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367Y1 - car to transfer material - Google Patents

car to transfer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367Y1
KR200263367Y1 KR2020010017757U KR20010017757U KR200263367Y1 KR 200263367 Y1 KR200263367 Y1 KR 200263367Y1 KR 2020010017757 U KR2020010017757 U KR 2020010017757U KR 20010017757 U KR20010017757 U KR 20010017757U KR 200263367 Y1 KR200263367 Y1 KR 200263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materials
transport
storage box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7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성
Original Assignee
김석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성 filed Critical 김석성
Priority to KR2020010017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3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367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장내에서 자재를 운반하고, 작업시 필요한 자재를 보관하기 위한 운반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cart for transporting materials in the workplace and for storing materials necessary for work.

특히, 연동선반위에 쌓아둔 자재(자동차 부품, 실타래, 보빈등)의 무게에 따라 테이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연동선반이 죠인트가 구성된 상하연동아암의 작동에 따라 상하 연동가능하게 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재 운반카이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weight of materials (auto parts, thread, bobbin, etc.) stacked on the interlocking shelf, the interlocking shelf supported by the tapered spring enables the interlock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ly coupled arm with the joint. It is a material carrier designed to be able to do so.

종래의 자재운반카의 경우 처음에 수북히 담아 운반한 자재는 운반카의 상부로 올라와 있기에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는 일없이 자재를 손쉽게 들어내기 쉽지만, 운반카의 바닦에 남은 몇개의 자재들은 허리를 굽혀 운반카의 내부로 머리를 집어넣어 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material transport cars, the materials transported in the first place are easily raised to the upper part of the transport cart, so it is easy for the worker to lift the materials without bending his / her ba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d must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r.

따라서 본 고안은 저면에 바퀴가 달린 수납상자의 내부에 무게에 따라 상하 연동가능한 연동선반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자재를 쉽게 들어낼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locking shelf that can be interlock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with wheels on the bottom,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lift the material.

이러한 본 고안의 운반카에 의해 작업에 필요한 자재들을 더 많이 운반할 수 있게 유도한 유용한 고안이다.It is a useful design that guided to transport more materials necessary for the work by the transport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항상 적정위치로 올라온 자재들을 작업자는 손쉽게 들어낼수 있기에 작업성을 편리하게 한 고안이다.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make workability easier because the worker can easily pick up materials that have always been raised to the proper position.

Description

자재 운반카{car to transfer material}Car to transfer material

본 고안은 작업장내에서 자재를 운반하고, 작업시 필요한 자재를 보관하기 위한 운반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cart for transporting materials in the workplace and for storing materials necessary for work.

특히, 연동선반위에 쌓아둔 자재(자동차 부품, 실타래, 보빈등)의 무게에 따라 테이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연동선반이 죠인트가 구성된 상하연동아암의 작동에 따라 상하 연동가능하게 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재 운반카이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weight of materials (auto parts, thread, bobbin, etc.) stacked on the interlocking shelf, the interlocking shelf supported by the tapered spring enables the interlock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ly coupled arm with the joint. It is a material carrier designed to be able to do so.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장, 원단공장, 기타 모든 제조업에서 어떠한 물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제작에 필요한 자재나 부품들을 적당한 작업장에 운반하여 그 작업자가 손에 쉽게 닿는 공간에 자재들을 쌓아놓고 계속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씨스템이 현 제조공장들에 일반화된 작업환경이다.In general, in order to manufacture any goods in automobile factory, fabric factory, and all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materials or parts necessary for manufacturing are transported to the appropriate workplaces so that the workers can stack the materials in a place where workers can easily reach them and carry out their work continuously. The system is a generalized working environment for current manufacturing plants.

이때 반드시 필요한 물품이 바로 이러한 자재등을 운반하기 위한 자재 운반카이다.At this time, the necessary goods are material transport cars for transporting such materials.

