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989Y1 -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 Google Patents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989Y1
KR200264989Y1 KR2020010035215U KR20010035215U KR200264989Y1 KR 200264989 Y1 KR200264989 Y1 KR 200264989Y1 KR 2020010035215 U KR2020010035215 U KR 2020010035215U KR 20010035215 U KR20010035215 U KR 20010035215U KR 200264989 Y1 KR200264989 Y1 KR 200264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creen
wire
water
vibrat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2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영창
김진기
전이식
장재수
Original Assignee
장영창
김진기
전이식
장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창, 김진기, 전이식, 장재수 filed Critical 장영창
Priority to KR2020010035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9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989Y1/en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린에 걸러지는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거판과 연결된 빔 승강대의 로드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보스를 회전시킬 수 있게 보스의 내부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삽입시켜 와이어를 수용한 풀리를 유동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한 제진기용 티 풀리에 관한 것으로써, 하수 처리장이나 배수 펌프장 및 취수장 등의 배수로에 설치하여 하절기에 장마나 홍수 등 물이 범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물이 배수될 시 배수펌프를 가동하여 동시에 진입하는 생활 쓰레기나 산업 쓰레기 등 각종 오물이 스크린에 걸리게 되더라도 본 고안이 부착된 제진기를 작동하여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a thrust bearing to the inside of the boss to rotate the connecting boss form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for lifting the rod of the beam platform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late for removing various suspended matters and foreign substances to the screen This invention relates to a tee pulley for vibration suppressor that enables the rotation of the pulleys containing water. It is installed in sewers such as sewage treatment plants, drainage pumping stations, and intake stations, and prevents the flooding of water such as rainy season or flooding during the summer. When this water is drained, even if various wastes, such as household waste or industrial waste, which enter the drainage pump at the same time are caught on the screen, the dust collector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to effectively remove debris on the screen,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 efficiency. It is a device designed to increase.

Description

제진기용 티 풀리{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Tee pulley for vibration damper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본 고안은 하수 처리장이나 배수 펌프장에 설치된 제진기의 빔을 효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티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처리장이나, 배수 펌프장 등의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러지는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거판과 연결된 빔의 상승과 하강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를 통과하는 티 풀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e pulley that can efficiently lift and lift the beam of a vibration suppressor installed in a sewage treatment plant or a drainage pumping st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ous floats and foreign substances filtered by a screen installed at an inlet of a sewage treatment plant or a drainage pumping station. It relates to a tee pulley through a wire configured to mak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eam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late to be removed more secure.

일반적으로, 하수 처리장 및 배수 펌프장 폐수 처리장 등의 개수로에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거르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스크린에 조립된 제진기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vibration damper assembled in a screen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ilter various floats and foreign matters is installed in waterways such as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a waste pumping plant wastewater treatment plant.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진기는 침사지의 유입 수로상에 장착되는 스크린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And the damper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 device for removing the contaminants of the screen mounted on the inlet channel of the settlement.

또한, 이와 같은 기능이 있는 제진기는 크게 기계식과 유압식의 제진기로 구분되어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진개물을 스크린으로 거른 다음 그 진개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damper having such a function is divided into mechanical and hydraulic vibration dampers, and is installed in the channel of the low water drainage pumping station, water supply intake, related water channel, sewage treatment plant and dam lower than the water surface and floated with water flow. It is used to filter the screen and then remove the dust.

따라서 하수 처리장이나 배수 펌프장 또는 취사장 등의 수중에는 각종 생활 쓰레기나 산업 쓰레기 등의 오물이 물의 흐름에 따라 함께 흘러 내려와 상수 또는 하수를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어 상기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로의 수문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걷어 올리는 수거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쓰레기로 인한 강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drainage pumping station or kitchen, various kinds of household wastes and industrial wastes flow down along with the flow of water, which contaminates water or sewage. By installing the use of a collection method of artificially lifting the sewage on the screen using a separate tool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river water caused by garbage.

