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726Y1 -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 Google Patents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726Y1
KR200262726Y1 KR2020010029976U KR20010029976U KR200262726Y1 KR 200262726 Y1 KR200262726 Y1 KR 200262726Y1 KR 2020010029976 U KR2020010029976 U KR 2020010029976U KR 20010029976 U KR20010029976 U KR 20010029976U KR 200262726 Y1 KR200262726 Y1 KR 200262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rine
groove
ja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9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정호
Original Assignee
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정호 filed Critical 함정호
Priority to KR2020010029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7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726Y1/en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에 착석하여 볼 일을 볼 때 남성 혹은 여성의 소변이 양변기 앞쪽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여성의 소변이 양변기 안쪽 면에 부딪혀 사용자의 몸에 닿아 비위생적인 측면을 개선하기 위한 남성용의 소변받이 턱과 여성용의 소변받이 홈을 구비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양변기는, 변기 본체(1) 전면 중앙 상단부에 위치하여 안쪽면이 오목한 홈이 파있고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소변받이 턱(2)이 있고; 변기 본체(1) 안쪽의 전면 중앙 하단부에 오목한 홈이 파인 소변받이 홈(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urine of men or women from leaking out of the front of the toilet when sitting on the toilet, and in particular, the urine of the woman hits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and touches the user's body to improve the unsanitary aspect. It relates to a toilet with a urine receiver jaw for men and a urine receiver groove for women, for this purpose,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toilet body (1) with a concave groove and protrudes outwards There is a urine collection jaw 2 of the present type; A urine receiving groove 3 having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lower end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1.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면, 소변받이 턱(2)으로 인해 양변기 앞쪽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볼 일을 볼 수 있고, 특히 여성의 양변기 사용에 있어 소변받이 홈(3)으로 인해 둔부로 소변이 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익하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urine splashing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due to the urine collecting jaw (2) can see the hygiene, especially in the use of women's toilet urine collection groove (3) This is beneficial because it can prevent the urine from splashing back into the buttocks.

Description

소변 튐 방지 턱과 홈이 있는 양변기{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Toilet with jaw and grooves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본 고안은 앉아서 볼일을 보도록 되어 있는 통상의 양변기에 있어서, 소변이 양변기 앞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남성의 경우 국부를 통제하지 않고서도 볼 일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의 경우 소변이 양변기 안쪽면에 부딪혀 튀는 것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위생적인 측면을 개선한 남성용의 소변받이턱과 여성용의 소변받이 홈이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rine from leaking out of the toilet in a normal toilet that is designed to sit and watch the ball, especially for men to see the ball without control of the local, and for women urine inside the toil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having a urine collection jaw for men and a urine collection groove for women with improved hygiene in order to alleviate splash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볼 일을 볼 때 소변 줄기가 양변기 앞쪽으로 새어나오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신체구조상 국부가 위로 향하는 수도 생기는데 이럴 때마다 상체를 앞으로 숙이거나 국부를 아래로 통제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였다.In the use of a conventional toilet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user sees the work often occurs when the urine stem leaks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male body structure may also be upwards It was inconvenient because every time I had to lean forward or control the lower part of the body.

