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485Y1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485Y1
KR200263485Y1 KR2020010034710U KR20010034710U KR200263485Y1 KR 200263485 Y1 KR200263485 Y1 KR 200263485Y1 KR 2020010034710 U KR2020010034710 U KR 2020010034710U KR 20010034710 U KR20010034710 U KR 20010034710U KR 200263485 Y1 KR200263485 Y1 KR 200263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inyl house
outer diameter
pres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균
Original Assignee
박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균 filed Critical 박준균
Priority to KR2020010034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485Y1/ko

Links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시공할 경우 사용되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관결합되어 비닐하우스용 골조를 이루는 파이프 및 상기 각 파이프가 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대응하여 관결합되는 상기 각 파이프의 타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파이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동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 또는 소정부위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진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A Pipe Device For A Green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골조 시공시 골조를 이루는 각 파이프의 관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파이프의 용이한 결합시공을 위해 파이프의 일측부위가 대응하는 파이프의 타측부위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삽입부가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공축 형태의 파이프는 가스관이나 수도관 등과 같이 소정물질의 유통경로로서 기능하는 경우와, 비닐하우스 등에 골조를 이루어 기능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상기 비닐하우스용 골조로서 기능하는 파이프는 보통 비교적 규모가 큰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며, 비교적 규모가 작은 소형의 비닐하우스에는 대나무와 같은 목재를 골조로 사용한다. 또한, 파이프는 주로 유체(기체 ·액체)나 분체의 수송에 사용되고, 땅 속이나 옥내의 배선을 할 때, 전선케이블의 보호용으로도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관결합을 위한 시공시에는 결합되는 각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각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는 양측이 상기 각 파이프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것이 특징인데, 이하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장치(5)는 각 파이프(1)의 결합시공을 위해 파이프(1)의 일측 부위와 그에 대응하는 파이프(1)의 타측 사이에 슬리브(3)를 삽입하여 각각의 파이프(1)를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3)는 각 파이프(1)의 일측부위와 그에 대응하는 파이프(1)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파이프(1)는 파이프(1)의 일측부위와 대응하는파이프(1)에 슬리브(3)를 삽입하여 서로를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파이프(1)의 연결방법은 각 파이프(1)의 중간에 슬리브(3)를 삽입하여 연결시키므로, 상기 각 파이프(1)에 휨응력이 가해졌을 경우 슬리브(3)가 파기 혹은 변형되어 각 파이프(1)를 더 이상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슬리브(3)는 결합되는 상기 각 파이프(1)와 일체형이 아니므로, 비닐하우스(200)의 통체를 가로 지르기 위해 휠경우 결합된 상기 각 파이프(1)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비닐 하우스의 시공시 용이하게 관결합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각 파이프의 관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파이프의 일측이 대응되는 파이프의 타측에 끼움결합 되도록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삽입부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관결합되어 비닐하우스(200)용 골조를 이루는 파이프(10); 및
상기 각 파이프(10)가 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파이프(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20)는 대응하여 관결합되는 상기 각 파이프(10)의 타측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파이프장치(100)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0)는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동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는 소정부위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이프 3 : 슬리브
5 : 파이프장치 10 : 파이프
20 : 삽입부 100 : 파이프장치
200 : 비닐하우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를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장치(100)는 비닐하우스(200)의 골조를 이루기 위해 파이프(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삽입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파이프(10)의 타측부위에 용이하게 끼움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파이프장치(100)는 관결합되어 비닐하우스(200)용 골조를 이루는 파이프(10)와, 상기 각 파이프(10)가 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파이프(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00)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중공축의 형상을 취하며, 그 외경은 비닐하우스(200)의 규모에 따라 다양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경이 약 31.8mm, 28.4mm, 22.1mm 정도이며, 재질은 아연도금합금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각 파이프(10)를 연결하여 상기 비닐하우스(200)의 골조를 형성시킬 경우 각 파이프(100)의 관결합이 용이하도록 각 파이프(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 파이프(10)의 관결합시 대응하는 파이프(1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다.
만약 상기 파이프(10)의 타측 외경이 약 31.8mm 정도라면 대응하여 끼움결합되는 일측의 삽입부(20) 외경은 약 27.5mm 정도이고, 타측외경이 약 28.4mm 정도라면 일측의 삽입부(20) 외경은 약 21.4mm 정도이며, 타측외경이 약 22.1mm 정도라면 일측의 삽입부(20) 외경은 약 19.1mm 정도이다. 따라서, 각 파이프(10)의 결합시 상기 삽입부(20)는 대응하여 결합되는 파이프(10)의 타측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장치(100)는 비닐하우스(200)용 골조를 이루는 파이프(10)와, 상기 파이프(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파이프(10)는 중앙부위가 약 90°정도로 절곡되어져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취하는 것으로, 비닐하우스(200)의 골조에서 절곡되어지는 부분에서의 연결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각 파이프(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관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파이프(10)의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응결합되는 파이프(10)의 타측외경이 약 31.8mm 일 경우 삽입부(20)의 외경은 약 27.5mm 정도이고, 파이프(10)의 타측외경이 약 28.4mm 일 경우 삽입부(20)의 외경은 약 21.4mm 정도이며, 파이프(10)의 타측외경이 약 22.1 mm 일 경우 삽입부(20)의 외경은 약 19.1mm 정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장치(100)는 비닐하우스(200)의 골조를 이루기 위해 소망하는 형상으로 골조가 구상되면, 이에 기초하여 각 파이프(10)를 상호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비닐하우스(200)의 통체부위는 중공축 형상의 각 파이프(10)의 타측에 대응하는 파이프(10)의 삽입부(20)를 삽입하여 끼움결합하고, 상기 통체부위를 가로질러 상기 파이프(10)를 설치할 경우에는 통체부위의 형상에 맞도록 소정 각도로 만곡하여 지면에 대해 고정하여 몸통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파이프(10)가 서로 격자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200)의 앞문 또는 뒷문에 해당하는 부위는 상기 통체부위에 비해 파이프(10)의 연결부위가 거의 90°로 절곡되어지는데, 이 때에는 'ㄱ' 자형상을 취하며 일측에 삽입부(20)가 형성된 파이프(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데, 상기 중공축 형상을 취하는 파이프(10)의 타측에 상기 'ㄱ'자 형상의 파이프(10)의 삽입부(20)를 끼움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닐하우스(200)의 골조위에 비닐장막을 씌워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100)에서, 삽입부(20) 및 대응 결합되는 파이프(10)의 타측 외경은 상기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수치 이외에, 비닐하우스(200)의 규모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10)의 재질은 아연도금합금 이외에, 알루미늄합금, 탄소강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는 별도의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고, 각 파이프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파이프간의 관결합을 통한 비닐하우스의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그 결합이 용이하게 때문에, 초보자도 간편하게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축 또는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 파이프의 일측 삽입부를 용도에 맞게 변형하여, 일반 가정용 시설 또는 각종 공업용 시설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3)

