을 신선하게 보관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순환유로의 공간을 이용하여 별도의 손잡이부를 구성하지 않고도 용이간편하게 덮개를 개폐할 수 있는 심플의 디자인의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식품 보관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몸체, 11,21 - 플랜지,
12,23 - 돌편, 20 - 덮개,
30 - 록킹부재, 31 - 요입체결공,
32 - 끼움구, 33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호 A 은 보관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관용기는 상면에 원형의 통기공(22)이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어지며, 사각 함체형태를 이루는 몸체(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몸체의 상부 개방부위를 업다운 방식으로서 개폐토록 한 덮개(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식품 보관용기가 갖는 구성을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다만,
상기한 덮개(20)와 몸체(10)의 외곽으로 마련된 플랜지(11)(21) 부분으로 다수의 돌편(12)(23)들을 일정한 간격으로서 동일한 위치상에 돌출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돌편들은 덮개와 몸체의 플랜지 형성시 일체로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돌편들이 상호 맞대어질때 자연스럽게 돌편들의 사이에는 공기순환유로(G)가 형성되며, 이로서 덮개 상면의 통기공(22)과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몸체 내부를 순환 대류하는 것은 물론, 상기한 공기순환유로를 이용해서는 기존과 같이 덮개에 별도의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구성하지 않고도 필요에 의해 덮개를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몸체와 덮개의 플랜지부 외곽으로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부재(30)를 형성하여 이로서 덮개를 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록킹부재는 내주면으로 걸림돌편(31a)이 형성되어있는 요입체결공(31)을 구비하고, 외면에 환형의 걸림턱(33)이 형성되고 걸림턱 상측으로 연장하는 상광하협 형태의 테이퍼진 움직임방지부(34)를 갖는 끼움구(3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움직임방지부(34)는 요입체결공에 끼움구(32)가 끼워질때 요입체결공(31)의 상단부에 면접하여 끼움구와 요입체결공간의 공간 틈새로 인한 끼움구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설명은 하기와 같다.
즉, 보관하고자 하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들을 몸체(10)의 내부에 수용한 다음 개방되어진 몸체의 상부측 개방부위를 덮개(20)로서 닫아 일정한 장소까지 보관용기를 유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덮개를 몸체에 덮어 고정함에 있어, 덮개와 몸체의 플랜지(11)(21)상에 일체로 형성되어진 암수 한 쌍으로 동작되는 록킹부재(30)로서 덮개를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며, 이와 같은 록킹부재의 록킹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데, 몸체나 덮개상의 플랜지(11)(12)에 마련된 요입체결공(31)으로 반대측으로 마련되어진 끼움구(32)를 가볍게 도 4와 같이 원터치로서 끼워주면, 끼움구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의 걸림턱(33)이 요입체결공의 걸림돌편(31a)에 걸려 탄력적으로 록킹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한 끼움구의 상측에 상광하협 형태로 테이퍼진 움직임방지부(34)가 요입체결공(31)의 상단에 긴밀히 밀착함으로서 끼움구와 요입체결공 상의 틈새로 인한 움직임을 방지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움직이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로 덮개가 몸체에 록킹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의 개방부위를 덮개(20)로서 덮을때 각각 몸체와 덮개의 플랜지(11)(21)상에 형성되어진 다수의 돌편(12)(23)들이 상호 동일위치상에서 맞대어지면서 돌편들의 사이에는 도 3이나 도 5와 같이 자연스럽게 공기순환유로(G)가 형성되고, 이로서 덮개 상면에 마련된 통기공(22)과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덮개와 몸체의 경계부위상의 공기순환유로를 통과하여 순환 대류하면서 몸체 내부에 넣어진 식품을 장시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공기순환유로의 공간을 이용해서는 덮개를 몸체로부터 분리할때 손잡이 대용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별도의 손잡이부를 용기상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 용기 자체의 미감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식품이 넣어지는 몸체와 이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의 플랜지상에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부재로서 용이간편하게 원타치로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어 덮개 개폐에 따른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 편리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플랜지상에 돌출하는 돌편을 형성하고 있어 덮개가 몸체어 덮어질때 형성되는 공기순환유로를 이용하여 별도의 손잡이부를 구성하지 않고도 손잡이로 대용함으로서 기능적 요소를 가미함은 물론,공기순환유로와 덮개상의 통기공을 이용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용기 내부를 순환 대류토록 하여 보관식품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에 통기공(22)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몸체(10)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진 통상의 식품 보관용기(A)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몸체의 외곽 플랜지(11)(21) 부분으로 돌출하는 돌편(12)(23)들을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맞대어지도록 형성하여 공기순환유로(G)를 구성한 것과, 몸체와 덮개의 플랜지부 외곽으로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부재(30)를 형성하되,
    상기 록킹부재는 내주면으로 걸림돌편(31a)이 형성되어있는 요입체결공(31)을 구비하고, 외면에 환형의 걸림턱(33)이 형성되고 걸림턱 상측으로 연장하는 상광하협 형태의 테이퍼진 움직임방지부(34)를 갖는 끼움구(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기.
KR2020010036382U 2001-11-26 2001-11-26 식품 보관용기 KR200265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82U KR200265037Y1 (ko) 2001-11-26 2001-11-26 식품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82U KR200265037Y1 (ko) 2001-11-26 2001-11-26 식품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037Y1 true KR200265037Y1 (ko) 2002-02-21

Family

ID=7307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82U KR200265037Y1 (ko) 2001-11-26 2001-11-26 식품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0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KR102623919B1 (ko) 2022-01-28 2024-01-11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096B1 (en) Food item receiving container
US9975661B2 (en) Collapsible produce keeper
US20080105684A1 (en) Latchable Lid Assemblies
JP3850505B2 (ja) 齧歯類小動物用観賞飼育容器の出入口用口縁材
US20180177344A1 (en) Collapsible food keeper
KR200265037Y1 (ko) 식품 보관용기
US11286089B2 (en) Food container system
KR200444914Y1 (ko) 양면 후라이팬
US10836547B2 (en) Air-tight storage container system
KR100992046B1 (ko) 식품용기
KR200340188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42903Y1 (ko) 용기뚜껑
KR200318114Y1 (ko) 가구에 적용된 착탈식 통풍구
JPH0517024Y2 (ko)
KR100935641B1 (ko) 밀폐 용기의 손잡이 조립체
KR200306583Y1 (ko) 후라이팬 뚜껑
JPH072442Y2 (ja) 食品の真空密閉保存容器の逆止弁
US3181724A (en) Thermostat case
KR200318858Y1 (ko)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
KR200378488Y1 (ko) 화장품 케이스
JP4925794B2 (ja)
JP4802382B2 (ja) 気密性カード状振り出し容器
KR200318846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13964Y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의 손잡이
KR200343346Y1 (ko)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