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178Y1 - Physical distribution box - Google Patents

Physical distribution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178Y1
KR200260178Y1 KR2019990006856U KR19990006856U KR200260178Y1 KR 200260178 Y1 KR200260178 Y1 KR 200260178Y1 KR 2019990006856 U KR2019990006856 U KR 2019990006856U KR 19990006856 U KR19990006856 U KR 19990006856U KR 200260178 Y1 KR200260178 Y1 KR 200260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oading
reinforcing
wall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8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9981U (en
Inventor
윤선영
Original Assignee
윤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영 filed Critical 윤선영
Priority to KR2019990006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178Y1/en
Publication of KR20000019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98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178Y1/en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을 수납 운반 및 보관하는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될 수 있음과 아울러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 위에 안착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측 상자와 하측 상자를 같은 방향으로 적재할 경우에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어 상자를 보관하는 데 필용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상측 상자와 하측 상자의 방향을 달리할 경우에는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하측 상자의 상단부에 걸쳐진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and storing various items, and in particular, the upper box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box and stacked in a stacked state, and the upper box can be loaded with the upper box seated on the lower box. The upper box and the lower box are inser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box to be stacked and stacked so as to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storing the box. In the case where the upper box and the lower box are different in direction,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of the upper box can be stacked while being stacked over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x.

Description

물류용 상자{PHYSICAL DISTRIBUTION BOX}Logistic Box {PHYSICAL DISTRIBUTION BOX}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을 수납 운반 및 보관하는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될 수 있음과 아울러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 위에 안착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and storing various items, and in particular, the upper box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box and stacked in a stacked state, and the upper box can be loaded with the upper box seated on the lower box. It is about a logistics box.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을 운반 및 보관함에 있어서는 상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자는 여러 종류의 것이 있다.Generally, a box is used to transport and store various items, and there are many kinds of such box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자는 물품이 수납 경우에는 물론 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얹혀진 상태로 적재되기 때문에 상자를 보관하는 데 많은 공간을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ox h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space is required for storing the box because the upper box is load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box is placed on the lower box even when the article is not stored.

또한 종래에도 상자의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상자가 포개질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상자는 포개질 수는 있으나 적재되지는 못하는 것이어서 다수개의 상자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로 적재할 때 상측 상자와 이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이 하측 상자에 수납된 물품에 그대로 가해지게 되어 하측 상자에 수납된 물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lthough the upper end of the box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with a narrow bottom, a plurality of boxes can be stacked, but such a conventional box can be stacked, but can not be stacked to store the goods in a plurality of boxes When loading in one state, the load of the upper box and the article stored therein is applied to the article stored in the lower box as i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ticle stored in the lower box is damag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얹혀진 상태로 적재되어 상측 상자의 하중에 의한 하측 상자에 수납된 물품의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삽입된 상태로 적재되어 적재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상자의 보관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물류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pper box is placed in the lower box in the state in which the article is stored, and the upper box in the state where the article is not stored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article stored in the lower box by the load of the upper box.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ogistics box that can be loaded with the box inserted in the lower box to lower the stacking height,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storage space of the box.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품의 가장자리가 전후면벽과 좌우측벽의 내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수납된 경우에도 물품을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한 물류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 box that allows the article to be easily removed even when the edge of the article is sto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상자를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한 상태에서 상측 상자를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한 물류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 box which allows a plurality of boxes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upper box when the upper box is inserted into the lower box and stack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상자를 적재하였을 때 하측 상자의 벽체 상단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 물류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gistic box that prevents the top of the wall of the lower box from spreading out when a plurality of boxes are loaded.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물류용 상자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1 to 6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도 2는 저면도.2 is a bottom view.

도 3은 종단 측면도.3 is a longitudinal side view.

도 4는 종단 정면도.4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도 5는 적재 상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ading state.

도 6은 포갠 상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ested state;

도 7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물류용 상자의 제2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7 to 14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도 8은 평면도.8 is a plan view.

도 9는 저면도.9 is a bottom view.

도 10은 도 8의 A-A선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11은 도 8의 B-B선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8. FIG.

도 12는 적재 상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aded state.

도 13은 적재 상태 종단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13 is a loaded state end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도 14는 포갠 상태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ested state.

도 15 내지 도 19는 본 고안에 의한 물류용 상자의 제3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15 to 19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도 16은 정면도.16 is a front view.

도 17은 도 16의 C-C선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 18은 적재 상태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aded state.

