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86Y1 -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 Google Patents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86Y1
KR200257186Y1 KR2020010025899U KR20010025899U KR200257186Y1 KR 200257186 Y1 KR200257186 Y1 KR 200257186Y1 KR 2020010025899 U KR2020010025899 U KR 2020010025899U KR 20010025899 U KR20010025899 U KR 20010025899U KR 200257186 Y1 KR200257186 Y1 KR 200257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water
drain trap
odor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8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제영
Original Assignee
이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영 filed Critical 이제영
Priority to KR2020010025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86Y1/en
Priority to KR2020010037020U priority patent/KR2002764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86Y1/en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배수트랩과 달리 부표(6)의 부력에 의해 부표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폐수를 통과시키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trap for blocking odors and passing wastewater by moving along the subordinate axis by buoyancy of the buoy (6), unlike a conventional drain trap.

종래에 널리 사용되던 바닥용 벨 트랩의 원활하지 못한 배수로 인하여 폐수가 욕실바닥에 채류하게되고 원치않아도 사용자의 발을 적시는 일이 다반사였다.Due to the inadequate drainage of the floor bell trap,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rior art, wastewater is collected on the bathroom floor and it is common to wet the user's feet even if it is not desired.

그래서, 욕실 사용자는 발을 적시지 않기 위해 악취가 발생함을 감수하고 배수트랩의 뚜껑을 개방하여 사용하여왔다.So, the user of the bathroom has been used to open the lid of the drain trap to take out the odor in order not to wet the feet.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그 원인으로 작용하는 원활하지 못했던 배수는 배수트랩에서 봉수를 유취하기 위해 부하가 큰 곡관이나 벨(20) 모양의 컵을 사용함에 의해서 유수에 부하가 크게 작용하게 되어 나타나게 된다.The inefficient drainage acting as a cause in this causal relationship is caused by a large load on the flowing water by using a large curved pipe or a bell shaped cup 20 to attract the water in the drain trap.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악취차단의 역할을 하는 봉수를 대체하여 부력을 가지는 고체를 사용함으로써 봉수파괴의 위험을 없애고 악취발생을 방지하며 폐수의 배출도 원활히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이 제공된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olid having buoyancy to replace the bongsu serves as odor blocking, the drain trap is provided to eliminate the risk of water rupture,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 an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waste water.

Description

악취 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 트랩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Drain trap with malodor buoy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본 고안은 배수구의 장착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배수트랩의 봉수역할을 대체하여 부표의 부력에 의한 이동을 이용한 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hole of the dr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p using a buoyant movement of the buoy instead of the role of the seal of the conventional drain trap.

통상의 배수트랩은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원활히 배수시키고 동시에 취기의 역류를 방지함을 목적으로 봉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벨트랩의 벨(20) 부분으로 인하여 유체에 부하가 크게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체의 유출이 지연되어 유체가 바닥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짐으로 인하여 한국과 같이 욕실바닥에서 주저앉아 이루어지는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원치않아도 발이 젖기가 다반사이다. 그러므로 빨래나 세면, 김치 담그기 등의 일이 있을 때에는 트랩의 뚜껑을 아예 개방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게된다. 또한 자기 사이펀 작용, 모세관 현상, 증발작용, 흡출작용, 분출작용등의 봉수파괴작용으로 인하여 취기 역류 방지효과가 소실될 우려가 크고 봉수가 파괴 되었을 시에 악취 방지 효과를 다시 얻기 위해서는 다시금 물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악취가 누출될 시간은 길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봉수를 형성하는 트랩들이 국내 실정에 맞지 않게사용되고 있고 욕실의 바닥용 트랩으로는 주로 벨트랩이 이용되고 있다.Conventional drain traps generally use water for the purpose of smoothly draining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and preventing backflow of odor. However, this method is not only because the load on the fluid due to the bell 20 portion of the belt wrap, but also because the delay of the fluid is delayed and the fluid stays on the floor is made to sit on the bathroom floor like Korea If you have a lot of work, your feet will get wet if you don't want to. Therefore, when washing, washing, dipping kimchi, etc., there is no choice but to open the trap cap.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odor reflux prevention effect is lost due to the water-breaking action such as the self-siphon action, capillary action, evaporation action, eruption action, and eruption action. The time to release the odor may be longer because it must be. In addition, traps that form these seals are not used in the domestic situation, and the belt wrap is mainly used as a floor trap for the bathroom.

