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351Y1 -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351Y1
KR200259351Y1 KR2020010030883U KR20010030883U KR200259351Y1 KR 200259351 Y1 KR200259351 Y1 KR 200259351Y1 KR 2020010030883 U KR2020010030883 U KR 2020010030883U KR 20010030883 U KR20010030883 U KR 20010030883U KR 200259351 Y1 KR200259351 Y1 KR 200259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actuator
main body
rot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학로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주학로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학로, 김홍배 filed Critical 주학로
Priority to KR2020010030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35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겔상 또는 크림과 같은 점성의 물질로 구성되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용기에 적용되는 내용물 취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몸체의 내부에 나사로 체결, 동작되는 상, 하부 2단의 작동체를 두어 몸체를 돌리면 나사의 병진(竝進)운동을 통해 각 작동체가 동시에 개별적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상부 작동체의 피스톤을 상승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의 축소시킴을 통해 내용물이 강제적으로 토출구를 통해 밀려 토출되도록 한 것으로, 상, 하부 작동체가 각각 제 길이 만큼 2단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하여 상승 초기의 상, 하부 작동체 점유 높이보다 훨씬 더 높은 위치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내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타 구조에 비해 작동체의 점유면적의 축소가 가능하여 내용물의 수용면적을 증가하게 되고, 내용물의 수용 량을 줄이지 않고도 용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효과의 증대와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THE RECEPTACLE WITH OUTLET STRUCTURE OF VISCOSITY CONTENTS}
본 고안은 겔상 또는 크림과 같은 점성의 물질로 구성되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용기에 적용되는 내용물 취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몸체의 내부에 나사로 체결, 동작되는 상, 하부 2단의 작동체를 두어 몸체를 돌리면 나사의 병진(竝進)운동을 통해 각 작동체가 동시에 개별적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상부 작동체의 피스톤을 상승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의 축소시킴을 통해 내용물이 강제적으로 토출구를 통해 밀려 토출되도록 한 것으로, 상, 하부 작동체가 각각 제 길이 만큼 2단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하여 상승 초기의 상, 하부 작동체 점유 높이보다 훨씬 더 높은 위치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내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타 구조에 비해 작동체의 점유면적의 축소가 가능하여 내용물의 수용면적을 증가하게 되고, 내용물의 수용 량을 줄이지 않고도 용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효과의 증대와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성이 묽은 크림타입으로 형성된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들은 주로 화장품이 담겨질 수 있는 수납공간의 개방된 상부에 뚜껑이 나사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캡의 중앙에 뚫린 배출공을 스냅 힌지로 연결된 납작한 마개로 개폐토록 구성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필요시에는 용기의 뚜껑을 열고 용기 내부에 담겨진 화장품을 찍어서 바르도록 되어 있는 바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용기의 뚜껑을 열면 용기 내부의 화장품이 외부에 노출되어 불순물이 침투될 우려가 있고, 화장품을 사용할 때 손가락이 화장품에 접촉되면서 세균과 같은 병균들에 의하여 화장품이 감염되어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여러 명이 화장품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의 발생 빈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물론,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용기 상부에 펌프식으로 형성된 별도의 압착구를 설치하여 압착구를 눌러주면 압착구 하부에 연결된 안내관을 통해 압착구의 배출공으로 화장품이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구성도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화장품이 토출되는 배출공은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외부와 노출되어 세균에 감염될 수 있는 것이며, 화장품이 안내관을 통해 이송되는 관계로 화장품의 원활한 토출을 위하여 용기의 형상은 그 폭이 좁으면서도 길게 형성되는 타입으로 제작되어 그 형상이 극히 제한되는 관계로 다양하고 미려한 형상의 용기를 형성할 수 없었다. 특히, 화장품이 이송되는 안내관의 하단부에 접촉되지 않는 부위에 수납되는 화장품은 토출되지 않고 용기 내부에 잔류되는 것인바, 점도가 비교적 높은 겔 타입의 크림으로 형성되는 화장품에는 전술한 용기의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상부에 내용물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구를 가진 몸체의 하부에 몸체의 상측까지 이어지는 나사관을 가진 저부를 회전이가능하게 결합시키고, 몸체 내측에는 상기 나사관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종 방향의 수직홈을 두고 이에 수직홈을 통해 나사관의 나사와 체결되는 상승부재를 설치하고 이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자바라수용체의 바닥을 고정시킨 점성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저부를 돌리게 되면 회전되는 나사관과 체결된 상승부재가 병진 운동에 의해 수직홈을 따라 상승되어 자바라수용체를 수축시켜 내용물을 토출하는 구성이나 이는 사용상 몸체와 저부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와 조립공정이 까다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며, 또한 저부의 회전방향이 자유로워 자바라수용체를 끌어내리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가능하여 토출구의 기밀이 저밀하지 못할 경우 외부의 공기가 자바라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요물을 사화 부패시킬 우려가 있는 등의 폐단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 하부 작동체가 각각 제 길이 