도 19는 포갠 상태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sted stat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21,31 : 수납공간 12,22,32 : 바닥판11,21,31: Storage space 12,22,32: Bottom plate

13,14,23,24 : 전후면벽 15,16,25,26 : 좌우측벽13,14,23,24: front and rear walls 15,16,25,26: left and right walls

13a,14a,15a,16a,23a,24a,25a,26a,33a : 플랜지부13a, 14a, 15a, 16a, 23a, 24a, 25a, 26a, 33a: flange portion

13b,14b,23d,24d,33d : 적재용 걸림홈13b, 14b, 23d, 24d, 33d: Hanging groove for loading

15b,16b,23b,24b,33b :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 16b, 23b, 24b, 33b: Reinforcement and loading stone

15c,16c,23c,24c,33c : 요홈 17,27,34 : 삽입규제돌기15c, 16c, 23c, 24c, 33c: Groove 17,27,34: Insertion restriction projection

23e,24e : 하향 돌출부 23f,24f : 요입부23e, 24e: downward protrusion 23f, 24f: recessed part

23g,24g : 상단부 23h,24h : 하단부23g, 24g: Upper part 23h, 24h: Lower part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과 전후면벽 및 좌우측벽에 의하여 내부에 횡단면이 정방형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벽과 좌우측벽은 그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좌우측벽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 다수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형성되고 좌우측벽의 내면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상자에 있어서,상기 전후면벽의 상단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is formed therein by a bottom plate, front and rear walls,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It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lower side, and a plurality of tapered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that narrow toward the lower side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reinforcing and loading of the boxes stacked on the upper s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n the box in which the groov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x, Logistics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wall is formed with a loading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of the box to be loaded on the upper part is fitted Is provided.

상기 좌우측벽의 내면에 형성되는 요홈중 적어도 중간부의 하나의 요홈이 그 폭을 나머지 요홈들보다 넓게 형성되어 손가락 삽입홈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One groove of at least the middle portion of th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s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other grooves to be used as the finger insertion groove.

상기 바닥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바닥판 밑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다리부가 돌출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과 전후면벽 및 좌우측벽에 의하여 내부에 횡단면이 장방형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벽과 좌우측벽은 그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면벽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 다수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형성되고 전후면벽의 내면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상자에 있어서,상기 전후면벽의 상단에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대해 180°회전된 상태로 적재되었을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storage spac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side is formed by the bottom plate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are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fron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back walls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apered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that become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is used for the reinforcement and stacking of the boxes stacked on the upper side. A box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which a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wall is loaded with a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boxes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of the upper box when the upper box is loaded while being rotated 180 °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There is provided a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에는 전후면벽의 외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어 전후면벽의 외면과의 사이에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용 걸림홈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향 돌출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downward projections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 and a recess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 and the locking groove has a stepped shape with a high inner side and a low outer sid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ownward protrusion.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과 주벽에 의하여 내부에 횡단면이 원형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주벽은 그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주벽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 다수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형성되고 주벽의 내면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상자에 있어서,상기 주벽의 상단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side is formed by the bottom plate and the main wall, the main wall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wall is formed a plurality of tapered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s narr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wall is formed in the box is formed grooves into which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s of the box to be loaded on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In the above,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provided with a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ing engaging groove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of the box to be stacked on top.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물류용 상자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ogistics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을 평면 형상이 정방형(正方形)인 상자에 적용한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이다.1 to 6 show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ox in which the plane shape is square.

본 실시례에 의한 물류용 상자(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12)과 전후면벽(13,14) 및 좌우측벽(15,16)에 의하여 그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Logistic box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storage space (inside) by the bottom plate 12, front and rear walls (13, 14) and left and right walls (15, 16) 11) is formed.

상기 바닥판(12)에는 다수개의 통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2)의 밑면에는 보강리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례에서는 보강리브(12b)가 격자상(格子狀)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a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12. Reinforcing ribs 12b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2.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although the reinforcing rib 12b is formed in grid | lattice form,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상기 바닥판(12)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상자를 바닥에 놓았을 때 그 밑면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여 그 밑면과 바닥 사이의 틈새와 상기 통공(12a)을 통해 수납공간(11)에 공기가 통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받침다리부(12c)가 형성되어 있다.When the box is placed on the floor, the bottom edge of the bottom plate 12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air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ottom and the bottom and the through hole 12a.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12c are formed to allow aeration.

상기 전후면벽(13,14)과 좌우측벽(15,16)의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taper)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빈 상자들을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11)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13 and 1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are formed in a taper shap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placed in the upper box. 11) It is inserted in the stack so that it can be stacked.

상기 전후면벽(13,14)과 좌우측벽(15,16)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13a,14a), (15a,16a)가 형성되어 취급 시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Flange portions 13a, 14a, 15a, 16a are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face walls 13 and 1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so that they can be used as handles for handling.

상기 좌우측벽(15,16)의 외면에는 다수개(도시례에서는 3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각 상하 방향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가 삽입되는 요홈(15c,16c)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a plurality of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15b and 16b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The grooves 15c and 16c into which the 15b and 16b are inserted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는 그 하단이 좌우측벽(15,16)의 하단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15b and 16b are formed such that their lower ends are located slightly higher than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는 상단이 넓고 높으며 하단이 좁고 낮게 형성되고, 요홈(15c,16c)도 상단이 넓고 깊으며 하단이 좁고 얕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빈 상자들을 포개진 상태로 적재할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가 하측 상자의 요홈(15c,16c)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15b and 16b have a wide top and a high bottom and a narrow and low bottom, and the grooves 15c and 16c also have a wide top and a deep bottom and a narrow and shallow bottom so that a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When loading,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15b and 16b of the upper box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15c and 16c of the lower box.