종래의 이러한 운반카는 바퀴가 구성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수납상자 내부에 필요한 자재를 담고 필요한 작업장으로 운반하여 사용하여 왔다.The conventional transport cart has been used to transport the necessary materials in the storage box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onsisting of wheels to the required workplace.

이 종래의 자재운반카는 그동안 문제점이 있어 왔는데, 그 문제점을 집어보면 다음과 같다.This conventional material transport car has been a problem for a while, the problems are as follows.

즉 운반시 자재운반카 내부에 수북히 담아 운반한 자재는 운반카의 상부로 올라와 있기에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는 일없이 자재를 손쉽게 들어내기 쉽지만, 운반카의 바닦에 남은 몇개의 자재들은 허리를 굽혀 운반카의 내부로 머리를 집어넣어 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materials transported to the inside of the material transport car are raised to the upper part of the transport car, so it is easy for the worker to lift the material without bending his / her back, but some materials left at the bottom of the transport car are bent at the transport c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d must be pulled out of the inside.

이러한 점은 고된 노동을 하는 작업자에게는 큰 무리가 따르게 되어 허리디스크등의 원인이 된다.This point is followed by a large crowd of workers who are working hard and causes a back disk.

저면에 바퀴가 달린 수납상자의 내부에 무게에 비례하여 죠인트가 구성된 상하연동아암의 작동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연동선반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자재를 쉽게 들어낼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box with wheels on the bottom is equipped with a linkage shelf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ly coupled arm with the joint proportional to the weight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lift the material.

또한 연동선반의 저면에 연동선반을 지지하는 테이퍼 스프링을 내장하여 수납공간을 크게 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tapered spring supporting the interlocking shelf is built in the bottom of the interlocking shelf to increase the storage spac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상.하 연동아암의 체결모습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stening of the upper and lower linkage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상하연동아암 설치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상하연동아암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Figure 5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바퀴가 달린 사각의 수납상자를 이용하여 자재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자재 운반카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erial transport car that can transport materials using a rectangular storage box with wheels, and consists of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좌.우 양측에 운송을 위한 손잡이부(11)가 구성된 사각의 수납상자(10)와;A rectangular storage box 10 having a handle 11 for transporta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그 내부에 테이퍼진 스프링(3)에 의해 지지된 상.하 연동선반(30)과;An upper and lower linkage shelf 30 supported by a tapered spring 3 therein;

상기 상.하연동선반(30)과 수납상자 저면의 좌.우측(좌.우측면 설치부;5,6)에 결합구성된 가이드레일(40)과;A guide rail 40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shelves 3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left and right side mounting portions; 5 and 6)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box;

이 가이드레일(40)을 타고 회전하는 연동롤러(41')와 서로 연동가능한 결합을 위한 죠인트(42)로 구성된 상하 연동아암(41)이;The upper and lower linking arm 41 composed of a joint 42 for interlocking with the interlocking roller 41 'which rotates on the guide rails 40;

서로 유기적으로 조합하되, 일측의 연동롤러(41')는 고정나사(43)로 측단부에 고정되어 타측의 연동롤러(41')만이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이동됨에 특징이 있다.While organic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one side of the interlocking roller (41 ') is fixed to the side end with a fixing screw 43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other interlocking roller (41') is moved on the guide rail (40).

또한 상기 테이퍼진 스프링(3)은,In addition, the tapered spring (3),

연동선반(30)을 지지하기 위해 1개에서 4개까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것에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from one to four to support the interlocking shelf (30).

더불어 상기 상하연동아암(41)은,In addition, the vertical linking arm 41,

중앙설치부(7), 배면설치부(9), 전면설치부(8)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다.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 any one of the central mounting portion (7), rear mounting portion (9), front mounting portion (8).