이때, 상기한 오물들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수로의 스크린에 걸린 쓰레기에 의해 배수로가 막히게 되어 결국 흐르는 물이 범람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above-mentioned dirt is not removed, the drainage path is blocked by the garbage caught on the screen of the drainage path, and eventually the flowing water overflows.

또한, 상기 스크린에 걸린 오물은 별도의 도구로서 걷어올려 수작업으로 제거하거나 아니면, 일정 간격으로 격판이 이루어진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각 틈새를 훑어주면서 걷어 올리는 갈퀴형상의 제거부재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진기에 의해 부유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rt caught on the screen is removed by hand as a separate tool, or the screen is formed with a diaphragm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rake-shaped removal member is rolled up while sweeping each gap of the screen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loat and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by a vibration damper operated by the.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진기에 조립된 수거판은 구동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구동모터와 연결된 빔 승강대는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situation, the collecting plate assembled to the vibration damper is operated individually by the drive motor, wherein the beam platform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is configured to be elevat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그러나 이때, 상기 빔 승강대와 연결된 와이어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티 풀리에 걸린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는 일정한 장력이 발생되면서 티 풀리의 표면은 큰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t this time, since the wire connected to the beam platform is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caught in a tee pulley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wire has a problem that the surface of the tee pulley is subjected to a large load while generating a constant tension.

이와 같은 문제를 일부 해결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2-000071호의 "자동 오물수거기의 티풀리 "가 있다.Prior arts that solve some of these problems includ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92-000071, "Tipey of automatic sewage collector."

이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의 승강에 따라 자체가 승강되면서 감겨진 케이블을 통하여 승강빔을 승강시키는 티 풀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횡축의 양단에 롤러가 축설되고, 횡측 중간부에는 수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의 양측벽에는 커버판이 횡측과 일체로 고정되어 롤러 위에서 덮개로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톤 로드에 직접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면서 피스톤 로드의 작은 이동거리를 크게 증폭시켜 주며 케이블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It is integrally fixed with the piston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rollers are built up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shaft to provide a tee pulley for elevating the elevating beam through the cable wound as it is elevating itself as the piston rod is elevated. It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 the cover plate is fixed to the transverse side integrally on both side walls of the roller to be connected as a cover on the roller,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iston rod to move together, greatly amplifying the small travel distance of the piston rod It is supposed to support the cab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피스톤 로드와 횡축이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롤러 표면에 케이블이 통과함으로 인하여 큰 부하가 발생되는 단점과 함께 빔 승강대의 움직임에도 상기 횡축과 일체로 연결된 롤러는 고정되어 있어 빔 승강대를 움직이는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되면서 상기 상기 케이블이 고정된 롤러에서 이탈되어 작업이 중단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load is generated due to a cable passing through the roller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piston rod and the transverse shaft are integrally fixed, and the roller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transverse shaft is fixed even in the movement of the beam platform. As tension is generated in a cable moving a platform, the cable is detached from the fixed roller and the work is stopp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빔 승강대와 일체로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있도록 피스톤 로드에 고정된 연결 보스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진기용 티 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 a vibration damper configured to rotate the connection boss fixed to the piston rod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nsion of the wire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beam platform more safely and robust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ea pulle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크린에 걸러지는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거판과 연결된 빔 승강대의 로드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보스를 회전시킬 수 있게 보스의 내부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삽입시켜 와이어를 수용한 풀리가 유동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제진기용 티 풀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rust bearing inside the boss to rotate the connecting boss form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for elevating the rod of the beam platform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late to remove various suspended matters and foreign matters that are screen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to provide a vibration damper tee pulley that can be inserted by inserting the wire to the fluid pulley.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어 작동하는 상태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operat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풀리 11. 피스톤 로드10. Pulley 11. Piston Rod

12. 스러스트 베어링 13. 연결 보스12. Thrust bearing 13. Connecting boss

14. 하우징 15. 와이어14. Housing 15. Wire

16. 제진기 17. 빔 승강대16. Damper 17. Beam Platform

18. 수거판 19. 이동 플레이트18. Collection plate 19. Moving plate

20. 프레임 21. 가이드 바20. Frame 21.Guide bar

22. 스크린 23. 컨베이어22. Screen 23. Conveyor

24. 롤러 25. 승강대 로드24.Roller 25. Platform Rod

26. 실린더26. Cylinder

본 고안의 구성은 빔 승강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미동시킬 수 있는 연결 보스가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게 하였다.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wire that can move the beam platform up and down and the connection boss that can be moved in the fixed state of the wire are fixed to the piston rod.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진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made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어 작동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state that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operated.