만큼 2단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하여 상승 초기의 상, 하부 작동체 점유 높이보다 훨씬 더 높은 위치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내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타 구조에 비해 작동체의 점유면적의 축소가 가능하여 내용물의 수용면적을 증가하게 되고, 내용물의 수용 량을 줄이지 않고도 용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효과의 증대와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성 내용물의 취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에 나사로 체결, 동작되는 상, 하부 2단의 작동체를 두어 외부의 본체를 돌리면 나사의 병진운동을 통해 용기체내의 각 작동체가 동시에 개별적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용기체의 바닥을 이루면서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상부 작동체의 피스톤을 상승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본체와 용기체의 접면부에 다수의 일방향 돌조와 걸림턱으로 구성된 역회전방지구조를 구비시켜 피스톤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시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을 안전성을 확보토록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내용물 취출 전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내용물을 취출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하부 작동체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용기체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가'부분의 확대 평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본체 2:바닥부
3:덮개 10:고정 나사관
11:수나사부 12:안내홈
20:용기체 21:토출공
22:안내홈 30:하부 작동체
31:암나사부 32:수나사부
33:회전방지편 40:상부 작동체
41:암나사관 42:암나사부
43:지지관 44:회전방지용 돌부
45:피스톤 50:역회전방지구조
51:일방향 돌조 52:걸림턱
도 1은 본 고안의 내용물 취출 전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내용물을 취출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저부 일체로 고정되는 바닥부(2)를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면 중앙에 토출공 개폐구(3')를 구비하는 덮개(3)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 상에 상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상태로 외주면과 내면에 각각 수나사부(11)와 종방향의 안내홈(12)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고정 나사관(10)과;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중앙에 내용물(C)의 토출공(21)을 둠과 아울러 하부 양측에 대향되는 한 쌍의 수직의 안내홈(22)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용기체(20)와;
상기 고정 나사관(10)에 상승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면에 상기 고정나사관(10)의 수나사부(11)와 체결되는 암나사부(31)가 구비되고 상측 외주면 일부에 수나사부(3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고 직선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방지편(33)을 구비하는 하부 작동체(30)와;
상기 하부 작동체(30)에 나사 체결되며 내면에 상기 하부 작동체(30)의 수나사부(32)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2)를 갖는 암나사관(41)과, 상기 암나사관(41)의 내측으로 종설되는 지지관(43)의 양측 외주면에 대향되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 나사관(10)의 안내홈(12)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고 직선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방지용 돌부(44) 및 상면에 상기 용기체(20)의 내면에 밀접되어 내용물을 실링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피스톤(45)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 작동체(40)와;
상기 본체(1)와 용기체(20)의 접면부에 구성되며 용기체(20)의 외주면에 돌설되는 다수의 일방향 돌조(51)와, 상기 본체(1)의 외주면에 돌설되는 임의 수의 걸림턱(52)으로 구성되며 본체(1)의 회전이 피스톤(45)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역회전방지구조(5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내용물 취출 전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고정 나사관(10)에 나사 체결된 하부 작동체(30)의 회전방지편(33)은 용기체(20)의 안내홈(22)의 최하단에 위치되며 상부 작동체(40)의 지지관(43)의 하단은 상기 고정나사관(10)의 안내홈(12)의 최저부에 위치된다.
또한 피스톤(45)상부의 용기체(20)내부에는 임의의 점성체 내용물(C)이 수용되며, 용기체(20)의 토출공(21)은 본체(1)에 나사 체결된 덮개(3)의 토출공 개폐구(3')에 의해 막혀져 외부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덮개(3)를 돌려 본체(1)에서 분리시켜 토출공(21)을 개방시킨 다음 노출된 용기체(20)의 상부를 한 손으로 홀딩하여 회전되지 못하게 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본체(1)를 일 방향으로 돌려주면 본체(1)와 일체로 구성되는 바닥부(2)의 고정 나사관(1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에 체결된 하부 작동체(30)에도 회전력이 발생되지만 회전이 불가능하게 홀딩 된 용기체(20)의 안내홈(22)에 끼워진 회전방지편(33)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므로 나사의 병진 운동을 통해 안내홈(12)을 타고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부 작동체(40)는 지지관(43)의 돌부(44)가 고정 나사관(10)의 안내홈(12)에 끼워짐으로써 고정 나사관(10)의 회전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되지 못하고 상승만 하는 하부 작동체(30)의 수나사부(32)와 체결된 암나사관(41)은 자체 회전을 통해 하부 작동체(30)에서 뽑혀지는 즉 상승되는 작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본체(1)의 회전을 통해 하부 작동체(30)의 비 회전 상승과 상부 작동체(40)의 회전 상승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상, 하부 작동체(40)(30)에 의한 이중 상승이 가능하여 도 1의 초기 상태에서 차지하는 높이만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닌 상, 하 작동체(40)(30)의 높이를 더한 길이만큼의 상승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작동체(40)가 상승되면 이와 일체로 된 피스톤(45)도 상승되어 용기체(20)의 내용적을 축소하게 되어 감소된 체적만큼의 내용물(C)을 토출공(21)를 통해 토출시키게 된다.