상기 요홈(15c,16c)중 중간에 위치한 요홈은 다른 요홈들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수납된 물품의 가장자리가 전후면벽(13,14)과 좌우측벽(15,16)의 내면에 거의 틈새 없이 밀착되는 경우 손가락을 삽입하여 물품(예컨대 달걀이 담긴 에그 크레이트(egg crate))의 가장자리를 잡아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groov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grooves 15c and 16c has a width wider than other grooves so that the edges of the stored items adhere closely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13 and 14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15 and 16. If possible, a finger can be inserted to grasp the edge of the article (eg, an egg crate).

상기 전후면벽(13,14)의 플랜지부(13a,14a) 상면에는 상측 상자를 하측 상자에 대하여 수평으로 90°돌려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 하단이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13b,14b)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s 13a, 14a of the front and rear face walls 13, 14, when the upper box is loaded 90 degre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15b, 16b of the upper box are fitted. Loading latching grooves 13b and 14b are formed.

즉,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와 적재용 걸림홈(13b,14b)은, 하측 상자의 전면벽(13)과 후면벽(14)에 각각 상측 상자의 좌측벽(15)(또는 우측벽(16))과 우측벽(16)(또는 좌측벽(15))이 얹혀지는 상태로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의 좌측벽(15)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또는 우측벽(16)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6b))와 우측벽(16)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6b)(또는 좌측벽(15)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가 각각 하측 상자의 전면벽(13)의 적재용 걸림홈(13b)(또는 후면벽(14)의 적재용 걸림홈(14b))에 끼워져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이다.That is,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15b and 16b and the stacking catching grooves 13b and 14b are formed on the front wall 13 and the rear wall 14 of the lower box, respectively, on the left wall 15 of the upper box (or When the right side wall 16 and the right side wall 16 (or the left side wall 15) are loaded,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15b of the left side wall 15 of the upper box (or the right side wall)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16b of 16) and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16b of the right side wall 16 (or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15b of left side wall 15) respectively. It is arranged so as to fit in and hang on the loading locking groove 13b of the wall 13 (or the loading locking groove 14b of the rear wall 14).

또한 상기 전면벽(13)과 좌우측벽(15,16)의 경계부와 후면벽(14)과 좌우측벽(15,16)의 경계부에는 다수개의 빈 상자를 적재할 때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11)에 삽입되는 깊이를 규제하기 위한 삽입규제돌기(1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wall 1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wall 1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an upper box is a storage space of a lower box when a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An insertion restricting projection 17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epth of insertion 11.

상기 삽입규제돌기(17)는 반드시 상기 경사부에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전후면벽(13,14)와 좌우측벽(15,16)의 외면이나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의 외면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insertion restricting protrusion 17 is not necessarily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bu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13 and 1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or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15b and 16b. It can be formed.

이하, 본 실시례에 의한 물류용 상자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다수개의 상자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측 상자(10A)를 하측 상자(10B)에 대하여 수평으로 90°회전시킨 상태로 적재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상자(10B)의 전면벽(13)과 후면벽(14)에 상측 상자(10A)의 좌측벽(15)과우측벽(16)이 대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측 상자(10A)의 좌우측벽(15,16)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의 하단이 하측 상자(10B)의 플랜지부(13a,14a)에 형성된 적재용 걸림홈(13b,14b)에 끼워져 걸리게 되어 상측 상자(10A)가 하측 상자(10B)의 수납공간(11)에 삽입되지 않고 상단에 걸쳐진 상태로 적재된다.First, in the case of stacking a plurality of boxes, when the upper box 10A is loaded while being rotated by 90 °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10B, the front wall of the lower box 10B as shown in FIG. 13 and the rear wall 14 correspond to the left side wall 15 and the right side wall 16 of the upper box 10A, and thus the reinforcement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of the upper box 10A. The lower end of the double stacking protrusions 15b and 16b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s 13b and 14b formed in the flange portions 13a and 14a of the lower box 10B, so that the upper box 10A is lowered to the lower box 10B. It is loaded in the state spanning the upper end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

따라서 상하측 상자(10A,10B)에 달걀과 같은 깨지기 쉬운 물품을 수납하였을 때 상측 상자(10A)와 이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이 하측 상자(10B)에 수납된 물품에 작용하지 않게 되어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fragile article such as an egg is stored in the upper and lower boxes 10A and 10B, the load of the upper box 10A and the articles stored therein do not act on the articles stored in the lower box 10B, thereby damaging the article. Will be able to prevent.

