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984Y1 -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 Google Patents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984Y1
KR200260984Y1 KR2020010033626U KR20010033626U KR200260984Y1 KR 200260984 Y1 KR200260984 Y1 KR 200260984Y1 KR 2020010033626 U KR2020010033626 U KR 2020010033626U KR 20010033626 U KR20010033626 U KR 20010033626U KR 200260984 Y1 KR200260984 Y1 KR 200260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skeleton
umbrella
cap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미
하종준
Original Assignee
김정미
하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미, 하종준 filed Critical 김정미
Priority to KR2020010033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984Y1/ko

Link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 또는 휴대한 상태에서 착용상태로의 전환이 매우 편리하고 착용상태에서 보관 (휴대) 상태로의 전환 역시 편리한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창과 모자머리몸체 및 모자머리뚜껑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가 모여 모자의 각 구성부분을 형성하고, 모자머리뚜껑을 형성하는 부분의 끝부위에 한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모자골격과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고, 모자골격의 움직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는 모자천 및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해 모자골격의 개폐부위에 형성되는 HOO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UMBRELLA HAT IN COMBINATION WITH UMBRELLA AND PARASOL}
본 고안은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 또는 휴대한 상태에서 착용상태로의 전환이 매우 편리하고 착용상태에서 보관 (휴대) 상태로의 전환 역시 편리한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착용은 대중적이며, 선호에 따른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모자가 만들어졌다. 어떤 모자는 기능의 관점에서, 또 어떤 모자는 보온하거나, 햇볕, 비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디자인 되었다. 남성용이던지, 여성용이던지 간에 종래까지 디자인된 모자들의 한가지 공통된 불편한 점은 사용한 후 모자를 휴대하고 다니거나, 보관하기에 불편하였다. 비나 햇볕을 피하도록 디자인된 모자들은 크기가 커기 때문에, 특히, 더 불편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모자에 손상을 주지않고, 모자를 보관하고 간단히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만족할 만한 진전이 없었다.
따라서, 접은 상태 (보관 및 휴대) 와 펼친 상태 (모자착용) 를 편리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모자의 전체적인 기능과 디자인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게, 또한 비나 햇볕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 머리 및 타 부위까지 보호해줄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지게,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휴대하고 다니기에 적합한 구조로 개량돼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모자로서, 가볍고 사용이 편리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모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형의 크기 (접었다, 폈다 하는 손부채를 완전 접었을 때의 모양) 로 축소되므로, 휴대시에는 간단하게 자유로이 손에 들고 다닐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보관상태 (접은 상태) 에서 착용상태 (펼친상태) 로 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가 올때 두손이 자유로와서 야외에서도 평상시처럼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모자의 하부를 이루는 모자창, 상기 모자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몸체 및 상기 모자머리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뚜껑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가 모여 상기 모자의 각 구성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모자머리뚜껑을 형성하는 부분의 끝부위에 한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모자골격;
상기 다수개의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모자골격의 움직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는 모자천;
상기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해 상기 모자골격의 개폐부위에 형성되는 HOO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음의 기재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를 착용한 좌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의 모자골격의 상세한 구조도이다.
도 4 는 제1 모자골격과 제 3 모자골격이 각각 수평선상에 놓였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모자천을 입힌 상태도이다.
도 6 은 도 4 (a) 에서 제 1 모자골격이 제 3 모자골격 위에 겹쳐지게 했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도 7 은 도 4 (b) 에서 제 1 모자골격이 제 3 모자골격 위에 겹쳐지게 했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도 8 은 모자천으로 모자 우측 측면부의 모자골격들을 덮은 상태도이다.
도 9 는 모자천으로 모자 좌측 측면부의 모자골격들을 덮은 상태도이다.
도 10 은 제 1 모자골격이 제 3 모자골격 위에 겹치기 전에 후하방에서 본 상태도이다.
도 11 은 제 1 모자골격이 제 3 모자골격위에 겹쳐지고 있는 후하방에서 본 상태도이다.
도 12 는 도 10 의 내면이 외면으로 전환된 상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서, 제 1 모자골격이 제 3 모자골격 위에 완전 겹쳐졌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14 는 도 10 의 내면도이다.
도 15 는 모든 모자골격들이 일직선 상에 일치하기 직전의 모습 및 끈으로 묶은 상태를 그린 상태도이다.
도 16 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천뚜껑의 후면 정면도, 절개부위를 펼친 상태도 및 모자천뚜껑을 모자머리뚜껑에 부착시킨 후면도이다.
도 17 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를 보관 휴대하기 위해 접은 상태도이다.
