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79Y1 - 지중굴삭판 - Google Patents

지중굴삭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79Y1
KR200257179Y1 KR2020010024817U KR20010024817U KR200257179Y1 KR 200257179 Y1 KR200257179 Y1 KR 200257179Y1 KR 2020010024817 U KR2020010024817 U KR 2020010024817U KR 20010024817 U KR20010024817 U KR 20010024817U KR 200257179 Y1 KR200257179 Y1 KR 200257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cavator
excavation
lead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오토모오
Original Assignee
세르바 후무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르바 후무스 (주) filed Critical 세르바 후무스 (주)
Priority to KR2020010024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79Y1/ko

Links

Landscapes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두굴삭판 및 다수의 연결굴삭판,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지중굴삭판에 관한 것으로서, 연약지반이나 지표의 도로,철도,구조물 등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막을 수 있도록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을 밀착결합하고 상기 굴삭판들은 측면으로 병렬연결하여 상기 굴삭판들을 연속적인 동일평면으로 만들어 지반 상부나 측벽에서 오는 전압을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지탱하고, 또한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을 스크류 형상의 머리부와 핀 형상의 몸체를 가진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선두굴삭판만을 압입전진시키면 후속하는 연결굴삭판들을 별도로 유압잭을 이용하여 압입전진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으로 터널을 굴삭할 수 있는 지중굴삭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굴삭판{Excavating panel}
본 고안은 지하터널을 구축함에 있어 상부로부터 큰 하중에 의한 전압이 상부벽과 옆벽에 걸리는 것을 제어하여 지표침하의 염려없이 안전하고 확실한 지하터널을 구축하고,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을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함으로서 굴삭작업공정을 줄여 신속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으로 지하터널을 굴삭할 수 있게 한 지중굴삭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터널을 구축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임의의 터널 단면 형상을 설정하고 그 상부 및 측면에 터널의 축선방향으로 적당히 큰 구멍을 굴삭한다. 이 때, 상부의 원지반 토사가 연약지반이면 상부 토사입자 상호간의 연결작용은 기대할 수 없어 상부토사 전 중량에 따른 전압이 터널의 상부면에 걸릴 뿐 아니라, 지표면에 철도,도로 또는 구조물 등이 있을 경우 그 차량이나 구조물의 하중에 의하여 전압이 한층 커져 이러한 부분에서 원지반 토사의 침하 또는 붕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터널공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도시 기능 및 안전에 큰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지표침하 방지 및 안전성 유지를 위하여 종래 시일드 방식과 메서 방식을 이용한 공법이 있었으나, 도 9a, 9b에서 보듯이 토류판과 세그먼트 등이 사용되는 복공판과 접하는 주변 원지반과의 사이에 공간부(void)가 발생되어 지반침하나 붕괴를 완전히 방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토사를 굴삭하는 판넬과 이에 접하는 원지반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시 밀착시켜서 도로, 철도, 구조물 등의 큰 하중에 의한 전압을 견디고 주변 원지반이 침하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도 10과 같은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을 이용한 지하터널 구축공법이 개발되었었다. 도 10에서, 1은 선두굴삭판, 2는 선두굴삭판에 연결된 지지판, 3은 연결굴삭판의 선단부로서 지지판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단락부, 4는 단락부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 6은 연결굴삭판, 5는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과의 간격이며 양 굴삭판의 저면에는 유압잭을 이용하여 압입전진될 수 있는 추진걸이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방법은 선두굴삭판(1)이 유압잭에 의하여 압입전진되면 선두굴삭판(1)의 지지판(2)에 이와 같은 길이의 단락부(3)를 가진 연결부(4)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굴삭판(6)을 순차적으로 압입전진 및 밀착시킴으로서 상부지반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동일평면이 되게 연결하고 상기굴삭판들 사이는 측방향으로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상부지반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없이 지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지하터널 구축공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선두굴삭판(1)이 전진함에 따라 선두굴삭판(1)과 연결굴삭판(6)의 간격(5) 만큼 이에 밀착된 연결굴삭판(6)들을 모두 하나씩 순차적으로 유압잭에 