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832Y1 - 높이조절구조 - Google Patents

높이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832Y1
KR200257832Y1 KR2020010027272U KR20010027272U KR200257832Y1 KR 200257832 Y1 KR200257832 Y1 KR 200257832Y1 KR 2020010027272 U KR2020010027272 U KR 2020010027272U KR 20010027272 U KR20010027272 U KR 20010027272U KR 200257832 Y1 KR200257832 Y1 KR 200257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eg
height adjustment
bolt
inser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유종현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7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832Y1/ko

Link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및 걸상에 적용가능한 높이조절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은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통상의 책걸상의 각 다리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도입한 것이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의 각 다리는 다리봉(30)과 이 다리봉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삽입되는 삽입봉(32)을 포함한다. 각 다리봉에는 다리봉의 말단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통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의 다리봉의 표면에 너트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지지하는 너트 지지체(42)가 결합되어 있다. 각 삽입봉(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공들(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보울트(44)가 너트와 나사 결합을 하면서 다리봉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보울트의 볼록한 말단이 삽입봉에 형성된 결합공을 실질적으로 관통하지 않고 이 결합공과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높이를 고정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구조{Structure For Height Adjustment}
본 고안은 책상 및 걸상에 적용가능한 높이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용 책걸상은 학생들의 평균적인 체형에 맞추어 높이에 따라 몇 가지 등급의 제품으로 각 학교에 공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저학년의 경우 높이가 낮은 등급의 책걸상이 그리고 고학년의 경우 높이가 높은 등급의 책걸상이 제공되고 있으나 각 개인의 신체 특성에 맞는 높이의 책걸상이 제공되고 있는지 못한 실정이다. 각 학년의 학생들 중에서도 신장에 대한 차이는 존재하며, 특히 표준 신장에 비하여 매우 작은 학생 및 매우 큰 학생에게는 표준 신장을 가진 학생에게 맞는 책걸상은 불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각 학생의 신장에 맞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걸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책상 및 걸상에 적용가능한 높이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이 용이한, 책상 및 걸상에 적용가능한 높이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걸상(의자)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걸상의 높이조절 구조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걸상의 높이조절 구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걸상에서 사용되는 삽입봉에 형성된 결합공의 테이퍼진 모양을 보여주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보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다리봉 31: 통공
32: 삽입봉 34: 가이드라인
36: 결합공 38: 보강부
40: 납땜 42: 너트 지지체
44: 보울트 50: 지면 접촉재
60: 볼 62: 보울트의 나사부 및 말단부
64: 스프링 부재
본 고안은 책상 및 걸상에 적용가능한 높이조절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통상의 책걸상의 각 다리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도입한 것이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의 각 다리는 다리봉과 이 다리봉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삽입되는 삽입봉을 포함한다. 각 다리봉에는 다리봉의 말단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의 다리봉의 표면에 너트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지지하는 너트 지지체가 결합되어 있다. 각 삽입봉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보울트가 너트와 나사 결합을 하면서 다리봉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보울트의 볼록한 말단이 삽입봉에 형성된 결합공을 실질적으로 관통하지 않고 이 결합공과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높이를 고정한다.
이 때, 삽입봉에 형성된 결합공은 바람직하게, 삽입봉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원 또는 타원의 지름이 삽입봉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원 또는 타원의 지름보다 큰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울트의 볼록한 말단과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삽입봉의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그어진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은 높이조절시에 다리봉의 말단을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에 맞추었을 때 통공과 결합공이 일치되게 하여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보울트는 통상적인 보울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또한 다리봉의 통공 및 삽입봉의 결합공의 일치를 용이하게 하여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수한 형태로 설계할 수도 있다. 즉, 보울트는 머리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끝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볼록 말단부, 볼록 말단부의 구멍보다 큰 직경이 크며 상기 보울트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볼 및 보울트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머리부 쪽에 일 단부가 접촉하고 다른 단부는 볼에 접촉하여 볼을 볼록 말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위치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탄성 부재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부재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 구조는 책상 및 걸상 모두에 적용가능하며, 하기에서는 걸상(의자)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걸상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상은 4개의 다리를 가지는 통상의 걸상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다리의 하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 구조를 도입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높이조절 구조는 도 2, 3 및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걸상의 높이조절 구조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이러한 높이조절 구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걸상에 적용되는 높이조절 구조를 위한 각 다리는 다리봉(30) 및 이 다리봉(30)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삽입되는 삽입봉(32)을 포함한다.