도 18 은 모자천뚜껑을 모자머리뚜껑에 부착시킨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9 는 모자골격판넬의 구조도이다.
도 20 은 모자머리뚜껑이 노출된 상태도, 모자천뚜껑의 정면도, 리본끈 (R) 을 묶을때 뚜껑의 밑면도 및 리본끈으로 완전히 묶을때의 정면도이다.
*****도면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모자골격 2 : 제 2 모자골격
3 : 제 3 모자골격 A : 모자창부분
A1, A2 : 모자천 B : 모자머리몸체
B1,B2,B3 :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C : 핀구멍 C1,C2,C3 : 모자창 끝부분
D : 모자머리뚜껑 M1,M2,M3 : 경계점,모자창부분의 상연점
도 1 (a) 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를 착용한 좌측면도이다. 도 1 (b) 는 본 고안에 따른 완성된 모자를 착용한 정면도이다.
도 2 (a) 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 (a)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는 모자골격 (1,2,3), 모자창 (A), 모자천의 면적부 (A1), 모자머리몸체 (B),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1), 모자머리뚜껑 (D), 핀구멍 (C) , 모자창의 끝부분 (C1,C2,C3), 경계점 (M1,M2,M3) 을 포함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모자골격 (1,2,3) 은 다수개가 모여 모자의 각 구성부분을 형성한다. 도 2 (a) 를 참조하면, 모자의 전방에 있는 제 2 모자골격 (2), 모자의 후방에 있는 제 1 모자골격 (1) 및 제 3 모자골격 (3), 점선으로 표시된 측면에 있는 다수의 모자골격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제 2 모자골격 (2)의 길이가 가장 길고, 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모자골격의 길이가 짧아져, 제 1 모자골격 (1) 및 제 3 모자골격 (3) 의 길이가 가장 짧다. 제 1 모자골격 (1) 과 제 3 모자골격 (3) 의 길이는 동일하다. 이러한 모자골격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의 전체적인 지지대를 형성하여 모자를 지지하게 된다.
모자창 (A) 은 모자의 하부를 이루는 것으로 (M2,3 ...) 와 (C2,3 ...) 사이의 부분을 말한다. 도 2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 은 제 1 모자골격 (1) 의 모자창 (A) 의 끝부분을 말하고, C2 는 제 2 모자골격 (2) 의 모자창 (A) 의 끝부분을 말하고, C3 은 제 3 모자골격 (3) 의 모자창 (A) 의 끝부분을 말한다. 한편, 도면에서 A1 은 (B3 M3 C3), (C2 C3), (B3 B2), (B2 M2 C2) 로 둘러싸인 모자천의 면적이고, F 는 모자천으로 덮었을 때의 모자의 우측면부 면적을 나타낸다.
모자머리몸체 (B) 는 모자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B3 M3)(M3 M2)(M2 B2)(B2 B3) 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1,B2,B3) 은 모자골격 (1,2,3) 에서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머리뚜껑 (D) 부분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을 말한다. 제 1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1) 은 제 1 모자골격 (1) 에서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뚜껑 (D)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을 말한다. 제 1 모자골격 (1) 을 제 3 모자골격 (3) 위에 포개면, B1은 B3과 서로 접한다. 제 2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2) 은 제 2 모자골격 (2)에서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뚜껑 (D)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을 말한다. 제 3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3) 은 제 3 모자골격 (3)에서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뚜껑 (D)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을 말한다. 제 1 모자골격 (1) 을 제 3 모자골격 (3) 위에 포개면, B3은 B1의 하면에서 서로 접한다. 제 1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1) 와 제 2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2) 을 잇는 선은 모자머리몸체의 우측면 상연선이다.
모자머리뚜껑 (D) 은 모자머리몸체 (B) 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모자머리몸체 상연점 (B1,B2,B3) 의 윗부분을 말한다.
핀구멍 (C) 은 모자머리뚜껑 (D) 의 끝부분에 있는 한개의 구멍으로 핀을 꽂는 구멍이다.
경계점 (M1,M2,M3) 은 모자골격에서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을 말한다. 제 1 경계점 (M1) 은 제 1 모자골격 (1)에서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이며,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의 지점이다. 제 2 경계점 (M2) 은 제 2 모자골격 (2)에서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이며,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의 지점이다. 제 3 경계점 (M3) 은 제 3 모자골격 (3) 에서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지점이며,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의 지점이다. 제 1 모자골격 (1) 이 제 3 모자골격 (3) 위에 포개지면, 제 3 경계점 (M3) 은 제 1 경계점 (M1) 의 하면에서 서로 접한다. 제 1 경계점 (M1) 과 제 2 경계점 (M2) 을 잇는 선은 모자머리몸체 (B) 우측 측면 하연선이며, 모자창 (A) 부분의 상연선이다.