이 벨트랩은 유출수의 유속에 부하가 여타 트랩에 비하여 비교적 크게 걸리게 되므로 바닥에 고여있게 되는 물은 사용수량이 많을 수로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로 욕실 바닥에서 세탁과 주부들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한국의 대다수의 가정에서 뚜껑을 열어놓고 사용하거나 아니면 아예 벨트랩의 벨을 제거하여 사용하므로 상시 악취에 노출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이러한 벨트랩형식은 국내 실정에 특히 불합리한 트랩형식일 것이다.Since the belt wrap has a relatively large load on the flow rate of the effluent compared to other traps, the water accumulated on the floor rapidly increases to a large amount of water used. Therefore, most households in Korea, where laundry and housewives work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use the cover open or remove the belt wrap bell. Therefore, this belt wrap type will be a trap type which is particularly unreasonable in the domestic situ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근본적인 문제인 악취의 근원은 폐수의 취기에도 있다 하겠고, 폐수 집수정에 퇴적된 찌꺼기의 부패와도 관계가 있으며, 배수관 내부의 용착된 노폐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것으로 좁혀 볼 때 이러한 세가지의 경로로 생성된다 하겠다. 그러므로 기존에 국내 가정의 대부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벨트랩의 사용은 악취에 상시 노출됨을 의미한다.As mentioned above, the source of the odor, which is a fundamental problem, is also present in the odor of waste water, and is also related to the decay of the residue deposited in the wastewater collection well, and is caused by the gas generated when the waste matter deposited inside the drain pipe is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In short, these three paths are created. Therefore, the use of belt wraps, which are commonly used in most domestic households, means that they are always exposed to odors.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인 봉수에 의한 악취방지법은 이미 국내실정에서 분석해 보았을 때 많은 폐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더 심각한 것이 요즘 같이 창호들이 밀폐가 잘 되어 자연 환기가 미약한 상황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악순환이 이루어진다면 거주자는 악취에 쉽사리 노출되게 되고 나아가 그 가택의 거주자 모두에게 병균의 온상이 되어 유해를 가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가스와 악취를 방지할 목적으로 본 고안이 이루어진 것이다.Therefore, the odor prevention method by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already causing a lot of harm when analyzed in the domestic situation, and more seriously, if the vicious cycle as described above occurs in the situation where windows and windows are well sealed and the natural ventilation is weak, Will be easily exposed to odors, and will also cause harm to all of its inhabitant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uch harmful gases and odo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6도를 보면, 부이아래 상시수면이 존재하고 그 이상이 되면 부이는 안내축(2)을 따라 부상하게 되며 부상후 상부에서 쏟아지는 물에 의해 부이 윗면의 안내홈(7)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서 배수되는 유체의 시계방향 회전력에 가세하여 유속의 증가를 도모하며 유체의 수표면에 밀착함으로써 배수 중에도 취기의 유입은 억제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re is a constant water surface below the buoy and more than that, the buoy floats along the guide shaft 2 and clockwise along the guide groove 7 on the top of the buoy by the water pouring from the upper part after the injury. Will rotate. In this way, in addition to the clockwise rotational force of the drained fluid, the flow velocity is increased, and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of the fluid to suppress the inflow of odor during drainage.

제 6도를 다시보면, 몸체(11)의 최하부의 소켓형접합부분(13)이 하수배관 안쪽에 밀착하며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소켓의 여장으로 인해 하수관에 고정되고 누수 방지를 위해 몸체 하부 끝단(12)을 연장시켜 설치시 쐐기 역할로 고정성을 높이고 설치후 공기층을 형성하여 누수 방지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Referring back to Figure 6, the lowermost socket-shaped joint 13 of the body 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ewage pipe, to prevent the backflow of sewage, fixed to the sewer pipe due to the socket of the socket and to prevent leakage (12) was extended to improve the fixability by the role of wedge during installation and to increase the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by forming an air layer after installation.

