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474Y1 - 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474Y1
KR200258474Y1 KR2020010025925U KR20010025925U KR200258474Y1 KR 200258474 Y1 KR200258474 Y1 KR 200258474Y1 KR 2020010025925 U KR2020010025925 U KR 2020010025925U KR 20010025925 U KR20010025925 U KR 20010025925U KR 200258474 Y1 KR200258474 Y1 KR 200258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ing
coupled
computer desk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9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민 filed Critical 박성민
Priority to KR2020010025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4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474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 다리와, 상기 전후방 다리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전후방 결합구와, 상기 전방 결합구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는 모니터 받침판과, 상기 후방 결합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 위에 올려져 고정되는 키 보드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for a prefabricated computer, the front and rear legs, the front and rear coupl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legs, the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front coupler, the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the support A monitor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earth,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sphere, a support arm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a keyboard support plate mounted on and fixed to the support arm.

Description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본 고안은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구조부를 분해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that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installed by disassembling each structural unit.

종래의 컴퓨터용 책상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에 양 단부 부근에 직립되게 마주보게 설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2a,2b)와, 사이드 플레이트(2a,2b) 사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인너 플레이트(2c)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a,2b)의 일측 방향쪽으로 맨 상부에 모니터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어폰 잭을 꽂을 수 있는 접속부를 구비한 이어폰 장착공간(3a)이 마련되도록 조립되는 중간 플레이트(3)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3)와 바텀 플레이트(5)의 사이에 본체를 지지하는 착탈가능한 본체 트레이(4)와, 상기 상부, 사이드 및 인너 플레이트(1,2a,2b,2c)에 나사로 조립되어 본체의 배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도어(7a)가 경첩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백 플레이트(7), 사이드 플레이트(2a) 및 인너 플레이트(2c) 사이에 키보드가 놓이는 착탈가능한 키 보드 트레이(6)로 구성된다.Conventional computer desks have a top plate (1), side plates (2a, 2b) that are installed to face upright on both sides of the top plate (1), as shown in Figure 1a and 1b, side plates Earphones with an inner plate 2c installed upright between (2a, 2b),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supporting a monitor at the top of the side plate (2a, 2b) at the top and plugging in an earphone jack An intermediate plate 3 assembled to provide a mounting space 3a, a detachable body tray 4 supporting the main body between the intermediate plate 3 and the bottom plate 5, the upper, side and Back plate 7, side plate 2a and inner plate which are assembled to inner plates 1, 2a, 2b and 2c with screws and hingedly opened and closed in a position facing the back of the main body. Place the keyboard between (2c) It is composed of a detachable keyboard tray 6.

그런데, 상기 컴퓨터용 책상은 각 구성부들 즉, 상부 플레이트(1), 사이드 플레이트(2a,2b), 인너 플레이트(2c), 중간 플레이트(3), 바텀 플레이트(5) 및 백 플레이트(7) 등이 분해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반할 때 등 취급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computer desk has each component, that is, the top plate 1, the side plates (2a, 2b), the inner plate (2c), the middle plate (3), the bottom plate (5) and the back plate (7), etc. Since it is fixed so as not to be disassembled, there is a point that it is difficult to handle when carrying it.

또한, 상기 종래의 컴퓨터용 책상은 사용자가 책상 앞에 앉았을 경우 사용자의 다리를 사이드 및 인너 플레이트(2a,2c) 사이에 넣는 것으로, 사이드 및 인너 플레이트(2a,2c)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고자 할 때는 의자를 뒤로 뺀 후에 움직여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mputer desk is to put the user's legs between the side and the inner plate (2a, 2c) when the user sits in front of the desk, the space between the side and the inner plate (2a, 2c) is narrow When you want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 was an in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move back after removing the chair.

본 고안의 목적은, 책상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들을 분해 조립되게 하므로써 운반 시 등에 있어서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that can be easily handled in transportation or the like by disassembling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desk.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책상 앞에 앉았을 경우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that can move freely from side to side when the user sits in front of the desk and can utilize the space widely.