도 2 (b) 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 (b) 를 참조하면, 모자천 (A2) 이 (B1 M1 C1), (C1 C2), (C2 M2 B2), (B2 B1) 로 둘러싸인 면적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자천은 다수개의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고, 모자골격의 움직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게 된다. 모자골격은 모자천 내면에 끼워져 모자천과 결합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모자천 면적 (A2) 을 모자천으로 덮었을 때의 모자의 좌측면부의 면적 (G) 도 나타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의 모자골격의 상세한 구조도이다. 도 3 (a) 을 참조하면, 한개의 모자골격은 모자창 (A) , 모자머리몸체 (B) 및 모자머리뚜껑 (D) 으로 구성되며, 모자머리뚜껑 (D) 의 끝부분에, 한 개의 구멍 (C) 을 포함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에는 이들을 구분하는 경계점 (M 1,2,3 ...) 이 있다. 이 경계점 (M 1,2,3 ...) 에서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모자창의 위치 (방향) 가 결정된다. 각 모자골격에 있는 각 경계점 (M 1,2,3 ...) 을 연결하면, 모자머리몸체 (B) 의 하연선이 되며, 또한,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창 (A) 의 경계선도 된다.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머리뚜껑 (D) 사이에도 경계점 (B 1,2,3 ...) 이 있다. 각 모자골격에 있는 각 경계점 (B 1,2,3 ...) 을 연결하면, 모자머리몸체 (B) 의 상연선이 되며, 또한,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머리뚜껑 (D) 의 경계선도 된다. 각 모자골격의 모자창 (A) 의 각 끝점 (C1,C2,C3) 을 연결하면 모자창의 테두리가 된다. 모자골격의 재료는 가볍고,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고, 모자형태를 최소한 유지시켜줄 수 있는 것이면, 모두 다 포함한다. 즉 예를들면, 모든 플라스틱류, 모든 나무종류, 카드보드 (Cardboard) 종류, 모든 금속류 및 모든 천 종류를 포함한다.
도 3 (b)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자골격을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a) 에서 도시된 구멍 (C) 이 일렬이 되게,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개의 모자 골격을 포갠다. 최상방에 놓인 모자골격은 제 1 모자골격 (1) 이 되며, 최하방에 놓인 모자골격은 제 3 모자골격 (3) 이 된다. 모자머리뚜껑 (D) 에 형성된 일련의 구멍에 핀 (CP) 을 꽂으면, 포개진 여러개의 모자골격은 핀부위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모자골격은 360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 (a) 은 핀 (CP) 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1 모자골격 (1) 과 제 3 모자골격 (3)이, 각각 수평선상 (180도) 에 놓였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a) 를 참조하면, 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1 모자골격 (1) (최상방에 위치, 길이가 가장 짧다) 을 좌측 수평선 상에 제 3 모자골격 (3) (최하방에 위치, 길이가 가장 짧다) 을 우측 수평선상에, 가장 길이가 긴 모자골격 (2) 을 90도 선상에 놓으면, 나머지 모자골격들은 그 사이에 적당한 각도로 배열되면서, 손부채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도 4 (b) 는 핀 (CP) 을 중심축으로하여, 제 1 모자골격 (1) 과 제 3 모자골격 (3) 이 도 4 (a) 과는 반대되게, 수평선상 (180도) 에 놓였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도 4 (b) 을 참조하면, 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1 모자골격 (1) (최상방에 위치) 을 우측 수평선상에 일치시키고, 제 3 모자골격 (3) (최하방에 위치) 을 좌측 수평선상에 일치시키면, 나머지 모자골격들도 위치가 바뀜과 동시에 적당한 각도로 그 사이에 배열되면서 손부채 모양을 형성한다.
도 5 (a) 는 도 4 (a) 에 모자천을 입힌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 (a) 를 참조하면, 도 4 (a) 에 모자천을 입힌 상태는 보관 또는 휴대상태에서, 모자를 착용하기 위해, 펼치는 중간상태, 또는 착용상태에서,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해, 접는 중간 상태이다.
도 5 (b) 는 도 4 (a) 에 모자천을 입힌 상태에서 핀 (CP) 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1 모자골격 (1) 과 제 3 모자골격 (3) 이 도 4 (a) 와는 반대되게 수평선상 (180도) 에 놓였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도 5 (a) 의 모자천 내면이 외면으로 바뀌면서 모자골격은 모자천 위에 놓이게 된다. 즉, 도 5 (a) 에서는 모자골격들의 위치가 모자천 아래에 있다가 도 5 (b) 에서는 모자천 위에 놓이게 된다.
