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793Y1 -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793Y1
KR200260793Y1 KR2020010030372U KR20010030372U KR200260793Y1 KR 200260793 Y1 KR200260793 Y1 KR 200260793Y1 KR 2020010030372 U KR2020010030372 U KR 2020010030372U KR 20010030372 U KR20010030372 U KR 20010030372U KR 200260793 Y1 KR200260793 Y1 KR 200260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microphone
elastic body
present
patter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to KR2020010030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793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덴서 마이크의 패턴에 탄성체를 접촉시켜 단자로 사용하도록 한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콘덴서 마이크의 제조원가를 낮추고 제품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부에 EMI유니트, FET, 콘덴서를 구비하고, 외부에 전극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패턴으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방에 음향유입공을 구비한 보호재 하방의 상기 두 개의 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체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탄성체가 단자의 역할을 하므로 콘넥터와 결합링이 필요없어, 제품의 높이가 낮고 제조원가가 절감되어 통신기기나 음향기기는 물론 소형기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Condencer Microphone}
본 고안은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 등의 통신기기나 각종 음향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콘덴서 마이크에 보호재와 탄성체가 결합된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나 각종 음향기기 등에는 콘덴서 마이크가 사용되는 바, 이러한 콘덴서 마이크의 대표적인 구조를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덴서 마이크(100)는 내부에 기판(107)과 ECM유니트(104), FET(105), 콘덴서(106)가 설치되고 일측에 음성을 유입시키는 유입공(102)이 형성된 케이스(101)와, 상기 유입공(102)이 형성된 면에 부착되어 이물질과 잡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직포(103)와, 상기 기판(107) 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사용되는 패턴(108)과, 상기 케이스(101)를 수용하며 패턴(108)과 접촉 연결되는 단자(110)가 형성된 콘넥터(109)와, 합성수지재로 되며 콘넥터(109)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결합링(111)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콘덴서 마이크(100)는 기기의 조립과정에서 단자(110)와 PCB(112)의 접점(113)을 접촉시키면, 콘덴서 마이크(100)와 PCB(112)의 회로가 연결되어 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콘덴서 마이크(100)는 PCB(112)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콘넥터(109)와 결합링(111)이 필요하므로, 제품의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구입비용의 부담이 크게 되며, 콘넥터(109)와 결합링(111)에 의해 제품의 높이(H)가 높아지므로, 소형기기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부득이 고가인 초소형 콘덴서 마이크를 구입 사용해야 되어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덴서 마이크와 PCB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도록 한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콘덴서 마이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콘덴서 마이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덴서 마이크 11 : 케이스 12 : 음향유입공 13 : 부직포
14 : ECM유니트 15 : 콘덴서 16 : FET 17 : 기판
18 : 패턴 19 : 탄성체 19a,19b : 코일스프링 19c : 바
20 : 보호재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부에 EMI유니트, FET, 콘덴서를 구비하고, 외부에 전극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패턴으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방에 음향유입공을 구비한 보호재 하방의 상기 두 개의 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체를 설치하여서 된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를 제안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탄성체가 단자의 역할을 하므로 콘넥터와 결합링이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높이가 낮고 제조원가가 절감되어 통신기기나 음향기기는 물론 소형기기에도 적은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콘덴서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11)의 내부에 기판(17)이 설치되고, 이 기판(17)에 EMI유니트(14), FET(16), 콘덴서(15)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판(17) 상에 전극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패턴(18)으로 구성된 공지의 콘덴서 마이크에 있어서, 상방에 음향유입공(12)을 구비한 보호재(20)의 하방에 위치한 상기 두 개의 패턴(18)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체(19)를 설치하여 PCB(24)의 패턴(24a)과 케이스(11) 내부의 패턴(18)에 각각 접속되게 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 탄성체(19)는 코일스프링(19a)으로 형성한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탄성체(19)를 상방의 직경이 하방의 직경보다 넓은 코일스프링(19b)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아울러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탄성체(19)를 