그리고, 여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볼 일을 봄에 있어 소변 줄기가 부딪히는 양변기 안쪽면의 낙요부의 각도가 완만하여 거의 평면에 가까워서 낙하된 소변이 되 튀어 사용자의 둔부를 더럽히는 일이 잦아 상당히 비위생적이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women in the spring to see the urine stem hitting the urinary stem in the inner side of the urethra was a gentle angle almost close to the flat urine falling back to pollute the user's buttocks was quite unsanitar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안은 양변기 사용시 남성과 여성의 소변이 양변기 본체 앞쪽으로 새는 것과 여성의 소변이 양변기 몸체 안쪽 면에 낙요되어도 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남성용의 소변받이 턱과 여성용의 소변받이 홈이 구비된 양변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부가적으로 어린이들의 양변기 이용시 다리가 바닥으로 떨어져 불안한 자세가 형성될 수 있는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양변기 몸체 앞쪽에 달 수 있는 양변기를 제공함을 그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a urine collection jaw for men that prevents urine from men and women from leaking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body when using the toilet and prevents the urine from women from falling back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equipped with a urine receiving groove for women, and additionally, when children use the toilet, the legs may fall to the floor and an unstable posture may be formed.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toilet.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몸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body in a conventional toile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에 있어서 일실시예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 2의 일부 절개 사시도,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 4는 상기 도 2의 "A-A"선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 일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 : 변기 본체 2 : 소변받이 턱1: toilet bowl body 2: urine collection jaw

3 : 소변받이 홈 4 : 손잡이3: urine receiving groove 4: hand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변받이 턱과 홈이 있는 양변기의 구성은, 통상의 양변기에 있어 남성의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기 본체(1) 전면 중앙 상단부에 위치하여 안쪽면의 낙요부에 오목한 홈(2a)이 파있고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소변받이 턱(2)이 있고; 여성의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기 본체(1) 안쪽의 전면 중앙 하단부의 낙요부에 오목한 홈이 파인 소변받이 홈(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rine collection jaw and grooved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located in the central upper end of the front of the toilet main body (1) in order to prevent the urine of the male to splash in the normal toilet bowl. There is a urine receiving jaw 2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2a with a recessed portion projecting outwardly; In order to prevent the female urine splashing, the urine receiving groove (3) in which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is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ront center lower end inside the toilet body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몸체의 사시도로써 본 고안과의 비교를 위해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에 있어서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소변받이 홈(3)의 안쪽면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기 위해 도 2의 사시도중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A-A"선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 일실시예로서 소변받이 턱(2) 위에 어린이용 손잡이(4)를 추가 구비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dy in a conventional toilet and shown for comparis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i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urine in Figure 2 In order to show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3 in more detail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 part of the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shows a "AA" sectional view in Figure 2, Figure 5 is Application As an embodiment shows a form having a child handle 4 on the urine collection jaw (2).

먼저, 도 2의 부재번호 (2)는 남성용의 소변받이 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변기 본체(1)의 전면의 중앙 상단부에 외부로 돌출 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소변받이 턱(2)의 안쪽으로는 변기 본체(1)의 안쪽면과 연장되는 유연한 곡면을 가진 홈(2a)이 나있고, 안쪽면의 상부에는 세척수가 유입을 위한 통로(2c)를 구비하며, 상기 세척수 통로(2c)는 소변받이 턱(2)의 끝단부(2b)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변기 본체(1)의 세척수 통로(1a)와 연결되는 것이다.First, the member number (2) of FIG. 2 shows the urine collection jaw for men, a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ral upper end of the front of the toilet body 1, and to the inside of the urine collection jaw 2. Has a groove (2a) having a flexible curved surface exte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1),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has a passage (2c) for the introduction of the wash water, the wash water passage (2c) is a urine receiving It is formed in the end (2b) of the jaw (2) is to be connected to the wash water passage (1a) of the toilet body (1).

상기 소변받이 턱(2)의 높이와 폭은 사용자가 변기 본체(1) 위에 앉아서 볼 일을 볼 때 불편하지 않도록 너무 크지 않도록 하고, 또한 실수로 소변이 변기 본체(1) 전면으로 튀기거나 새어나옴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도록 너무 작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규모가 바람직하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소변받이 턱(2)에 어린이용 손잡이(4)를 더욱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손잡이(4)는 어린이 아이들인 경우 앉은키에 비해 양변기가 높아 발이 바닥에서 떨어질 수 있으므로, 안정된 자세에서 배뇨 및 배변을 가능케 하기 위한 것이다.The height and width of the urine collection jaw (2) is not too large so that the user is not uncomfortable when sitting on the toilet body (1) to see the ball work, and also accidentally splashing or leaking urine to the front of the toilet body (1)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le is not too small so as to sufficiently prevent the, the child handle 4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urine receiving jaw (2) as shown in FIG. Such a handle (4) is for children children, because the toilet is higher than the sitting height of the foot can fall from the floor, to enable urination and defecation in a stable position.