제 1 모자골격 (1) 과 제 3 모자골격 (3) 을 필요에 따라 좌우 어느 쪽에 위치시켜 사용하느냐에 따라 모자천의 내면 또는 외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외면은 우산으로, 내면은 양산으로 혹은 그 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보관 또는 휴대상태에서, 모자를 착용하기 위해, 펼치는 중간상태, 또는 착용상태에서, 보관휴대하기 위해, 접는 중간상태이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는 모자골격의 상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모자천의 내면 및 외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 은 도 4 (a) 에서, 제 1 모자골격 (1) 이 제 3 모자골격 (3) 위에 겹쳐지게 (360도) 했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이 상태에서는 모자를 착용할 수 있는 완전 펼쳐진 모자골격 상태가 된다.
도 7 은 도 4 (b) 에서, 제 1 모자골격 (1) 이 제 3 모자골격 (3) 위에 겹치게 (360)했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이 상태도 모자를 착용할 수 있는 완전 펼쳐진 모자골격 상태가 된다.
도 8 은 모자천으로 모자 우측 측면부의 모자골격들을 덮은 상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B2 M2 C2) (C2 C3) (C3 M3 B3) (B3 B2) 를 연결한 면적에다, (B3 M3 C3) 내면까지 감쌀수 있는 크기의 모자천 (A1) 을 만들어서, 모자의 우측 측면부 (F) 를 이루고 있는 모자골격들을 덮는다. 따라서, 모자천 (A1) 의 한쪽 변은 (B2 M2 C2) 선상에 놓이게 되고, 다른 한쪽 변은 (B3 M3 C3) 선상을 지나서, 제 3 모자골격 (3) 의 내면을 감싼 후, 기워주면, 제 3 모자골격 (3) 은 모자천 (A1) 의 내면에 고정된다. 즉 도 2 (a) 와 같이 된다.
도 9 는 모자천으로 모자 좌측 측면부의 모자골격들을 덮은 상태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B2 M2 C2) (C2 C1) (C1 M1 B1) (B1 B2) 를 연결한 면적에다, (B1 M1 C1) 내면까지 감쌀수 있는 크기의 모자천 (A2) 을 만들어서, 모자의 좌측 측면부 (G) 를 이루고 있는 모자골격들을 덮는다. 따라서, (B2 M2 C2) 선 상에서, 모자천 (A1) 과 (A2) 가 서로 만나는 변을 기워주고, 다른 한쪽 변은 (B1 M1 C1) 선 상을 지나, 제 1 모자골격 (1) 의 내면을 감싼 후, 기워주면, 제 1 모자골격 (1) 은 모자천 (A2) 의 내면에 고정된다. 즉 도 2 (b) 와 같이 된다.
도 10 은 제 1 모자골격 (1) 이 제 3 모자골격 (3) 위에 겹치기 전에 후하방에서 본 상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모자머리몸체 (B) 상단의 모자머리뚜껑 (D) 을 제외한 모든 모자골격 부분의 외면들은 모자천 (A1) (A2) 로 덮였다.
도 11 은 제 1 모자골격 (1) 이 제 3 모자골격 (3) 위에 겹쳐지고 있는 후하방에서 본 상태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제 1 모자골격 (1) 내면의 각 HOOK (P1) 를 제 3 모자골격 (3) 외면에 있는 각 HOOK (P3) 와 붙여주면 완전히 펼친 상태가 되어 모자를 착용할 수 있다. 이때, 모자창 (A) 의 넓이는, 후방보다 전방이 넓다.
도 12 는 도 10 의 내면이 외면으로 전환된 상태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제 3 모자골격 (3) 은 도 8 에서, 제 1 모자골격 (1) 은 도 9 에서, 각각 (A1)(A2) 의 내면에 기워져서, 이미 고정되어 있는 상태다.
나머지 모자골격들은, 각 모자골격의 (CN) 에서 (B1,2,3 ...) 까지를, 천으로 감싼 후 끼워서주면 각 나머지 모자골격들은 (A1) (A2) 에 고정된다. 모자골격의 폭만 감싸거나, 모자골격의 폭보다 더 넓게 감싸거나, 외면 전체를 다 감싸서 고정할 수도 있다. 전환시키는 방법은 상기 도 5 (b) 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모자천의 재료는 가볍고, 유연하고, 방수처리된, 햇볕반사 처리된 모든 플라스틱필름류, 모든 천종류, 모든 카드보드 (Cardboard) 종류는 다된다. 도 10 이 우산으로 사용된다면, 도 12 는 양산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 은 도 12 에서, 제 1 모자골격 (1) 이 제 3 모자골격 (3) 위에 완전 겹쳐졌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도 12 에서 제 1 모자골격 (1) 이 제 3 모자골격 (3) 위에 완전 겹쳐졌을 때의 모습은 모자를 착용할 수 있는 완전 펼쳐진 상태이다.