이때 상기 상측 상자(10A)는 그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의 하단가 하측 상자(10B)의 적재용 걸림홈(13b,14b)에 끼워진 상태로 되므로 상하측 상자(10A,10B)가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적재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box (10A) is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15b, 16b) is fitted into the loading locking grooves (13b, 14b) of the lower box (10B), the upper and lower boxes (10A, 10B) It is loaded in a stable state without shaking.

또한 수납공간(11)에 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바닥에 놓으면 받침다리부(12c)에 의하여 바닥판(12)의 밑면이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바닥과 바닥판(12)의 밑면의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생기게 되고, 상기 틈새와 통공(12a)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수납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In addition, when the articl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on the floor,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2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support leg 12c,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2 There is a predetermined gap in the state,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11 through the gap and the through hole (12a).

따라서 수납공간(11)에 수납된 물품이 공기와 접하게 되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is in contact with the air will be a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또한 가장자리가 전후면벽(13,14)과 좌우측벽(15,16)의 내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수납공간(11)에 수납된 물품을 꺼낼 경우 좌우측벽(15,16)의 내면에 형성된 요홈(15c,16c)중 넓게 형성된 중간의 요홈부(15c,16c)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상품의 가장자리를 쉽게 잡음으로써 수납된 물품을 손쉽게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when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is taken out while the edges are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13 and 1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By inserting a finger through the recesses 15c and 16c which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wider ones 15c and 16c, the stored goods can be easily taken out by easily grasping the edge of the product.

한편, 다수개의 빈 상자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측 상자(10A)와 하측 상자(10B)를 같은 방향으로 하여 적재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상자(10A)가 하측 상자(10B)의 수납공간(11)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in a stacked state, when the upper box 10A and the lower box 10B are stacked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upper box 10A is the lower box ( It is inserted in the storage space 11 of 10B, and it is loaded in a superimposed state.

이때 상측 상자(10A)의 좌우측벽(15,16)의 외면에 형성된 보강 겸 적재용 돌조(15b,16b)는 하측 상자(10B)의 좌우측벽(15,16)의 내면에 형성된 요홈(15c,16c)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15b and 16b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of the upper box 10A have grooves 15c, which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of the lower box 10B. Inserted into 16c).

따라서 다수개의 빈 상자를 적재하여 보관하는 경우 적재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상자의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storing a large number of empty boxes can be lowered the stacking height can be greatly reduced the space required for storage of the box.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상자(10A)의 전면벽(13)과 좌우측벽(15,16)의 경계부와 후면벽(14)과 좌우측벽(15,16)의 경계부에 형성된 삽입규제돌기(17)가 하측 상자(10B)의 전면벽(13)과 좌우측벽(15,16)의 플랜지부(13a), (15a,16a)의 경계부와 후면벽(14)과 좌우측벽(15,16)의 플랜지부(14a), (15a,16a)의 경계부에 걸리게 되어 상측 상자(10A)가 하측 상자(10B)의 수납공간(1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상하측 상자(10A,10B)의 플랜지부(13a,14a), (15a,16a)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정도로 포개지게 되어 상측 상자(10A)를 하측 상자(10B)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n insertion restriction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wall 1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of the upper box 10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wall 1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17) is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wall 13 of the lower box 10B and the flange portions 13a and 15a and 16a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and the rear wall 1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 and 16, respectively. The upper box 10A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 of the lower box 10B, and the upper box 10A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oundary between the flange portions 14a and 15a and 16a of The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s 13a, 14a and 15a, 16a is superimposed so that the upper box 10A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lower box 10B.

도 7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을 평면 형상이 장방형(長方形)인 상자에 적용한 제2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이다.7 to 14 show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ox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본 실시례에 의한 물류용 상자(20)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22)과 전후면벽(23,24) 및 좌우측벽(25,26)에 의해 그 내부에 수납공간(21)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distribution box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storage space 21 is formed therein by the bottom plate 22, the front and rear walls 23 and 2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have.

상기 바닥판(22)의 밑면에는 보강리브(22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례에서는 바닥판(22)에 통공이 천공되어 있지 않으나 통기나 배수를 위한 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Reinforcing ribs 22a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2. In the example, although the through hole is not perforated in the bottom plate 22, it may form a through hole for ventilation or drainage.

상기 전후면벽(23,24)과 좌우측벽(25,26)은 그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빈 상자들을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21)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23 and 2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thereof become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placed in the storage space 21 of the lower box. It can be inserted into and stacked in a stacked state.

상기 전후면벽(23,24)과 좌우측벽(25,26)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23a,24a), (25a,26a)가 형성되어 취급 시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Flange portions 23a, 24a, 25a, 26a are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face walls 23, 2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26 so as to be used as handles when handling.

