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133Y1 -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 Google Patents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133Y1
KR200260133Y1 KR2020010030790U KR20010030790U KR200260133Y1 KR 200260133 Y1 KR200260133 Y1 KR 200260133Y1 KR 2020010030790 U KR2020010030790 U KR 2020010030790U KR 20010030790 U KR20010030790 U KR 20010030790U KR 200260133 Y1 KR200260133 Y1 KR 20026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ust
counter
fil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7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중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Priority to KR2020010030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1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133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counter.

본 고안은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지폐계수기의 계수기본체 후벽면에 일정크기로 천공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계수기본체의 후벽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집진하우징과;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관통공과 인접하여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프리필터와; 상기 프리필터와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전압인가수단을 통해 인가된 직류 고전압에 의해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서로 이격된 두개의 전극판으로 이루어진 하전식 전기집진필터와; 상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를 통해 살균처리되고 집진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흡입배출할 수 있도록 이와 인접하여 설치된 흡기팬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ill counter that automatically counts bills using a mechanical means; A through hole perforated to a predetermined size on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ounting base of the banknote counter; A dust collecting housing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wall of the counting bas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and to seal the through hole; A prefilt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an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A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prefilter and composed of two electrod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ozone and anion by a direct current high voltage applied through a voltage applying means;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n intake fan installed adjacent to the sterilized and collected air through the charged electrostatic filter to suck the exhaust air into the atmosphere.

본 고안에 따르면, 지폐를 계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물론 미세먼지까지 집진 제거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폐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들까지 살균처리할 수 있으므로 지폐계수기의 사용환경을 고양시킨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dust as well as fine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unting banknotes, and also to sterilize various bacteria on the banknotes,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nhancing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banknote counter. do.

Description

살균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본 고안은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를 계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펄프분진과 같은 먼지는 집진 제거시키고 아울러 지폐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들은 살균처리토록 하여 지폐계수기의 사용환경을 고양시킨 살균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counter, and more specifically, dust and pulp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unting bills are collected and the various bacteria on the bills are sterilized to enhance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bill counter. A bill counter has a sterilization and dust collection function.

일반적으로, 은행, 우체국, 증권회사 등과 같은 금융기관 혹은 직접적으로 다량의 지폐를 취급하는 회사나 관공서 등에서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지폐를 계수하기가 어렵고 불편하여 지폐를 기계적으로 감지하여 계수하는 지폐계수기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in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post offices, securities companies, or companies that directly deal with a large amount of bills, or a government office, it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count bills by hand. I use it.

이러한 지폐계수기는 통상 도 1의 도시와 같이, 계수기본체(10)와, 상기 계수기본체(10)의 상단면에 구비된 지폐 주입부(12)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14a,b)를 매개로하여 주입된 지폐를 끌어당겨 반송시키는 반송부(16)와, 상기 반송부(16)에 의해 반송대(18)를 따라 반송되는 지폐를 한장씩 계수하여 지폐수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계수된 낱장의 지폐를 송출시키는 배출부(22) 및 상기 배출부(22)를 통해 배출된 지폐가 순차적으로 한장씩 정리되어 안착되는 안착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입부(12)로 주입된 지폐가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거쳐 이동되면서 계수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 such a banknote counter typically includes a counter-base 10, a banknote injection unit 12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unter-base 10, and a pair of rollers 14a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nd b) a conveying unit 16 which pulls and conveys the injected banknotes via the medium,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bill quantity by counting the bill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table 18 by the conveying unit 16 one by one. 20, and a discharging part 22 for transmitting the counted bills, and a seating part 24 in which bill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22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seated one by one, and injected The banknote injected into the unit 12 is counted as it moves through the above components.