만일 본체(1)의 회전이 역으로 이루어지면 피스톤(45)의 하강에 따른 외부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내용물의 오염 또는 부패가 초래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역회전방지구조(50)는 본체(1)가 역회전되면 걸림턱(52)이 일방향 돌조(51)에 걸려 진행이 억제되고 본체(1)가 정 회전 되면 걸림턱(52)이 일방향 돌조(51)를 타고 넘어가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본체(1)의 회전을 설정된 방향 즉 피스톤(45)을 상승시켜줄 수 있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제어하여 내용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 하부 작동체가 각각 제 길이 만큼 2단으로 상승될 수 있어 상승 초기의 상, 하부 작동체 점유 높이보다 훨씬 더 높은 위치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의 내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타 구조에 비해 작동체의 점유면적의 축소가 가능하여 내용물의 수용면적을 증가하게 되고, 내용물의 수용 량을 줄이지 않고도 용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효과의 증대와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저부 일체로 고정되는 바닥부(2)를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면 중앙에 토출공 개폐구(3')를 구비하는 덮개(3)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 상에 상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상태로 외주면과 내면에 각각 수나사부(11)와 종방향의 안내홈(12)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고정 나사관(10)과;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중앙에 내용물(C)의 토출공(21)을 둠과 아울러 하부 양측에 대향되는 한 쌍의 수직의 안내홈(22)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용기체(20)와;
    상기 고정 나사관(10)에 상승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면에 상기 고정나사관(10)의 수나사부(11)와 체결되는 암나사부(31)가 구비되고 상측 외주면 일부에 수나사부(3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안내홈(12)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고 직선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방지편(33)을 구비하는 하부 작동체(30)와;
    상기 하부 작동체(30)에 나사 체결되며 내면에 상기 하부 작동체(30)의 수나사부(32)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2)를 갖는 암나사관(41)과, 상기 암나사관(41)의 내측으로 종설되는 지지관(43)의 양측 외주면에 대향되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 나사관(10)의 안내홈(12)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고 직선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방지용 돌부(44) 및 상면에 상기 용기체(20)의 내면에 밀접되어 내용물을 실링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피스톤(45)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 작동체(40)와;
    상기 본체(1)와 용기체(20)의 접면부에 구성되며 용기체(20)의 외주면에 돌설되는 다수의 일방향 돌조(51)와, 상기 본체(1)의 외주면에 돌설되는 임의 수의 걸림턱(52)으로 구성되며 본체(1)의 회전이 피스톤(45)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역회전방지구조(5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내용물 취출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20010030883U 2001-10-10 2001-10-10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259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83U KR200259351Y1 (ko) 2001-10-10 2001-10-10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83U KR200259351Y1 (ko) 2001-10-10 2001-10-10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351Y1 true KR200259351Y1 (ko) 2002-01-05

Family

ID=7306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883U KR200259351Y1 (ko) 2001-10-10 2001-10-10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3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347A1 (en) * 2014-10-14 2016-04-21 Ctk Co., Ltd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850856B1 (ko) * 2015-12-04 2018-04-23 대명디스펜서 주식회사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347A1 (en) * 2014-10-14 2016-04-21 Ctk Co., Ltd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US9894980B2 (en) 2014-10-14 2018-02-20 Ctk Co. Ltd.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850856B1 (ko) * 2015-12-04 2018-04-23 대명디스펜서 주식회사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897B1 (en) Containers with variable volume
CN107105866B (zh) 旋转挤压式化妆品容器
KR20210112979A (ko) 스틱형 내용물 용기
EP1407976B1 (en) Container-applicator for fluid products, particularly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use
JP2020189694A (ja) 飲料容器およびそれと共に使用する漏れ防止プラグ蓋
EP0809590B1 (en) Containers with variable volume
KR101666683B1 (ko) 버튼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RU26434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упоривания вакуумной бутылки
CN112105275A (zh) 化妆品容器
KR20160081277A (ko)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90034076A (ko) 가변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 용기
KR200259351Y1 (ko)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KR20110005880U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101910054B1 (ko) 회전 토출식 콤팩트 용기
KR101309057B1 (ko) 감속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056644B1 (ko) 믹싱용기
KR200167208Y1 (ko) 토출용 마개
KR20220060443A (ko) 내용물 배출 펌프의 잠금장치
KR102415057B1 (ko) 펌프 용기용 누름버튼의 밀폐장치
KR20020059884A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180091203A (ko) 내용물을 모두 쓸 수 있는 펌프 용기
KR200453481Y1 (ko) 액상인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