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91Y1 - 세척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세척장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91Y1
KR200257191Y1 KR2020010026229U KR20010026229U KR200257191Y1 KR 200257191 Y1 KR200257191 Y1 KR 200257191Y1 KR 2020010026229 U KR2020010026229 U KR 2020010026229U KR 20010026229 U KR20010026229 U KR 20010026229U KR 200257191 Y1 KR200257191 Y1 KR 200257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il spring
hole
wat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균
Original Assignee
이복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균 filed Critical 이복균
Priority to KR2020010026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91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세척장치의 급수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그 급수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오폐수를 정화한 물)을 목적지로 균일하고 안전하게 분사함으로서 목적물(벨트나 여과포)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노즐은 후방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전방중앙에는 분사구멍이 형성된 노즐케이스와, 상기 노즐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에 끼워지며 2개로 분할되고, 전방 중앙에는 노즐구멍이 형성된 작동구와, 상기 코일스프링과 작동구의 사이에 개입시킨 스프링받침링과, 상기 작동구의 후미를 하나로 묶는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진 세척장치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케이스의 전방중앙에 형성된 분사구멍의 입 측에는 원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에 링이 끼워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구부려서 각각의 끼움구를 형성시켰으며, 상기 노즐케이스의 내부 전방과 스프링받침링에는 각각의 끼움 홈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각각의 끼움구가 끼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세척장치용 노즐 {Nozzle of washing apparatus}
본 고안은 산업용 세척장치의 급수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그 급수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오폐수를 정화한 물)을 목적지로 균일하고 안전하게 분사함으로서 목적물(벨트나 여과포)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즐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외주연에 나사부(11)가 형성되고, 선단 중앙에는 분사구멍(12)이 형성된 노즐케이스(10)와, 그 노즐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20))과, 상기 코일스프링에 끼워지며 2개로 분할되고, 전방 중앙에는 노즐구멍(42)이 형성된 작동구(40)와, 상기 코일스프링(20)과 작동구(40)의 사이에 개입시킨 스프링받침링(30)과, 상기 작동구(40)의 후미를 하나로 묶는 고무패킹(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급수파이프 속의 수압이 적당히 높아졌을 경우, 고무패킹(50)을 포함한 작동구(40)가 노즐케이스(10)의 속에서 코일스프링(20)을 누르면서 전진하게 되고, 작동구(40)가 전진하면 그 선단의 테이퍼부가 노즐케이스의 분사구멍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분할되어 있던 작동구의 노즐구멍이 작아지고, 노즐구멍이 작아지는 만큼 물을 쏘는 분사력이 커지므로 세척효과가 커진다.
그러다가 이물질 등에 의해 상기 노즐구멍이 막히게 되면 급수파이프의 물공급이 중단되고, 물공급이 중단되는 순간에 급수파이프 내부의 수압이 떨어지므로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 노즐케이스 내부에서 작동구는 후퇴하게 되며, 작동구의후퇴시 노즐케이스의 분사구멍으로 부터 빠져나온 작동구의 전방 노즐구멍은 분할되어 있는 부분이 벌어지면서 노즐구멍에 끼어 있던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빠져나와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노즐은 노즐케이스(10) 내부의 작동구(40)의 노즐구멍(12)이 이물질로 막혔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작동구(40)가 진퇴되는 경우에 작동구(40)와 코일스프링(20) 및 스프링받침링(30)이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서, 이 물질 제거작용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노즐의 목적지로의 균일하고 안전한 분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목적물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본인이 선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6444호도 있으나, 이는 상기 종래의 노즐 구성에서 코일스프링 대신 스파이어럴 파이프스프링(20a)을 사용한 것으로써, 이 또한 작동구(40)와 코일스프링(20) 및 스프링받침링(30)의 회전이 동일하게 나타났고, 따라서 노즐이 목적지로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물 분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목적물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노즐케이스 내부의 작동구의 노즐구멍이 이물질로 막혔을때,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노즐케이스 내부에서 작동구가 후퇴할때 노즐케이스내에 설치된 작동구와 코일스프링 및 스프링받침링이 회전되지 않게 함으로써, 노즐에 의한 목적지로의 물 분사가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서 목적물의 세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노즐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의 제거도 효율적으로 할수 있도록 한 세척장치용 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즐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상태의 노즐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이 세척장치용 급수파이프에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의 사용살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노즐케이스 11 : 나사부 12 : 분사구멍