의하여 압입전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두굴삭판(1)들은 측방향으로 병렬연결되어 있으므로 한 개의 선두굴삭판(1)을 전진시키기 위하여는 그 좌우에 있는 선두굴삭판(1)을 고정시키고 중간의 선두굴삭판(1)을 전진시킨뒤 그에 후속하는 연결굴삭판(6)들을 모두 하나씩 전진시키고 다시 그 좌우의 선두굴삭판(1) 및 그에 후속하는 연결굴삭판(6)들을 전진시켜야 했으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반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없이 지반에 대하여 연속된 동일평면을 이루는 지중굴삭판을 이용하여 지반 상부로부터의 큰 하중에 의한 전압이 상부벽과 옆벽에 걸리는 것을 제어하여 지표침하의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지하터널을 구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두굴삭판의 꼬리부와 연결굴삭판의 연결부 사이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이에 후속하는 연결굴삭판들을 역시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서 선두굴삭판의 전진만으로 이에 결합된 연결굴삭판을 자동적으로 전진되게 하여 복잡한 작업공정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작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안전하고 경제적인 지중굴삭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굴삭판에 의하여 지하터널을 굴삭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설명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들의 연쇄적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의 결합부위와 체결부재를 보여주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요부확대도이고,
도 5는 굴삭판이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지층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병렬연결 및 설치상태도이고,
도 6은 유압잭에 의한 굴삭판의 추진설명도이고,
도 7은 연결굴삭판과 지보공(支保工)에 의한 터널의 관통상태을 보여주는 설명도이고,
도 8은 시공완료된 터널의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종래 터널의 굴삭공법에 대한 단면도 및 종래 굴삭판의 연결 및 굴삭과정을 순서적으로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층, 20...선두굴삭판,
21...선단부, 22,32...몸체,
23,33...꼬리부, 24,34...추진걸이구멍,
25,35...하향절곡부, 26,36...상향절곡부,
27,37...체결공, 30...연결굴삭판,
31...연결부, 38...관통체결공,
40...체결부재, 50...지보공(支保工),
60...발진가대, 70...유압잭,
80...라이닝 콘크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지중굴삭판은, 첨예한 쐐기 형상의 선단부와, 그 몸체 저면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추진걸이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 상부면 일단과 반대편 측면중앙 일단에 하향절곡부 및 상향절곡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그 저면에 구비하고 있는 꼬리부로 구성된 선두굴삭판과;
상기 꼬리부와 대응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그 몸체 저면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추진걸이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 상부면 일단과 반대편 측면중앙 일단에 하향절곡부 및 상향절곡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사각기둥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연결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그 저면에 구비하고 있는 꼬리부로 구성된 다수의 연결굴삭판과;
상기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원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단면에 드라이버홈을 가진 스크류 형상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핀 형상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상기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이 요동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재의 몸체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굴삭판을 이용하여 지하터널을 굴삭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설명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여지듯, 터널을 구축할 지층(10) 전방에 발진가대(6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선두굴삭판(20)을 두어 이를 유압잭에 의하여 전진시키면서 선두굴삭판(20)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지보공(5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선두굴삭판(20)은 지층(10)을 효과적으로 굴삭할 수 있도록 첨예한 쐐기 모양의 형상을 한 선단부(21)를 가지고 있으며 후속하는 연결굴삭판(30)과 결합되는 꼬리부(23)가 그 저면에 체결공(27)을 구비한 채로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22)의 선단부(21)와 반대되는 단부에 연장되어 있다. 체결공(27)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서 안정적인 결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갯수가 정해진다. 선두굴삭판(20)의 몸체(22)의 저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유압잭(70)이 걸리는 추진걸이구멍(24)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22) 상부일단과 반대편 측면중앙 일단에는 양 옆의 선두굴삭판(20)과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향절곡부(25)와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5 참조)