  1. 관결합되어 비닐하우스(200)용 골조를 이루는 파이프(10); 및
    상기 각 파이프(10)가 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파이프(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20)는 대응하여 관결합되는 상기 각 파이프(1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파이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는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동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파이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는 소정부위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비닐 하우스용 파이프장치.
KR2020010034710U 2001-11-12 2001-11-12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KR200263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10U KR200263485Y1 (ko) 2001-11-12 2001-11-12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10U KR200263485Y1 (ko) 2001-11-12 2001-11-12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485Y1 true KR200263485Y1 (ko) 2002-02-04

Family

ID=7311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10U KR200263485Y1 (ko) 2001-11-12 2001-11-12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4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15B1 (ko) * 2006-08-14 2008-04-07 김혜숙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15B1 (ko) * 2006-08-14 2008-04-07 김혜숙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0324A4 (en) WATER DRIVING PORTION PORTION STRUCTURE, WATER PIPE COMPRISING AN END PORTION STRUCTUR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WATER PIPE AND A CONNECTING BODY, AND METHOD OF FORMING PORTION STRUCTURE END OF A WATER DRIVE
CA2306546A1 (en) Tube scraper
NO992025L (no) Endekonnektor for kveilet komposittkveilrör
HK1047314B (zh) 直管科裏奧利流量計
DE19982677T1 (de) Vierteildrehungs-Schnellverbindungs-Rohrverbindungsstückanordnung
GB0410703D0 (en) Expandable tubes with overlapping end portions
HK1028103A1 (en) Coriolis flowmeter having corrugated flow tube.
ZA979271B (en) Double walled pipe structures.
DE59910992D1 (de) Rohrkupplung
PL359461A1 (en) Tubular threaded joint with reinforced stop
NO942086D0 (no) Tvunnet, rörformet ytre skjötestykke med pakningselement
DE60115089D1 (de) Auf den boden faltbarer sitz mit einem freitragenden sitzteil
DE69835289D1 (de) Coriolis-durchflussmesser mit geradem doppelrohr
GB0029536D0 (en) Pipe end fittings
KR200263485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FR2781274B1 (fr) Raccord pour tubes, comprenant un troncon de raccordement conforme a une extremite d&#39;un tube
KR20060094261A (ko) 텐트폴 연결장치
DE69920857D1 (de) Verbindung von senkrechten Zaunelementen
EP1233439A4 (en) CATHODE RAY TUBE
WO2001066828A3 (en) Electrode assembly
EP0677692A3 (en) Double-walled hose or pipe arrangement.
CN218417163U (zh) 一种拼接式园艺铲
KR200387752Y1 (ko) 파이프 연결용 조립연결관 및 엘보관
KR200383944Y1 (ko) 텐트폴 연결장치
FR2722255B1 (fr) Attache pour boitier de raccord de tubes anneles contre un element tubul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