제 4도를 보면, 부표의 하부는 단을 두어 아래로 좁아지는 원통형으로 곡선처리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또한 유수의 빠른 배수를 위해 이러한 유체역학적으로 유리한 형태를 취한다.In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part of the buoy is curv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is narrowed down by a step. This also takes this hydrodynamically advantageous form for rapid drainage of running water.

제 8도를 보면, 본 배수구 장착구는 환형의 몸체를 갖는데, 이는 기본적인 형태로서 몸체의 형태는 사각형, 장방형,타원형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바닥끝, 바닥 모서리등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Referring to FIG. 8, the drainage outlet has an annular body, which is a basic shape, and the body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 rectangle, an ellipse, and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laces such as a bottom end and a bottom edge.

바닥용 배수구 장착구로서 기존에 널리 쓰이지만 많은 불편을 발생시켜왔던 벨트랩을 대체하고자 함이 주목적이다. 더 상술하자면, 벨트랩의 사용상에서 쉽게 일어나던 한가지 이상의 단점을 극복하여야 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왜냐하면, 우리 민족의 습성에 따르자면 바닥에 주저앉거나 쪼그려 앉아 세탁과 세수를 하는 습관을 감안할 때 바닥의 배수성능 지금 보다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서양의욕실 바닥처럼 물 사용량이 작은 곳에서 무리가 없이 사용되던 방식에서 사용 수량이 많은 곳에서도 무리가 없는 바닥용 트랩으로 대체할 목적을 갖는다.The main purpose is to replace the belt wrap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a drainage fitting for the floor but has caused a lot of inconvenience. More specifical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one or more disadvantages easily occurring in the use of the belt wrap. Because, according to the habit of our people,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floor should be better than now, given the habit of washing and washing face sitting or squatting on the floor. Therefore, there is a purpose to replace the floor trap without a crowd even in a place where the quantity of water is used in such a way that was used in a place where the water consumption is small, such as the floor of the Western bathroom.

통상의 배수 트랩은 봉수에 의해 악취를 차단하였고 이러한 봉수를 유취하기 위하여 유수에 부하가 크게 걸리도록 하는 곡관이나 벨(20) 등을 사용하여 왔다.Conventional drain traps have been used to block the odor by the water and to use such a bend pipe or bell 20 to put a large load on the water to attract the water.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유수에 부하가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바닥에 상당량의 물이 고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과 같이 욕실 바닥에 주저앉아서 행하는 작업이 많고 욕실 면적이 좁은 경우에는 이러한 트랩구조는 상당히 불합리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술한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바닥용 트랩의 한가지 이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한 것이다.However, this method is a significant load on the runoff is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water is accumulated on the floo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trap structure is quite unreasonable when there is a lot of work done by sitting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like in Korea and the bathroom area is small.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overcome one or more of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ly used floor traps.

벨트랩에서의 악취 차단을 위해 봉수를 이용한 방식이 아닌 부표(부이:buoy)를 이용하여 부력에 의해 유수를 통과시키고 부표(6)의 자중과 상시수면의 물 입자의 흡착성에 의한 밀착으로 악취와 유해가스를 막아낸다. 따라서 고체와 유체의 혼합 방식이므로 기존유체 방식보다 취기 및 유해가스의 누설 위험이 적고 더불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부표의 상부면에 안내홈과 안내날개를 가설하여 낙수에 의해 부표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도록 하므로 유수의 회전 방향에 가속을 더해 유속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내도록 하였다. 이같은 효과는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block the odor in the belt wrap, the buoy (buoy) is used to prevent the odor from passing through the water by buoyancy and by adhering to the self-weight of the buoy 6 and the adsorption of water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Prevents harmful gases Therefore, because of the solid and fluid mixing method, there is less risk of odor and harmful gas leakage than the existing fluid method, and in order to smooth the flow of the fluid, guide grooves and guide vanes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 and the buoy is turned to the right by falling water. Because it rotates, the acceleration is added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low to increase the flow rate. This effect can be easily seen with a simple experiment.