상기 전후면벽(23,24)의 외면에는 다수개(도시례에서는 3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각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가 삽입되는 요홈(23c,24c)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 walls 23 and 24, a plurality of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is provided. The grooves 23c and 24c into which the 24b is inserted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는 그 하단이 전후면벽(23,24)의 하단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are formed such that their lower ends are located slightly higher than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23 and 24.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는 상단이 넓고 높으며 하단이 좁고 낮게 형성되고, 상기 요홈(23c,24c)도 상단이 넓고 깊으며 하단이 좁고 얕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빈 상자들을 포개진 상태로 적재할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가 하측 상자의 요홈(23c,24c)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have a wide top and a high bottom and a narrow and low bottom, and the grooves 23c and 24c also have a wide top and a deep bottom and a narrow and shallow bottom to overlap a plurality of empty boxes.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of the upper box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23c and 24c of the lower box when loading into the lower box.

상기 전후면벽(23,24)의 플랜지부(23a,24a) 상면에는 상측 상자를 하측 상자에 대하여 수평으로 180°돌려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하단이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23d,24d)이 형성되어 있다.When the upper box is loaded 180 degre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the lower ends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of the upper box ar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langes 23a and 24a of the front and rear wall walls 23 and 24. The latching grooves 23d and 24d for latching are formed.

즉,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와 적재용 걸림홈(23d,24d)은, 하측 상자의 전면벽(23)에 상측 상자의 후면벽(24)이 얹혀지도록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의 전면벽(23)에 형성된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가 하측 상자의 후면벽(24)의 플랜지부(24a)에 형성된 적재용 걸림홈(24d)에 끼워져 걸리고 상측 상자의 후면벽(24)에 형성된 보강 겸 적재용 돌조(24b)가 하측 상자의 전면벽(23)의 플랜지부(23a)에 형성된 적재용 걸림홈(23d)에 끼워져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and the stacking catching grooves 23d and 24d are loaded so that the rear wall 24 of the upper box is placed on the front wall 23 of the lower box,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23b formed on the front wall 23 is caught in the loading locking groove 24d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24a of the rear wall 24 of the lower box, and the rear wall 24 of the upper box is caught.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4b formed at the bottom portion are arranged to be caught by the loading catching grooves 23d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3a of the front wall 23 of the lower box.

또한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하단에는 전후면벽(23,24)의 외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하향 돌출부(23e,24e)를 형성하여 전후면벽(23,24)의 외면과의 사이에 요입부(23f,24f)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적재용 걸림홈(23d,24d)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계단형으로 형성하여 상단부(上段部)(23g,24g)가 상기 요입부(23f,24f)에 삽입되고 하단부(下段部)(23h,24h)가 상기 하향 돌출부(23e,24e)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downward protrusions 23e and 24e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face walls 23 and 24,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face walls 23 and 24. The concave portions 23f and 24f are formed therebetween, and the stacking engaging grooves 23d and 24d are formed in a stepped shape with a high inner side and a low outer side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s 23g and 24g are formed in the yaw. The lower ends 23h and 24h are inserted into the mouths 23f and 24f so as to support the downward protrusions 23e and 24e.

도시례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전후면벽(23,24)의 플랜지부(23a,24a)에 형성된 적재용 걸림홈(23d,24d)이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상단보다 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재용 걸림홈(23d,24d)이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좌측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the loading locking grooves 23d and 24d formed in the flange portions 23a and 24a of the front and rear walls 23 and 24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23b and 24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loading locking grooves 23d and 24d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23b and 24b.

또한 상기 전면벽(23)과 좌우측벽(25,26)의 경계부와 후면벽(24)와 좌우측벽(25,26)의 경계부에는 다수개의 빈 상자를 적재할 때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21)에 삽입되는 깊이를 규제하기 위한 삽입규제돌기(2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wall 2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wall 2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an upper box is a storage space of a lower box when a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An insertion restricting projection 27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epth 21 to be inserted.

상기 삽입규제돌기(27)는 반드시 상기 경계부에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전후면벽(23,24)과 좌우측벽(25,26)의 외면이나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외면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insertion restricting protrusion 27 is not necessarily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bu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23 and 2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or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You can do it.

이하 본 실시례에 의한 물류용 상자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다수개의 상자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측 상자(20A)를 하측 상자(20B)에 대하여 수평으로 180°돌린 상태로 적재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상자(20B)의 전면벽(23)과 후면벽(24)에 각각 상측 상자(20A)의 후면벽(24)과 전면벽(23)이 대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측 상자(20A)의 전면벽(23)측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는 하측 상자(20B)의 후면벽(24)측 적재용 걸림홈(24d)에, 상측 상자(20A)의 후면벽(24)측 보강 겸 적재용 돌조(24b)는 하측 상자(20B)의 전면벽(23)측 적재용 걸림홈(23d)에 각각 끼워져 걸리게 되어 상측 상자(20A)가 하측 상자(20B)의 수납공간(21)에 삽입되지 않고 상단에 걸쳐진 상태로 적재된다.First, in the case of stacking a plurality of boxes, when the upper box 20A is load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box 20A is rotated 180 °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20B, the front of the lower box 20B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rear wall 24 and the front wall 23 of the upper box 20A correspond to the wall 23 and the rear wall 24, respectively, so that the front wall 23 side of the upper box 20A is reinforced. The loading protrusion 23b is placed on the rear wall 24 side loading locking groove 24d of the lower box 20B, and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24b on the rear wall 24 side of the upper box 20A is lower. The front wall 23 side of the box 20B is fitted into the stacking locking grooves 23d,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box 20A is not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21 of the lower box 20B, and is stacked on the top. do.