각 다리봉(30)의 표면에는 다리봉(3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원형의 통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31)과 대응하는 위치의 다리봉(30) 표면에 너트 지지체(42)가 결합되어 있다. 이 너트 지지체(42)는 너트를 둘러싸서 보호함과 동시에 너트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너트 지지체(4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너트의 구멍은 다리봉(30)에 형성된 통공(31)과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각 삽입봉(32)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공들(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삽입봉(32)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그어진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은 높이조절시에 다리봉(30)의 말단을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에 맞추었을 때 다리봉(30)에 형성된 통공(31)과 삽입봉(32)에 형성된 결합공(36)이 일치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로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보울트(44)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는 말단 부분이 볼록한 통상의 보울트(44)를 사용할 수 있다.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보울트(44)는 너트 지지체(4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너트(도시하지 않음)와 나사결합되고, 보울트의 볼록한 말단 부분은 다리봉(30)에 형성된 통공(31)을 실질적으로 관통하고, 삽입봉(32)에 형성된 결합공(36)을 실질적으로 관통하지 않으면서 결합공(36)과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한다. 그러면, 보울트(44)와 너트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고, 너트는 너트지지체(42)에 의하여 다리봉(30)에 결합되며, 보울트(44)와 삽입봉(32)은 보울트(44)의 볼록한 말단 부분이 삽입봉(32)의 결합공(36)에 밀어붙힘식으로 맞물리며, 그러한 밀어붙힘에 의하여 삽입봉(32)은 보울트(44)가 삽입되는 반대 방향에서 다리봉(30)과 접촉하여 전체적으로 견고한 고정이 완성되어 높이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삽입봉(32)의 하부는 지면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면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다리봉 및 삽입봉이 철재로 제조되는 것을 감안하면, 지면과의 긁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지면과의 마찰력이 커서 걸상의 다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지면 접촉재(50)를 끼울 수 있다. 이러한 지면 접촉재(50)는 삽입봉(32)에 바로 끼울 수도 있으나 보강부(38)를 먼저 삽입봉(32)에 부착하고 이 보강부(38)에 지면 접촉재(50)를 끼우는 것이 좋다. 보강부(38)로는 통상적으로 철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납땜에 의하여 보강부(38)를 삽입봉(32)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 구조를 사용하여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보울트-너트 체결을 풀고,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삽입봉(32)을 상하로 움직인다. 이 때, 삽입봉(32)의 표면에 마련된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을 다리봉(30)의 말단선에 맞추면 다리봉(30)의 통공(31)과 삽입봉(32)의 결합공(36)이 일치하게 된다. 그렇게 통공과 결합공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보울트(44)를 죄여 너트와 나사결합하게 하고, 더 나아가 보울트(44)의 볼록한 말단부가 삽입봉(32)의 결합공(36)과 밀어붙힘식으로 맞물리게 하여 높이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보울트(44)의 볼록한 말단부와 삽입봉(32)의 결합공(36)이 밀어붙힘식으로 맞물려 이루어지는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삽입봉(32)의 결합공(36)을 삽입봉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원 또는 타원의 지름이 삽입봉의 내부 또는 내부 표면에 형성된 원 또는 타원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즉, 결합공(36)을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형태를 도 4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테이퍼진 형태의 구체적인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삽입봉의 표면에 형성된 결합공의 모양을 보이기 위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퍼진 결합공(36)은 외부 원의 직경을 내부 원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왼쪽), 외부 원을 내부 원보다 직경이 크면서 타원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오른쪽). 후자에 있어서는, 실제로 결합공(36)을 형성할 때, 먼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즉, 테이퍼지지 않도록 결합공을 형성한 후 타원의 장축 부분을 경사지게 깍아냄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보울트를 말단이 볼록한 통상의 보울트를 사용하였으나, 특수하게 설계된 보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보울트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보울트는 통상의 머리부(66)를 가지지만, 그것의 나사부(6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이다. 또한, 보울트의 볼록한 말단부도 내부에 공간을 가지면서 볼록한 끝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울트의 말단부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보다 큰 볼(60)이보울트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다. 이 볼(60)은 보울트의 내부 공간에 함께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 부재(64)의 탄성에 의하여 보울트의 말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막고 있도록 위치 지워진다.
이렇게 고안된 보울트는 상기에서 설명한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이 없어도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해준다. 즉, 높이조절을 위하여 보울트-너트 체결을 적당히 풀고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삽입봉(32)을 이동시킬 때, 결합공(36)이 없는 삽입봉(32)의 위치에서는 보울트의 볼(60)이 밀려들어갔다가 결합공(36)을 만나면 밀려들어간 볼(60)이 다시 튀어나오므로, 다리봉(30)의 통공(31)과 삽입봉(32)의 결합공(36)이 일치할 때마다 '딸깍'하는 소리가 나므로 그 소리에 의하여 통공(31)과 결합공(36)이 일치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보울트를 사용하면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책상 및 걸상에 적용가능한 높이조절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은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Claims (4)

