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15Y1 - 머리빗 - Google Patents

머리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15Y1
KR200260215Y1 KR2020010021981U KR20010021981U KR200260215Y1 KR 200260215 Y1 KR200260215 Y1 KR 200260215Y1 KR 2020010021981 U KR2020010021981 U KR 2020010021981U KR 20010021981 U KR20010021981 U KR 20010021981U KR 200260215 Y1 KR200260215 Y1 KR 200260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mb
liquid outlet
hai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평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전자(주) filed Critical 평화전자(주)
Priority to KR2020010021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15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살의 유출공으로 액체상태의 젤, 무스가 유출되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머리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으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을 통해 유출공을 차단함으로써 젤, 무스 등에 의해 끈적거림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머리빗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상태의 젤, 무스 등을 신축성 소재의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빗살의 유출공으로 유출되게 함으로써, 머리카락을 빗음과 동시에 젤, 무스 등을 바를 수가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으로 빗살의 유출공을 차단함으로써 젤, 무스 등의 사용으로 인해 빗살이 끈적거리거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하는 머리스타일을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는 머리빗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설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빗살이 돌출된 머리부로 구성되는 머리빗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를 신축성 소재로 구비하되 내부에 소정의 액체를 저장하고 일측에 액체를 충전시키는 마개(12)가 나사결합된 액체저장실과(11); 상기 액체저장실(11)로 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액체유출로(21)와; 상기 액체유출로(21)에 유동하는 액체가 소정의 외압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빗살(22)의 일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소정 형상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과; 상기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을 차단하여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과;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이 탄성회동을 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손잡이(10)의 일단에 연결된 다수개의 스프링(36)과; 상기 머리부(20) 상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25a,25b)에 탄성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상부에 구비된 소정형상의 고정구(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은, 상기 머리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소정깊이의 안내홈(24)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측에 소정길이 만큼 돌출된 안내레일(34)이 구비된 관형의 형상인 몸체부(33)와; 상기 몸체부(33)의 상부에 상기 고정구(35)가 구비됨과 아울러, 저부에 상기 몸체부(33)의 이동시 상기 빗살(22)에 걸리지 않도록 소정길이 만큼 개구된 다수개의 이동홀(31)과; 상기 다수개의 이동홀(31) 일단으로 부터 상기 다수개의 빗살(22)을 감싸도록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Description

머리빗{A comb}
본 고안은 머리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살의 유출공으로 액체상태의 젤, 무스가 유출되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머리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으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을 통해 유출공을 차단함으로써 젤, 무스 등에 의해 끈적거림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머리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기구의 하나인 머리빗은 남녀노소가 머리 카락의 단정한 정리를 위하여 사용되며,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와 본체에 다수의 빗살이 돌설된 머리부가 단순히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거나 휴대를 간편/용이하게 본체에 다수의 빗살이 돌설된 머리부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모발 관리를 위해 모발에 바르는 젤, 모발, 영양 크림, 모발 스프레이, 무스, 모발 염색 약품 등의 모발 관리액을 종래에는 머리 카락에 바르기 위해서 머리빗의 빗살에 묻힌 후 머리 카락을 빗으면서 모발에 바르거나, 손바닥에 덜어서 손바닥으로 머리 카락에 바른 후에 머리빗으로 빗질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또는, 모발 관리액을 내장한 스프레이로 머리 카락에 분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모발 관리액을 빗에 묻히거나 손바닥에 덜어 머리 카락에 묻히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손바닥에 남아 있는 모발 관리액을 물로 씻어내야 하는 불편함 뿐만 아니라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아울러, 머리 카락에 분사하여 사용하는 스프레이는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하며 잘못 분사하면 눈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예로서 실용신안출원 제1999-23201호(출원일:1997년 12월 04일)의 '머리빗'이 제시되었는데, 상기의 머리빗은 머리부에 모발관리액이 내장되는 내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내장실에 연통된 빗살의 양측에 다수개의 액상유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빗살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머리빗은 머리카락을 빗음과 동시에 무스 또는 젤 등을 바를 수가 있었지만, 사용 후에 상기 빗살에 무스 또는 젤 등의 잔여물이 남아 이물질이 빗살에 붙어 머리빗을 청결하게 관리하지 못하였다.