도 1a,b는 종래의 컴퓨터용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computer desk,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uter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의 일부 절개된 측면도,3 is a partially cut away side view of a computer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도 5, 도 6, 및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의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된 예시도,4, 5, 6, and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parts of a desk for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의 더블 배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arrangement of a computer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전방 다리, 10′:후방 다리,10: front leg, 10 ': rear leg,

20:폭 조절용 연결부, 21,21′:전후방 고정판,20: width adjustment connector, 21, 21 ': front and rear fixing plate,

21a:볼트공, 22:연결판,21a: bolt ball, 22: connecting plate,

22a:결합공, 30:전방 결합구,22a: coupling hole, 30: front coupling,

30′:후방 결합구, 31:부재 결합홈,30 ': rear coupling hole, 31: member coupling groove,

40,40′:체결부재, 41:전방 결합구 결합홈,40, 40 ': fastening member, 41: front coupling hole coupling groove,

42:지지구 결합홈, 50:지지구,42: support groove, 50: support,

51:체결부재 결합홈, 52:모니터 받침판 끼움홈,51: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52: monitor base plate fitting groove,

60:모니터 받침판, 70:연결부재,60: monitor base plate, 70: connecting member,

71:후방 결합구 결합홈, 72:지지암 결합홈,71: rear coupling groove, 72: support arm coupling groove,

73:지지턱, 80:지지암,73: support jaw, 80: support arm,

90:키 보드 받침판, 100:높이 조절구,90: keyboard support plate, 100: height adjuster,

101:나사봉, 102:머리부,101: screw rod, 102: head,

103:결합편, 104:패드,103: bonding piece, 104: pad,

110:브러쉬 홀더, 111:브러쉬 끼움홈,110: brush holder, 111: brush fitting groove,

112:홀더 홈, 113,113′:브러쉬.112: Holder home, 113,113 ': Brush.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은, 세로로 세워지는 전후방 다리와, 상기 전후방 다리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전후방 결합구와, 상기 전방 결합구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는 모니터 받침판과, 상기 후방 결합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 위에 올려져 고정되는 키 보드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ront and rear legs vertically, the front and rear couple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legs, the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front coupler, and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 monitor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supporter,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rear coupler, a support arm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a keyboard support plate mounted on and fixed to the support ar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은, 전후방 다리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폭 조절용 연결부를 설치하되, 전후방 다리에 각각 고정되고 볼트공을 형성하는 전후방 고정판과, 상기 전후방 고정판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볼트공에 일치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fabricated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dth adjusting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legs, respectively, and fixed to the front and rear legs, and the front and rear fixing plate to form a bolt hole, and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fixing plate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late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s.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은, 모니터 받침판 하면에 높이 조절구를 설치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머리부와,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고 그 하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턱에 고정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fabricated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po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nitor support plate, the screw rod is formed, the head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crew rod, screwed to the screw rod And the low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piece fixed to the support jaw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은, 지지구의 일측면에 브러쉬 홀더를 결합하되, 브러쉬 홀더의 일측면에는 브러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브러쉬 끼움홈을 형성하고,그 타측면에는 지지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fabricated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brush holder with one side of the support, but forms a brush fitting groove to fix the brush on one side of the brush holder, and on the other side thereof. Characterized by forming a holder groove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 2,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방 다리(10)(10′)와, 상기 전후방 다리(10)(1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전후방 결합구(30)(30′)와, 상기 전방 결합구(3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40)와, 상기 체결부재(40)에 결합되는 지지구(50)와, 상기 지지구(50)에 결합되는 모니터 받침판(60)과, 상기 후방 결합구(3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0)와, 상기 연결부재(70)에 결합되는 지지암(80)과, 상기 지지암(80) 위에 올려져 고정되는 키 보드 받침판(90)으로 구성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ront and rear legs 10 (10 '), and the front and rear coupling holes 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legs 10, 10', respectively ( 30 '), a fastening member 40 coupled to the front coupler 30, a support 50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40, and a monitor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50 ( 60, a connection member 70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hole 30 ′, a support arm 80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70, and a key mounted on and fixed to the support arm 80. The board support plate 90 is configured.