그런데, 지폐가 송출되는 과정에서 지폐의 표면이나 지폐들 사이에 흡착되어 있던 먼지나 혹은 각종 세균들이 계수를 위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지폐로부터 떨어져 나와 공기중으로 부상되게 되고 부상된 먼지나 세균들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배출날개(26)의 송풍작용에 의해 비산되면서 인접위치에서 작업하고 있는 계수원이나 주변 근무자에게 방출되어 이들의 건강을 해치거나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지폐 제작시 도포된 화학약품의 변질에 의한 악취를 유발하기도 한다.However, the dust or bacteria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or between the banknotes in the process of sending out the bills are removed from the bills and floated in the air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for counting. It is scattered by the blowing action of the discharge wing (26) to be released to the counter or the nearby workers working in the adjacent position to harm their health or pollute the room, and in severe cases deterioration of the chemicals applied during banknote production May cause odor by.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경주되어 왔는 바, 예컨대 한국실용 등록 제1992-6046호 "먼지 및 냄새 제거장치를 구비한 마찰식 지폐계수기"; 제1993-5756호 "지폐계수기"; 제1999-172472호 "지폐계수기용 집진기" 및 한국실용 공개 제1999-26912호 "먼지 및 냄새 제거장치가 구비된 마찰식 지폐계수기"; 제2000-6706호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 등이 공개된 바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such problems, for example, 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1992-6046 "Friction paper money counter with dust and odor removing device"; 1993-5756 "Bill Counters"; No. 1999-172472 "dust collector for paper money counter" and Korean Utility Laid-Open No. 1999-26912 "Friction paper money counter with dust and odor removing device"; No. 2000-6706, a dust collector of a paper money counter,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상기 공개된 선행기술들은 대부분 집진기를 계수기본체의 바닥면에 부착설치하고 있어 설계상에 제약을 받아 집진효율을 높일 수 없으며, 또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필터는 프리필터로서 이 필터는 150㎛ 이상의 먼지만을 여과시킬 수 있으므로 인체에 가장 유해하고 발생빈도가 높은 0.3㎛ 이하의 먼지는 전혀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disclosed prior arts ar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nting base unit, which is not limited due to design, and thus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not be increased. Since only the filtration can be performed, dust of 0.3 μm or less, which is most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has a high incidence, cannot be treated at all.

더구나, 상술한 다수의 선행기술들은 계수시 발생된 먼지만을 집진처리토록 되어 있어 지폐에 흡착된 각종 세균들은 그대로 방치된 채 계수원을 포함하여 지폐계수기 인접위치에 근무하는 근무자들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게 되는 점을 전혀 해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many of the prior arts described above are designed to collect only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counting, so that various bacteria adsorbed on the bills are left untouched, which directly inflicts direct harm on workers working near the counter.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t be solved at all.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다수의 필터를 적절히 배열함과 동시에 오존발생기를 통해 오존을 발생시켜 지폐 계수시 발생된 미세먼지의 집진 제거는 물론 각종 세균까지 살균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살균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solves this problem.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lters appropriately, ozone is generated through an ozone generator to remove dust collected during counting of bills. Of cours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nknote counter having a sterilization and dust collection function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while allowing to sterilize various bacteria.

또한, 본 고안은 오존을 발생시켜 각종 세균의 살균기능도 행하면서 동시에 음이온을 발생시켜 먼지 및 세균의 포집능력을 배가시키면서 공기청정 기능도 겸할 수 있도록 한 살균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nknote counter having a sterilization and dust collection function that can also function as an air cleaning function while doubling the dust collecting ability of dust and bacteria by generating anion while also performing sterilization function of various bacteria by generating ozone. It is f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일 예를 보인 내부구조도,1 is an internal structure showing an example of a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일부 절개 측면도,2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a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요부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2차필터를 보인 단면도,Figure 4a,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filter of the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외관 사시도,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작동을 위한 승압과정을 보인 예시 블럭도.Figure 6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showing a boosting process for the operation of the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계수기본체 110 : 관통공100: counting base 110: through hole

200 : 집진하우징 230 : 흡기팬200: dust collecting housing 230: intake fan

300 : 프리필터 400 : 하전식 전기집진필터300: pre-filter 400: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410 : 대전판 412 : 첨침410: charging plate 412: scribing

