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833Y1 -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833Y1
KR200264833Y1 KR20010036979U KR20010036979U KR200264833Y1 KR 200264833 Y1 KR200264833 Y1 KR 200264833Y1 KR 20010036979 U KR20010036979 U KR 20010036979U KR 20010036979 U KR20010036979 U KR 20010036979U KR 200264833 Y1 KR200264833 Y1 KR 200264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boiler
circulation pump
vinyl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36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해
Original Assignee
최동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해 filed Critical 최동해
Priority to KR20010036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833Y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1-007519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415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일러와 연결된 급수관과 배수관 내부에 충전된 열매체가 순환펌프에 의해 복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공급기에 순환되고 이와 동시에 방사되는 고열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기팬에 의해 비닐 하우스 내부에 공급되며 또한, 속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일러 내부에 수 개의 파이프를 형성하여 열매체인 식용유가 충전과 가열을 반복하면서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난방에 소요되는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열공급기에서 발생된 열을 환기팬이 폭넓게 확산시켜 비닐 하우스 내부의 온도 편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열공급기를 사용하여 다른 1개의 열공급기가 고장나더라도 난방을 지속적으로 하여 작물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Vinylhouse heating system}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열공급기와 환기팬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비닐하우스 내부에 폭넓게 공급함과 아울러 소비되는 연료의 소비를 최소화시켜 난방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용 난방기는 물을 열매체로 하여 온수를 순환시키거나 아니면 스팀을 사용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간을 일정온도까지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용되는 열매체의 물은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어 비닐하우스의 내부 땅속에 형성된 온수파이프를 통하여 지열의 온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스팀을 이용하는 방법은 주 탱크내에 채워져 있던 물이 투입되는 밀폐된 스팀발생탱크와 연결된 복수개의 히터 작용에 의해 스팀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의 난방장치에서 열매체로 사용되고 있는 물은 100℃까지 밖에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 단점으로 인하여 보일러의 가동이 중지되면 빠르게 비닐 하우스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의 가동을 주기적 진행하여야 되므로 연료의 소비가 크게 증가됨과 함께 사용자인 농민들에게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을 발생시켜 농작물의 재배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다 안전하면서 간단하게 비닐 하우스 내부에 온풍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열공급기와 연결된 환기팬에 의해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열매체의 온풍을 효율적으로 공급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보일러와 연결된 급수관과 배수관 내부에 충전된 열매체가 순환펌프에 의해서 순환되면서 복수의 열공급기를 통하여 방출된 열풍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기팬에 의해 비닐 하우스 내부에 공급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열매체 공급흐름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의 (a)(b)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열매체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일러 11. 순환펌프
12. 급수관 13. 배수관
14. 환기팬 15. 열공급기
16. 비닐하우스 17. 열공급관
18. 버너 19. 프레임
20. 열공급관 21. 파이프
22. 격벽 23. 외통
24. 속통 25. 흡입팬
본 고안의 구성은 순환펌프와 연결된 보일러에서 열매체를 가열하여 좌우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열공급기에 공급하면 환기팬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또 따른 열매체 공급 흐름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의 (a)(b)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열매체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보일러(10)의 좌우측에 부착된 순환펌프(11)와 연결된 복수의 열공급기(15)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열공급기(15)는 도 2와 같은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황에 따라 수 개의 열공급기(15)를 하나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열공급기(15)는 급수관(12)을 통하여 순환펌프(11)와 연결되며 다시 보일러(10)와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타측의 열공급기(15)도 급수관(12)과 순환펌프(11)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보일러(10)에서 가열된 열매체는 상기 순환펌프(11)와 급수관(12)을 따라 열공급기(15)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급수관(12)에 충전된 열매체는 일반적인 물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식용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공급기(15)에 근접되게 설치된 환기팬(14)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가열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열공급기(15)는 라디에이터(reditor)식으로 형성되어 열을 방사시키는 구조로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내지 유사하다.
한편, 도 3과 같이 환기팬(14)과 일체로 연결된 열공급관(20)을 통하여 비닐 하우스(16)의 실내 공간에 열공급기(15)에서 발생된 온풍을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좌우측으로 형성된 열공급기(15)에 열매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5의 (a)(b)와 같이 형성된 보일러(10)의 구조에 의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는 외통(23)과 속통(24)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내부에 수 개의 파이프(21)를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버너(18)에 의해 직접 가열된 열매체는 상기 다수의 파이프(21)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됨과 함께 급수관(12)을 통하여 순환펌프(11)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순환펌프(11)는 회전하여 공급된 열매체를 열공급기(15)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환기팬(14)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열공급기(15)에서 방사되는 온풍을 비닐 하우스 내부에 조립된 열공급관(20)으로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보일러(10) 내부에 형성된 외통(23)과 속통(24) 사이에는 열매체인 식용유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식용유는 가열됨과 동시에 좌우측에 형성된 순환펌프(11)의 작용에 의해 가열된 식용유는 급수관(12)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양측으로 구성된 환기팬(14)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급수관(12)에서 공급된 열매체는 바로 열공급기(15)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열공급기(15)는 도 1과 같이 다수개를 복층으로 형성시키되 상측에 형성된 흡입팬(25)은 외부의 공기를 빨아 들이며, 하측에 형성된 환기팬(14)은 열공급기(15)에서 방사되는 가열된 공기를 열공급관(20)으로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닐 하우스의 내부 면적에 따라 상기와 같은 열공급기(15)의 숫자를늘리거나 줄이게 된다.