도전성 고무로 된 바(19c)의 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첨부한 도면의 미설명 부호 10은 본 고안에 의한 콘덴서 마이크이고, 13은 이물질과 잡음이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직포이며, 20a는 PCB(24)의 패턴(24a)과 케이스(11) 내부의 패턴(18)에 접촉되는 탄성체(19)가 삽입되는 통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도 2로 보인 콘덴서 마이크(10)를 통신기기나 각종 음향기기의 내부 일측에 부착시키고 PCB(24)의 패턴(24a)과 접촉되도록 조립하면, 탄성체(19)가 압축되면서 일측은 PCB(24)의 패턴(24a)에 접촉되고 타측은 케이스(11) 내부의 패턴(18)에 접촉되어, 콘덴서 마이크(10)가 PCB(24)에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의 콘덴서 마이크의 필수 구성요소인 콘넥터 와 결합링의 역할을 상기 탄성체(19)가 하게 되므로, 콘넥터 및 결합링이 필요없게 되어 그 높이(h)가 종래 콘덴서 마이크의 높이(도 1의 H)보다 현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통신기기나 각종 음향기기는 물론 소형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탄성체(19)를 코일스프링(19a)으로 할 수 있으며, 탄성이 우수하여 가장 실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9)의 상방 직경이 하방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코일스프링(19b)으로 형성하여 안정된 조립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로 인해 PCB(24)의 패턴(24a) 및 케이스(11) 내부의 패턴(18)과 접촉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4으로 보인 바와 상기 탄성체(19)를 도전성 고무로 된 바(19c)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PCB(24)의 패턴(24a) 및 케이스(11) 내부의 패턴(18)에 접촉되는 부위가 넓어지게 되어 더욱 안정된 도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형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를 형성함에 있어 탄성체가 단자역할을 하도록 한 것으로, 콘넥터 및 결합링이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저가의 것을 소형화 된 통신기기나 각종 음향기기에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낮출수 있게 되면서도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품질 개선에 기여 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스(11) 내부에 EMI유니트(14), FET(16), 콘덴서(15)를 구비하고, 외부에 전극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패턴(18)으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방에 음향유입공(12)을 구비한 보호재(20) 하방의 상기 두 개의 패턴(18)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체(19)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9)를 코일스프링(19a)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9)는 상방 직경이 하방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코일스프링(19b)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9)를 도전성 고무로 된 바(19c)의 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KR2020010030372U 2001-10-05 2001-10-05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KR200260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72U KR200260793Y1 (ko) 2001-10-05 2001-10-05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72U KR200260793Y1 (ko) 2001-10-05 2001-10-05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793Y1 true KR200260793Y1 (ko) 2002-01-17

Family

ID=7310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72U KR200260793Y1 (ko) 2001-10-05 2001-10-05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7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849B1 (ko)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 단말기
US7697707B2 (en) Capacitor microphone unit
EP1699258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holder
KR200410785Y1 (ko) 콘덴서 마이크로폰
KR200260793Y1 (ko) 콘덴서 마이크 조립체
US6961437B2 (en) Capacitor microphone
KR100401243B1 (ko) 콘덴서 마이크
JP3556592B2 (ja) 振動部品用コネクタ
KR200257882Y1 (ko) 콘덴서 마이크
KR101116270B1 (ko) 노이즈 감소를 위한 그라운드를 갖는 마이크로폰
JP3306821B2 (ja) 携帯電話機
KR100466403B1 (ko) 제품과의 접속을 위한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구조
KR100279702B1 (ko) 표면실장형 초소형 음향 변환기_
KR100676104B1 (ko) Smd용 콘덴서 마이크로폰 소켓
KR1006171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KR200310591Y1 (ko) 콘덴서 마이크로폰용 인쇄회로기판 구조
KR200233032Y1 (ko) 마이크로폰
EP1107642A2 (en) Condenser microphone
KR100406256B1 (ko) 전기적 접촉을 위한 돌출부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마이크로폰 및 그의 연결 방법
KR200235869Y1 (ko) 마이크로폰의 노이즈유입방지구조
KR200282644Y1 (ko) 표면실장형 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0720839B1 (ko) 가연인쇄회로기판
JP2003037884A (ja) マイクロホンホルダ
KR2003146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와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단자
KR200290556Y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전자제품과 다목적 부저와의 전기적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