따라서 상하측 상자(20A,20B)에 달걀과 같이 깨지기 쉬운 물품을 수납하였을 때 상측 상자(20A)와 이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이 하측 상자(20B)에 수납된 물품에 작용하지 않게 되어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ragile articles such as eggs are stored in the upper and lower boxes 20A and 20B, the load of the upper box 20A and the articles stored therein does not act on the articles stored in the lower box 20B, thereby damaging the articles. Will be able to prevent.

이때, 상기 상측 상자(20A)는 그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하단이 하측 상자(20B)의 적재용 걸림홈(23d,24d)에 끼워진 상태로 되므로 상하측상자(20A,20B)가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적재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box 20A is in the state th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is fitted into the loading locking grooves 23d and 24d of the lower box 20B, so that the upper and lower boxes 20A and 20B ) Is loaded in a stable state without shaking.

더욱이 상측 상자(20A)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하단의 요입부(23f,24f)에는 하측 상자(20B)의 계단형으로 형성된 적재용 걸림홈(23d,24d)의 상단부(23g,24g)가 끼워지고 상측 상자(20A)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하단의 하향 돌출부(23e,24e)가 하측 상자(20B)의 계단형으로 형성된 적재용 걸림홈(23d,24d)의 하단부(23h,24h)에 지지된 상태로 되므로 상하측 상자(20A,20B)는 더욱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locking grooves 23d and 24d formed in the stepped shape of the lower box 20B is formed in the recesses 23f and 24f at the lower ends of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23b and 24b of the upper box 20A. 23g, 24g is fitted, and the locking projection 23d in which the downward protrusions 23e, 24e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23b, 24b of the upper box 20A are formed in a stepped shape of the lower box 20B. The upper and lower boxes 20A and 20B are maintained in a more stable state because they are supported by the lower ends 23h and 24h of 24d.

또한 다수개의 상자를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20A)들과 이들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이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를 통해 하측 상자(20B)의 전후면벽(23,24) 상단에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하중에 의하여 하측 상자(20B)의 전후면벽(23,24)의 상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 데, 상측 상자(20A)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의 요입부(23f,24f)에 하측 상자(20B)의 적재용 걸림홈(23d,24d)의 상단부(23g,24g)가 끼워지져 있으므로 하측 상자(20B)의 전후면벽(23,24)의 상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boxes are loaded, the loads of the upper boxes 20A and the items stored therein are placed on the upper and rear walls 23 and 24 of the lower box 20B through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The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walls 23, 24 of the lower box 20B by the load, and the force to open outward acts as a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 23b of the upper box 20A. Since the upper end portions 23g and 24g of the loading recesses 23d and 24d of the lower box 20B are fitted in the recesses 23f and 24f of the lower box 20B, the front and rear walls 23 and 24 of the lower box 20B are fitted. The upper end of the to prevent it from spreading outward.

한편, 다수개의 빈 상자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측 상자(20A)와 하측 상자(20B)를 같은 방향, 즉 전면벽(23)과 전면벽(23), 후면벽(24)과 후면벽(24), 좌측벽(25)와 좌측벽(25), 우측벽(26)과 우측벽(26)끼리 일치하는 상태로 하여 적재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상자(20A)가 하부 상자(20B)의 수납공간(21)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in a stacked state, the upper box 20A and the lower box 20B are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the front wall 23 and the front wall 23, the rear wall 24 and the rear side. When the surface wall 24, the left wall 25 and the left wall 25, the right wall 26 and the right wall 26 are stacked in a state where they are aligned, the upper box 20A is as shown in FIG. It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21 of the lower box 20B and stacked in a superimposed state.

이때 상측 상자(20A)의 전후면벽(23,24)의 외면에 형성된 보강 겸 적재용 돌조(23b,24b)도 하측 상자(20B)의 전후면벽(23,24)의 내면에 형성된 요홈(23c,24c)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23b and 24b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23 and 24 of the upper box 20A also have grooves 23c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23 and 24 of the lower box 20B. Inserted into 24c).