또한, 보일러 내부에 충전된 열매체인 식용유가 400℃가 되는 시간과 물이 100℃가 되는 시간을 비교한 도표는 도 6의 (a)와 같다.
한편, 상기 열매체가 다시 500℃에서 100℃로 내려오는 시간과 물이 100℃에서 20℃로 내려오는 시간을 비교한 도표는 도 6의 (b)와 같다.
따라서, 일반적인 난방장치에서 제어되는 온도범위(20℃∼100℃)와 본 고안의 난방장치(100℃∼500℃)에서 제어되는 온도범위는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열매체가 최고 온도가 되기까지는 물이 최고온도가 되는 시간보다 약 10분 정도 더 걸리지만, 열매체가 100℃로 내려오는 시간과 물이 20℃로 내려오는 시간은 약 75분 정도 차이가 나므로, 그 만큼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열매체를 사용한 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열매체는 500℃까지 안정적으로 온도가 상승되고 500℃에서 100℃로 하강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열매체에 의해 가열된 열공급기에서는 고온이 발생됨과 함께 환기팬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비닐 하우스 내부로 온풍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기존의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열효율의 수배에 해당되는 난방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열매체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의 난방을 실시하게 되므로 난방에 소요되는 경비를 대폭 절감하게 되는 특징과 함께 열공급기에서 발생된 열을 환기팬이 폭넓게 확산시키게 되므로 비닐 하우스 내부의 온도 편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열공급기를 사용하므로 다른 1개의 열공급기가 고장나더라도 난방을 지속적으로 하여 작물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온수순환장치를 통하여 온수를 순환시켜서 실내를 난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와 연결된 급수관과 배수관 내부에 충전된 열매체가 순환펌프에 의해 복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공급기에 순환됨과 동시에 방사되는 고열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기팬에 의해 비닐 하우스 내부에 공급되는 수단과; 속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일러 내부에 수 개의 파이프를 형성하여 열매체인 식용유가 충전과 가열을 반복하면서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기를 다수개의 복층으로 형성시키되, 상측에 흡입팬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 빨아 들이게 하고, 하측에 형성된 환기팬은 열공급기에서 가열된 공기를 열공급관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KR20010036979U 2001-11-30 2001-11-30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KR200264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6979U KR200264833Y1 (ko) 2001-11-30 2001-11-30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197A KR100415842B1 (ko) 2001-11-30 2001-11-30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KR20010036979U KR200264833Y1 (ko) 2001-11-30 2001-11-30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197A Division KR100415842B1 (ko) 2001-11-30 2001-11-30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833Y1 true KR200264833Y1 (ko) 2002-02-21

Family

ID=6302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6979U KR200264833Y1 (ko) 2001-11-30 2001-11-30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8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985A1 (ko) 2015-12-17 2017-06-22 강병호 자연회전대류방식 난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985A1 (ko) 2015-12-17 2017-06-22 강병호 자연회전대류방식 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047A (en) Microwave hot water boiler heating system
KR101446643B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KR100415842B1 (ko)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KR20170007891A (ko) 이중 비닐하우스의 냉기 순환장치
KR200264833Y1 (ko)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KR101858241B1 (ko) 피티시 히터를 갖춘 전기 열풍기
KR101109965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농업용 온풍기
KR200352827Y1 (ko) 산업용 열풍기
KR102310938B1 (ko) 열 순환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온수방열 온풍장치
KR200480314Y1 (ko) 열매체를 이용한 순환식 전기 열풍기
KR20160136126A (ko) 저비용 고효율 제트 온풍기
KR101870757B1 (ko) 마찰식 증기펌프
KR200409651Y1 (ko) 온풍기용 열교환장치
KR200174585Y1 (ko) 비닐하우스의 난방장치
KR960010457Y1 (ko) 농업용 난방기의 폐열을 이용한 농업용 온실의 난방장치
KR200231138Y1 (ko) 급속 온풍기
KR102475324B1 (ko) 물 가열식 전기 온풍기
KR20100091785A (ko) 온풍기
KR200334038Y1 (ko) 온실용 난방시스템
KR200485974Y1 (ko) 가습형 온풍기
KR20000005484U (ko) 농업용 난방기의 폐열을 이용한 농업용 온실의 난방장치
KR200385896Y1 (ko) 온수 매트용 입형(立形) 온수 가열장치
KR200256826Y1 (ko) 고정형 전기히터 방열기
KR200257973Y1 (ko) 이중벽 구조의 물탱크를 구비한 온수 보일러
KR200236958Y1 (ko) 비닐하우스의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