그리고 상하연동아암(41)은,And the vertical linking arm (41),

상하연동아암(41)을 4개 또는 6개를 겹치게 구성하고 그 결합부위에 각각의 조인트(42)를 부설하여서 구성시킬 수 있는 특징도 포함한다.It also includes a feature that can be configured by configuring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 41 overlapping four or six, and laying each joint 42 on the coupling portion thereof.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고, 하기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chematically described,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drawings shown below.

도 1에 도시된 듯이 본 고안의 자재 운반카(100)는 그 저면에 운반을 손쉽게 하는 다수개의 바퀴(2)가 달려있는 수납상자(10)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aterial transport c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box 10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2 on the bottom thereof for easy transportation.

이 수납상자(10)의 좌우측에는 손잡이부(11)가 형성되어 있기에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Since the handle part 11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is storage box 10, it can carry easily.

또한 그 내부에는 상하 연동가능한 연동선반(30)이 설치되는데, 그 저면에는 항상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테이퍼진 스프링(3)이 설치된 상태이다.In addition, there is an interlocking shelf 30 that can be interlocked up and down is installed inside the tapered spring (3) is always installed on the bottom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이렇게 테이퍼진 스프링(3)을 저면에 장착하는 이유는 테이퍼진 스프링(3)은 자기의 몸체를 자신의 몸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기에 수납상자(10)내에 수용할 수 있는 자재의 양을 최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배려이다.The reason why the tapered spring 3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is that the tapered spring 3 can accommodate its body inside the body so as to maximize the amount of material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10. It is one consideration to help.

그리고 이 테이퍼진 스프링(3)은 도 2에서 도시된 형태처럼 2개로 구성될 수 도 있으며, 3, 4개로도 구성시킬 수 있다.And the tapered spring (3) may be configured as two, as shown in Figure 2, may be configured as three, four.

즉, 작업장에 따라서 무거운 부품을 운송시키는 작업장이면 4개의 스프링(3)이 구성된 운반카(100)를 사용하고, 좀 가벼운 부품을 운송시켜야 하는 작업장이라면 적은 수의 스프링(3)이 내장된 운반카(100)를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workplace transports heavy parts according to the workplace, a transport cart 100 having four springs 3 is used, and if the workplace needs to transport lighter parts, a transport cart with fewer springs 3 is built. 100 may be used.

그런데 이렇게 상.하 연동가능한 연동선반(30)은 수직으로 연동하여야 목적달성이 용이한데,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구성이 도 1,2,3에 도시된 상하연동아암(41)과 가이드레일(40)이다.By the way, the up and down interlocking interlocking shelf 30 can be vertically interlocked to easily achieve the purpose, the configuration to achieve this is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 41 and the guide rail 40 shown in Figs. to be.

이 상하연동아암(41)과 가이드레일(40)의 모습은 도시된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수납상자(10)의 밑판 좌.우측끝단에 가이드레일(40)을 설치하고 또한 이와 대응하는 가이드레일(40)을 연동선반(30)에도 설치한다.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 41 and the guide rail 40 are shown in detail in FIG. 3, and the guide rails 40 are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ttom plate of the storage box 10 and correspond to the same. The guide rail 40 is also installed in the interlocking shelf 30.

이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연동할 수 있는 것이 상하연동아암(41)인데, 도시된 도 3에서 보이듯 2개의 아암(41)의 정중앙에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된 죠인트(42)가 구성된 긴 장대형의 물품이다.The guide rail 40 can be interlocked with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s 41, and as shown in FIG. 3, a long rod-type rod having a joint 42 configured to pivot in the center of two arms 41 is shown. Of goods.

이 상하연동아암(41)의 끝단부에는 연동롤러(41')가 구성되어 있기에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겠다.Since the interlocking roller 41 'is configur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linking arm 41, the guide rail 40 can be easily moved.

더불어 도 1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의 연동아암(41)중 일측은 가이드레일(40)의 측단부에 고정나사(43)를 이용하여 단단히 체결되는데, 그 이유는 타측부의 연동아암(41)이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쉽게 연동될 수 있도록 하고자 의도된 것이다.1 and 3, one side of the linking arm 41 is firmly fastened using a fixing screw 43 at the side end of the guide rail 40, and the reason is the linking arm of the other side ( 41) is intended to be easily interlocked with the guide rail 40.