통상 어린이 아이들이 양변기에서 볼 일을 볼 일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므로, 별도의 손잡이(4)를 형성할 필요없이 소변받이 턱(2)이 손잡이(4) 대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Usually children will not have much to see in the toilet, so the urine collection jaw (2) may be used as a handle (4) replacement without having to form a separate handle (4).

여성용의 소변받이 홈(3)은 변기 본체(1) 하단부 저면 안쪽에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의 홈이 파인 것으로, 상기 홈의 가파른 경사를 가진 홈 경사부(3a)가 처음 배뇨시 등에 강하게 배뇨되는 소변이 부딪히는 낙요부이고, 완만한 경사를 가진 홈 완곡부(3b)가 약하게 배뇨되는 소변이 부딪히는 부분이다.Female urine collection groove (3) is a recessed bowl-shaped groove inside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toilet bowl body (1), the groove inclined portion (3a) having a steep slope of the groove strongly urination at the time of urination, etc. The urine that hits the urine, and the gentle inclination is the portion where the urine is weakly urinated in the groove 3b.

상기와 같은 역할의 홈 경사부(3a)의 평면과 낙요되는 소변이 이루는 각이 0°보다 크며 90°보다 작은 각을 이루도록 아래쪽은 뒤로 물러나고 위쪽은 앞으로 쏠려 있는 경사를 가진 것이고, 강하게 배뇨되는 소변을 하방으로 방향 전환시켜 변기 본체(1)의 위쪽에 개구된 부분으로 튀지 않고 밑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angle between the plane of the groove inclined portion 3a and the urine being excreted as described above is greater than 0 ° and is less than 90 ° so that the lower part is back and the upper part is inclined forward and urine is strongly urinated. By changing the direction downward to serve to fall to the bottom of the toilet body (1) to the upper portion without splashing.

홈 경사부(3a)의 뒤로 물러난 아랫부분이 홈 완곡부(3b)에 의해 변기 본체(1) 내면의 경사와 유연하게 연결되어진다.The lower part of the recessed part 3a backed by the groove inclination part 3b is connected flexibly with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1 by the groove | bending part 3b.

상기 홈 완곡부(3b)의 경사는 완만한 경사로 된 것으로, 세척수 및 상기 홈 경사부(3a)에 부딪혀 튀긴 소변이 원활하게 밑으로 흘러내리는 곳이다.The inclination of the groove curved portion (3b) is a gentle inclination, where the washing water and the urine hit by the groove inclined portion (3a) flows smoothly downward.

이때 홈 완곡부(3b)에 소변이 낙요되면 더욱 튀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홈 완곡부(3b)는 홈 경사부(3a)에 비해 훨씬 아래쪽에 있어 강하게 배뇨되는 소변은 닿을 리 없고, 약하게 배뇨되는 배뇨의 마무리 시점에서 낙요되는 소변이 부딪히는 곳이므로 튀는 힘도 약하여 변기 본체(1)의 위쪽 개구까지 이르지 못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urine is dropped on the grooved portion 3b, it may be considered that it does not splatter, but the grooved portion 3b is far below the grooved portion 3a, so urine that is strongly urinated cannot be reached and weakly urinated. At the end of urination, the urine that is thrown away is hit, so the splashing force is also weak to prevent reaching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dy 1.

상기 홈 경사부(3a)의 위치는 여성의 신체 구조상 통상적으로 가장 낙요가 강하고 많은 부분에 해당하는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of the groove inclined portion (3a) is preferably to be formed at a suitable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arge portion and usually the strongest in terms of the female body structure.

