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920Y1 - 광분배함 - Google Patents

광분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920Y1
KR200256920Y1 KR2020010018241U KR20010018241U KR200256920Y1 KR 200256920 Y1 KR200256920 Y1 KR 200256920Y1 KR 2020010018241 U KR2020010018241 U KR 2020010018241U KR 20010018241 U KR20010018241 U KR 20010018241U KR 200256920 Y1 KR200256920 Y1 KR 200256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jumper
jumper cord
storage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연
Original Assignee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이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이정연 filed Critical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8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920Y1/ko

Link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케이블과 장비와의 연결 접속, 광섬유케이블의 분배 및 점퍼코드의 저장에 사용되며, 광섬유접속부, 광섬유분배부, 점퍼코드저장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광분배함에 있어서, 광섬유분배부와 광섬유접속부를 일체형으로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점퍼코드저장부를 기저로 상향 적층되도록 하되, 플레이트 및 점퍼코드저장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플레이트와 점퍼코드저장부를 체결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에 의해 점퍼코드저장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점퍼코드저장부가 다수개의 층구조로 구성되고 점퍼코드를 용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점퍼코드를 저장할 수 있어 인입출되는 점퍼코드의 한쪽 방향 관리가 가능하며, 투명도어의 채택으로 외부에서 커넥터와 점퍼코드와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광분배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분배함{Fiber Distribution Frame}
본 고안은 광섬유케이블과 장비와의 연결 접속, 광섬유케이블의 분배 및 점퍼코드의 저장에 사용되며, 광섬유접속부, 광섬유분배부, 점퍼코드저장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광분배함에 있어서, 광섬유분배부와 광섬유접속부를 일체형으로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점퍼코드저장부를 기저로 상향 적층되도록 하되, 플레이트 및 점퍼코드저장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플레이트와 점퍼코드저장부를 체결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트의회전운동에 의해 점퍼코드저장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입자 선로, 중앙국, 중계국 등에 설치되는 광분배함은 광섬유케이블을 광단국장치 또는 광중계장치에 연결시키는 시스템간의 연결 및 다수의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광섬유케이블의 분배 등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분배함은 크게 다른 광단국장치 또는 광중계장치와 접속되는 광신호의 경로 분배를 위한 광섬유분배부와, 광섬유케이블과 점퍼코드와의 접속과 여장을 위한 광섬유접속부와, 광섬유케이블과 연결 접속되는 점퍼코드를 여장 수납하는 점퍼코드저장부로 구성된다.
점퍼코드는 광분배함에 내장된 연결선이며, 통상적으로 일단은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일단은 광섬유케이블과 접속되어 광섬유접속부에 내장되거나 외부 장치와 접속한다.
이러한 점퍼코드는 시스템이나 장비에 연결을 위한 일정길이 이외의 여장을 가지고 있으며, 상술했듯이 이러한 여장은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고 광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곡률반경으로 점퍼코드저장부에 저장된다.
종래의 광분배함은 점퍼코드저장부, 광섬유접속부, 그리고 광섬유분배부 등이 모두 동일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광분배함 자체의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제한적인 일부분의 작업에도 타부분에 불필요한 외력이 미칠 가능성이 상존하였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광섬유분배부, 점퍼코드저장부 등이 랙에 고정 장착되어 있어, 상기 각 부분의 개별 유지 보수 작업 시에 랙에 외력을 가하여 이탈시키는 불편함과 함께 광섬유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 광섬유케이블이 파단되는 우려 또한 상존한다.
일반적으로 광분배함에는 그 내부에 광섬유케이블과 점퍼코드간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속표시부가 구비되는데, 이 접속표시부에 일정의 보수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광분배함 내부에 있는 관계로 광분배함을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점퍼코드저장부가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구성됨으로서 점퍼코드의 유지 관리시에도 플레이트에서 점퍼코드저장부를 이탈시켜 작업하거나 광섬유케이블이 접속되는 광섬유분배부를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며 광섬유접속부와 점퍼코드에 과다한 굴곡 등이 생겨 단선될 위험이 있다.
무엇보다 점퍼코드저장부에 인입과 인출되는 점퍼코드가 혼재되어 있어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점퍼코드의 코어심이나 양이 변동하는 경우에 점퍼코드저장부의 수를 적절히 대응하는 데에도 용이하지 않는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 광섬유분배부와 광섬유접속부를 하나의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점퍼코드저장부와 적층시켜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키며, 힌지에 의한 점퍼코드저장부의 개폐 방식을 채택하는 광분배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안은 광섬유케이블과 커넥터와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접속표시부 전면에 투명 재질의 도어를 구비하여, 광분배함의 개방 없이 외부에서 접속표시부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광분배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점퍼코드저장부를 점퍼코드의 코어심별 또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점퍼코드를 저장할 수 있게 다수의 층구조로 형성하여 점퍼코드저장부에서 인입출되는 점퍼코드를 한쪽 방향에서 관리하게 하는 광분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함의 평면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광분배함을 정면에서 본 정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분배함 10 : 광섬유분배부 50 : 광섬유접속부