422 : 유출공 430 : 방전판422: outflow hole 430: discharge plate

432 : 배출공432: discharge hole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지폐계수기는 계수기본체의 후벽면에 상기 계수기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면서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하우징을 부착하며; 상기 집진하우징 내부에는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 배출시킬 수 있는 흡기팬을 설치하고; 상기 흡기팬과 관통공 사이에는 다수의 필터를 적당하게 배치하며; 상기 필터에서는 오존 및 음이온이 생성되어 포집되는 먼지 및 각종 세균을 살균 혹은 멸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bill counter forms a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unting base body on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ounting base body; Attaching a dust collecting housing which seals the through hole and forms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 intake fan is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to be driven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driving motor to suck and discharge the air therein; A plurality of filters are appropriately disposed between the intake fan and the through hole; The filter is configured to sterilize or sterilize dust and various bacteria generated by ozone and anion.

본 고안에서 사용된 필터는 프리필터(PRE FILTER)와 하전식 전기집진필터로서, 상기 프리필터의 경우 150㎛ 이상의 굵은 먼지를 포집하여 여과시키도록 구성되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의 경우는 0.3㎛ 이하의 미세먼지까지도 포집하여 여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l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ilter (PRE FILTER) and a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the pre-filter is configured to collect and filter the coarse dust of 150㎛ or more; In the case of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it is configured to collect and filter fine dust of 0.3 μm or less.

특히, 상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는 하나의 대전판과 이로부터 이격된 방전판사이에서 인가전압에 의해 오존과 음이온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오존을 통해 포집된 먼지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 예컨대 공기나 수중에 있는 병원균 뿐만 아니라 염소나 기타 소독제로는 멸균하기 어려운 바이러스, 사상균 및 간염바이러스와 같은 균들까지도 살균 혹은 멸균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generates ozone and anions by an applied voltage between one charging plate and a discharge plate spaced therefrom, and various bacteria, such as air or water, contained in dust collected through the generated ozone. In addition to pathogens in the chlorine and other disinfectants, such as viruses, filamentous bacteria and hepatitis viruses that are difficult to sterilize, it is configured to sterilize or sterilize.

또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두뇌 및 신체의 피로회복을 증강시킬 수 있는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의 대전판과 방전판의 형상과 이격거리 및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미세먼지의 포집능력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공기청정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and separation of the charge plate and the discharge plate of the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to generate negative ions that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enhance the recovery of brain and body fatigue By adjusting the distance and the applied voltage, it is configured to double the capturing ability of fine dust and to perform the air cleaning func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요부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the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계수기본체(100)의 후벽면에는 일정크기의 관통공(110)이 천공 형성된다.In FIG. 2, a through hole 1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ounting base 100.

상기 계수기본체(100) 후벽면에는 상기 관통공(110)을 밀폐하면서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공간을 갖는 집진하우징(200)이 부착 고정된다.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having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ounting base 100 while sealing the through hole 110.

집진하우징(200)은 대략 사각박스형상을 갖는 일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대향면에는 다수의 배기구(21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is opened and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210 are formed on the open opposite surface.

집진하우징(200)의 개방된 면의 외테두리에는 고정플랜지(22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220)는 계수기본체(100)의 후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집진하우징(200)을 계수기본체(100)에 고정시키게 된다.A fixed flange 220 is formed on an outer edge of the open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and the fixed flange 220 is fixed by bolt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wall of the counting base 100 to collect the dust. The housing 200 is fixed to the counting base 100.

특히, 상기 집진하우징(200)의 내부에는 배기구(210)에 인접하여 흡기팬(230)이 고정되는 바, 상기 흡기팬(230)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고속회전됨으로써 계수기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관통공(110)을 통해 집진하우징(200) 내부로 흡입한 후 배기구(210)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intake fan 2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adjacent to the exhaust port 210, and the intake fan 230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driving motor (not shown). 100, the inside of the air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11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exhaust port 210.