본 고안의 책상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전후방 다리(10)(10′)는 모두 4개로 구성되는데, 전방 다리 2개, 후방 다리 2개로 이루어진다.The front and rear legs 10, 10 'are all composed of four, two front legs and two rear legs.

여기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방 다리(10)(10′)를 각각 연결하여 다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방으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 조절용 연결부(20)를 설치하고 있다. 폭 조절용 연결부(20)의 구조는 전후방 다리(10)(10′)에 각각 고정되고 볼트공(21a)을 형성하는 전후방 고정판(21,21′)과, 상기 전후방 고정판(21,21′)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볼트공(21a)에 일치하는 복수개의 결합공(22a)을 형성하는 연결판(22)으로 구성된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front and rear legs 10 and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legs, and at the same time, the width adjustment connecting portion 20 that can adjust the width in front and rear is provided. The structure of the width adjustment connecting portion 20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legs 10, 10 ', respectively, and the front and rear fixing plates 21 and 21' forming the bolt holes 21a, and the front and rear fixing plates 21 and 21 '. It consists of a connecting plate 22 which connects to each other and form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2a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s 21a.

따라서, 전후방 다리(10)(10′)의 폭을 서로 조절할 경우, 연결판(22)을 고정판(21,21′)들로부터 분리하고, 필요한 만큼 다리의 폭을 조절한 후, 다시 연결판(22)을 고정판(21,21′)들에 볼트로 고정시킨다.Therefore, when adjusting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legs 10 and 10 ', the connecting plate 22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s 21 and 21', the width of the legs is adjusted as necessary, and then the connecting plate ( 22) to the fixing plates 21 and 21 'with bolts.

상기한 전후방 다리의 폭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모니터 받침판(60)에 올려지는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leg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nitor placed on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o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전후방 결합구(30)(3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가 볼트로 결합되어 1세트를 이루되, 내측면은 다리를 안내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 측 상단부에는 체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부재 결합홈(3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측 하부에는 볼트공(32a)이 형성된 받침판(32)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ront and rear coupling holes 30 and 30 ′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wo bolts to form one set, but the inner sid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o guide the legs and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The member coupling groove 31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32 in which the bolt hole 32a was formed is formed in both lower sides.

따라서, 전후방 결합구(30)(30′)를 다리에 결합할 경우에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내측면 안으로 다리(10)(10′)를 끼운 후, 2개를 서로 볼트로 조여서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전방 결합구(30)는 전방 다리(10) 상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부재 결합홈(31)으로 체결부재(4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 결합구(30′)는 후방 다리(10′) 상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부재 결합홈(31)으로 연결부재(70)를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upling the front and rear coupler 30, 30 'to the leg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10, 10'), the two are bolted together to combine. At this time, the front coupl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leg 10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fastening member 40 by the member coupling groove 31. In addition, the rear coupling hole 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leg 10' and simultaneously supports the connection member 70 by the member coupling groove 31.

체결부재(40)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결합구(30)에 결합되고 지지구(50)를 지지시켜 준다. 체결부재(4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며, 그 일측면에는 결합편(43)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방 결합구 결합홈(41)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는 결합편(44)이 상부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하로 나란히 복수개가 형성되는 지지구 결합홈(42)들을 형성하여 지지구(50)를 지지하게 된다.3 and 5, the fasten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front coupling 30 to support the support 50. The fastening member 4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 one side thereof, the coupling piece 43 forms a front coupling hole coupling groove 41 formed by bending downward, and the coupling piece 44 on the other side thereof. ) Is bent upward an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 support (50) by forming support coupling grooves 42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ide by side up and down.