100 : 플레이트 200 : 점퍼코드저장부 250 : 힌지부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광섬유분배부의 커넥터 접속상태 확인 및 접속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접속표시부의 전면에 외부에서 가시되는 투명재질의 도어를 구비하여 접속표시부 확인을 위해 불필요하게 광분배함을 개방하지 않게 한다.
또한 광섬유분배부와 광섬유접속부를 하나의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점퍼코드저장부와 적층시켜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게 하며, 힌지에 의해 점퍼코드저장부를 개폐시키는 방식을 채택한다.
본 고안은 점퍼코드저장부를 점퍼코드의 코어심별 또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게 다수의 층구조로 형성하여 점퍼코드저장부에서 인입출되는 점퍼코드를 한쪽 방향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함의 평면사시도이며, 도2 는 도 1 의 광분배함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1 과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광분배함(1)은 인입되는 광섬유케이블을 분배하여 외부장비와 연결시키는 광섬유분배부(10)와, 광섬유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를 수행하는 광섬유접속부(50)가 구성되는 플레이트(100)와, 상기 광섬유분배부(10)에 접속되어 있는 점퍼코드(110)의 여유길이를 저장하기 위한 점퍼코드저장부(200)로 구성된다.
광섬유분배부(10)는 광분배함(1) 내에서 원활한 광섬유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해 다수로 분기되는 점퍼코드(110)가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120)와, 상기 커넥터(120)가 양면으로 동일위치에 일치하게 실장하고 양쪽의 커넥터(120)의 접속 및 지지를 위한 어댑터취부판(130)으로 구성된다.
광섬유접속부(50)는 외부선로에서 인입되는 광섬유케이블의 접속자 보호 및 광섬유케이블의 여장정리 기능을 수행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이다.
즉, 외부선로에서 인입된 광섬유케이블과 점퍼코드(11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광섬유분배부(10)의 전면에는 커넥터(120)와 점퍼코드(110)간의 접속여부 상태를 표시하는 접속표시부(150)가 설치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접속표시부(150)에 투명재질의 전면도어(160)를 부설하고 힌지에 의해 전면도어(160)가 개폐되도록 형성하여 광분배함(1)을 개봉하지 않고도 접속표시부(150)의 상태를 확인하여 적절히 유지 보수 조치할 수 있게 한다.
점퍼코드저장부(200)는 광섬유분배부(10)에서 인입출되는 점퍼코드(110)의여장을 정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점퍼코드저장부(200)가 기저를 형성하고 상향으로 광섬유분배부(10)와 광섬유접속부(50)가 일체형으로 구비한 플레이트(100)를 적층하여 광분배함(1) 자체의 크기를 축소시킨다.
점퍼코드저장부(200)는 저장되는 점퍼코드(110)의 코어심 및 인입출 등의 용도에 맞추어 다수개의 층구조로 적층하여, 각각 개별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점퍼코드(110)의 여장을 정리하되, 광손실의 최소화를 위해 소정의 곡률을 유지하며 저장한다.
또한 점퍼코드저장부(200)를 다층구조로 채택함으로서 점퍼코드(110)의 코어 변경 시에도 적절하게 점퍼코드저장부(200)의 수를 신축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다수의 점퍼코드저장부(200)에 개별로 인입과 인출되는 점퍼코드(110)를 관리하기 때문에 점퍼코드(110)의 인입출 방향을 점퍼코드가이드(140)의 유도에 따라 한쪽 방향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점퍼코드(110) 관리를 도모한다.
점퍼코드가이드(140)는 광분배함(1)의 외부에 부설되며 점퍼코드(100)의 보호와 원활한 외부 유도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힌지형의 구성하여 점퍼코드(110)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유지 보수 작업시 점퍼코드가이드(140)의 분리 없이 힌지의 해제만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완료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분배함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선로로부터 인입된 광섬유케이블은 광섬유접속부(50)에서 다심으로 분기되며 해당 점퍼코드(110)와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의 광섬유케이블과 점퍼코드(110)와의 접속자는 광섬유접속부(50)에 저장되며, 다수의 광섬유접속부(50)는 상향으로 적층이 가능하여 확장성을 확보한다.
점퍼코드(110)의 타일단은 광섬유분배부(10)의 커넥터(120)와 연결되며, 커넥터(120)가 실장되어 있는 어댑터취부판(130)의 이면에도 동일 위치선상에 커넥터(120)를 실장하여 외부 장비와의 접속을 이룬다.
물론 어댑터취부판(130)의 양쪽 커넥터(120) 끼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120)에서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 점퍼코드(110)는 광분배함(1) 외일측에 부설된 점퍼코드가이드(140)에 의해 지지되며 점퍼코드저장부(200) 내부로 유도된다.
한편 점퍼코드저장부(200)에 소정의 작업이 필요할 시, 점퍼코드저장부(200)의 상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플레이트(100)를 슬라이딩시키면 힌지부(250)를 중심으로 플레이트(100)가 회전운동하여 점퍼코드저장부(200)가 개방되고 점퍼코드의 저장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했듯이 점퍼코드저장부(200)는 저장되는 점퍼코드(110)의 코어심 및 인입출 등의 용도에 맞추어 다층구조로 적층되고 각 점퍼코드저장부(200) 사이에도 힌지부(250)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의 점퍼코드저장부(200)를 개방하고자 할 때 특정의 점퍼코드저장부(200)를 회전운동 시켜 개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광섬유분배부와 광섬유접속부를 하나의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점퍼코드저장부와 적층시켜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키며, 힌지에 의한 점퍼코드저장부의 개폐 방식을 채택하는 광분배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안은 광섬유케이블과 커넥터와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접속표시부 전면에 투명 재질의 도어를 구비하여, 광분배함의 개방 없이 외부에서 접속표시부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점퍼코드저장부를 점퍼코드의 코어심별 또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점퍼코드를 저장할 수 있게 다수의 층구조로 형성하여 점퍼코드저장부에서 인입출되는 점퍼코드를 한쪽 방향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3)