먼저, 도 3과 같이 제진기(16)에 조립된 빔 승강대(17)는 피스톤 로드(11)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거듭하면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은 일반적인 제진기와 동일하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beam lift table 17 assembled to the vibration damper 16 has the same length as the general vibration damper while its length is adjusted by the piston rod 11.

이때, 상기 빔 승강대(17)는 이동 플레이트(19)에 고정되어 프레임(20) 상의 스크린(22)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eam platform 17 is fixed to the moving plate 19 to move up and down on the screen 22 on the frame 20.

이와 같은 상황에서 풀리(10)는 와이어(15)에 의하여 빔 승강대(17)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적은 힘으로 들어 올리거나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게 된다.In such a situation, the pulley 10 is used to lift or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when lifting the beam platform 17 by the wire 15.

따라서, 풀리(10)와 일체로 고정된 하우징(14)은 연결 보스(13)에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11) 끝단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housing 14 fixed integrally with the pulley 10 is preferably fixed to the connecting boss 13 and fix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11.

또한, 상기 하우징(14)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 보스(13) 내부에 스러스트 베어링(12)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11)를 삽입하여 고정되게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piston rod 11 is inserted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thrust bearing 12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boss 13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4.

즉, 상기 하우징(14)은 스러스트 베어링(12)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스톤 로드(11)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housing 14 may be supported by the piston rod 11 while being rotated by the thrust bearing 12.

이때, 와이어(15)는 풀리(10)에 권취된 상태에서 움직이게 되므로 풀리에서이탈될 우려는 없으며, 또한 빔 승강대(17)를 상승과 하강시킬 때 발생되는 장력은 연결 보스(13)가 순간적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5)의 장력을 분산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15)의 권취와 이동의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wire 15 is moved in the state of being wound on the pulley 10, there is no fear of detachment from the pulley, and the tension generated when the beam platform 17 is raised and lowered is instantaneous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boss 13.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alance the winding and movement of the wire 15 while dispersing the tension of the wire 15 while rotating.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3과 같이 이동 플레이트(19)와 연결된 빔 승강대(17)에는 별도의 실린더(26)가 고정되어 있다.First, a separate cylinder 26 is fixed to the beam platform 17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9 as shown in FIG. 3.

즉, 상기 실린더(26)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 로드(11)가 작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풀리(10)에 권취된 와이어(15)를 따라 빔 승강대(17)에 조립된 승강대 로드(25)도 상승과 하강을 하게 된다.That is, the piston rod 11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6 and at the same time the platform rod 25 assembled to the beam platform 17 along the wire 15 wound on the pulley 10 is also raised and You will descend.

이때, 풀리(10)에 권취된 와이어(15)은 풀리(10)에서 이탈하려는 힘과 마찰이 발생되는 상황에서 상기 풀리(10)와 일체로 조립된 연결 보스(13)가 미세하게 회전하면서 힘의 균형인 밸런스를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ire 15 wound on the pulley 10 has a force and frictional force to be separated from the pulley 10 while the connection boss 13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pulley 10 rotates finely. The balance is to balance.