상기 체결부재(40)를 전방 결합구(30)에 결합하는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결부재(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전방 결합구 결합홈(41)을 통하여 전방 결합구(30)의 타측 상단에 결합시키되, 체결부재(40)의 결합편(43)을 전방 결합구(30)의 부재 결합홈(31)에 끼워 결합시킨다. 그리고, 필요시 체결부재(40)를 전방 결합구(30)의 하부 양 측면에 형성된 받침판(32)에 체결할 수 있는데, 이 때, 체결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된 T형 체결홈(45)과 받침판(32)에 형성된 볼트공(32a)을 통하여 서로 체결시킨다. 즉, T형 체결홈(45)에 너트를 넣은 후, 볼트공(32a)의 하부에서 상부로 볼트를 넣어 체결하게 된다.A structure for coupling the fastening member 40 to the front coupler 30 is illustrated in FIG. 3, bu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s follows. Through the front coupler coupling groove 41 form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other upper end of the front coupler 30, the coupling piece 43 of the fastening member 40 to the front coupler 30 Insert into the coupling member 31 of the coupling member. Then, if necessary, the fastening member 40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 plates 32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front coupling hole 30, at this time, the T-shaped fastening groove 4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40. And through the bolt hole (32a) formed in the support plate (32). That is, after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T-shaped fastening groove 45,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hole 32a to be fastened.

여기서, 체결부재(40)의 타측면에 상하로 복수개의 지지구 결합홈(42)들을 형성함으로써, 지지구(50)를 필요에 따라 낮게 결합할 수도 있고 높게 결합할 수도 있다. 이는 모니터 받침판(60)을 낮게 설치할 경우에는 지지구(50)를 체결부재(40)의 하부쪽 지지구 결합홈(42)에 결합하고, 모니터 받침판(60)을 높게 설치할 경우에는 지지구(50)를 체결부재(40)의 상부쪽 지지구 결합홈(42)에 결합함으로써 모니터 받침판(60)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Here, by forming a plurality of support coupling grooves 42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40, the support 50 may be coupled to a lower or higher as necessary. When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is installed low, the supporter 50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coupling groove 42 of the fastening member 40, and when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is installed high, the supporter 50 is installed. ) Can be fre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base plate 60 by coupling to the upper support coupling groove 42 of the fastening member 40.

지지구(50)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면에 결합편(53)이 하부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 결합홈(51)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는 다각형으로 된 받침판(54) 위에 그 끝부분이 하부로 절곡되는 결합편(55)으로 이루어지는 모니터 받침판 끼움홈(52)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supporter 50 form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s 51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the coupling piece 53 bent downward and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a monitor support plate fitting groove 52 made of a coupling piece 55 whose end portion is bent downward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54 made of a polygon.

따라서, 일측면의 체결부재 결합홈(51)으로 체결부재(4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타측면의 모니터 받침판 끼움홈(52)에는 모니터 받침판(60)을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 can b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40 by the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51 of one side, and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can be coupled to the monitor support plate fitting groove 52 of the other side.

모니터 받침판(60)은 모니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구조부로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상면에 결합홈(61)을 형성하고 있어 일측 끝부분이 지지구(50)의 모니터 받침판 끼움홈(52)에 결합되면서 하부는 받침판(54)에 받쳐지고, 상부는 결함홈(61)이 결합편(55)에 결합됨으로서 지지된다. 또한, 모니터 받침판(6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3개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복수개의 모니터를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각 받침판(60)의 일측변에는 사각홈(62)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케이블을 안내할 수도 있고, 액정 모니터를 설치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The monitor base plate 60 is a structure that can put the monitor, as shown in Figure 5, forming a coupling groove 61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ne end portion of the monitor base plate fitting groove of the support (50) 5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54, the upper portion is supported by the defect groove 61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55). In addition, the monitor base plate 60 may be divided into three, as shown in Figure 2, which can put a plurality of monitors. In addition, a square groove 62 is form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three support plates 60, which may be used to guide a cable or to install a liquid crystal monitor.