더욱 상술하자면, 물은 수조의 하부 구멍으로 유출될 때 우회전하면서 빠져나간다. 이때 손가락으로 오른쪽으로 저어 주면 유수의 유출이 더욱 빨라지는 것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소용돌이에 의한 흡입력의 증가 현상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ater exits with a right turn as it flows into the lower hole of the tank. At this time, if you stir to the right with your finger, you can easily see that the runoff is faster.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increase in suction force due to the vortex.

이때 가운데 공기구멍이 생기는데 모의 실험에 의하면 구멍을 막아도 결과는 다를 것이 없었다. 이렇게 하여 배수중에 유체의 유출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하 운동을 행하는 고체로 하여금 배수시 회전하는 유체의 회전을 돕게 하고, 유체의 욕실바닥 체류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이도록 하며, 유체가 없을 때 배수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악취를 봉쇄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air hole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the result was not different even if the hole was blocked. This increases the outflow rate of the fluid during drainage and allows the solids to move up and down during the drainage to help the rotating fluid to rotate during drainage, effectively reduce the residence time of the fluid in the bathroom, and the odor flowing out of the drainage pipe when no fluid is present. Was made to contain.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게 되면 기존의 다종의 트랩에 비해 생산원가를 증가하지 않고도 기존의 방식을 대체할 수 있으며 현장시공에 있어서도 배관 중에 트랩을 설치하는 것 보다 향후 수리나 청소에 있어서도 더욱 유리하다 하겠다.The production of products using this method can replace the existing method without increasing production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types of traps, and it is more suitable for future repair or cleaning than installing traps in piping in the field construction. It will be advantageous.

따라서 본 고안물은 기존 트랩의 한가지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기존 트랩을 대체 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replace the existing trap by improving one or more problems of the existing trap.

도 1은 종래의 바닥용 배수트랩으로 사용되는 벨트랩에서 폐쇄 부재를 투시한 상태로 도시한 입체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ing member in the belt wrap used as a conventional drain trap for floor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배수구에 장착된 상태의 부표식 트랩을 도시한 한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ing a buoy trap in the state mounted to the drai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폐쇄 부재를 투시한 상태로 도시한 제 2도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out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shown in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ure member.

도 4는 내부부품을 도시한 제1도의 배수구 장착구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outlet of FIG. 1 showing the internal parts;

도 5는 배수구 장착구의 날개형 부표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g buoy of the drainage fitting.

도 6은 뚜껑을 닫은 상태의 배수구 장착구의 축 단면 사시도.Fig. 6 is a axi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outlet with the lid closed;

도 7은 뚜껑을 닫은 상태의 배수구 장착구의 평면 사시도.7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outlet with the lid closed;

도 8은 뚜껑이 닫힌 상태의 배수구 장착구의 입체 사시도.8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outlet with the lid clos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부표축 9:가이드2: subordinate axis 9: guide

3:뚜껑 11:환형몸체3: lid 11: round body

6:부표 13:연결관6: buoy 13: connector

7:안내 홈 20:벨7: Guide home 20: Bell

통상의 배수트랩에 있어서, 통채와 통공이 있으며 뚜껑과 배수관 그리고 끼워지는 연결관과 봉수를 유취하여 악취방지를 위한 곡관이나 벨 모양의 컵을 달아 악취방지의 목적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고안물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배수트랩 처럼 봉수를 이용하지 안고 부표를 이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In the general drain trap, it was common to have a barrel and a hole, and to cover the lid, the drainage pipe, the fitting pipe, and the bongsu water to attach the curved pipe or the bell-shaped cup to prevent the odor.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a buoy instead of using water as a conventional drain trap.