13 : 육각면체 14 : 공간 15 : 경사면
16 : 링홈 17 : 링 18 : 끼움 홈
20 : 스프링 21,22 : 끼움구 30 : 스프링받침링
31 : 끼움 홈 40 : 작동구 41 : 유로
42 : 노즐구멍 43 : 환테 43a : 받침자리
44 : 씰링부재홈 45 : 씰링부재 46 : 경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방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전방중앙에는 분사구멍이 형성된 노즐케이스와, 상기 노즐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에 끼워지며 2개로 분할되고, 전방 중앙에는 노즐구멍이 형성된 작동구와, 상기 코일스프링과 작동구의 사이에 개입시킨 스프링받침링과, 상기 작동구의 후미를 하나로 묶는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진 세척장치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케이스의 전방중앙에 형성된 분사구멍의 입 측에는 원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에 링이 끼워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구부려서 각각의 끼움구를 형성시켰으며, 상기 노즐케이스의 내부 전방과 스프링받침링에는 각각의 끼움 홈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각각의 끼움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용 노즐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노즐을 도 3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노즐케이스(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외주연에 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세척장치의 급수파이프(50)의 너트(51)에 나사결합 하는 곳이고, 분사구멍(12)은 목적지로 물을 분사시키는 곳이며, 상기 노즐케이스(10)의 외주연 중앙부에는 육각면체(13)를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노즐케이스(10)를 수공구(스패너. 렌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노즐케이스(10)의 내부에는 분사구멍(12)과 연통되는 공간(14)이 형성되고, 그 공간(14)의 내부면 입 측에는 소정의 각도롤 경사진 경사면(15)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15)과 분사구멍(12)이 만나는 부분에는 내주면을 따라 링홈(16)을 형성시켜 이에 링(17)을 끼워 결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5)의 입 측 선택된 곳에는 끼움 홈(18)을 형성시켜 이에, 하기에서 설명되는 코일스프링(20)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구(21)를 끼우도록 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20)은 노즐케이스(10)의 공간(14)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이는 양단을 90°각도로 구부려서 각각의 끼움구(21,22)를 형성시켰다.
또 상기 작동구(40)는 2등분되어 있고, 내부에는 유로(41)가 작동구(40)를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41)의 전방부는 직경이 작은 노즐구멍(42)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구멍(42)을 유로(41)보다 작게 형성시킨 이유는 유로(41)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작동구(40)의 후방에는 환테(43)가 형성되고, 그 환테(43)의 전면부에는 받침자리(43a)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씰링부재홈(44)이 각각 형성되어,이에 씰링부재(50)가 삽입 장착된다.
또 상기 작동구(40)의 외부 즉, 환테(43)의 내 측에는 스프링받침링(30)이 끼워져 2등분된 작동구(40)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스프링받침링(30)의 선택된 곳에는 끼움 홈(31)을 형성시켜 이에 코일스프링(20)의 후단에 형성된 끼움구(22)를 끼우도록 되어 있고, 환테(43)의 받침자리(43a)에는 스프링받침링(30)의 돌출부(32)가 얹혀져서 결합되어 작동구(40)의 선단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노즐(N)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장치 급수파이프(6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급수파이프(60)로 급수되는 물을 목적지에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급수파이프(60)의 수압이 적당히 높아졌을 경우, 그 수압에 의해 스프링받침링(30)과 씰링부재(50)를 포함한 작동구(40)가 코일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노즐케이스(10)의 경사면(15)이 작동구(40)의 경사부(46)를 가이드 한다.
단, 상기 도 6은 급수파이프(60)로부터 노즐(N)로 물이 급수되지 않는 초기 상태이다.
상기 도 5와 도 6의 상태를 비교해 보면, 상기 도 6은 작동구(40)의 전방이 벌어진 상태이며, 도 5는 상기 벌어진 작동구(40)가 물의 공급시 수압에 의해, 닫쳐지면서 노즐구멍(42)이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노즐구멍(42)이 작아진 만큼 물의 분사력은 커지게 되고, 그에따라 목적지 즉, 벨트 나 여과포(70)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구멍(42)으로 물이 분사되다가 이물질 등이 노즐구멍(42)을 막아 분사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면 내부수압의 증가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전자개폐밸브와 콘트롤기구부의 작동으로 상기 급수파이프(60)로의 급수가 중단된다.
그러면, 작동구(40)는 도 5의 상태에서 수압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압축된 코일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도 6의 상태로 작동구(40)가 후진하여 2등분된 작동구(40)의 선단부가 벌어지면서 노즐구멍(42)이 확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급수파이프(60)로 물을 코일스프링(20)의 탄성력을 발휘하지 않을 정도의 수압으로 공급하면, 이물질은 노즐구멍(42)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이물질이 제거되면, 급수파이프(60)에 다시 정상적인 수압으로 물을 공급하여 벨트나 여과포(70)의 세척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의 노즐(N)은 코일스프링(20)의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끼움구(21,22)가 노즐케이스(10) 및 스프링받침링(30)의 끼움 홈(18,31)에 각각 끼워져서 고정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구의 진퇴작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코일스프링(20)과 작동구(40)가 회전되지 않아, 종래에 문제시되던 불규칙한 물 분사문제와 세척능력의 저하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었다.