도 4는 이러한 연동아암(41)과 가이드레일(40)이 설치될 수 있는 위치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얇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좌.우측면 설치부(5,6)이고, 굵은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중앙설치부(7)와 전면설치부(8), 배면설치부(9)로 칭한다.Figure 4 shows the position where the linkage arm 41 and the guide rail 40 can be installed, the part shown by a thin dashed line is the left and right side mounting portions (5,6), with a thick advantage chain The parts shown are referred to as the central mounting portion 7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8, the rear mounting portion (9).

즉 얇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좌.우측면 설치부(5,6)에는 반드시 상하연동아암(41)과 가이드레일(40)은 설치하지만, 나머지 중앙설치부(7)와전면.배면설치부(8,9)에는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연동선반(30)의 연동을 보다 연직연동이 될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left and right side mounting portions (5, 6) shown by thin dashed lines always hav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s (41) and guide rails (40), but the remaining center mounting portion (7) and the front and rear mounting portions (8). 9) is installed selectively so that the interlocking of the interlocking shelf 30 can be more vertically interlocked.

도 5는 본 고안의 상하연동아암(41)이 4개와 6개로 구성된 자재운반카(1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동아암(41)의 결합부위에 모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죠인트(42)를 구성시킨 것이다.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material transport car 100 is composed of four and six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 4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all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inking arm 41 ( 42).

이러한 죠인트(42)의 예시도는 도시된 도 2에서 일범쇄선으로 블럭진 곳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An illustration of such a joint 42 is shown in detail where it is blocked by a dashed line in FIG.

그럼 여기서 본 고안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자.Let's see how this invention works here.

운반을 원하는 자재들을 담되 수납상자(10)의 상방향으로 수북히 올라올 때까지 가득 담는다.It contains the materials you want to carry, but it is filled until it comes up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torage box 10.

수납이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자재의 무게는 상당하여 연동선반(30)을 밀어 도시된 도 2의 위치에서 하향한 거의 바닦에 닿게 내려않게 할 수도 있다.The greater the storage, the greater the weight of the material, so that it may be pushed down the interlocking shelf 30 so as not to reach the bottom almost downward in the position of FIG.

작업자가 이송된 이 자재를 하나씩 사용하면 사용할 수록 수납된 자재의 무게는 줄어들기에 연동선반(30)은 테이퍼진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올라와 항상 자재의 위치는 수납상자(10)의 상부에서 올라온 위치 즉, 작업자가 손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상태를 유지 한다.When the worker uses this material one by one, the weight of the stored material decreases as it is used, so the interlocking shelf 30 is rais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apered spring 3, and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is always stored in the storage box 10. Position from the top of the position, that is, the worker can easily lift the state.

이러한 점이 본 고안의 특징으로, 작업자가 항상 편안한 자세로 허리를 굽히는 일 없이 자재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This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ing the worker to grab the material at all times without bending in a comfortable position.

본 고안의 운반카에 의해 작업에 필요한 자재들을 더 많이 운반할 수 있게유도한 유용한 고안이다.The transport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design that induces the transport of more materials necessary for work.

또한 항상 적정위치로 올라온 자재들을 작업자는 손쉽게 들어낼수 있기에 작업성을 편리하게 한 고안이다.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make workability easier because the worker can easily pick up materials that have always been raised to the proper position.

