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560Y1 -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 Google Patents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560Y1
KR200258560Y1 KR2020010029169U KR20010029169U KR200258560Y1 KR 200258560 Y1 KR200258560 Y1 KR 200258560Y1 KR 2020010029169 U KR2020010029169 U KR 2020010029169U KR 20010029169 U KR20010029169 U KR 20010029169U KR 200258560 Y1 KR200258560 Y1 KR 200258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ng plate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식 filed Critical 김명식
Priority to KR2020010029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560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는 하부 및 상부프레임을 구비한다. 하부프레임은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각판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부에는 수목이 배치될 수 있도록 수목공간부가 형성된다. 상부프레임은 몸체의 전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제 1 연결판, 몸체의 배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서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일단에는 제 1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 3 결합부가 형성된 제 2 연결판, 몸체의 배면 양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제 3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4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5 결합부가 형성된 제 3 연결판, 제 2 연결판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몸체의 배면 타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제 5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6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7 결합부가 형성된 제 4 연결판, 제 1 연결판의 대응하는 몸체의 전면 타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에는 제 7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8 결합부가 형성된 제 5 연결판 및 제 1 연결판과 제 5 연결판을 연결하는 제 6 연결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Device for protecting a roadside tree preventing theft}
본 고안은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프레임 및 서로 대응하는 결합부를 가지면서 결합부를 관통하는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서로 끼워지는 다수의 연결판을 구비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 또는 관상수가 심어진 주변지역은 대부분 콘크리트, 아스팔트 또는 보도블럭으로 둘러싸여 있고, 뿌리부분에는 수분의 원활한 공급 및 성장을 위해서 흙으로 덮혀 있으며 이 같은 흙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흙이 외부로 노출되면 보행자가 밟고 지남에 따라 흙이 단단해지게 되고 수분 또는 공기 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수목의 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흙의 소실로 인해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주물제 또는 합성수지제로 성형된 보호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대는 보호대의 일부분이 파손되면 보호대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고, 분해가 간단하여 도난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프레임 및 서로 대응하는 결합부를 가지면서 결합부를 관통하는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서로 끼워지는 다수의 연결판을 구비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가로수 보호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가로수 보호대 110 : 하부프레임
112 : 몸체 114 : 수목공간부
120 : 상부프레임 122 : 제 1 연결판
124 : 제 1 결합부 128 : 제 2 연결판
130 : 제 2 결합부 132 : 제 3 결합부
134 : 제 3 연결판 136 : 제 4 결합부
138 : 제 5 결합부 140 : 제 4 연결판
142 : 제 6 결합부 144 : 제 7 결합부
146 : 제 5 연결판 148 : 제 8 결합부
152 : 제 6 연결판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각판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부에는 수목이 배치될 수 있도록 수목공간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 및
몸체의 전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제 1 연결판, 몸체의 배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서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일단에는 제 1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 3 결합부가 형성된 제 2 연결판, 몸체의 배면 양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제 3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4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5 결합부가 형성된 제 3 연결판, 제 2 연결판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몸체의 배면 타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제 5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6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7 결합부가 형성된 제 4 연결판, 제 1 연결판의 대응하는 몸체의 전면 타측 모서리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에는 제 7 결합부에 끼워지는 제 8 결합부가 형성된 제 5 연결판 및 제 1 연결판과 제 5 연결판을 연결하는 제 6 연결판을 구비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프레임 및 서로 대응하는 결합부를 가지면서 결합부를 관통하는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서로 끼워지는 다수의 연결판을 구비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가로수 보호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100)는 하부프레임(110) 및 상부프레임(120)을 구비한다.
먼저, 하부프레임(110)은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각판 형상의 몸체(112)를 구비한다. 이러한 몸체(112)의 내부에는 수목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수목공간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수목공간부(114)는 몸체(112)의 전면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12)는 일반적인 보도블럭(도시되지 않음)의 50%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더욱바람직하게는 몸체(112)의 외곽부분은 인터로킹형 보도블록(도시되지 않음)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 인터로킹형 블록의 굴곡부에 대응하는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20)이 결합된다.