한편, 모니터 받침판(60)이 지지구(50)에 의해 지지가 약할 경우 후방 다리(10′)의 상단부로 지지할 수도 있고, 또한 별도로 높이 조절구(100)로 지지할 수도 있다(도3참조).On the other hand, if the support base 60 is weak support by the support 50, it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rear leg (10 '), or may be supported separately by the height adjustment (100) (see Fig. 3). ).

도 6 및 도 7은 모니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구(100)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101)과, 상기 나사봉(10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머리부(102)와, 상기 나사봉(101)에 그 상부가 나사결합되고 그 하부는 절곡부(103a)를 형성함과 동시에 피스공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편(103)으로 구성된다.6 and 7 show the height adjustment port 10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base plate, the threaded rod is formed screw 101, the head portion 102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crew rod 101 ),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screwed to the screw rod 101,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ncludes a support piece 103 which forms a bent portion 103a and forms a piece hole.

여기서, 머리부(102)의 상면이 모니터 받침판(60)의 하면을 직접 받쳐줄 때 모니터 받침판(60)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머리부(102)의 상면에유연성 재질인 패드(104)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패드(104)는 머리부(102)의 상면에 형성한 O링 홈(102a)에 O링형상의 고무제 패드(104)를 머리부(102)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끼우고 있다.Her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02 directly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the pad 104,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02 so as not to prevent damage or slip of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It is desirable to. The pad 104 in this embodiment inserts the O-ring shaped rubber pad 104 into the O-ring groove 10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02 slight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02. hav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조절구(100)는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70)의 적절한 간격마다 결합된다. 즉, 지지편(103)의 하부 절곡된 절곡부(103a)가 연결부재(7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71)에 결합되되, 절곡부(103a)의 하단부가 지지턱(73)에 위에 지지된 후 피스로 고정된다. 이러한 높이조절구(100)는 하나의 책상당 2-3개정도가 적당하므로 연결부재(70)의 적절한 위치 마다 설치하면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 받침판(60)이 3개가 하나의 판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 개당 높이조절구(1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adjusting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at appropriate intervals of the connection member 70 as shown in FIGS. 3 and 7. That is, the lower bent portion 103a of the support piece 10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71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70, and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103a is supported on the support jaw 73. Supported above, it is fixed with pieces. Sinc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100 is suitable for about 2-3 pieces per desk, it may be installed at appropriat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member 70.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hree monitor base plate 60 forms one plat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height adjusting holes 100 for each piec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 조절구(100)로 모니터 받침판(6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모니터 받침판(6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구(50)를 체결부재(40)의 타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구 결합홈(42)들 중 원하는 높이에 결합한 후, 나사봉(101)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머리부(102)를 나사 돌림하여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도3참조).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base plate 60 with the height adjustment port 1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After the support 50 supporting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is coupled to a desired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coupling grooves 42 formed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40, the screw rod 101 The height is adjusted by turning the head 102 fixed to the upper end screw (see Fig. 3).

연결부재(70)는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그 일측면에는 아래쪽에 지지턱(73)이 형성되고 윗쪽에는 결합편(74)이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후방 결합구 결합홈(71)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는 아래쪽에 받침편(75)이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윗쪽에는 결합편(76)이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암 결합홈(72)을 형성하고 있다.3 and 7, the connecting member 7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of the support jaw 7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coupling piece 74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A support arm coupling groove 72 is formed to form a rear coupling sphere coupling groove 71, and on the other side thereof, the support piece 75 is formed to be bent upward, and the coupling piece 76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

따라서, 연결부재(70)의 일측면에 형성된 후방 결합구 결합홈(71)에는 상기 후방 결합구(30′)를 결합하고, 타측면에 형성된 지지암 결합홈(72)에는 상기 지지암(80)을 결합하게 된다.Therefore, the rear coupler coupling groove 71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70 couples the rear coupling sphere 30 'to the support arm coupling groove 7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arm 80. ) Will be combined.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재(70)의 하면 일측에 T형 홈을 형성하여 후방 결합구(30′)의 받침판(32)에 형성된 볼트공(32a)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도4참조). 체결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전방 결합구(30)와 체결부재(40) 사이를 체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너트를 T형 홈에 넣은 후, 볼트를 통하여 볼트공(32a)의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by forming a T-shaped groove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70 may be fixed by fastening with the bolt hole (32a) formed in the support plate 32 of the rear coupling hole (30 ') (Fig. 4 Reference). The fastening method is similar to the fastening between the front coupler 30 and the fastening member 40.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T-shaped groove, and then the fastening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from the bottom of the bolt hole 32a through the bolt. Can be.