  1.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통상의 책걸상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는 다리봉(30)과 상기 다리봉(30)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삽입되는 삽입봉(32)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다리봉(30)에는 상기 다리봉(30)의 말단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통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31)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다리봉(30)의 표면에 너트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지지하는 너트 지지체(4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삽입봉(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공들(36)이 형성되어 있고, 보울트(44)가 상기 너트와 나사 결합을 하면서 상기 다리봉(30)에 형성된 통공(31)을 관통하여 상기 보울트(44)의 볼록한 말단이 상기 삽입봉(32)에 형성된 결합공(36)을 실질적으로 관통하지 않고 상기 결합공(36)과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32)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36)은 상기 삽입봉(3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원 또는 타원의 지름이 상기 삽입봉(32)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원 또는 타원의 지름보다 큰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울트의 볼록한 말단과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그어진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은 높이조절시에 상기 다리봉(30)의 말단을 상기 높이조절용 가이드라인(34)에 맞추었을 때 상기 통공(31)과 상기 결합공(36)이 일치되게 하여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는 머리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끝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볼록 말단부, 상기 볼록 말단부의 구멍보다 큰 직경이 크며 상기 보울트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볼 및 상기 보울트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머리부 쪽에 일 단부가 접촉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볼에 접촉하여 상기 볼을 상기 볼록 말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위치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구조.
KR2020010027272U 2001-09-06 2001-09-06 높이조절구조 KR200257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72U KR200257832Y1 (ko) 2001-09-06 2001-09-06 높이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72U KR200257832Y1 (ko) 2001-09-06 2001-09-06 높이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832Y1 true KR200257832Y1 (ko) 2001-12-24

Family

ID=7310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272U KR200257832Y1 (ko) 2001-09-06 2001-09-06 높이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8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532B1 (en) Guitar stand
US3150853A (en) Adjustable leg construction
US20040090105A1 (en) Chair construction
KR200394803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20150054325A (ko)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US2973982A (en) Attaching means
KR200257832Y1 (ko) 높이조절구조
EP0889248B1 (e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perpendicular rods
KR20026945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US20040041064A1 (en) Leg support for furniture
KR20025571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035743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
KR2004118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JP2005226813A (ja) 長さ調整可能な伸縮杆
KR200319398Y1 (ko)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KR200240507Y1 (ko) 책상용 발 받침대
US4154420A (en) Closet shelf and pole arrangement
KR200269488Y1 (ko) 높낮이조절장치
ES2109354T3 (es) Procedimiento de montaje para la construccion de mobiliario modular y mobiliario asi obtenido.
KR200315695Y1 (ko) 높이조절 구조를 가지는 책걸상
KR20000012368A (ko)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200232493Y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조
KR200334412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용 걸림구
KR200259443Y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다리가 구비된 가구
JPH02459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