상부프레임(120)은 서로 끼워 마쳐지는 제 1 연결판(122), 제 2 연결판(128), 제 3 연결판(134), 제 4 연결판(140), 제 5 연결판(146) 및 제 6 연결판(152)을 구비한다.
제 1 연결판(122)은 몸체(112)의 전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연결판(122)의 일단에는 서로 엇갈리게 외부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결합부(124)가 형성된다. 제 1 결합부(124)는 제 1 연결판(122)의 하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 1 돌출판(124a) 및 제 1 연결판(122)의 상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 2 돌출판(124b)을 구비한다. 한편, 제 1 돌출판(124a)에 대응하는 제 1 연결판(122)의 타단 하부 모서리부분에는 제 1 결합홈(126)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돌출판(124a) 및 제 1 결합홈(126)에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장착공(H1) 및 제 2 장착공(H2)이 각각 형성된다.
제 2 연결판(128)은 몸체(112)의 배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서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연결판(128)의 일단에는 제 1 결합부(124)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제 2 결합부(130)는 제 1 돌출판(124a)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 3 돌출판(130a) 및 제 2 돌출판(124b)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4 돌출판(130b)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연결판(128)의 타단에는 제 3 결합부(132)가 형성된다. 제 3결합부(132)는 제 2 연결판(128)의 하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 5 돌출판(132a) 및 제 2 연결판(128)의 상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 6 돌출판(132b)을 구비한다. 이때, 제 5 돌출판(132a)에는 제 3 장착공(H3)이 형성된다. 제 3 연결판(134)은 몸체(112)의 배면 양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3 연결판(134)의 일단에는 제 3 결합부(132)에 대응하는 제 4 결합부(136)가 형성된다. 제 4 결합부(136)는 제 5 돌출판(132a)에 상부면 상에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 7 돌출판(136a) 및 제 6 돌출판(132b)의 하부면 상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8 돌출판(136b)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3 연결판(134)의 타단에는 제 5 결합부(138)가 형성된다. 제 5 결합부(138)는 제 3 연결판(134)의 하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 9 돌출판(138a) 및 제 3 연결판(134)의 상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 10 돌출판(138b)을 구비한다. 이때, 제 9 돌출판(138a)에는 제 4 장착공(H4)이 형성된다.
제 4 연결판(140)은 제 2 연결판(128)과 마찬가지로 배면 타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서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 4 연결판(140)의 일단에는 제 5 결합부(138)에 대응하는 제 6 결합부(142)가 형성된다. 제 6 결합부(142)는 제 9 돌출판(138a)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 11 돌출판(142a) 및 제 10 돌출판(138b)에 하부면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12 돌출판(142b)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4 연결판(140)의 타단에는 제 7 결합부(144)가 형성된다. 제 7 결합부(144)는 제 4 연결판(140)의 하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 13 돌출판(144a) 및 제 4 연결판(140)의 상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14 돌출판(144b)을 구비한다. 이때, 제 13 돌출판(144a)에는 제 5 장착공(H5)이 형성된다.
또한, 제 5 연결판(146)은 제 1 연결판(122)의 대응하는 몸체(112)의 전면 타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5 연결판(146)의 일단에는 제 7 결합부(144)에 대응하는 제 8 결합부(148)가 형성되며, 제 8 결합부(148)에는 제 13 돌출판(144a)의 상부면 상에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 15 돌출판(148a) 및 제 14 돌출판(144b)의 하부면 상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16 돌출판(148b)이 형성된다. 이때, 제 15 돌출판(148a)에 대응하는 제 5 연결판(146)의 타단 하부 모서리부분에는 제 1 결합홈(126)과 마주보는 제 2 결합홈(150)이 형성되고, 제 2 결합홈(150)에는 제 6 장착공(H6)이 형성된다.