또한, 잔여물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굳어짐으써 상기 액상유출공을 차단하여 재 사용시 무스 또는 젤 등이 원활하게 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상태의 젤, 무스 등을 신축성 소재의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빗살의 유출공으로 유출되게 함으로써, 머리카락을 빗음과 동시에 젤, 무스 등을 바를 수가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으로 빗살의 유출공을 차단함으로써 젤, 무스 등의 사용으로 인해 빗살이 끈적거리거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하는 머리스타일을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는 머리빗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설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빗살이 돌출된 머리부로 구성되는 머리빗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를 신축성 소재로 구비하되 내부에 소정의 액체를 저장하고 일측에 액체를 충전시키는 마개(12)가 나사결합된 액체저장실과(11); 상기 액체저장실(11)로 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액체유출로(21)와; 상기 액체유출로(21)에 유동하는 액체가 소정의 외압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빗살(22)의 일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소정 형상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과; 상기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을 차단하여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과;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이 탄성회동을 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손잡이(10)의 일단에 연결된 다수개의 스프링(36)과; 상기 머리부(20) 상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25a,25b)에 탄성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상부에 구비된 소정형상의 고정구(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은, 상기 머리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소정깊이의 안내홈(24)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측에 소정길이 만큼 돌출된 안내레일(34)이 구비된 관형의 형상인 몸체부(33)와; 상기 몸체부(33)의 상부에 상기 고정구(35)가 구비됨과 아울러, 저부에 상기 몸체부(33)의 이동시 상기 빗살(22)에 걸리지 않도록 소정길이 만큼 개구된 다수개의 이동홀(31)과; 상기 다수개의 이동홀(31) 일단으로 부터 상기 다수개의 빗살(22)을 감싸도록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빗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종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빗을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빗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출공 차단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 11 : 액체저장실
12 : 마개 20 : 머리부
21 : 액체저장실 22 : 빗살
23 : 액체유출공 24 : 안내홈
25a,25b : 고정홈 30 : 액체유출공 차단수단
31 : 이동홀 32 : 차단부재
33 : 몸체부 34 : 안내레일
35 : 고정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머리빗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빗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종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빗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빗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유출공 차단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머리빗은 손잡이(10)를 신축성 소재로 구비하되 내부에 액체(젤,무스 등)를 저장하고 일측에 액체를 충전시키는 마개(12)가 나사결합된 액체저장실과(11), 상기 액체저장실(11)로 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머리부(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액체유출로(21)와, 상기 액체유출로(21)에 유동하는 액체가 소정의 외압에 의해 다수개의 빗살(22)의 일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소정 형상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과, 상기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을 차단하여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과,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이 탄성회동을 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손잡이(10)의 일단에 연결된 스프링(36)과, 상기 머리부(20) 상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25a,25b)에 탄성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상부에 구비된 소정형상의 고정구(35)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0)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액체저장실(11)에 저장된 액체(젤,무스 등)가 상기 머리부(20)의액체유출로(21)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액체저장실(11)의 내부에 젤, 무스 등의 액체가 소진되면, 상기 마개(12)를 통해 충전한다.
상기 고정구(35)는 하부가 개구된 요철(凸)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의 돌출부를 누르게 되면 개구된 하부의 양측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다수개의 고정홈(25a,25b)으로 부터 이탈되어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을 움직일 수 있게된다.
이에, 상기 고정구(35)는 탄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소정의 힘에 의해 쉽게 상기 다수개의 고정홈(25a,25b)으로 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연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은, 상기 머리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소정깊이의 안내홈(24)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측에 소정길이 만큼 돌출된 안내레일(34)이 구비된 관형의 형상인 몸체부(33)와, 상기 몸체부(33)의 상부에 상기 고정구(35)가 구비됨과 아울러, 저부에 상기 몸체부(33)의 이동시 상기 빗살(22)에 걸리지 않도록 소정길이 만큼 개구된 다수개의 이동홀(31)과, 상기 다수개의 이동홀(31) 일단으로 부터 상기 다수개의 빗살(22)을 감싸도록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빗살(22)과 상기 빗살(22)의 일측을 감싸는 상기 차단부재(32)는 곡선형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 하며, 상기 스프링(36)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사용 순서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손잡이(10)에 나사결합된 마개(12)를 개봉한 후, 무스 또는 젤을 액체저장실(11)에 충전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머리부(2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고정구(35)의 상부를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홈(25a)로 부터 이탈시키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을 상기 손잡이(10) 방향으로 당긴다.