환형의 몸체(11)와 여기에 통공이 뚫린 뚜껑(3)이 얹어지고 이 뚜껑에 지지되어 부표이동축(2)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이 부표이동축에 결속하여 부표(6)가 부설되며 이 부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부표이동축하부마개(8)로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부표는 부력에 의해 축에 따라 상하운동하며 그로 인해 수표면에 밀착하여 악취를 방지하고 배수를 원활히 하도록 한다. 그리고 여하의 것은 기존의 배수 트랩과 유사하게 구성된다.The annular body 11 and the perforated lid 3 are placed thereon and supported on the lid so that the buoy movement axis 2 is fixed vertically, and the buoy 6 is attached to the buoy movement axis. It is assembled with the buoy moving shaft lower stopper 8 to prevent the detachment. The buoy thus assembled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axis by buoyancy, thereby clos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o prevent odor and smooth drainage. And any that is constructed similarly to existing drain trap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써, 몸체(11) 상단부에 뚜껑(3)을 걸침턱(10)에 지지하고 뚜껑(3)의 중심에 부표이동안내축(2)을 지지하여 이 축을 따라 부표(6)가 뚜껑과 부표이동축 하부마개(8) 사이에서 부력에 의해 상하운동 하게끔 구성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the lid 3 on the upper jaw 10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1 and the inner shaft 2 while supporting the buoy in the center of the lid 3. Along the axis, the buoy 6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buoyancy between the lid and the buoy moving shaft lower stopper 8.

몸체 상단부 바깥쪽에 지수판(9)은 끝이 하향으로 꺾여서 고정성을 높이고 더불어 누수의 방지목적으로 몸체 상단부 외측에 고정되어 몸체의 일부로 구성된다.Outboard body (9)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bent downward to increase the fixing and also to prevent leakage of the body is fixed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composed of a part of the body.

도 3에서 부표(6)를 보면 부표 상부에는 낙수에 의한 회전력을 더하기 위해 안내홈이 있고 하부는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유선형 2단 삼각뿔모양으로 배수 효과에 충실하게 하였다.Referring to the buoy 6 in FIG. 3, the upper part of the buoy has a guide groove in order to add rotational force due to falling down water, and the lower part of the buoy has a streamlined two-stage triangular pyramid shape that is narrowed downward.

도 4를 보면, 부표의 상부면은 원호의 중심으로 가까울수록 완만한 경사를이루고 있으며, 낙수의 안내홈과 안내홈 사이에는 안내날개를 증설하여 회전력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고 이렇게 얻어진 회전력을 수표면에 전달하기 좋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트랩은 환형에서의 부표의 수직이동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장방형의 배수트랩으로 만들어 부표가 회전하도록 하는 경우로도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 is gentle inclin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arc, the guide blades between the guide groove and guide groove of the falling water to help the rotational force and thus obtained rotational force on the water surface It is configured for good delivery. And the drain trap consisting of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not only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oy in the annular shape but also to make the buoy rotate by making a rectangular drain trap.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부표(6)를 부표이동축(1)에 결속되어 상하운동을 하므로써, 기존의 트랩처럼 벨(20)이 고정되어 봉수를 형성하는 방식에 비하여 물의 양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수 있으므로 유체에 작용하는 부하가 적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uoy 6 is bound to the buoy moving shaft (1) to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bell 20 is fixed as in the conventional trap to be flexib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compared to the way to form the water Because of this, the load on the fluid is less.

따라서, 폐수의 유출 속도가 빨라 욕실 바닥면에 폐수가 체류하는 시간이 짧게되며 부표가 수표면에 밀착되어 상부면에서 떨어지는 물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도록 고안되었으므로 유체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하므로 유속을 빠르게 하여 폐수 배출을 촉진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outflow rate of the waste water is high, which shortens the residence time of the waste water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and the buoy is designed to be rotated by the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surface because the buo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fluid and reducing the load. It plays a role in accelerating the discharge of waste water by increasing the flow rate.

