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314Y1 - 차 걸름 용기 - Google Patents

차 걸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314Y1
KR200258314Y1 KR2020010028154U KR20010028154U KR200258314Y1 KR 200258314 Y1 KR200258314 Y1 KR 200258314Y1 KR 2020010028154 U KR2020010028154 U KR 2020010028154U KR 20010028154 U KR20010028154 U KR 20010028154U KR 200258314 Y1 KR200258314 Y1 KR 200258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tea
push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원
Original Assignee
문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원 filed Critical 문기원
Priority to KR2020010028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31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원두커피나 녹차 및 홍차와 같이 걸러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및 음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용기는 상단 일측으로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용기 상부로는 여과수단이 장착되어진 푸쉬로드가 끼워진 뚜껑체가 결합되어 푸쉬로드의 상하작용으로 여과가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뚜껑체가 단지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 불과함으로 배출구의 노출로 인하여 걸려진 음용수가 보관된 상태에서는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였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뚜껑체가 용기를 안전하게 막은 상태에서 뚜껑체가 작동토록 하여 배출수단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차 추출 용기.

Description

차 걸름 용기{Filter ressel for tea or coffee}
본 고안은 원두커피나 녹차 및 홍차와 같이 걸러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차의 걸름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러내어진 음료가 보관된 상태에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종래의 차 걸름 용기는 용기 상단 일측으로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고, 용기 상부로는 탈착이 가능한 뚜껑체가 결합되고, 뚜껑체의 중앙은 관통되어져 푸쉬로드가 끼워지고, 푸쉬로드에는 여과수단이 장착되어 푸쉬로드의 상하 작동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차를 걸러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용기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뚜껑체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노출되어지게 됨으로 용기 내부에 걸려내어진 차가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나 또는 보관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걸러낼 경우에 양의 조절이 안되었을 경우에는 걸러낼 경우에 음용수다 용기에서 넘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에 배출구를 형성치 아니하고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체를 본체와 회전체로 구비하여 회전체가 회전되면서 뚜껑체에 개구부가 개폐토록 되고 회전체의 중앙을 천공하여 푸시로드가 작동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뚜껑체의 이면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조립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뚜껑체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5: 고정체 6: 회전체
8: 지지날개 8a: 밀착부
9: 개구부 10: 걸림날개
11: 스토퍼 12: 손잡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 몸체(1)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체(2)의 중심을 관통하여 여과수단(3)을 형성한 푸쉬 로드(4)를 결합하여 상기 푸쉬로드(4)의 가압에 의하여 차를 걸름토록 한 차 걸름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1)의 상부로 뚜껑체(2)가 밀폐되어지도록 결합하고, 뚜껑체(2)는 고정체(5)와 회전체(6)로 구분하고, 고정체(5)의 외측 테두리에는 패킹(7)을 장착하며 테두리 내측으로는 지지날개(8)의 일정간격으로 개구부(9)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날개(8)와 밀착되어지는 밀착부(8a)를 갖는 회전체(6)는 지지날개(8)와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토록 밀착부(8a)의 하방으로 걸림날개(10)가 형성되고, 밀착부(8a)의 일정간격으로는 개구부(9a)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회전체(6)가 고정체(5)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경우에 일정간격으로만 회전토록 하기 위하여 스토퍼(11)를 형성하여 스토퍼(11)가 걸림날개(10)에 걸려지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체(6)의 일측으로는 돌출되어지게 손잡이(12)를 형성하여 회전체(6)의 회전을 용이토록 한 것이고, 회전체(6)의 중앙으로는 구멍(13)이 형성되어 푸쉬로드(4)가 출입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 등을 걸름토록 할 경우에는 푸쉬로드를 가압하면 여과수단(14)이 차 등을 압착하게 되면서 걸러지는 것이고, 걸러진 상태에서 뚜껑체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면 고정체의 개구부와 회전체의 개구부가 맞물리게 되면서 음용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용기를 내통과 외통으로 구분되어지면서 내공간이 확보토록 되는 이중용기로 할 경우에는 걸러진 음용수의 냉온상태의 보관이 가능하여 장시간 여행시도도 항상 원하는 음용수를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용기에 복착되는 뚜껑체에 회전식 추출마개를형성하여 이 추출마개에 차의 여과를 위한 푸쉬 로드를 결합함으로서 차의 여과와 동시에 내용물의 보온, 보냉 및 쏟아짐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용기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여과망을 형성한 푸쉬 로드를 결합하여 상기 푸쉬로드의 가압에 의하여 차를 여과하도록 한 음료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의 상단이 밀폐되게 뚜껑체를 결합되고, 상기 뚜껑체는 고정체와 회전체로 구분되고, 고정체의 테두리 내측으로는 지지날개의 일정간격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날개와 밀착되어지는 밀착부를 갖는 회전체는 밀착부의 하방으로 걸림날개가 형성되어 지지날개가 끼워지고, 밀착부의 일정간격으로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걸름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내통체와 외통체로 구분되어 내공간이 형성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걸름용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에 결합되는 뚜껑체의 회전체에는 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걸름용기.
KR2020010028154U 2001-09-13 2001-09-13 차 걸름 용기 KR200258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54U KR200258314Y1 (ko) 2001-09-13 2001-09-13 차 걸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54U KR200258314Y1 (ko) 2001-09-13 2001-09-13 차 걸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314Y1 true KR200258314Y1 (ko) 2001-12-28

Family

ID=7310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154U KR200258314Y1 (ko) 2001-09-13 2001-09-13 차 걸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3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4949B1 (en) Pitcher with infuser
ES2393119T3 (es) Conjunto de tapón dotado de una cámara de almacenamiento de material secundario con un elemento funcional inseparable
CA2829138C (en) Method and system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US20100072159A1 (en) Beverage Bottle Having Straining Function
KR20060057309A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RU2160218C1 (ru) Емкость, а также крышка для такой емкости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258314Y1 (ko) 차 걸름 용기
KR20090005514U (ko) 휴대용 차 용기
KR100847063B1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CN209177224U (zh) 多功能瓶盖
KR200471426Y1 (ko) 배기형 찻병
EP2165941A1 (en) Beverage bottle having straining function
CN216984416U (zh) 一种双盖泡茶杯盖及泡茶杯
CN204764769U (zh) 一种新型杯盖
CN218186179U (zh) 杯盖组件和容器
EP3809921B1 (en) Tea preparation device for thermos jugs and vacuum mugs
KR20050109017A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
KR200415293Y1 (ko) 수납공간을 갖은 음료용 병뚜껑
CN218791686U (zh) 一种多功能水杯
CN218571946U (zh) 一种吸喝两用饮水杯
CN216569455U (zh) 一种便于拆卸的吸管组件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CN212606882U (zh) 一种瓶盖结构
CN212307456U (zh) 一种半仓式茶仓及其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