한편, 제 6 연결판(152)은 제 1 연결판(122)과 제 5 연결판(146)을 연결하면서 몸체(112)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6 연결판(152)의 양측에는 제 1 결합홈(126) 및 제 2 결합홈(150)에 끼워지는 제 1 결합돌기(154a) 및 제 2 결합돌기(154b)가 각각 형성되고, 제 1 결합돌기(154a) 및 제 2 결합돌기(154b))에는 제 제 2 장착공(H2) 및 제 6 장착공(H6)과 연통하는 제 7 장착공(H7) 및 제 8 장착공(H8)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판(122), 제 2 연결판(128), 제 3 연결판(134), 제 4 연결판(140), 제 5 연결판(146) 및 제 6 연결판(152)은 몸체(11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외곽부분은 하부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인터로킹형 보도블록(도시되지 않음)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 인터로킹형 블록의 굴곡부에 대응하는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100)의 장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가로수(도시되지 않음)를 심고자 하는 곳에 하부프레임(110)을 설치한 상태 하에서 수목을 이식한다. 이때, 보도블록의 형상, 예를 들어 인터로킹 블록과 같은형상을 가지는 블록에 대응하게 하부프레임(110)의 외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10)의 수목공간부(114)에 가로수가 이식되면, 다시 작업자는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상부프레임(120)을 하나씩 조립한다.
상부프레임(120)은 작업순서에 의해서 조립되어 지는데, 먼저, 하부프레임(110)의 상부면 상에 제 1 연결판(122)을 결합시킨다. 이때, 제 1 연결판(122)은 하부프레임(110)의 전면 일측 모서리 상부면 상에 배치되어 제 1 장착공(H1)을 지나 몸체(112)에 체결되는 나사(B)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 1 연결판(122)이 장착되면 제 2 연결판(128)을 장착한다. 이때, 제 2 연결판(128)의 제 1 연결판(122)의 제 1 결합부(124)에 끼움 결합시킨다. 즉, 서로 엇갈리게 대응하는 제 1 돌출판(124a)와 제 3 돌출판(130a) 및 제 2 돌출판(124b)와 제 4 돌출판(130b)는 끼워 맞춘다. 이때, 제 2 연결판(128)은 몸체(112)의 배면 일측 모서리 상부면 상에 배치되어 제 3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 3 장착공(H3)을 지나 몸체(112)에 체결되는 나사(B)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때, 제 1 장착공(H1)에 체결된 나사(B)는 제 3 돌출판(130a)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몸체(112)의 상부에 제 1 연결판(122) 및 제 2 연결판(128)이 장착되면,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제 3 연결판(134), 제 4 연결판(140) 및 제 5 연결판(146)을 끼워 맞춘다. 즉, 제 3 연결판(134)의 제 4 결합부(136)를 제 2 연결판(128)의 제 3 결합부(132)에, 제 3 연결판(134)의 제 5 결합부(138)에는 제 4 연결판(140)의 제 6 결합부(142)를 결합시키고, 제 4 연결판(140)의 제 7 결합부(144)에는 제 5 연결판(146)의 제 8 결합부(148)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 2 장착공(H2)를 지나 몸체(112)에 체결되는 나사(B), 제 2 연결판(128)과 결합된 제 3 연결판(134)을 몸체(112)에 체결하는 나사(B) 및 제 3 연결판(134)과 결합된 제 4 연결판을 마찬가지로 몸체(112)에 체결하는 나사(B)는 각각의 제 4 결합부(136), 제 6 결합부(138) 및 제 8 결합부(148)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제 1 연결판(122) 및 제 5 연결판(146) 사이에는 제 6 연결판(152)이 배치된다. 제 6 연결판(152)의 제 1 결합돌기(154a) 및 제 2 결합돌기(154b)는 제 1 연결판(122) 및 제 5 연결판(146)에 형성된 제 1 결합홈(126) 및 제 2 결합홈(150)에 각각 끼워지게 되며, 제 2 장착공(H2)과 제 7 장착공(H7) 및 제 6 장착공(H6)과 제 8 장착공(H8)을 지나 몸체(112)에 체결되는 나사(B)에 의해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120)은 하부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보도블록의 형상, 예를 들어 인터로킹 블록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블록의 굴곡부에 대응하게 상부프레임(120)의 외부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120)의 각각의 연결판(122, 128, 134, 140, 146, 152)의 상부면 상에는 다양한 문양 예를들어 각각의 시도를 상징하는 문양 및 무궁화와 같은 문양을 양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100)은 수목공간부(114)가 형성된 