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229Y1 -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229Y1
KR200261229Y1 KR2020010029171U KR20010029171U KR200261229Y1 KR 200261229 Y1 KR200261229 Y1 KR 200261229Y1 KR 2020010029171 U KR2020010029171 U KR 2020010029171U KR 20010029171 U KR20010029171 U KR 20010029171U KR 200261229 Y1 KR200261229 Y1 KR 200261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stle
mounting member
present
assembly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모
Original Assignee
정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모 filed Critical 정민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229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신체에 부착하는 호루라기 조립체는 입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호루라기; 상기 호루라기를 신체의 일부분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장착부재; 및 일단은 상기 호루라기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장착부재에 결합되며, 자유롭게 굴곡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루라기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루라기의 일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장착부재까지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집게 형태, 헤드밴드 형태, 귀걸이 형태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호루라기 조립체에 따르면, 호루라기의 일부분에 부착시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하여 호루라기를 불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 {A whistle assembly worn on the head}
본 고안은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하여 불 수 있도록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는 호루라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루라기를 사용하려면 주머니에 넣어다니거나 목걸이 등으로 걸고 다니면서, 사용시에 한손으로 호루라기를 집어서 입으로 가져간 후 호루라기를 부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한다. 교통 정리를 하는 경찰관, 자전거를 타고가는 운행자, 인라인 스케이트 등을 타고다니는 인라이너 등이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모습은 흔히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호루라기 사용자는 호루라기를 불때마다 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가 일어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호루라기를 일정한 수단에 의해 신체에 부착시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하여 호루라기를 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손 동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호루라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호루라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호루라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호루라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 호루라기 2 : 삽입홈
3 : 중공부 4 : 걸림턱
5 : 누름돌기 6 : 삽입부
7 : 걸림돌기 8 : 연장부
9 : 연결부재 10 : 집게형 장착부재
11: 헤드밴드형 장착부재 12 : 귀걸이형 장착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체에 부착하는 호루라기 조립체는 입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호루라기; 상기 호루라기를 신체의 일부분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장착부재; 및 일단은 상기 호루라기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장착부재에 결합되며, 자유롭게 굴곡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루라기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루라기의 일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장착부재까지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집게 형태, 헤드밴드 형태, 귀걸이 형태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호루라기 조립체에 따르면, 호루라기를 신체에 부착시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하여 호루라기를 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윈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호루라기 조립체는 신체의 일부분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대략적으로 호루라기, 상기 호루라기를 신체의 일부분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장착부재, 및 상기 호루라기를 장착부재와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호루라기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호루라기 조립체는 입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호루라기(1), 상기 호루라기(1)를 신체의 일부분에 선택적으로 지지시키는 장착부재(10), 및 상기 호루라기(1)와 장착부재(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루라기(1)의 일측면에는 삽입홈(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9)는 상기 삽입홈(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6)와 이 삽입부(6)로부터 상기 장착부재(10)까지 연장된 연장부(8)로 구성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루라기에 삽입홈(2)이 형성되고 연결부재(9)의 일단에 삽입부(6)가 마련되어 이들이 상호 착탈가능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연결부재(9)는 호루라기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재(10)는 상기 연장부(9)의 타단과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은 상기 삽입부(6)가 삽입되는중공부(3)와, 삽입부(6)가 삽입홈(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4)과, 필요시 삽입부(6)를 삽입홈(2)에서 제거하는 누름돌기(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6)는 상기 삽입홈(2)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턱(4)에 걸리게되어 삽입부(6)가 삽입홈(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7)를 포함한다.