또 본 고안의 노즐케이스(10)에 형성된 분사구멍(12)의 내 측에 링홈(16)을 형성시키고, 이에 링(17)을 삽입 안착시킴으로써, 작동구(40)와 노즐케이스(10)간의 긴밀한 씰링이 이루어짐은 물론, 고압의 물 분사력에도 빠져나가지 않고 그 자리에 안정되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구부려서 각각의 끼움구를 형성시키고, 그 끼움구를 스프링받침링 형성된 끼움 홈과 노즐케이스에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 끼워서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에 문제시되던 노즐구멍의 이물질 제거시 작동구와 스프링받침링 및 코일스프링의 회전에 따른 이물질 제거효과의 저하 및 노즐의 불규칙한 물 분사문제를 해소하고 안정되게 물 분사를 하여 세척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후방 외주연에 나사부(11)가 형성되고, 전방중앙에는 분사구멍(12)이 형성된 노즐케이스(10)와, 상기 노즐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20)과, 상기 코일스프링에 끼워지며 2개로 분할되고 전방 중앙에는 노즐구멍(42)이 형성된 작동구(40)와, 상기 코일스프링(20)과 작동구(40)의 사이에 개입시킨 스프링받침링 (30)과, 상기 작동구의 후미를 하나로 묶는 씰링부재(50)로 이루어진 세척장치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케이스의 전방중앙에 형성된 분사구멍의 입 측에는 원주면을 따라 링홈(16)이 형성되어 이에 링(17)이 끼워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구부려서 각각의 끼움구(21,22)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케이스(10)의 내부 전방과, 스프링받침링(30)에는 각각의 끼움홈(18,31)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각각의 끼움부(21,22)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용 노즐.
KR2020010026229U 2001-08-29 2001-08-29 세척장치용 노즐 KR200257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29U KR200257191Y1 (ko) 2001-08-29 2001-08-29 세척장치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29U KR200257191Y1 (ko) 2001-08-29 2001-08-29 세척장치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91Y1 true KR200257191Y1 (ko) 2001-12-24

Family

ID=7310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29U KR200257191Y1 (ko) 2001-08-29 2001-08-29 세척장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13B1 (ko) * 2001-12-2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분할형 스프레이 노즐
KR20210030828A (ko) * 2019-09-10 2021-03-18 오미숙 자동 세척 노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13B1 (ko) * 2001-12-2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분할형 스프레이 노즐
KR20210030828A (ko) * 2019-09-10 2021-03-18 오미숙 자동 세척 노즐
KR102258633B1 (ko) * 2019-09-10 2021-05-28 오미숙 자동 세척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381A (en) Reversible spray tip
JPH06154660A (ja) スプレーノズル装置
RU2719168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даления пыли и система удаления пыли
KR101634243B1 (ko) 약액 분사장치
KR200257191Y1 (ko) 세척장치용 노즐
US4108379A (en) Paint spray tip retaining and cleaning adapter
JP3181556U (ja) 清掃用スプレー装置
JPH0857366A (ja) 洗浄ガン
KR200196329Y1 (ko) 연마재 분사장치
KR200179015Y1 (ko) 산업용탈수기의 벨트세척노즐
KR200483933Y1 (ko) 에어 분사노즐
KR200480920Y1 (ko) 분사밸브, 분사밸브 배출 장비 및 분사 장비 유닛
KR200242338Y1 (ko) 자세정(自洗淨) 노즐
KR200192377Y1 (ko) 스핀들개폐방식 밸브
KR200376762Y1 (ko) 차량 유리 세척용 세척제의 역류 방지 장치
KR20100079940A (ko) 액체 분사장치
CA2770267C (en) Thread cleaning apparatus
KR100924893B1 (ko) 치아세정노즐을 물공급수단에 연결하는 연결장치
CN207823544U (zh) 一种高压清洗机的关枪停机装置
KR200325318Y1 (ko)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절밸브
KR950003083Y1 (ko) 노즐
KR200349396Y1 (ko) 오일펜스용 공기주입장치
KR200421863Y1 (ko) 차량 유리 세척용 세척제의 역류방지장치
KR200308552Y1 (ko) 가스호스릴용 호스연결구
KR930006310Y1 (ko) 스프레이 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