지지암(80)은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7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키 보드 받침판(90)을 받쳐주는 것이다. 지지암(80)의 일단부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81)(82)으로 연결부재(70)에 결합된다. 즉, 지지암(80)의 일단부를 연결부재(70)의 타측면에 형성된 지지암 결합홈(72)에 끼우되, 상부 결함홈(81)은 연결부재(70)의 타측 윗쪽에 형성된 결합편(76)에 결합시키고, 하부 결합홈(82)은 연결부재(70)의 타측 아래쪽에 형성된 받침편(75)에 결합시키면 된다. 그리고 지지암(80)의 타단부는 약간 위로 절곡시켜서 키 보드 받침판(90)을 받쳐 주도록 되어 있다.3 and 7, the support arm 8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70 and supports the keyboard support plate 90.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70 by coupling grooves 81 and 82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one end of the support arm 80, respectively. That is, one end of the support arm 8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arm coupling groove 7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70, the upper defect groove 81 is the coupling pie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70 The lower coupling groove 82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75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70.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rm 80 is bent slightly upward to support the keyboard support plate 90.

키 보드 받침판(90)은 키 보드를 올려 놓는 구조부로서 지지암(80)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키 보드 받침판(90)을 지지암(80)의 타단부에 피스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7참조).The key board support plate 9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arm 80 as a structure for placing the key boar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ix the keyboard support plate 90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rm 80 by a piece (see Fig. 7).

특히, 키 보드 받침판(90)은 지지암(80)에 의해 지지되는 것 외에는 지지하는 구조부가 없다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 중 하나이다. 즉, 키 보드 받침판(90) 하부에는 공간으로 되어 있어 이 공간은 사용자가 책상 앞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무릎을 포함하는 다리가 들어가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는 종래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 인너 플레이트 등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신체를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In particular,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keyboard support plate 90 does not have a supporting structure other than that supported by the support arm 80.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keyboard support plate 90 is a space, which is a space where the legs including the user's knees enter when the user sits in front of the desk. In this space, there is no side plate, inner plate, etc.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the body from side to side.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모니터 받침판(60) 및 키 보드 받침판(90)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S)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간격(S) 사이에 브러쉬(113)를 끼워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간격(S)으로 키 보드 및 마우스 등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a slight gap S is formed between the monitor base plate 60 and the keyboard base plate 90, and the brush 113 is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 gap S. Therefore, this space (S) can be used as a space to guide the cables connected to the keyboard, mouse, and the like.

한편, 본 고안의 책상은 도 8에서와 같이, 2개의 책상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할 수도 있다. 2개의 책상을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할 경우, 전방 결합구(30)의 일측에 설치할 다른 책상의 체결부재(40′)를 동일하게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may b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two desks. When the two desks face each other,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combining the same fastening member (40 ') of the other desk to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coupler (30).

이 때, 2개의 책상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G)이 형성되는데, 이 유격(G)사이에 브러쉬 홀더(110)를 설치하여 브러쉬(113′)로 차폐하고 있다(도5참조). 브러쉬 홀더(110)는 일측면에 브러쉬(113′)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브러쉬 끼움홈(111)을 형성하고, 타측 상면에는 지지구(5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 홈(112)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브러쉬 홀더(110)를 지지구(5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브러쉬 끼움홈(111)에 브러쉬(113′)를 끼워 유격(G)을 차폐하고 있다.At this time, a slight clearance G is formed between the two desks, and a brush holder 110 is provided between the clearance G to shield it with a brush 113 '(see Fig. 5). The brush holder 110 forms a brush fitting groove 111 to fix and fix the brush 113 'on one side, and a holder groove 112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50 on the other upper surface. Doing. Accordingly, the brush holder 110 is coupled to the supporter 50 to be fixed, and the brush 113 'is inserted into the brush fitting groove 111 to shield the play G.