따라서 다수개의 빈 상자를 적재하여 보관하는 경우 적재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상자의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storing a large number of empty boxes can be lowered the stacking height can be greatly reduced the space required for storage of the box.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상자(20A)의 전면벽(23)과 좌우측벽(25,26)의 경계부와 후면벽(24)과 좌우측벽(25,26)의 경계부에 형성된 삽입규제돌기(27)가 하측 상자(20B)의 전면벽(23)과 좌우측벽(25,26)의 플랜지부(23a), (25a,26a)의 경계부와 후면벽(24)과 좌우측벽(25,26)의 플랜지부(24a), (25a,26a)의 경계부에 걸리게 되어 상측 상자(20A)가 하측 상자(20B)의 수납공간(2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상하측 상자(20A,20B)의 플랜지부(23a,24a), (25a,26a)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정도로 포개지게 되어 상측 상자(20A)를 하측 상자(20B)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an insertion restriction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wall 2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of the upper box 20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wall 2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27) is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wall 23 of the lower box 20B, the flange portions 23a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and the rear wall 2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5 and 26. The upper box 20A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21 of the lower box 20B, and the upper box 20A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oundary between the flange portions 24a and 25a and 26a. The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s 23a, 24a and 25a, 26a is superimposed so that the upper box 20A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lower box 20B.

도 15 내지 도 19는 본 고안을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상자에 적용한 제3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이다.15 to 19 show a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ox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본 실시례에 의한 물류용 상자(30)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32)과 주벽(33)에 의하여 그 내부에 수납공간(31)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distribution box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31 is formed therein by the bottom plate 32 and the main wall 33.

상기 바닥판(32)에는 다수개의 통공(32a)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a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32.

상기 주벽(33)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빈 상자들을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31)에 삽입되어 포개진상태로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ircumferential wall 33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a plurality of empty boxes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31 of the lower box and stacked in a stacked state.

상기 주벽(33)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33a)가 형성되어 취급 시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flange portion 33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3 so that it can be used as a handle during handling.

상기 주벽(33)의 외면에는 다수개(도시례에서는 4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각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가 삽입되는 요홈(33c)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33b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3, and grooves 33c into which the respectiv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33b are inserted are formed. Formed.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는 하단이 주벽(33)의 하단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33b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slightly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main wall 33.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는 상단이 넓고 높으며 하단이 좁고 낮게 형되며, 상기 요홈(33c)도 상단이 넓고 깊으며 하단이 좁고 얕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빈 상자들을 포개진 상태로 적재할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가 하측 상자의 요홈(33c)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33b has a wide top, a high bottom, a narrow bottom, and a low shape. The groove 33c also has a wide top, a deep bottom, a narrow bottom, and is shallow so that a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in a stacked state.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33b of the upper box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33c of the lower box.

상기 플랜지부(33a)의 상면에는 상측 상자를 하측 상자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돌려서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의 하단이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33d)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33a, a loading locking groove 33d is formed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33b of the upper box is fitted when the upper box is loa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

즉, 상기 적재용 걸림홈(33d)은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편위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측 상자를 하측 상자에 대하여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와 적재용 걸림홈(33d)의 편위각 만큼 돌려서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의 하단이 하측 상자의 적재용 걸림홈(33d)에 끼워져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ading locking groove 33d is formed at a position circumferential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33b so that the upper box is loaded with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 33b and the loading latch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 33b of the upper box is fitted into the loading catching groove 33d of the lower box when it is loaded by turning by the excursion angle of the groove 33d.

또한 상기 주벽(33)에는 다수개의 빈 상자를 적재할 때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31)에 삽입되는 깊이를 규제하기 위한 삽입규제돌기(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wall 33 has an insertion restricting protrusion 34 protrudingly formed to restrict the depth at which the upper box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31 of the lower box when the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상기 삽입규제돌기(34)는 반드시 주벽(33)에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보강 겸 적재용 돌조(33b)의 외면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insertion restriction protrusion 34 is not necessarily to be formed on the main wall 33, 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33b.

본 실시례는 다수개의 상자를 적재할 때 하측 상자에 대한 상측 상자의 돌림 각도만 다를 뿐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동일한 작용으로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는 것이며, 여타 작용도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대등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plurality of boxes are stacked, only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upper box relative to the lower box is different, and the upper box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box to be stacked in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other functions are also equivalent to thos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물류용 상자에 의하면 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측 상자와 이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이 하측 상자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빈 상자를 적재함에 있어서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으로 삽입되어 그 적재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상자를 보관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ogistics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upper box and the goods stored therein can be loaded without being applied to the lower box in the state where the goods are stored, so that the goods can be stored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goods. In the case of not loading the empty box, the upper box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box, and the stacking height thereof is lowered,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space required for storing the box.

또한 본 고안의 물류용 상자에 의하면 전후면벽 또는 좌우측벽의 내면에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하였으므로 물품의 가장자리가 전후면벽과 좌우측벽의 내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수납된 경우에도 손가락 삽입홈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물품의 가장자리를 잡을 수 있으므로 물품을 손쉽게 꺼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ogistics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or the left and right walls, the finger is inserted through the finger insertion groove even when the edge of the article is sto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By inserting the edge of the article can be cau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take out the article.