몸체(112)를 가지는 하부프레임(110)을 구비하고, 몸체(112)의 상부면 상에 차례로 결합되는 제 1 연결판(122), 제 2 연결판(128), 제 3 연결판(134), 제 4 연결판(140), 제 5 연결판(146) 및 제 6 연결판(152)을 구비함으로써, 소수의 작업자가 작업순서에 맞추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조립 후 각각의 연결판(122, 128, 134, 140, 146, 152)을 몸체(112)에 결합시키는 나사(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분해가 어려워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10) 및 상부프레임(120)의 외곽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보도블럭의 굴곡부와 일치시킬 수 있어 보호대(100)가 흔들림 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각판 형상의 몸체(112)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12)의 내부에는 수목이 배치될 수 있도록 수목공간부(114)가 형성된 하부프레임(110); 및
    상기 몸체(112)의 전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결합부(124)가 형성된 제 1 연결판(122), 상기 몸체(112)의 배면 일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서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일단에는 상기 제 1 결합부(124)에 끼워지는 제 2 결합부(130)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 3 결합부(132)가 형성된 제 2 연결판(128), 상기 몸체(112)의 배면 양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 3 결합부(132)에 끼워지는 제 4 결합부(136)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5 결합부(138)가 형성된 제 3 연결판(134), 상기 제 2 연결판(128)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12)의 배면 타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 5 결합부(138)에 끼워지는 제 6 결합부(14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7 결합부(144)가 형성된 제 4 연결판(140), 상기 제 1 연결판(122)의 대응하는 상기 몸체(112)의 전면 타측 모서리 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에는 상기 제 7 결합부(144)에 끼워지는 제 8 결합부(146)가 형성된 제 5 연결판(146) 및 상기 제 1 연결판(122)과 상기 제 5 연결판(146)을 연결하는 제 6 연결판(152)을 구비하는 상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124)는 서로 엇갈리면서 상기 제 1 연결판(122)의 하부 및 상부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어 상기 제 1 연결판(122)이 상기 몸체(112)에 나사(B)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 장착공(H1)이 형성된 제 1 돌출판(124a) 및 제 2 돌출판(124b)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결합부(124)는 상기 제 1 돌출판(124a)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 1 장착공(H1)을 폐쇄하는 제 3 돌출판(130a) 및 상기 제 2 돌출판(124b)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4 돌출판(130b)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결합부(132)는 상기 제 2 연결판(128)의 하부 및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연결판(128)을 상기 몸체(112)에 체결할 수 있도록 제 3 장착공(H3)이 형성된 제 5 돌출판(132a) 및 제 6 돌출판(132b)을 구비하고, 상기 제 4 결합부(136)는 상기 제 5 돌출판(132a)에 상부면 상에 하부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 3 장착공(H3)을 폐쇄하는 제 7 돌출판(136a) 및 상기 제 6 돌출판(132b)의 하부면 상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8 돌출판(136b)을 구비하며, 상기 5 결합부(134)는 상기 제 3 연결판(134)의 하부 및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3 연결판(134)을 상기 몸체(112)에 체결할 수 있도록 제 4 장착공(H4)이 형성된 제 9 돌출판(138a) 및 제 10 돌출판(138b)을 구비하고, 상기 제 6 결합부(142)는 상기 제 9 돌출판(138a)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 4 장착공(H4)을 폐쇄하는 제 11 돌출판(142a) 및 상기 제 10 돌출판(138b)에 하부면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12 돌출판(142b)을 구비하며, 상기 제 7 결합부(144)는 상기 