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344Y1 -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344Y1
KR200262344Y1 KR2020010034341U KR20010034341U KR200262344Y1 KR 200262344 Y1 KR200262344 Y1 KR 200262344Y1 KR 2020010034341 U KR2020010034341 U KR 2020010034341U KR 20010034341 U KR20010034341 U KR 20010034341U KR 200262344 Y1 KR200262344 Y1 KR 200262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etergent
sink
washing tank
overflow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2020010034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344Y1/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상판의 오버플로우 배수구에서 세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게 세척작업을 할 수 있는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통(110)과 상기 몸통(110)의 후단에 결합된 배출관(120)과 상기 몸통(110)의 선단에 결합된 노즐(130)로 구성된 통상적인 구조의 수동식 펌프(100)를 구비하며, 싱크대(10) 내부에는 세제통(200)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130)이 세척조(12)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통(110)을 오버플로우 배수관(16)에 고정시키고 상기 배출관(120)이 세척조(1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동식 펌프(10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제통(200)에 상기 배출관(12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130)을 누르면 세제가 상기 세척조(12) 안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detergent supply equipment of sinkstand}
본 고안은 싱크대 상판의 오버플로우 배수구에서 세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게 세척작업을 할 수 있는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제통은 세제가 저장된 통체와 이 통체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마개에 의하여 수동식 펌프가 통체에 장착되어 펌프의 조작에 따라 세제가 배출될 수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식기 세척을 위하여 싱크대에 상기와 같은 세제통을 비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세제통을 비치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이 따르고 세제를 사용할 때마다 세제통을 이동시키면서 주위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세제통이 싱크대 상부의 일정 공간을 차지함으로 싱크대의 공간활용에 지장을 주었다.
이에따라,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0-25441호에 의하면 세제통을 싱크대 상판 위에 부착하여 이동의 번거로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싱크대 상판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세제를 배출시킬 때 손에 뭍은 세제거품과 이물질이 세제통에 부착되어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싱크대 상판의 세척조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배수구에서 세제를 배출시킬 수 있고 싱크대 내부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싱크대 11; 상판 11a; 본체 12; 세척조
13; 오버플로우 배수구 14; 캡 15; 장공 16; 메인 배수구
19; 메인 배수관 20; 메인 호스 21; 연결호스 100; 수동식 펌프
110; 몸통 120; 배출관 130; 노즐 131; 손잡이
132; 보조노즐 200; 세제통
본 고안에 따른 세제 배출장치는, 싱크대 상판(11)의 세척조(12) 일측면 소정 위치에 오버플로우 배수구(13)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3)의 외측면에는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이 연결되어 세척조(12)의 과잉 세척수를 하수구로 배출시켜 최고수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통상의 싱크대(10)에 있어서,
몸통(110)과 상기 몸통(110)의 후단에 결합된 배출관(120)과 상기 몸통(110)의 선단에 결합된 노즐(130)로 구성된 통상적인 구조의 수동식 펌프(100)를 구비하며, 싱크대(10) 내부에는 세제통(200)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130)이 세척조(12)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통(110)을 오버플로우 배수관(16)에 고정시키고 상기 배출관(120)이 세척조(1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동식 펌프(10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제통(200)에 상기 배출관(12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130)을 누르면 세제가 상기 세척조(12) 안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상적인 싱크대 상판(11)에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조(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척조(12)의 바닥면에는 메인 배수구(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척수를 메인 호스(20)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하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세척조(1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는 오버플로우 배수구(13)가 형성되어 있어 과잉 세척조(12)를 하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싱크대(10)를 예시한 것으로, 싱크대(10)의 상판(11)은 얇은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하고 합판으로 된 본체(11a)에 안착된다. 그리고 메인 배수구(18)에는 플라스틱재로 된 메인 배수관(19)이 결합되어 있고 메인 배수관(19)의 하단에는 유연성 있는 메인 호스(20)가 연결되어 하수구로 연장된다. 또한, 오버플로우 배수구(13)에는 플라스틱재로 된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이 결합되어 있고 이 오버플로우 배수관(16)에는 유연성 있는 연결호스(21)에 의하여 메인배수관(19)에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동식 펌프(100)는 상기한 오버플로우 배수관(16)에 고정되어 오버플로우 배수구(13)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한 수동식 펌프(100)는 통상적인 세제통에 구비되는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수동식 펌프(100)는 몸통(110)과 노즐(130)과 배출관(120)으로 구성되며,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의 일측면에 구멍(17)을 형성하여 접착 또는 나사체결방식으로 몸통(1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노즐(130)은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의 안쪽에 위치됨과 동시에 노즐(130)의 선단은 세척조(12)로 노출되도록 몸통(110)에 조립하여야 한다.
상기한 수동식 펌프(100)는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의 측면에 고정됨으로 노즐(130)을 줄러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노즐(130)을 싱크대(10)의 앞쪽으로 당겨야 한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배수구(13)를 덮고 오버플로우 배수관(16)과 결합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캡(14)에는 수평으로 장공(15)을 형성함으로써 노즐(130)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여 주고 과잉의 세척수가 장공(15)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수동식 펌프(100)의 몸통(110)이 고정된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은 세척조(1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세척조(12)의 안쪽에서 캡(14)을 나사체결함으로써 오버플로우 배수구(13)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는 오버플로우 배수구(13)에 캡(14)을 고정시킨 후에 노즐(130)의 선단에 보조노즐(132)이 형성된 손잡이(131)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노즐(130)을 작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고 세제가 하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세제통(200)은 통상적인 세제통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기로 대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때 세제통(200)은 싱크대(10) 내부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바닥에 올려놓아도 되고 본체(11a)에 고정시켜도 된다.