상기 흡기팬(230)은 상기 관통공(11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intake fan 230 is preferably provid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110.

도 3에 따르면, 집진하우징(200)의 선단측, 즉 상기 관통공(110)과 인접한 부분에는 1차필터인 프리필터(30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프리필터(300)로부터 흡기팬(230) 측을 향해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전판(410)과 방전판(430)으로 이루어진 2차필터인 하전식 전기집진필터(400)가 상기 프리필터(300)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According to FIG. 3, a prefilter 300, which is a primary filter, is detachably fixed to a front end sid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that is, a portion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10, and an intake fan (from the prefilter 300) is removed. The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400, which is a secondary filter including a charging plate 410 and a discharge plate 430,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side of 230 and is separably fix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filter 300. do.

상기 프리필터(300)는 150㎛ 이상의 굵은 먼지를 흡착시킬 수 있도록 24 × 24 크기의 메쉬를 갖고 정전특성이 있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prefilter 300 is preferably composed of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resin having a mesh of 24 × 24 size and having an electrostatic property to adsorb coarse dust of 150 μm or more.

특히, 상기 프리필터(300)는 전처리 필터로서 LUPA, HEPA, MEDUME 필터 다음으로 굵은 먼지를 여과시키는 필터이며, 통상 100㎛ 이상의 먼지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된다.In particular, the pre-filter 300 is a filter for filtering the coarse dust after the LUPA, HEPA, MEDUME filter as a pre-treatment filter, it is usually used to filter the dust of 100㎛ or more.

상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400)는 도 4a,b의 도시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사각판상의 대전판(410)과 방전판(430)이 상호 거리를 두고 쌍을 이루는 구조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harged electrostatic filter 4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quare plate-shaped charging plate 410 having a different shape and a discharge plate 430 are pair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

상기 대전판(410)과 방전판(430)은 일종의 전극판이다.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are a kind of electrode plate.

대전판(410)에는 흡기팬(230)에 의해 흡입된 계수기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류되는 다수의 다각형 유출공(422)이 형성되며, 방전판(430)에는 배출공(432)이 형성된다.The charging plate 4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lygonal outlet holes 422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counting base 100 sucked by the intake fan 230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nd the discharge plate 430 is discharged. A ball 432 is formed.

상기 유출공(422)은 대략 삼각형상을 갖고 상기 방전판(430)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된 첨침(412)의 양측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공(432)은 방전판(430)의 전면에 걸쳐 일정크기 및 간격을 갖고 원형상으로 다수 천공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outlet hole 422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nd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both sides of the immersion 412 protruding from the surface facing the discharge plate 430 are opened, and the discharge hole 432 is a discharge plate.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erforations in a circul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interval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430).

상기 대전판(410) 및 방전판(430)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압인가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예컨대 상기 전압인가수단(승압에 관계된 회로구성)은 집진하우징(200)의 상측부인 수납부(25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voltage applying means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For example, the voltage applying means (circuit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boosting) is an accommodating part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It is preferably installed in 250).

전압인가수단에 의해 대전판(410) 및 방전판(430)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 7500 ~ 9500V 로서, 이는 60Hz의 교류 저전압을 변환하여 직류 고전압으로 인가하였을 때 1000 ~ 10000V 사이에서만 무성방전이 일어나고 10000V 를 넘게 되면 유성방전이 일어나 불꽃이 유발되므로 유성방전이 되지 않을 정도의 전압이면서 공기의 이온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상술한 7500 ~ 9500V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by the voltage applying means is a DC 7500 ~ 9500V, which is a silent discharge occurs only between 1000 ~ 10000V when the AC low voltage of 60Hz is converted into a DC high voltage Above 10000V, since oil discharge occurs and sparks are generated, the above-mentioned voltage of 7500 to 9500V that is capable of promoting ionization of air while being a voltage at which oil discharge does not occur is most preferable.