제 4 연결판(140)의 하부 및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4 연결판(140)을 상기 몸체(112)에 체결할 수 있도록 제 5 장착공(H5)이 형성된 제 13돌출판(144a) 및 제 14 돌출판(144b)을 구비하고, 상기 제 8 결합부(148)는 상기 제 13 돌출판(144a)의 상부면 상에 하부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 5 장착공(H5)을 폐쇄하는 제 15 돌출판(148a) 및 상기 제 14 돌출판(144b)의 하부면 상에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 16 돌출판(14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판(122) 및 상기 제 5 연결판(146)의 상기 제 1 돌출판(124a) 및 상기 제 15 돌출판(148a)에 대응하는 타단 하부 모서리부분에는 제 2 장착홈(H2) 및 제 6 장착홈(H6)이 형성된 제 1 결합홈(126) 및 제 2 결합홈(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연결대(152)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결합홈(126) 및 상기 제 2 결합홈(150)에 끼워지는 제 1 결합돌기(154a) 및 제 2 결합돌기(154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돌기(154a) 및 상기 제 2 결합돌기(154b))에는 상기 제 2 장착공(H2) 및 제 6 장착공(H6)과 연통하는 제 7 장착공(H7) 및 제 8 장착공(H8)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판(122) 및 상기 제 5 연결판(146)과 함께 상기 나사(B)에 의해서 상기 몸체(11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2) 및 각각의 상기 연결대(122, 128, 134,140, 146, 152)의 외곽부분은 굴곡이 있는 보도블록의 굴곡부에 맞추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KR2020010029169U 2001-09-21 2001-09-21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KR200258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69U KR200258560Y1 (ko) 2001-09-21 2001-09-21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69U KR200258560Y1 (ko) 2001-09-21 2001-09-21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560Y1 true KR200258560Y1 (ko) 2001-12-31

Family

ID=7310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169U KR200258560Y1 (ko) 2001-09-21 2001-09-21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5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894B1 (ko) 2010-02-18 2011-01-25 여흥레이저텍(주) 가로수 보호판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894B1 (ko) 2010-02-18 2011-01-25 여흥레이저텍(주) 가로수 보호판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170D1 (de) Hermetisches Gehäuse mit einem Viertelumdrehungsverschluss
FR2806349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39;une piece en matiere plastique renforcee
DE60041675D1 (de) Modellierung von Objekten unter Verwendung von detailgerichteten hierarchischen Distanzfeldern
KR200258560Y1 (ko) 도난 방지용 가로수 보호대
ATE387555T1 (de) Rosette für einen zugeordneten schliesszylinder
KR200425637Y1 (ko) 가로수 보호판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JP2000178914A (ja) はめ込み式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0285781Y1 (ko) 가로수 보호대
KR200211399Y1 (ko) 문틀
KR200233709Y1 (ko) 가로수 보호망
GB2421266A (en) Hinged gully grate
KR200211516Y1 (ko) 보도 블록
CN214576299U (zh) 一种面板壳体以及具有该面板壳体的电子锁面板
KR200285810Y1 (ko) 수목보호대용 틀
KR200163882Y1 (ko) 논두렁덮개
KR200335388Y1 (ko) 수목 보호덮개
KR100466725B1 (ko) 수목보호대용 틀
JP3348746B2 (ja) アルミグレーチング
KR100877787B1 (ko) 보도블록
JPH04136Y2 (ko)
KR200240466Y1 (ko) 수로 보호구
KR200223204Y1 (ko) 벽보부착 방지용 돌기판(突起板)
JPH0225909Y2 (ko)
JPH0745730Y2 (ja) 簡易フェンス及びそ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