도 14 는 도 10 의 내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모자골격을 좌우에서 하나씩 정한 후,끈 (I) 의 한쪽 끝 (J) 은 해당되는 모자골격의 경계점 (M5) 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끝 (K) 은 해당되는 모자골격의 경계선 (M6) 에 고정시킨다. 이 끈은 모자를 머리에 고정시켜주며 길이 조절기 (L) 가 달려있어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 (a) 는 모든 모자골격들이 일직선 상에 일치하기 직전의 상태도이다. 도 15 (a) 를 참조하면, 서로 포개진, 제 1 모자골격 (1) 과 제 3 모자골격 (3)을 분리한 후, 접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180도 선상에 도달했을 때 모양이 도 5 (a) 도 5 (b) 이며, 나머지 모자골격들과 다 함께 일직선상에 도달하기 직전의 상태가 도 15 (a) 이다.
도 15 (b) 는 보관하거나 휴대하여 갖고 다닐 수 있도록, 끈으로 묶은 상태도이다. 도 15 (b)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자를 도시된 바와 같이 끈 (I) 으로 묶게 되면 사용이 끝난 후나, 보관, 휴대하기 위해 완전히 접힌 상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접었다,폈다하는 손부채를 완전히 접었을 때의 모양이 된다.
도 16 (a) 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천뚜껑 (Q) 의 후면 정면도이다. 도 10 에서 모자머리 뚜껑부분 (D) 의 크기에 맞게 만든 모자천뚜껑 (Q) 이다. 후방 개폐부위에 절개선 (V) 를 만들어주고, 절개선 한쪽부분이 다른쪽 끝부분 위에 겹쳐지게 (OVERLAP) 한다. 절개부위 각 내,외면에 HOOK (P1) 를 달아준다.
도 16 (b) 는 모자천뚜껑 (Q) 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본 상태도이다. 즉 절개부위를 펼친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 (c) 는 모자천뚜껑 (Q) 을 모자머리뚜껑 (D) 에 부착시킨 후면도이다. 도 16 (c) 을 참조하면, 모자천뚜껑 (Q) 의 절개부위 (V) 가, 제 1 모자골격 (1) 과 제 3 모자골격 (3) 이 서로 합쳐지는 선상에 일치되게한 후, B1과 B3을 제외한 모자머리몸체 (B) 의 모자천 상단 (A1) (A2) 과 모자천뚜껑 (Q) 의 하단이 연접하는 부위 (H) 에서 기워주면, 모자천뚜껑 (Q) 은 고정된다.
도 17 (a) 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를 보관 휴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7 (b) 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를 보관 휴대하기 위해 완전히 접어 묶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 (a) 는 모자천뚜껑 (Q) 을 모자머리뚜껑 (Q) 에 부착시킨 측면도이고, 도 18 (b) 는 모자천뚜껑 (Q) 을 모자머리뚜껑 (Q) 에 부착시킨 후면도이다. 도 18 (b) 는 도 16 (c) 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여러가지 변형례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제 1 변형례는 야구선수 모자 형태의 모든 모자이다.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가 각각 다른 여러개의 모자골격을 도 4 (a), 도 6 또는 도 7 처럼 배열한 후, 모자앞창이 될 부분을 제외한, 양측 측면과 후면의 모자창 (A) 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모자골격들에 모자천을 씌워준 후 각 모자골격을 모자천 내면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개폐부위는 후방, 양 측면 중에서 어느 곳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제 2 변형례는 둥근 모자창 (모자창 넓이가 360도 동일한 넓이를 가진) 을 가진 형태의 모든 모자이다. 예를 들면, 등산모, 신사모, 테니스 모자 등이 있다.
도 4 (a), 도 6 또는 도 4 (b), 도 7 처럼, 모자골격을 배열한 후, 각 모자창 (A) 의 길이를 일정한 길이로 동일하게 해주면, 모자창의 넓이는 전후사방 (360도 ) 동일하게 된다. 모자창 (A)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의 경계점 (M1,2,3 ...) 에 형성되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모자창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각도를 90도로 해주면 수평으로 향하고, 90도 보다 크게 해주면 하방으로 향하고, 90도 보다 작게 해주면 상방으로 향하는 모자창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제 3 변형례는 모자창이 없는 모든 모자 (예: 베레모) 이다.