전술한 호루라기(1)와 연결부재(9)의 결합수단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결합수단의 형상 및 구조는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부(8)는 자유롭게 굴곡 가능한 연철 재료 등으로 만들어져 사용 태양에 따라 그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장착부재(10)는 바람직하게 집게로 구성되어 모자의 창이나, 헤드폰의 프레임등에 집는 형태로 부착되어 상기 호루라기(1)를 신체의 일부분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상기한 방법으로 호루라기(1)를 신체의 일부분에 부착시킨 후, 상기 연장부(8)의 형상을 변형시켜 호루라기(1)를 입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공기주입구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음으로써 손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하여 호루라기(1)를 불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루라기 조립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장착수단이 각각 헤드밴드형 장착부재(11)와 귀걸이형 장착부재(12)라는 점에서 상기한 제1실시예의 집게형 장착부재(10)와 구별되며, 그외의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에서 도시된 헤드밴드형 장착부재(11)는 머리에 지지될 수 있도록 자체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되어있고 머리의 좌우측, 바람직하게는 귀부분에 밀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통상의 헤드밴드 형상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귀걸이형 장착부재(12)는 귀 부분에 부착되기 위해 귀바퀴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있다.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헤드밴드 형태'와 '귀걸이 형태'는 별도의 정의없이 이와 동일한 기능 및 형상을 가진 것으로 사용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집게형 장착부재(10)는 모자의 창과 같은 임의의 부분에도 부착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도 2에 도시된 헤드밴드형 장착부재(11)는 자체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되어있어 장착력이 뛰어나며, 도 3에 도시된 귀걸이형 장착부재(12)는 귀바퀴에 간단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에 의하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호루라기를 불수 있으며, 지극히 단순하게 반복되던 손의 동작을 없애주어 경찰관의 교통정리, 레져활동 등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켜줄뿐만 아니라,특히 레져활동 등에 있어서 자신의 존재를 빠르게 인식시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입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호루라기(1);
    상기 호루라기(1)를 신체의 일부분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장착부재; 및
    일단은 상기 호루라기(1)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장착부재에 결합되며, 자유롭게 굴곡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부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루라기(1)는 상기 연결부재(9)의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루라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루라기(1)의 일측면에는 삽입홈(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9)는,
    상기 삽입홈(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6); 및
    상기 삽입부(6)로부터 상기 장착부재까지 연장된 연장부(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루라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집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루라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헤드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루라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귀걸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루라기 조립체.
KR2020010029171U 2001-06-11 2001-09-21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 KR2002612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7250 2001-06-11
KR2020010017250 2001-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229Y1 true KR200261229Y1 (ko) 2002-01-19

Family

ID=7310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171U KR200261229Y1 (ko) 2001-06-11 2001-09-21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2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3660A (zh) * 2018-07-11 2018-11-13 苏州爱柯华炭炉科技有限公司 一种警用防霾口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3660A (zh) * 2018-07-11 2018-11-13 苏州爱柯华炭炉科技有限公司 一种警用防霾口罩
CN108783660B (zh) * 2018-07-11 2024-04-12 苏州爱柯华炭炉科技有限公司 一种警用防霾口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41739S1 (en) Portion of a headset
USD495797S1 (en) Baffle portion for frame of mask assembly
USD419267S (en) Sports neck brace
USD451460S1 (en) Wheel
USD474176S1 (en) Protective cage portion
USD470307S1 (en) Eyeglass holding ring
KR200261229Y1 (ko) 신체에 부착되는 호루라기 조립체
USD474327S1 (en) Scarf for attachment to hat or cap
USD464482S1 (en) Keychain flashlight
USD482473S1 (en) Headlight
USD482472S1 (en) Headlight
USD440597S1 (en) Eyeglass frame front
USD459768S1 (en) Doll
USD460559S1 (en) Vital signs monitor
USD453879S1 (en) Child&#39;s toothbrush
CA100610S (en) Earhook for headset
USD522178S1 (en) Helmet/head restraint with leg straps
USD481070S1 (en) Curved pen clip
USD477228S1 (en) Bottle with swirl
USD465472S1 (en) Hands free cellular system
USD477173S1 (en) Arm-mountable pad for use when holding a baby
USD463052S1 (en) Keychain flashlight
USD482471S1 (en) Headlight
USD472277S1 (en) Indicating device for emergency signalling
USD457162S1 (en) Cradle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