상기한 유격(G)은 컴퓨터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으로활용할 수 있다. 또한, 유격(G) 및 상기의 간격(S)에 동일하게 브러쉬(113)(113′)를 끼우는 것은 공간을 쉽게 차폐함은 물론, 각종 컴퓨터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clearance G may be used as a space for inducing cables connected to the computer. In addition, fitting the brushes 113 and 113 ′ in the same distance between the clearance G and the above-mentioned gap S may not only easily shield a space, but also easily induce cables connected to various computers. Ha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은, 각 구성부들을 분해할 수 있어 운반 혹은 보관 시에 취급이 용이함은 물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assemble each component, so that it is easy to handle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and has an effect of taking up less space.

또한, 본 고안의 컴퓨터용 책상은 키 보드를 올려놓는 키 보드 받침판의 하부에 별 다른 구조부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책상 앞에 앉았을 경우,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음은 물론,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structure at the bottom of the key board support plate on which the key board is placed, so that when the user sits in front of the desk, the user can freely move from side to side, as well as to utilize the space widely. .

또한, 본 고안의 컴퓨터용 책상은 전후방 다리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폭 조절용 연결부를 설치하여 모니터의 크기 등에 따라 전후방 다리의 폭을 서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leg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nitor by installing a width adjustmen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legs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의 컴퓨터용 책상은 모니터 받침판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부를 갖춤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모니터 받침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ompute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monitor base plate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base plat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Claims (9)