여기에서, 60Hz의 교류 220V를 직류 고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해서는 직류 12V를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PWM FULL BRIDGE INVERTER 방식과 같은 IGBT나 MOS-FET 등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를 승압제어할 수 있는 공지의 PWM 인버터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가능하다.Here, in order to boost AC 220V of 60Hz to DC high voltage, the voltage magnitude and frequency can be stepped up by using switching device such as IGBT or MOS-FET such as PWM FULL BRIDGE INVERTER method which boosts DC 12V to high voltage. It is possible by employing a known PWM inverter method.

예컨대, 도 6은 그러한 일 예를 보인 블럭도로서, 도 6을 참고하면, 60Hz 교류 저전압, 이를테면 220V를 트랜스포머를 통해 직류 12V로 변환한 후 공지의 하이볼테지 트랜스포머를 거쳐 직류 7500~9500V로 승압된 한쪽 극은 대전판(410)에 연결하고, 1,2,3차 보빈코일을 거쳐 승압된 7500~9500V의 다른쪽 극은 트랜지스터 및 다이오드 회로를 거쳐 방전판(430)에 연결함으로써 가능하다.For example,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uch an example. Referring to FIG. 6, a 60 Hz alternating current low voltage, for example, 220 V is converted into a direct current 12 V through a transformer, and then boosted to a direct current 7500 to 9500 V through a known high voltage transformer. One po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other pole of 7500 to 9500 V boosted through the 1,2,3rd bobbin coil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late 430 via a transistor and a diode circuit.

아울러, 알려진 바와 같이 대적하고 있는 두 전극간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면서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면 전극간에는 무성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때 이 무성방전의 전장속에 위치된 공기의 일부가 이온화되면서 일부는 오존을 유발하고 나머지는 음이온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들 오존과 음이온은 인가전압이 높을수록 오존의 발생비율이 높고 음이온의 발생비율은 낮게 되는 바, 공지된 바에 따르면 대략 4500V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하일 때 음이온의 발생율이 비례적으로 높고 그 이상일 때에는 점차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f a certain distance is applied while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wo opposing electrodes, a silent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electrodes. At this time, part of the air located in the field of the silent discharge ionizes, and some causes ozone, while the rest Will cause negative ions. The higher the applied voltage, the higher the applied voltage, the higher the ozone generation rate and the lower the anion generation rate. As is well known, when the ozone and anion are lower than about 4500 V, the anion generation rate is proportionately higher and higher than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본 고안에서는 7500~9500V의 직류 고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험결과 이 전압의 범위 내에서의 오존과 음이온의 발생량은 전체를 3으로 보았을 때 오존 발생량이 2/3, 음이온의 발생량이 1/3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this design, DC high voltage of 7500 ~ 9500V is used, so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s that the amount of ozone and anion generated within this voltage range is 3/3 and the amount of negative ion generated is 1/3 I could confirm it.

특히, 오존은 일정 농도를 넘게 되면 인체에 유해하므로 0.01 ~ 0.05PPM 범위의 농도를 가질 때 살균력은 배가되고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는 상태가 된다.In particular, since ozone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when a certain concentration is exceeded, when it has a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0.01 ~ 0.05PPM, the sterilization power is doubled and the human body is not harmed at all.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농도범위를 갖도록 무성방전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오존 사이로 계수기본체(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미세먼지, 세균 등의 복합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매우 짧은 시간에 집진 및 살균/멸균 작업이 동시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air in an undischarged state to have such a concentration range, ozone is generated, and the contaminated air (fine air, fine air, etc. mixed air) inside the counting element 100 passes between the generated ozone. In a very short time, the dust and sterilization / steriliza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아울러, 방전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대전판(410) 및 방전판(430)은 1T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0.6T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60계열 즉, 두랄미늄과 같은 것으로 하여준다. 이는 상기 두랄미늄의 경우 알루미늄 탈락현상이 적어 대전판(410) 및 방전판(430) 자체의 변형없이 용이하게 무성방전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for ease of discharge, 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is equal to or less than 1T, preferably aluminum 60 series having a thickness of 0.5 to 0.6T.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duralumin, aluminum is less likely to fall off, and thus the silent discharge can be easily induced without deformation of 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itself.