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이동은 내측에 형성된 안내레일(34)이 상기 머리부(20)의 안내홈(24)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힘을 가했던 상기 고정구(35) 상부를 놓게 되면 고정홈(25b)에 삽입/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과 상기 손잡이(10) 사이에는 다수개의 스프링(36)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36)이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이 저장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를 손으로 압착하게 되면, 상기 액체저장실(11)의 무스 및 젤이 상기 머리부(20)의 액체유출로(21)를 통해 빗살(22)에 구비된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으로 분출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0)는 압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분출되는 액체가 상기 빗살(22)의 일측면에 충분히 도포될 정도로 상기 손잡이(10)를 압착하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상기 빗살(22)과 차단부재(32)의사이에 위치한 다음,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구(35)의 상부를 다시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홈(25b)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스프링(36)에 저장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이 상기 안내홈(24)을 따라 처음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차단부재(32)가 머리카락을 상기 빗살(22)에 밀착시키게 되어 젤 또는 무스가 머리카락에 도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은 고정홈(25a,25b)은 길이방향으로 넓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35)가 일측의 고정홈(25a)에 삽입되면 상기 차단부재(32)가 상기 빗살(2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타측의 고정홈(25b)에 삽입되면 상기 차단부재(32)가 상기 빗살(22)에 밀착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하고, 특히 젤이나 무스를 특정부분에 세밀하게 도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젤이나 무스 등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을 상기 빗살(22)을 감싸도록 밀착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빗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도 유출된 젤이나 무스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빗살(22)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액체상태의 젤, 무스등을 내장한 신축성 소재의 손잡이부의 가압함에 따라 빗살의 유출공으로 유출되게 함으로써, 젤, 무스 등을 빗살에 묻혀서 머리카락에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머리카락을 빗음과 동시에 젤, 무스 등을 바를 수가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액체유출공 차단수단을 구비하여 빗살의 유출공을 차단함으로써 젤, 무스 등의 사용으로 인해 빗살이 끈적거리지 않도록 사용할 수 있어 이물질이 빗살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여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설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빗살이 돌출된 머리부로 구성되는 머리빗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를 신축성 소재로 구비하되 내부에 소정의 액체를 저장하고 일측에 액체를 충전시키는 마개(12)가 나사결합된 액체저장실과(11);
    상기 액체저장실(11)로 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액체유출로(21)와;
    상기 액체유출로(21)에 유동하는 액체가 소정의 외압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빗살(22)의 일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소정 형상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과;
    상기 다수개의 액체유출공(23)을 차단하여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과;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이 탄성회동을 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손잡이(10)의 일단에 연결된 다수개의 스프링(36)과;
    상기 머리부(20) 상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25a,25b)에 탄성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의 상부에 구비된 소정형상의 고정구(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빗.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출공 차단수단(30)은,
    상기 머리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소정깊이의 안내홈(24)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측에 소정길이 만큼 돌출된 안내레일(34)이 구비된 관형의 형상인 몸체부(33)와;
    상기 몸체부(33)의 상부에 상기 고정구(35)가 구비됨과 아울러, 저부에 상기 몸체부(33)의 이동시 상기 빗살(22)에 걸리지 않도록 소정길이 만큼 개구된 다수개의 이동홀(31)과;
    상기 다수개의 이동홀(31) 일단으로 부터 상기 다수개의 빗살(22)을 감싸도록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빗.
KR2020010021981U 2001-07-20 2001-07-20 머리빗 KR200260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81U KR200260215Y1 (ko) 2001-07-20 2001-07-20 머리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81U KR200260215Y1 (ko) 2001-07-20 2001-07-20 머리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15Y1 true KR200260215Y1 (ko) 2002-01-10

Family

ID=7310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981U KR200260215Y1 (ko) 2001-07-20 2001-07-20 머리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333B2 (en) Application member,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4090522A (en) Medicated comb for dandruff and other hair and scalp diseases
US3406694A (en) Combination hairbrush-applicator
US6213129B1 (en) Cradle cap kit
US7261108B2 (en) Liquid dispensing comb
CN107404988B (zh) 可涂敷液体的头皮护理容器用盖
US20080210251A1 (en) Liquid Dispensing Comb and Brush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ES2576183T3 (es) Dispositivo para aplicar en mechas un producto capilar
KR100822269B1 (ko) 매니큐어
US5000199A (en) Arrangement for applying a foam-type hair care lotion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KR102219425B1 (ko) 헤어스타일링 및 헤어케어용 헤어브러쉬
JP2004538071A (ja) マニキュア
KR200260215Y1 (ko) 머리빗
US66723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to hair or scalp
JP5652796B1 (ja) 薬液塗布用具
US20040261808A1 (en) Brush dispensing aplicator device
KR102111364B1 (ko) 헤어스타일링용 헤어브러쉬
JP2002065339A (ja) 塗布具付きの頭髪化粧用中空容器
US20030002913A1 (en) Automatic applicator brush
KR200437385Y1 (ko) 샴푸마사지기구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샴푸마사지기구
KR200169580Y1 (ko) 머리빗
JP2016059432A (ja) 液塗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