더불어 본 고안을 사용하는 작업자들에게는 허리디스크등의 산업재해 발생률을 떨어트릴 수 있게한 훌륭한 고안이다.In addition, it is an excellent design that can reduce the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a waist disk to worker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바퀴가 달린 사각의 수납상자를 이용하여 자재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자재 운반카에 있어서,In the material transport cart which can transport material using the square storage box with wheels, 좌.우 양측에 운송을 위한 손잡이부(11)가 구성된 사각의 수납상자(10)와;A rectangular storage box 10 having a handle 11 for transporta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그 내부에 테이퍼진 스프링(3)에 의해 지지된 상.하 연동선반(30)과;An upper and lower linkage shelf 30 supported by a tapered spring 3 therein; 상기 상.하연동선반(30)과 수납상자 저면의 좌.우측(좌.우측면 설치부;5,6)에 결합구성된 가이드레일(40)과;A guide rail 40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shelves 3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left and right side mounting portions; 5 and 6)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box; 이 가이드레일(40)을 타고 회전하는 연동롤러(41')와 서로 연동가능한 결합을 위한 죠인트(42)로 구성된 상하 연동아암(41)이;The upper and lower linking arm 41 composed of a joint 42 for interlocking with the interlocking roller 41 'which rotates on the guide rails 40; 서로 유기적으로 조합하되, 일측의 연동롤러(41')는 고정나사(43)로 측단부에 고정되어 타측의 연동롤러(41')만이 가이드레일(40)을 타고 이동됨에 특징이 있는 자재 운반카.Organic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one side of the interlocking roller (41 ') is fixed to the side end with a fixing screw 43, so that only the other interlocking roller (4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on the guide rail 40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테이퍼진 스프링(3)은,The tapered spring 3 is 연동선반(30)을 지지하기 위해 1개에서 4개까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것에 특징이 있는 자재 운반카.Material carrier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from one to four to support the interlocking shelf (3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하연동아암(41)은,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s 41 are 좌.우측면 설치부(5,6)이외에 중앙설치부(7), 배면설치부(9), 전면설치부(8)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재 운반카.A material transport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 any one of the central mounting portion (7), the rear mounting portion (9),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8) in add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 mounting portions (5,6).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3, 상하연동아암(41)은,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s 41 are 상하연동아암(41)을 4개 또는 6개를 겹치게 구성하고 그 결합부위에 각각의 조인트(42)를 부설하여서 구성시킬 수 있는 특징도 포함한 자재 운반카.A material carrier car including a feature that can be configured by forming four or six overlapping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arms (41) and placing each joint (42) at the coupling portion thereof.
KR2020010017757U 2001-06-14 2001-06-14 car to transfer material KR2002633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757U KR200263367Y1 (en) 2001-06-14 2001-06-14 car to transfer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757U KR200263367Y1 (en) 2001-06-14 2001-06-14 car to transfer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367Y1 true KR200263367Y1 (en) 2002-02-04

Family

ID=7306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757U KR200263367Y1 (en) 2001-06-14 2001-06-14 car to transfer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36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63230A1 (en) Goods box carrying robo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481440B2 (en) Biasing means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US6241106B1 (en) Movable shelf
CN107914937B (en) Logistics system, adaptation pallet and loader mechanism
EP3048067A1 (en) Rack for freight
CN103482249A (en) Automobile back doo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US4595332A (en) Shuttle
US20020109319A1 (en) Ergonomic merchandiser
CN110077773A (en) A kind of circular rack caching system
KR200263367Y1 (en) car to transfer material
KR200263366Y1 (en) car to transfer material
JP4526887B2 (en) Distribution rack equipment
KR200387551Y1 (en) multi-purpose ladder
EP4089865A1 (en) Transport system
KR101497071B1 (en) A cart for carrying parts produced
JPH0323482Y2 (en)
JP2018111577A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H02117507A (en)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JP4644906B2 (en) Welding power source
JP2019172274A (en) Linkage mechanism of expansion cover and the expansion cover
JP7243679B2 (en) Goods storage shelf
JP5428153B2 (en) Storage shelves and automated warehouses
JP3126853U (en) Workbench
JP6829145B2 (en) Glass plate article holder and glass plate article carrier
JP3211114U (en) Supports and prefabricated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