도 4 (a), 도 6 또는 도 4 (b) 처럼, 모자골격을 배열한 후 각 모자창 (A) 을 제거하고, 모자머리몸체 (B) 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모자머리몸체 (B) 를 베레모 모자형태에 맞게 변형시켜준 후 모자천을 씌워주고, 모자머리몸체 (B) 와 모자천이 접하는 부분을 끼워서, 고정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제 4 변형례는 모자골격만으로 만들어진 모자이다.
도 19 는 모자골격판넬의 구조도이다. 도 19 (a) 는 모자골격판넬의 정면도이다. 도 19 (a) 를 참조하면, 각 모자골격의 모양은 적당한 길이와 넓이를 가진, 부채꼴모양의 판넬형태이며, 모자창 (R), 모자머리몸체 (S) 와 모자뚜껑 (T) 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자뚜껑 (T) 의 끝부분에 한개의 구멍 (T1) 이 있다. 모자머리몸체 (S) 와 모자창 (R) 의 경계선 (R4) 약간 하방 (R3) 의 좌우 변의 모자창 (R) 의 끝 (R1) 약간 상방 (R2) 의 좌우변의 상, 하면에 각각 요철 형태의 HOOK (U1,U2,U3,U4) 가 있다. 모자뚜껑 (T) 과 모자머리몸체 (B) 사이에는 경계선 또는 경계점 (S2) 이 있다. 통풍을 위해 판넬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소정 갯수의 구멍을 만들어줄 수도 있다. 도 19 (b) 는 모자골격판넬의 측면도이다.
도 19 (c) 를 참조하면, 중심축의 각 구멍 (T1) 을 일치시키면서, 각 모자골격판넬을 포갠 후, 구멍 (T1) 에 핀 (PL) 을 꽂아주면, 중심축은 고정됨과 동시에, 각 모자골격판넬은 각각 360도 회전도 된다.
도 19 (d) 를 참조하면, 각 모자골격판넬을 서로 포개어줄 때, U5와 U2, U7와 U4, U9와 U6, U11와 U8의 요철이 서로 맞붙게 포개어 준다.
도 19 (e) 는 제 1 모자골격판넬에서 시작하여, 제 3 모자골격판넬까지 완전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 (e) 를 참조하면, 보관 휴대하기 위한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서로 연결되어 있는 각 판넬의 HOOK 를 풀어준 후, 중심축으로 일치시키면 간편하게 보관, 휴대할 수 있다. 판넬의 재료는 모자의 형태를 최소한 유지시켜줄 수 있는, 가볍고, 유연성, 탄력성 및 햇볕에 대한 반사성의 성질을 가진 모든 플라스틱류, 모든 천 종류, 모든 나무류, 모든 금속류 및 모든 카드보드 (Cardboard) 류이면 다 된다.
도 19 (f) 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를 착용할 수 있도록 완전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 (d) 에서, 중심축 (T1) 을 중심으로 하면서, 제 1 모자골격판넬의 HOOK (U9) 에, 제 2 모자골격판넬의 HOOK (U6) 를, 동일하게 HOOK (U11) 에 HOOK (U8) 을 끼워준다. 이런식으로 반복하여, 제 3 모자골격판넬의 마지막남아있는 HOOK와 제 1 모자골격판넬의 마지막 남아있는 HOOK (U10, U12) 를 끼워주면, 착용할 수 있는 완전 펼쳐진 상태가 된다. 도 19 (g) 는 도 19 (f) 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제 5 변형례는 착탈식 모자천뚜껑 모자이다. 도 16 (a) 에서는 비착탈식 모자천뚜껑 (Q) 을 사용했지만, 여기서는 착탈식 방법을 응용해 본다.
도 20 (a) 는 모자머리뚜껑 (D) 이 노출된 상태도이다.
도 2 (a) , 도 2 (b), 도 10 에서, 모자머리뚜껑 (D) 은 모자천 (A1) (A2) 으로 덮이지 않고, 그냥 노출된 상태다. 모자머리몸체 (B) 상연 약간 상방에 위치한 모자천 (A1) (A2) 상단부분에, 적당한 간격으로 제 2 HOOK (P) 를 부착시킨다.