동시에, 유성방전이 일어나지 않은 범위 내의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면 삼각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대전판(410)의 일면에서 돌출된 첨침(412)에서는 전기밀도가 높아져 공기의 이온화를 쉽게 유발시키며 상술한 바와 같이 오존을 생성시키는 한편 음이온을 증대시키게 되고, 증대된 음이온은 먼지를 (-)로 대전시켜 (+) 전하와 충돌함으로써 0.01~0.05㎛ 범위의 미세먼지까지 쉽게 포집시킬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when a DC high voltage is applied within a range in which no planetary discharge occurs, triangular phases are formed in the tip 412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charging plate 410, so that the electrical density is high, thereby easily causing ionization of air. While increasing the negative ions, the negative ions charge the dust to the negative (-) to collide with the (+) charge to easily collect the fine dust in the range of 0.01 ~ 0.05㎛.

뿐만 아니라, 유발된 음이온은 대략 200000개/cc 내외를 유지할 때 인체의 피로회복 및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밝혀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포집기능도 수행하면서 공기청정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오존과 음이온을 동시 발생시켜 활용토록 하며; 최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오존측정기나 음이온측정기를 부가결합시킴으로써 그 발생량을 인체에 가장 무해하면서 유리하게 조절 활용토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duced anions can perform an air cleaning function that promotes the body's fatigue recovery and blood circulation when maintaining approximately 200000 / cc.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zone and the negative ion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utilized to perform the air cleaning function while also performing the collection function; In order to maintain an optimal state, by additionally combining a known ozone meter or anion meter, it is possible to control and utilize the generation amount most harmlessly and advantageously to the human body.

특히, 본 고안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무성방전이 일어날 수 있는대전판(410)과 방전판(430)의 이격거리는 10~12mm이며, 포집능력이 최대로 일어날 수 있는 배출공(432)의 직경은 6~10mm이다.In particula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harge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which can be a silent discharg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0 ~ 12mm,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432 that can occur the maximum collection capacity Is 6 ~ 10mm.

이는, 인가전압에 따라 방전이 유발되는 두 판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는 바, 본 고안에서는 7500~9500V의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10mm 이하에서는 유성방전의 위험이 크고 12mm 이상에서는 방전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내로 상기 대전판(410)과 방전판(430)을 이격 설치함이 바람직하다.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lates causing the discharg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since the high voltage of 7500 ~ 9500V is applied in the present design, since the risk of planetary discharge is less than 10mm and no discharge occurs at 12mm or more. It is preferable to space apart 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within a range.

마찬가지로, 상기 방전판(430)에 형성된 배출공(432)도 상기한 바와 같이 6~10mm의 범위를 유지하여야만 상기 인가전압, 즉 7500~9500V의 범위 내에서 유발된 음이온의 작용에 의한 0.01㎛ 이상의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으므로 이 범위가 가장 적당하다.Similarly, the discharge hole 432 formed in the discharge plate 430 should also maintain the range of 6 ~ 10mm as described above only 0.01㎛ or more due to the action of the anion induced in the applied voltage, that is, the range of 7500 ~ 9500V This range is most suitable because it can collect fine dust.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상술한 도면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FIG.

도 2 내지 도 5에 따르면, 지폐 계수를 위해 주입구에 지폐다발을 올려놓은 후 계수를 시작하게 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에 의해 지폐가 반송되면서 계수와 동시에 안착부로 송출되게 된다.According to FIGS. 2 to 5, when the bills are placed on the inlet for bill counting and counting is started, bills are conveyed by a pair of rollers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be sent out to the seating part at the same time as counting.

이러한 계수과정에서 지폐에 묻어 있거나 흡착되어 있던 먼지 혹은 각종 세균들이 지폐 표면으로부터 탈락되어 계수기본체(100) 내부로 부상되게 된다.In the counting process, dust or various bacteria that are buried or adsorbed on the banknote are dropped from the banknote surface and floated inside the counting base 100.