또한 본 고안의 물류용 상자에 의하면 다수개의 빈 상자들을 적재하는 경우 하측 상자에 대한 상측 상자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여 상측 상자와 하측 상자의 플랜지부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므로 하측 상자로부터 상측 상자를 빼낼 경우 상기 틈새를 통해 상측 상자의 플랜지부를 잡을 수 있으므로 상측 상자를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ogistics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empty boxes are stacked, an upper box is formed from the lower box becaus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ox and the flange of the lower box by regula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upper box to the lower box. When pulling out, the flange can be caught in the upper box through the gap, so that the upper box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본 고안의 물류용 상자에 의하면 다수개의 상자를 적재하였을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에 형성된 요입부에 하측 상자의 적재용 걸림홈에 형성된 상단부가 삽입되므로 상측 상자와 이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이 하측 상자에 전후면벽을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더라도 하측 상자의 전후면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일이 없게 되어 안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ogistics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rality of boxes are loaded, the upper part formed in the locking groove of the lower box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of the upper box so that the upper box and Although the weight of the article acts as a force to open the front and rear walls outward to the lower box,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lower box do not open to the outside and can be used in a stable state.

Claims (6)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과 전후면벽 및 좌우측벽에 의하여 내부에 횡단면이 정방형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벽과 좌우측벽은 그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좌우측벽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 다수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형성되고 좌우측벽의 내면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상자에 있어서,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is formed inside by the bottom plate,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become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 plurality of tapered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narrowed from top to bottom are formed, and the inn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s formed with grooves into which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of the boxes to be loaded are inserted. To 상기 전후면벽의 상단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Logistics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wall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of the box to be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의 내면에 형성되는 요홈중 적어도 중간부의 하나의 요홈이 그 폭을 나머지 요홈들보다 넓게 형성되어 손가락 삽입홈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According to claim 1, Logistic box, characterized in that one groove of at least the middle portion of th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is formed wider than the other grooves to be used as a finger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바닥판 밑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plate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the logistics box,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protruded on the bottom plate bottom.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과 전후면벽 및 좌우측벽에 의하여 내부에 횡단면이 장방형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벽과 좌우측벽은 그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면벽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 다수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형성되고 전후면벽의 내면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상자에 있어서,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storage spac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side by the bottom plate,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become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a plurality of tapered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narrowed from top to bottom are form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is formed with grooves into which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of the boxes to be loaded are inserted. To 상기 전후면벽의 상단에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대해 180°회전된 상태로 적재되었을 때 상측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Logistics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wall is formed when the upper box is loaded in a state rotated 180 ° with respect to the lower box,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of the upper box is fit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에는 전후면벽의 외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어 전후면벽의 외면과의 사이에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용 걸림홈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향 돌출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and stacking protrusions is formed with a downward protrus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 the recess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wall, the loading groove is It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of the high and low outside is a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ownward protrusion.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과 주벽에 의하여 내부에 횡단면이 원형인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주벽은 그 외면과 내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주벽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 다수개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형성되고 주벽의 내면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상자에 있어서,An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side by the bottom plate and the main wall, and the main wall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thereof become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a box in which a plurality of tapered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narrow toward each other, and grooves in which the reinforcing and loading protrusions of the box to b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wall. 상기 주벽의 상단에는 그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보강 겸 적재용 돌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Logistics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formed with a loading engaging groove that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and loading protrusion of the box to be loaded on the upper portion.
KR2019990006856U 1999-04-24 1999-04-24 Physical distribution box KR2002601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56U KR200260178Y1 (en) 1999-04-24 1999-04-24 Physical distribution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56U KR200260178Y1 (en) 1999-04-24 1999-04-24 Physical distribution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81U KR20000019981U (en) 2000-11-25
KR200260178Y1 true KR200260178Y1 (en) 2002-01-10

Family

ID=5476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856U KR200260178Y1 (en) 1999-04-24 1999-04-24 Physical distribution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17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81U (en)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8048A (en) Tote box
US7617947B2 (en) Stackable storage/transport/stocking box with openable end
US9169058B1 (en) Tri-fold egg carton with lid sidewall protrusions
CA2537563C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US9469429B2 (en) Crate
US9016492B2 (en) Crate
US8424710B2 (en) Crate
US9440770B2 (en) Plastic pallet for flexible bulk containers
JP4572899B2 (en) Plastic pallet
KR100480197B1 (en) A carrier box
JP2020045172A (en) Box, combination structure of stacked boxes, and method of mechanically gripping stacked boxes
KR200260178Y1 (en) Physical distribution box
KR100432183B1 (en) Container for containing egg crates
JP4105306B2 (en) Transport container
US20120067880A1 (en) Crate
US3722735A (en) Stackable and nestable container
JP4585680B2 (en) Transfer tray
KR200262370Y1 (en) Egg Container
KR100312251B1 (en) Fish box
JP2020142813A (en) container
KR200263506Y1 (en) Egg Container for stocking
KR102595523B1 (en) Waper shipping box
US20240140646A1 (en) Stackable and nestable container
JP6938023B2 (en) Container with lid and transportation unit
KR910006014Y1 (en) Carring box for a small size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