상기와 같이 부표에 의한 악취방지 방식은 기존의 배수트랩의 문제점이었던 유체에 작용하는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봉수의 파괴위험이 적으며, 생산단가도 기존의 트랩에 비해 큰 차가 없이 기존의 바닥용 트랩을 대체할 수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하겠다.As described above, the odor prevention method by buoy can reduce the load acting on the fluid which was the problem of the existing drain trap, and there is little risk of breaking water, and the production cost is also lower than that of the existing trap. It is possible to replace traps.

Claims (3)

부표(6)와 이와 유사한 부력을 가지는 물체에 의해 악취 차단 효과를 가지고 원활한 배수를 기대하는 배수구 장착구.Drainage fittings that have a bad smell effect by buoy (6) and similar buoyant objects and expect smooth drainage. 제1항에 있어서, 부표(6)가 부표축(2)에 안내되어 부력에 의한 상하 운동에 의해 유체를 통과시키고 악취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장착구의 부표.The buoy of the drainage fitting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 (6) is guided to the subordinate shaft (2) to pass the fluid through the vertical motion by buoyancy and suppress odor. 제2항에 있어서, 부표(6)의 윗면에 유체에 의해 회전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홈과 안내날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The buoy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uide groove and a guide vane in order to have rotational force by the flu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 (6).
KR2020010025899U 2001-08-27 2001-08-27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KR2002571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899U KR200257186Y1 (en) 2001-08-27 2001-08-27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KR2020010037020U KR200276447Y1 (en) 2001-08-27 2001-11-30 Draining trap used for preventing of st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899U KR200257186Y1 (en) 2001-08-27 2001-08-27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86Y1 true KR200257186Y1 (en) 2001-12-24

Family

ID=730711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899U KR200257186Y1 (en) 2001-08-27 2001-08-27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KR2020010037020U KR200276447Y1 (en) 2001-08-27 2001-11-30 Draining trap used for preventing of stink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20U KR200276447Y1 (en) 2001-08-27 2001-11-30 Draining trap used for preventing of st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5718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584A (en) 2017-09-29 2019-04-08 이광복 Auto adjusting drain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73B1 (en) * 2013-06-11 2015-05-21 조용일 Selective rainwater exhausting device
KR101493605B1 (en) * 2013-08-23 2015-02-13 박희범 Drain device
KR101923342B1 (en) * 2018-05-21 2018-11-29 권태봉 Draining trap with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2534173B1 (en) * 2021-01-06 2023-05-19 김효빈 Drain tr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584A (en) 2017-09-29 2019-04-08 이광복 Auto adjusting drain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447Y1 (en)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7186Y1 (en) A Drain Trap On the Stench Prevention
KR100674890B1 (en) Drainage device
JPH11256652A (en) Simple water-closet bowl combining water saving type water-closet bowl
KR102083469B1 (en) A trap for draining
JPH06306908A (en) Drainage trap
KR200403172Y1 (en) Offensive odor interception device for gutter
KR101955227B1 (en) Waste trap structure
KR101056506B1 (en) Sink drainage structure
KR20100012980U (en) Draintrap for sewer
KR20090050293A (en) A urinal
KR200273523Y1 (en) backflow prevention trap using buoyancy
JP2003003548A (en) Drain valve
KR200249076Y1 (en) A draining trap for anti bad smell
JP3569842B2 (en) Drainage trap and bathroom structure using drainage trap
KR200218232Y1 (en) Drain Trap
JPS6026895B2 (en) Water seal function maintenance device in drainage trap
KR101101235B1 (en) Device for preventing backflow of foul smell
KR200403107Y1 (en) A drain trap for washstand
KR200265933Y1 (en) The draining trap for isolation stench
KR200239577Y1 (en) Preventive tool of Counter current for a sewer pipe
KR200174775Y1 (en) Draining trap
JP3541290B2 (en) Drain trap
KR10071296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noise or counter inflow for draining pipe
JP4277083B2 (en) Drainage equipment
KR200388695Y1 (en) Drain cover assembly for deodo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