지폐계수기의 작동과 동시에 구동되는 흡기팬(230)은 일정 흡입압력, 즉 계수시 풍압이 지폐를 계수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흡입압력으로 상기 계수기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공기는 1차필터인프리필터(300)와 2차필터인 하전식 전기집진필터(400)를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되게 된다.The intake fan 230 which is driven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bill counter, inhales the air inside the counter base 100 at a constant suction pressure, that is, a suction pressure such that the wind pressure does not affect the counting of bills.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pre-filter 300, which is a primary filter, and the charged electrostatic filter 400, which is a secondary filter.

이때, 프리필터(300)에서는 150㎛ 이상의 굵은 먼지를 1차 집진하게 되고, 상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400)에서는 0.3㎛이하, 이를테면 0.01㎛ 이상의 미세먼지를 2차 집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filter 300 is a primary dust collecting 150㎛ or more coarse dust, and the charged electrostatic filter 400 is a secondary dust collecting less than 0.3㎛, for example, 0.01㎛ or more.

이러한 미세먼지의 집진과정에서, 도시되지 않은 전압인가수단을 통해 대전판(410) 및 방전판(430)에 인가된 7500 ~ 9500V의 직류전류에 의해 오존 및 음이온이 발생되게 된다.In the dust collecting process, ozone and negative ions are generated by DC current of 7500 to 9500 V applied to the charging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430 through a voltage applying means (not shown).

오존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을 정도의 범위인 0.01 ~ 0.05PPM 의 농도를 갖도록 생성되며, 동시에 음이온도 생성되게 된다.Ozone is generated to have a concentration of 0.01 ~ 0.05PPM, which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at the same time anion is generated.

상기 오존은 오존센서, 즉 농도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판독하고 디지털화하여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공지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범위로 유지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The ozone changes in electrical conductivity depending on the ozone sensor, that is, the concentratio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ozone to maintain the above range by using a known sensor capable of real-time measurement by reading and digitizing the ozone.

그리하여, 상기 2차필터를 통과하는 세균들을 살균시키게 되며, 동시에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트, 적산 등과 같은 냄새를 탈취시키게 된다. 아울러, 음이온에 의한 미세먼지의 포집력이 증대되고 잔류 음이온은 흡기팬(230)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여 상쾌한 기분을 들게 만든다.Thus, the bacteria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filter are steril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odors such as ammonia, acetaldehyde, cumulative and the like are deodorized. In addition, the collecting power of the fine dust by the negative ions is increased and the residual negative ions ar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by the intake fan 230 to clean the air in the room to feel a fresh feeling.

집진된 먼지들은 일정 주기로 집진하우징(200)을 계수기본체(100)로부터 탈거시켜 제거시킨 후 재조립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새로운 필터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쾌적하고 상쾌한 지폐계수기 사용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The collected dusts are removed by removing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from the counting base 10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reassembled or replaced with new filters to create a more pleasant and refreshing bill counter environment. .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먼지 및 냄새제거는 물론 지폐에 흡착되어 있는 각종 세균까지도 살균할 수 있다.First, it can sterilize various bacteria adsorbed on paper money as well as removing dust and odors.

둘째, 0.3㎛ 이하의 미세먼지까지도 집진할 수 있어 먼지 집진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Second, dust can be collected even less than 0.3㎛ fine dust dust efficiency is significantly improved.

세째, 음이온에 의한 공기청정 기능도 구유하고 있어 지폐계수기의 사용환경을 고양시킨 장점이 있다.Third, it also possesses an air cleaning function by negative ions, which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bill counter.