전후방 다리(10)(10′)와, 상기 전후방 다리(10)(1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전후방 결합구(30)(30′)와, 상기 전방 결합구(3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40)와, 상기 체결부재(40)에 결합되는 지지구(50)와, 상기 지지구(50)에 결합되는 모니터 받침판(60)과, 상기 후방 결합구(3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0)와, 상기 연결부재(70)에 결합되는 지지암(80)과, 상기 지지암(80) 위에 올려져 고정되는 키 보드 받침판(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Fastening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legs 10, 10 ', and the front and rear couplers 30 and 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legs 10 and 10 ', respectively, and the front coupler 30. A member 40, a support 50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40, a monitor support plate 60 coupled to the support 50, and a coupling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30 '. 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comprising a member 70, a support arm 80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70, and a keyboard support plate 90 mounted on and fixed to the support arm 80.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후방 결합구(30)(30′)는 2개가 결합되어 1세트를 이루되, 양 측 상단부에 각각 부재 결합홈(31)을 형성하고, 양 측 하부에는 볼트공(32a)이 형성된 받침판(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The front and rear coupler 30, 30 'is a combination of two to form a set, each forming a member engaging groove 31 in the upper end of both sides, the support plate formed with bolt holes (32a) on both sides lower ( 32) prefabricated compu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재(4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그 일측면에는 결합편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방 결합구 결합홈(41)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는 결합편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나란히 복수개가 형성되는 지지구 결합홈(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The fastening member 4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to form a front coupling sphere engaging groove 41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side, the other side is formed by the coupling piece is bent upwards and At the same time, 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lurality of support coupling grooves 42 are formed side by side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구(50)는 그 일측면에 결합편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 결합홈(31)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는 삼각받침판 위에 그 끝부분이 하부로 절곡되는 결합편으로 이루어지는 모니터 받침판 끼움홈(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The support 5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piece is bent downward to form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s 31 formed side by side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on the triangular support plate Prefabricated compu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onitor base plate fitting groove 52 made of a coupling piece that is bent into.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7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그 일측면에는 아래쪽에 지지턱(73)이 형성되고 윗쪽에는 결합편이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후방 결합구 결합홈(71)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는 아래쪽에 받침편이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윗쪽에는 결합편이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암 결합홈(7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The connecting member 7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jaw (7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engaging port coupling groove 71 is formed to be bent to the lower side, The other side of the prefabricated compu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iece is formed to be bent to the upper bent to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arm engaging groove 72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to the upper sid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모니터 받침판(60) 하면에 높이 조절구(100)를 설치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101)과, 상기 나사봉(10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머리부(102)와, 상기 나사봉(101)에 그 상부가 나사결합되고 그 하부는 절곡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피스공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편(1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The height adjustment hole 10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nitor support plate 60, and the threaded rod is formed with a screw rod 101, a head portion 102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crew rod 101, and the screw rod. The upper part is screwed to the 101, and the lower part is 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piece 103 forming a bent hole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 bent por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머리부(102)의 상면에 유연성 재질의 패드(104)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Prefabricated compu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for attaching the pad 104 of the flexible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0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후방 다리(10)(10′)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폭 조절용 연결부(20)를 설치하되, 전후방 다리(10)(10′)에 각각 고정되고 볼트공(21a)을 형성하는 전후방 고정판(21,21′)과, 상기 전후방 고정판(21,21′)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볼트공(21a)에 일치하는 복수개의 결합공(22a)을 형성하는 연결판(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Installing the width adjustment connecting portion 20 for connecting between the front and rear legs 10 (10 '),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and rear legs 10 (10') and the front and rear fixing plate 21 to form a bolt hole (21a) 21 'and the connecting plate 22 which connects the front and rear fixing plates 21 and 21' to each other and form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2a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s 21a. Prefabricated computer des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구(50)의 일측면에 브러쉬 홀더(110)를 결합하되, 브러쉬 홀더의 일측면에는 브러쉬(113′)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브러쉬 끼움홈(111)을 형성하고, 그 타측 상면에는 지지구(5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 홈(1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컴퓨터용 책상.The brush holder 1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50, but the brush fitting groove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rush holder to fix the brush 113 ′, and on the other upper surface thereof. Prefabricated compu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holder groove 112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50).
KR2020010025925U 2001-08-27 2001-08-27 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KR2002584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925U KR200258474Y1 (en) 2001-08-27 2001-08-27 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925U KR200258474Y1 (en) 2001-08-27 2001-08-27 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474Y1 true KR200258474Y1 (en) 2001-12-28

Family

ID=7310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925U KR200258474Y1 (en) 2001-08-27 2001-08-27 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47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03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gonomic support of human system interaction
US20070139870A1 (en) Monitor display carrier
US20050047074A1 (en) Ergonomic pull-out computer housing
US8196884B2 (en) Dual-purpose fixing stand for a computer screen and a keyboard holder
US6049454A (en) Computer monitor stand and docking method
TW200744906A (en) Ready-to-assemble box body and board connecting structure
US20200348720A1 (en) Bearing base
KR200258474Y1 (en) Prefabricated Desk for Computers
KR100795661B1 (en) Reading unit and notebook computer with large combination stand
AU2020100209A4 (en) Chairback Support Structure
GB2380123A (en) Support frame for office desk
JP5119750B2 (en) Desk leg equipment
KR20100069927A (en) Notebook computer supportor
JP2006180967A (en) Leg part attaching structure of table
KR20220064261A (en) Monitor supporting structure and monitor supporter for hospital bed including thereof
KR20070027842A (en) Fixing structure of lcd module
CN217447191U (en) Folding electric bed with backrest connecting device
KR200484956Y1 (en) Mouse bungee
CN210979264U (en) Wall-hung type lifting television frame
CN114576514A (en) Notebook computer support
CN213871966U (en) Bas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200276110Y1 (en) Stand for speaker
CN215987104U (en) Angle-adjustable boosting all-in-one machine
CN219330991U (en) Table (Table)
CN210810127U (en) Telescopic single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