도 20 (b) 는 모자천뚜껑 (Q) 의 정면도이다. 모자머리뚜껑 (D) 에 맞는 모자천뚜껑 (Q) 을 만들어주고, 꼭지에 리본끈 (R) 을 달아주고, 내면에 제 3 HOOK (P1) 를 달아, 도 20 (a) 의 HOOK (P) 와 붙였다, 뗐다할 수 있게 한다. 머리부위 통풍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뗐다, 붙였다 한다. 땠을 때는 도 20 (c) 처럼, 모자천뚜껑 (Q) 을 묶어, 도 20 (d) 처럼, 리본모양이 되게하여, 모자머리몸체 (B) 에 붙인다.
모자천뚜껑 (Q) 의 재료는 가볍고, 유연하며, 방수처리된 모든 천 종류면 되고, 필요에 따라 각종 장식을 할 수 있다.
도 20 (c) 는 모자천뚜껑 (Q) 을 리본끈 (R) 을 묶을때 뚜껑 (Q) 의 밑면도이고,도 20 (d) 는 모자천뚜껑 (Q) 을 리본끈 (R) 으로 완전히 묶을때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모자이므로, 따로 우산이나 양산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 중에는 항상 두손이 자유롭고, 모자창의 면적이 비를 피하거나, 햇볕을 가리는 데에 충분하기 때문에 비오는 날 또는 햇볕 아래서 평상시와 같이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는 보관 또는 휴대한 상태에서 착용상태로의 전환이 매우 편리하다. 반대로, 착용상태에서, 보관 (휴대) 상태로의 전환 역시 편리하다. 또한, 접었다, 폈다하는 손부채를 완전히 접었을 때의 모양이 되므로 보관하기에 좋고 휴대하고 다니기에도 편리하다. 이와 더불어 모자 천두껑을 착탈식으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머리부분 통풍의 필요여하에 따라 편리하게 뗐다, 붙였다할 수 있다. 뗐을 때는 모자머리 부분에 부착시키면 된다. 그리고, 모자 골격의 길이, 각도 및 형태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어떤 형태의 모자에도 응용하여 상기 여러 효과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모자는 구조가 매우 간단 명료하고 일반적인 재료들을 사용하므로 제조하기에 매우 경제적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20)

  1. 모자의 하부를 이루는 모자창, 상기 모자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몸체 및 상기 모자머리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뚜껑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가 모여 상기 모자의 각 구성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모자머리뚜껑을 형성하는 부분의 끝부위에 한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모자골격;
    상기 다수개의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모자골격의 움직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는 모자천;
    상기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해 상기 모자골격의 개폐부위에 형성되는 HOO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골격은 플라스틱류, 나무류, 천종류, 카드보드류, 또는 금속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천은 가볍고, 유연하고 비닐류, 방수처리된 천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골격을 다수개 포개어 줄때 형성되는 일련의 구멍에 핀을 꽂으면, 상기 모자골격은 상기 구멍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각 모자골격은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을 중심축으로 좌측 수평선에 배치되며 길이가 가장 짧은 제 1 모자골격;
    상기 제 1 모자골격와 90도를 이루며 배치되며 길이가 가장 긴 제 2 모자골격;
    상기 제 2 모자골격과 90도를 이루며 배치되며 길이가 상기 제 1 모자골격과 동일한 제 3 모자골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자골격과 상기 제 2 모자골격 사이에 배치되는 모자골격들은 상기 제 2 모자골격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길어지고, 상기 제 2 모자골격과 상기 제 3 모자골격 사이에 배치되는 모자골격들은 상기 제 3 모자골격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을 중심축으로 좌측 수평선에 상기 제 1 모자골격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자골격과 90도로 상기 제 2 모자골격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자골격과 90도로 상기 제 3 모자골격이 배치되면, 나머지 모자골격들도 일정한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을 중심축으로 상기 제 2 모자골격을 90도 선상에 놓고, 상기 제 1 모자골격을 우측 수평선상으로, 상기 제 3 모자골격을 좌측 수평선상으로 이동시키면 나머지 상기 모자골격들도 일정한 각도로 배열되면서 상기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는 모자천의 내면이 외면으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8. 제 5 항에 있어서,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한 모자골격의 개폐부위가 상기 제 1 모자골격 및 제 3 모자골격에 형성되고, 상기 모자골격의 개폐부위는 상기 모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골격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고,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한 모자골격의 개폐부위는 전후사방 어느 부위에나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머리뚜껑은 상기 모자천으로 덮이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머리몸체 상연 약간 상방에 위치한 상기 모자천 상단부분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제 2 HOOK; 및
    상기 모자머리뚜껑에 맞으며 꼭지에는 리본끈이 달린 모자천뚜껑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자천뚜껑의 내면에는 제 3 HOOK 를 달아 상기 제 2 HOOK 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천뚜껑은 가볍고, 유연하며, 방수처리된 천종류, 비닐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창과 상기 모자머리몸체의 경계점들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4. 모자의 하부를 이루는 모자창, 상기 모자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몸체 및 상기 모자머리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뚜껑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는 다수개가 모여 상기 모자의 각 구성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모자골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모자골격의 모양은 소정의 길이와 넓이를 가지는 부채꼴판넬이고,