이상에 설명한 본 고안의 소변 튐 방지 턱과 홈이 있는 양변기는 전술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의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갖가지 형태의 전환, 치환, 그리고 변경이나 변형 실시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urine splash prevention jaw and the grooved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ne embodiment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forms of conversion and substitu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면, 소변받이 턱(2)으로 인해 양변기 앞쪽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볼 일을 볼 수 있고, 특히 여성의 양변기 사용에 있어 소변받이 홈(3)으로 인해 둔부로 소변이 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익하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urine splashing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due to the urine collecting jaw (2) can see the hygiene, especially in the use of women's toilet urine collection groove (3) This is beneficial because it can prevent the urine from splashing back into the buttocks.

Claims (2)

통상의 양변기에 있어,In the normal toilet, 변기 본체(1) 전면 중앙 상단부에 위치하여 안쪽면의 낙요부에 오목한 홈이 파있고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소변받이 턱(2)이 있고;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front of the toilet body (1) there is a urine collecting jaw (2) of concave grooves and protrudes outwardly in the recess of the inner surface; 변기 본체(1) 안쪽의 전면 중앙 하단부 낙요부에 오목한 홈이 파인 소변받이 홈(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튐 방지 턱과 홈이 있는 양변기.A urine splash prevention jaw and a toilet with a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grooved urine receiving groove (3)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low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toilet body (1). 제 1항에 있어서, 변기 본체(1) 앞쪽에 설치되는 소변받이 턱(2)에 어린이 사용자용 손잡이(4)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튐 방지 턱과 홈이 있는 양변기.The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4) for a child user is added to the urine collecting jaw (2) installed in front of the toilet main body (1).
KR2020010029976U 2001-09-28 2001-09-28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KR2002627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76U KR200262726Y1 (en) 2001-09-28 2001-09-28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76U KR200262726Y1 (en) 2001-09-28 2001-09-28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726Y1 true KR200262726Y1 (en) 2002-03-20

Family

ID=7310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976U KR200262726Y1 (en) 2001-09-28 2001-09-28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72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738B1 (en) * 2002-07-05 2005-06-10 양회성 Foilel Stool
KR200471885Y1 (en) * 2012-03-28 2014-03-27 박재화 Toilet bow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738B1 (en) * 2002-07-05 2005-06-10 양회성 Foilel Stool
KR200471885Y1 (en) * 2012-03-28 2014-03-27 박재화 Toilet bow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2726Y1 (en) toilet stool having sill and groove for preventing urine's splash
CN205369459U (en) Splashproof water closestool
CN205557747U (en) Closestool of comfortable and easy to use
CN217659527U (en) Comfortable seat ring of toilet lid and toilet
CN218606345U (en) Seat ring comfortable to sit and toilet bowl
KR200485641Y1 (en) Toilet bowl
KR200414375Y1 (en) Toilet seat
CN217204480U (en) Squatting pan
KR200211137Y1 (en) Chair for bath
JP3225128U (en) Urinal splash prevention Western style toilet
CN209429222U (en) A kind of toilet seat
CN214017352U (en) Splash-proof toilet seat
CN212346377U (en) Seat ring for comfortable toilet and toilet
TWI768319B (en) Combined toilet and toilet with combined toilet
CN210872939U (en) Cleaning basin
KR20130014667A (en) An egg- type urinal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rine flick controlled using a pedal
KR20000006084U (en) Urine shatterproof structure of the toilet
JP4585555B2 (en) Seated toilet
JP3084519U (en) Toilet seat
KR20000007752U (en) Urine shatterproof structure of the toilet
KR200229872Y1 (en) Toilet seat
JP5373984B1 (en) Western-style toilet
KR200169940Y1 (en) Toilet bowl
KR200361207Y1 (en) A hygienic paper of bidet cover
JP3061255U (en) Japanese style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