상기 세제통(200)에는 수동식 펌프(100)의 배출관(120)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130)을 누르면 세제가 상기 세척조(12) 안으로 배출된다. 즉 식기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세척조(12) 안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손잡이(131)를 한 손으로 잡고 당기면 노즐(130)이 장공(15)을 따라 직선왕복운동 하면서 세제가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수가 과도한 경우 오버플로우 배수구(13)를 구성하는 장공(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부언하여, 본 고안에서는 수동식 펌프(100)의 몸통(110)을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의 측면에 고정시키고 몸통(110)이 세척조(12)의 측면과 평행하게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노즐(130)을 당길 때 세제가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싱크대(10) 내부공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몸통(110)을 후방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몸통(110)의 설치방향에 따라 노즐(130)의 작동방식도 누르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노즐(130)의 작동방식에 따라 캡(14)에 형성되는 장공(15) 또한 노즐(130)의 작동과 과잉 세척수를 배출시키는데 지장이 없도록 다른 모양으로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 상판(11)의 세척조(12)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배수구(13)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오버플로우 배수관(16)에 수동식 펌프(100)가 장착되고 세제통(200)과 함께 싱크대(10) 내부에 배치됨으로 세제를 사용하기 위하여 세제통(200)을 이동시키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세제통(200)이 싱크대(10) 외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세제가 세척조(12)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싱크대(10)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세제가 배출되는 노즐(130)이 세척조(12) 안에 위치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세척작업중에 세제통(200)을 옮길 필요가 없고 노즐(130)을 작동시킬 때 세제거품이나 손에 뭍은 이물질이 세척조(12) 바깥쪽으로 방출되지 않으므로 2차오염의 우려가 없으며, 수동식 펌프(100)의 몸통(110)이 오버플로우 배수관(1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한 손만으로 세제를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싱크대 상판(11)의 세척조(12) 일측면 소정 위치에 오버플로우 배수구(13)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3)의 외측면에는 오버플로우 배수관(16)이 연결되어 세척조(12)의 과잉 세척수를 하수구로 배출시켜 최고수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통상의 싱크대(10)에 있어서,
    몸통(110)과 상기 몸통(110)의 후단에 결합된 배출관(120)과 상기 몸통(110)의 선단에 결합된 노즐(130)로 구성된 통상적인 구조의 수동식 펌프(100)를 구비하며, 싱크대(10) 내부에는 세제통(200)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130)이 세척조(12)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통(110)을 오버플로우 배수관(16)에 고정시키고 상기 배출관(120)이 세척조(1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동식 펌프(10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제통(200)에 상기 배출관(12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130)을 누르면 세제가 상기 세척조(12) 안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배수구(13)를 덮고 오버플로우 배수관(16)과 결합시키기 위한 캡(14)을 구비하되, 상기 캡(14)의 중앙에는 수평으로 장공(15)을 형성함으로써 노즐(130)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여 주고 과잉의 세척수가 장공(15)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구(13)에 캡(14)을 고정시킨 후에 상기 노즐(130)의 선단에 보조노즐(132)이 형성된 손잡이(131)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130)을 작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고 세제가 하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배출장치.
KR2020010034341U 2001-11-05 2001-11-05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KR200262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41U KR200262344Y1 (ko) 2001-11-05 2001-11-05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41U KR200262344Y1 (ko) 2001-11-05 2001-11-05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344Y1 true KR200262344Y1 (ko) 2002-03-18

Family

ID=7307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41U KR200262344Y1 (ko) 2001-11-05 2001-11-05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3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48B1 (ko) 창문닦이
CN108523795B (zh) 一种平板拖把用清洁结构及清洁工具
TWM524689U (zh) 清洗裝置
CN110871197B (zh) 一种超声波洗涤装置
CN212261290U (zh) 一种拖把桶
KR200262344Y1 (ko) 싱크대의 세제 배출장치
TWI566733B (zh) 清洗裝置
CN111850923B (zh) 一种超声波洗涤装置及控制方法
CN211511672U (zh) 一种便于处理污水的擦地机清洁坞
KR100668697B1 (ko) 세제 용기
KR101460190B1 (ko) 세척 도구 수납형 세제 용기
CN215348736U (zh) 地刷及清洁设备
CN215305569U (zh) 清洁设备用地刷及清洁设备
CN110772191A (zh) 一种拖把清洗装置
CN217310178U (zh) 一种平板拖把冲洗桶
CN215227335U (zh) 自动抽水清洁工具
CN212754703U (zh) 喷水刷子
CN216907893U (zh) 一种自动喷水拖把桶及使用该桶的清洁工具
KR200295154Y1 (ko) 간이 압력샤워기
KR200307549Y1 (ko) 세제인출 조절장치가 설치된 수세미
CN212698669U (zh) 自动出泡沫洗手台
CN217399825U (zh) 一种旋钮下水器及后排水洗手盆
KR970000009Y1 (ko) 컵세척장치
KR100884361B1 (ko) 휴대용 세정기
KR200460746Y1 (ko) 세제가 공급되는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