상기 선두굴삭판(20)의 꼬리부(23)에 연결굴삭판(31)을 밀착시켜 연결굴삭판(30)의 연결부(31)와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연결굴삭판(30)은 그 선단에 선두굴삭판(20)의 꼬리부(27)와 대응되는 연결부(31)가 관통체결공(38)이 하나 이상 형성된 채로 구비되어 있고 그 몸체(32)에는선두굴삭판(20)과 동일하게 그 저면에 다수개의 추진걸이구멍(34)이, 그 상부일단 및 반대편 측면중앙에 하향절곡부(35) 및 상향절곡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속의 연결굴삭판의 연결부에 대응되는 꼬리부(33)가 그 저면에 체결공(37)을 하나 이상 형성한 채로 상기 몸체(32)의 연결부(31)와 반대되는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들의 연쇄적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의 결합부위와 체결부재를 보여주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4에서 보여지듯, 체결부재(40)는 그 머리부(40a)가 원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단면에 드라이버홈을 가진 스크류 형상이며, 상기 머리부(40a)로부터 연장되는 몸체(40b)는 일자형의 핀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두굴삭판(20)과 연결굴삭판(30)의 결합으로 형성된 체결공은 상기 선두굴삭판(20)과 연결굴삭판(30)이 요동가능하도록 체결부재(40)의 몸체(40b)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형상의 머리부(40a)는 선두굴삭판(20)과 연결굴삭판(30) 간의 결합을 확고히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부재(40)의 몸체(40b)가 핀 형상이고 체결공의 직경이 이보다 커야 하는 이유는, 양 굴삭판 간의 결합이 너무 견고하여 터널이 갑자기 꺽어지거나 또는 곡선 형상의 터널을 굴삭할 경우에는 선두굴삭판(20) 및 이에 결합된 연결굴삭판(30)의 이동이 오히려 방해되거나 경직된 결합에 의하여 각 굴삭판에 미치는 압력의 부하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굴삭판의 요동이 가능하도록 굴삭판의 결합에 대하여 어느 정도 유동성 있는 상태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굴삭판이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지층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연결 및 설치상태도이고, 도 6은 유압잭에 의한 굴삭판의 추진설명도다.
선두굴삭판(20) 또는 연결굴삭판(30)의 상부일단에 형성된 하향절곡부(25)가 상기 굴삭판의 측면에 인접한 굴삭판의 측면중앙에 형성된 상향절곡부(26)에 맞물리어 굴삭판이 측면으로 병렬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즉 한 굴삭판의 좌측으로는 그 굴삭판의 하향절곡부(25)와 좌측의 굴삭판의 상향절곡부(26)가 맞물리어 결합되고, 상기 굴삭판의 우측으로는 그 굴삭판의 상향절곡부(26)와 우측의 굴삭판의 하향절곡부(25)가 맞물리어 결합된다. 그러나, 이는 나사결합과 같이 확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좌우 굴삭판의 움직임을 최소화한채 중간에 있는 하나의 굴삭판만을 유압잭(70)에 의하여 전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연결굴삭판과 지보공에 의한 터널의 관통상태을 보여주는 설명도이고, 도 8은 시공완료된 터널의 단면도이다.
도 1의 선두굴삭판(20)과 연결굴삭판(30)이 결합된 전체 굴삭판에서 선두굴삭판(20)만을 유압잭(70)으로 압입전진시켜 결합된 굴삭판 전체가 전진되게 하고, 상기 결합된 굴삭판의 전진에 따라 결합된 굴삭판의 후미에 도 3에 나타나 있는 또 다른 연결굴삭판(30)의 연결부(31)를 체결부재(40)로 순차적으로 연결시켜가며, 그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지보공(5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원하는 길이의 터널을 관통하게 된다. 이 때, 선두굴삭판(20)만 유압잭(70)으로 전진시키면 그에 연결된 연결굴삭판(30)들은 유압잭(70)으로 별개로 압입전진시키지 않아도 같이 전진하게 되어 편리하다. 물론, 무한정한 길이로 연결굴삭판(30)이 따라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유압잭의 파워에 따라 5∼25개까지의 연결굴삭판(30)이 함께 전진될 수 있으므로 그 만큼의 작업공정이 단축되게 된다. 최종적으로, 선두굴삭판(20)과 발진가대(60)를 철거하고 연결굴삭판(30)과 지보공(50)이 매설되도록 도 8과 같이 라이닝 콘크리트(80)를 형성시키므로서 터널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중굴삭판은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 그리고 병렬연결된 굴삭판들이 동일평면상으로 연속결합되어 지층벽과 밀착상태로 압입전진되므로 종래의 방법과 달리 공간부가 전혀 발생되지 않아 지반침하가 발생되지 않고 안정성 있게 터널을 굴삭할 수 있으며, 체결공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선두굴삭판과 연결굴삭판을 결합함으로서 일일이 연결굴삭판을 압입전진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공정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터널을 굴삭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과 체결부재의 직경에 차이를 두고 체결부재의 몸체 형상을 핀 형상으로 하여 굴삭판의 요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곡선형이나 급히 꺽어진 형상의 터널을 굴삭할 때도 굴삭판이 용이하게 전진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터널 공사에도 잘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첨예한 쐐기 형상의 선단부(21)와, 그 몸체 저면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추진걸이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 상부면 일단과 반대편 측면중앙 일단에 하향절곡부(25) 및 상향절곡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선단부(21)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체결공(27)을 그 저면에 구비하고 있는 꼬리부(23)로 구성된 선두굴삭판(20)과;