Claims (2)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A bill counter that automatically counts bills using a mechanical means; 지폐계수기의 계수기본체(100) 후벽면에 일정크기로 천공형성된 관통공(110)과;A through hole 110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ounter base 100 of the banknote counter; 상기 관통공(110)과 연통되고 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계수기본체(100)의 후벽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집진하우징(200)과;A dust collecting housing 200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ounting base 100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110 and to seal the through hole 110; 상기 집진하우징(200)의 내부에 상기 관통공(110)과 인접하여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프리필터(300)와;A prefilter 300 detach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10 i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00; 상기 프리필터(300)와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전압인가수단을 통해 인가된 직류 고전압에 의해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이격된 두개의 전극판으로 이루어진 하전식 전기집진필터(400)와;A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400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prefilter 300 and composed of two electrod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ozone and negative ions by a DC high voltage applied through a voltage applying means; 상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400)를 통해 살균처리되고 집진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흡입배출할 수 있도록 이와 인접하여 설치된 흡기팬(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Banknote counter having a sterilization and dust coll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ake fan 230 installed adjacent to the sterilization process and the air collected through the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400 in the su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식 전기집진필터(400)는 상기 프리필터(300)와 간격을 두고 배설되며 전체면에는 다수의 유출공(422)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422)에는 첨침(412)이 삼각형태로 돌출형성된 대전판(410)과;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400 is disposed at intervals with the pre-filter 300,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422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the outflow hole 422 is immersed A charging plate 410 having 412 protruding in a triangular shape; 상기 대전판(410)과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그 전체면에는 다수의배출공(432)이 형성되고 상기 대전판(410)과 더블어 각각 전압인가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성방전을 일으키는 방전판(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It is spaced apart from the charging plate 41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432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charge plate 410 and the discharge plate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oltage application means, respectively, causing a silent discharge Banknote counter with sterilization and dust coll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430).
KR2020010030790U 2001-10-09 2001-10-09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KR2002601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90U KR200260133Y1 (en) 2001-10-09 2001-10-09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90U KR200260133Y1 (en) 2001-10-09 2001-10-09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188A Division KR20030030319A (en) 2001-10-09 2001-10-09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133Y1 true KR200260133Y1 (en) 2002-01-10

Family

ID=7308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790U KR200260133Y1 (en) 2001-10-09 2001-10-09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13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13A1 (en)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Counting machine storage type bill sterilizer
KR101727606B1 (en) * 2015-04-23 2017-05-02 주식회사 푸른기술 Detachable 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medium process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13A1 (en)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Counting machine storage type bill sterilizer
KR101727606B1 (en) * 2015-04-23 2017-05-02 주식회사 푸른기술 Detachable 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medium process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2197A1 (en) Air cleaner
WO2010023980A1 (en) Ion generating device and air cleaning device
CN10296213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ollection charge plates divided into electrically isolated banks
JPWO2011152016A1 (en) Microbe / virus capture / in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2962131A (en) Air cleaner with an electrical current in a corona wire correlating to air speed
CN208595642U (en) A kind of air purifier structure
KR102237381B1 (en) Air cleaner have a devise plasma sterilizer
US20060005703A1 (en) Ultraviolet air purifier having multiple charged collection plates
KR101781040B1 (en) Air cleaner
KR20030030319A (en)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KR200260133Y1 (en) Paper money count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dust collection
KR20160090459A (en) Air purifier to extend time of air residence
JPS6025524A (en) Air purifier with filter
JP5636576B1 (en) Air cleaner
JP2660635B2 (en) Air purifier
CN113843046A (en) Dust collecting polar plate and air purifying device
CN210241824U (en) Wall-mounted electrostatic plasma air sterilizer
KR100562273B1 (en) Air Cleaner
JP5819702B2 (en) Ion delivery device
CN207667825U (en) A kind of air cleaning unit based on coagulation simultaneously
JPH1176862A (en) Mechanism for attaching-detaching filter and ion type air clear
EP2036580B1 (en) Sterilizing apparatus
KR20030075703A (en) Dust collecting filter of air cleaner
WO2014092668A1 (en) Electric air sterilizer
KR20240023789A (en) Electrostatic filter for air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