따라서, 실린더(26)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 로드(11)가 승강되면 동시에 풀리(10)가 승강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5)은 풀리(10)를 타고 이동하면서 동시에 빔 승강대(17)에 조립된 로드(25)도 승강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iston rod 11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6, the pulley 10 is lifted at the same time, and thus the wire 15 moves on the pulley 10 and is assembled to the beam platform 17 at the same time. The loaded rod 25 also moves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로드(25) 하부에 고정된 수거판(18)을 스크린(22)에서 승강시키면서 협잡물의 인양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And while lifting the collecting plate 18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25 on the screen 22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lifting of the contaminants perfect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limi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수 처리장이나 배수 펌프장 및 취수장 등의 배수로에 설치하여 하절기에 장마나 홍수 등 물이 범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배수가 필요할 경우 배수펌프를 가동하게 되면 물이 배수될 시 동시에 진입하는 생활 쓰레기나 산업 쓰레기 등 각종 오물이 스크린에 걸리게 되더라도 본 고안이 부착된 제진기를 작동하여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ewage treatment plant, a drainage pumping station, a water intake plant, and the like to prevent flooding of water such as rainy season or flooding in summer, and when the drainage pump is operated when drainage is needed, At the same time, even if various wastes, such as household waste or industrial waste, are caught on the screen, there is a feature that can effectively remove the debris on the screen by operating the vibration damper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빔 승강대에 조립된 티 풀리에 의해 승강 로드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rod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the tee pulley assembled on the beam platform,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greatly increased.

Claims (2)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로 각도 조절되는 빔 승강대가 설치되고, 상기 빔 승강대에 부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로드와 수거판에 의해 스크린 사이의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제진기에 있어서,In the vibration damper is provided with a beam platform that is angle-adjusted by a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moving plate, and configured to remove contaminants between the screen by the rod and the collecting plate which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ttached to the beam platform, 상기 빔 승강대에 조립된 로드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연결 보스에 풀리를 일체로 조립시키되, 상기 연결 보스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보스의 내부에 베어링을 삽입하여 와이어와 마찰되는 상기 풀리가 유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장력의 밸런스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제진기용 티 풀리The pulley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connecting boss so a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for lifting the rod assembled on the beam platform, inserting a bearing into the boss so as to rotate the connecting boss and friction with the wire A pulley for vibration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balance of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wire while rotating fluid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 보스를 피스톤 로드의 끝단에 조립하여 회전과 함께 승강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제진기용 티 풀리The pulley for vibration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boss is assembl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to be elevated with rotation.
KR2020010035215U 2001-11-16 2001-11-16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KR2002649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15U KR200264989Y1 (en) 2001-11-16 2001-11-16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15U KR200264989Y1 (en) 2001-11-16 2001-11-16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989Y1 true KR200264989Y1 (en) 2002-02-20

Family

ID=7311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15U KR200264989Y1 (en) 2001-11-16 2001-11-16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98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219B1 (en) Adultration removing method of a link type dash pot and link type dash pot thereof
KR101599504B1 (en)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KR100896740B1 (en) Sludge removing apparatus including double arms
KR20130016489A (en) Amphibious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guide wheelsed
KR200264989Y1 (en) A T-Pulley for a vibration damper
KR101599999B1 (en)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CN219080235U (en) Impurity-removing anti-blocking water drain gate
KR101065812B1 (en) Oil pressure type suspension scraper
KR20130034091A (en) Auto-screen with up and down driven rake
KR10187627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of manhole
CN107503431B (en) Slag dragging device and waste flow or diversion well with same
KR101931526B1 (en) Sewage pre-treatment station with screen and trash separator using the same
KR200262905Y1 (en) A Plate-Traveling device of screen vibration damper for grit chamber
KR200191686Y1 (en) Exclusion device of waterway adulteraition
KR100424430B1 (en) A single body type trash remover self weight
KR200308603Y1 (en) Dash pot that have oilpressure cylinder
KR200421186Y1 (en) Actuating type trash remover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canal
KR20130011254A (en) Dust remover
KR200262880Y1 (en) A apparatus for eliminating dregs in channel
KR100376766B1 (en) Appartus for rejecting any floating and frauding materials
KR200255489Y1 (en) screen filter
KR200308865Y1 (en) the screen of move advance guard
KR200239062Y1 (en) An automatic apparatus having the multi-beam for removing the waste in water
CN218501400U (en) Filtering device
KR960015898B1 (en) Dreging machine for drai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