    상기 꼬리부(23)와 대응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체결공(38)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31)와, 그 몸체 저면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추진걸이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 상부면 일단과 반대편 측면중앙 일단에 하향절곡부(35) 및 상향절곡부(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사각기둥의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연결부(31)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체결공(37)을 그 저면에 구비하고 있는 꼬리부(33)로 구성된 다수의 연결굴삭판(30)과;
    상기 선두굴삭판(20)과 연결굴삭판(30)을 연결하는 체결부재(40)로 이루어진 지중굴삭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0)는, 원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단면에 드라이버홈을 가진 스크류 형상의 머리부(40a)와, 상기 머리부(40a)로부터 연장되는 핀 형상의 몸체(4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굴삭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굴삭판(20)과 연결굴삭판(30)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상기 선두굴삭판(20)과 연결굴삭판(30)이 요동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재(40)의 몸체(40b)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굴삭판.
KR2020010024817U 2001-08-16 2001-08-16 지중굴삭판 KR200257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17U KR200257179Y1 (ko) 2001-08-16 2001-08-16 지중굴삭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17U KR200257179Y1 (ko) 2001-08-16 2001-08-16 지중굴삭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84A Division KR100440674B1 (ko) 2001-08-16 2001-08-16 지중굴삭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터널 굴삭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79Y1 true KR200257179Y1 (ko) 2001-12-24

Family

ID=7306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817U KR200257179Y1 (ko) 2001-08-16 2001-08-16 지중굴삭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17B1 (ko) 2006-04-04 2007-10-12 세역산업 주식회사 분할형 메서 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17B1 (ko) 2006-04-04 2007-10-12 세역산업 주식회사 분할형 메서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573B1 (ko) Forepoling Board와 지반보강을 이용하여 곡선선형을 이루는 비개착식 터널 시공방법
KR101880172B1 (ko) 추진 패널, 추진 패널 압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ms 공법
KR200257179Y1 (ko) 지중굴삭판
KR100440674B1 (ko) 지중굴삭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터널 굴삭방법
KR102164645B1 (ko) 전단지보재를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 구축용 강관추진공법
KR20130014160A (ko) 비개착 타입 터널 시공 방법
KR101255517B1 (ko) 중구경강관과 도갱공을 이용한 비개착타입 터널 시공방법과 터널시공 구조물
KR100749452B1 (ko) 터널의 축조 공법 및 그 시공장치
KR101351784B1 (ko) 커팅채널부재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926501B1 (ko) 루프와 실드를 결합한 비개착식 터널구조물의 시공방법 (rsm공법) 및 그 터널구조물
CN108643189A (zh) 外锚头固定结构、基坑支护系统及施工方法
KR100239590B1 (ko) 지하터널 구축공법
KR101142783B1 (ko) 열차 선로가 개설된 지역의 터널 확장 공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구조체
JPH0135160B2 (ko)
JP4599303B2 (ja) アンダーパス工法
KR102414424B1 (ko) 선도강관이 설치된 강관을 이용한 터널구조물 구축 공법
JP2005325556A (ja) コンクリート矢板
JPH0626580Y2 (ja) 土留装置用サポート
KR0181965B1 (ko)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2511386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95597B1 (ko) 다기능 확공비트를 이용한 두부가 보강된 무용접 강관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S6123082Y2 (ko)
CN108979641A (zh) 地中构造物的构筑施工方法
JP4889993B2 (ja) 拡幅立坑の施工方法
JPH02252890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