    상기 모자뚜껑을 형성하는 부분의 끝부분에는 한 개의 구멍이 있고,
    상기 모자머리몸체를 형성하는 부분과 상기 모자뚜껑을 형성하는 부분의 경계선의 약간 하방의 좌우 변의 상, 하면과 모자창 부분의 끝 약간 상방의 좌우변의 상, 하면에 각각 요철 형태의 HOOK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소정의 갯수의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모자골격판넬을 포갠 후 상기 구멍에 핀을 꽂아주면, 중심축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각 모자골격판넬은 각각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골격판넬은 탄력성 및 햇볕 반사성을 가진 플라스틱류, 나무류, 천종류, 카드보드류, 또는 금속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8. 모자창만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가 모여 상기 모자창을 형성하고, 끝부위에 한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모자골격;
    상기 다수개의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모자골격의 움직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는 모자천;
    상기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해 상기 모자골격의 개폐부위에 형성되는 HOOK를 포함하되,
    상기 모자골격은 상기 모자창이 될 부분만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19. 모자 하부의 앞부분에만 형성된 모자창, 상기 모자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몸체 및 상기 모자머리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자머리뚜껑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가 모여 상기 모자의 각 구성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모자머리뚜껑을 형성하는 부분의 끝부위에 한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모자골격;
    상기 다수개의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모자골격의 움직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는 모자천;
    상기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해 상기 모자골격의 개폐부위에 형성되는 HOOK를 포함하되,
    상기 모자골격은 상기 모자창의 앞부분이 될 부분, 상기 모자머리몸체 및 상기 모자머리뚜껑이 될 부분만으로 구성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20. 모자머리몸체만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가 모여 상기 모자머리몸체를 형성하고, 끝부위에 한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모자골격;
    상기 다수개의 모자골격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모자골격의 움직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는 모자천;
    상기 모자천을 접거나 펴기위해 상기 모자골격의 개폐부위에 형성되는 HOOK를 포함하되,
    상기 모자골격은 상기 모자머리몸체가 될 부분만으로 구성되어 지고 상기 모자머리몸체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KR2020010033626U 2001-11-02 2001-11-02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KR200260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626U KR200260984Y1 (ko) 2001-11-02 2001-11-02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626U KR200260984Y1 (ko) 2001-11-02 2001-11-02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900A Division KR20030036950A (ko) 2001-11-01 2001-11-01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984Y1 true KR200260984Y1 (ko) 2002-01-17

Family

ID=7307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626U KR200260984Y1 (ko) 2001-11-02 2001-11-02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9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697A (ko) 2017-12-12 2019-06-20 민승희 모자와 우산이 결합된 다기능성 모자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697A (ko) 2017-12-12 2019-06-20 민승희 모자와 우산이 결합된 다기능성 모자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645A (en) Sunshade cap with a double layer visor
US5950241A (en) Hat with twist folding brim and drape
US5548846A (en) Headwear with detachable brim
US6256794B1 (en) Foldable sun hat assembly
US10098398B2 (en) Reverse split brim
US9192202B2 (en) Head garment
KR100433963B1 (ko) 모자우산 및 그 제조방법
US7069599B2 (en) Collapsible headgear
US4597400A (en) Umbrella, parasol and the like
WO2005023042A1 (ja) 傘骨構造
US3374488A (en) Collapsible headgear
KR200260984Y1 (ko)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US5802616A (en) Folding hat with stiff surrounding brim
US5987648A (en) Cap for catching balls
US4542757A (en) Umbrella with advertising flag
US20080295222A1 (en) Sun Hat with rigid bill, continuous stitching pattern, tri-sectioned fit feature, and semi-rigid, continuous side protection
US2880424A (en) Turban
KR20030036950A (ko) 우산과 양산의 기능이 결합된 우산 모자
US7036155B2 (en) Hat assembly comprising a carrying member having a selected shape and foldable hat
US7600270B2 (en) Cap with integrated glove
US6389603B1 (en) Covered structure useful as a cap
US20120222188A1 (en) Collapsible Costumes
US5581814A (en) Fur hat
JP2006247149A (ja)
CN205006007U (zh) 可折叠的帽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