  1. 광섬유케이블과 장비와의 연결 접속, 광섬유케이블의 분배 및 점퍼코드의 저장에 사용되며, 광섬유접속부, 광섬유분배부, 점퍼코드저장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광분배함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분배부(10)와 상기 광섬유접속부(50)를 일체형으로 하나의 플레이트(100) 상에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100)가 상기 점퍼코드저장부(200)를 기저로 상향 적층되도록 하되, 상기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점퍼코드저장부(2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100)와 상기 점퍼코드저장부(200)를 체결시키는 힌지부(250)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부(250)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점퍼코드저장부(200)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점퍼코드(110)와 커넥터(120)와의 접속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투명재질의 도어(160)를 힌지형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코드저장부(200)는 저장되는 점퍼코드(110)의코어심 및 인입출 등의 용도에 맞추어 다수개의 층구조로 적층하여, 상기 점퍼코드저장부(200)에서 인입출되는 점퍼코드(110)를 점퍼코드가이드(140)의 유도에 따라 한쪽 방향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KR2020010018241U 2001-06-19 2001-06-19 광분배함 KR200256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41U KR200256920Y1 (ko) 2001-06-19 2001-06-19 광분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41U KR200256920Y1 (ko) 2001-06-19 2001-06-19 광분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920Y1 true KR200256920Y1 (ko) 2001-12-24

Family

ID=7306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41U KR200256920Y1 (ko) 2001-06-19 2001-06-19 광분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9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5371B1 (en) High density fiber distribution tray system
EP1557048B1 (en) High density termination panel with rotating tray
US20190072736A1 (en) High density distribution frame with an integrated splicing compartment
RU2670183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добавления разветвителей
US7408769B2 (en) Fiber containment system
USRE44758E1 (en) Optical fiber interconnect cabinets, termination modules and fiber connectivity management for the same
EP2214043A2 (en) A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cabinet
CN102792204A (zh) 具有可取出的光纤管理托盘的终端箱
JPH06508448A (ja) 光ファイバー接続装置
KR20060132603A (ko) 광 섬유 분배 및 관리를 위한 프레임 및 그 관련 방법
CA2799225A1 (en) Fiber optic cable management module and panel
CN101253436A (zh) 用于通信线路和接头的护套
KR200256920Y1 (ko) 광분배함
KR200237993Y1 (ko) 여장정리반이 내장된 모듈형 광분배반
US7200315B2 (en) Dynamic fiber slack management for telecom racks
EP1285299B1 (en) Optical assembly
KR100760715B1 (ko) 지하용 광중간절체장치의 내부모듈
KR200482793Y1 (ko)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및 광케이블 카드
KR200228293Y1 (ko) 광 분배셀프
EP2538255B1 (en) Cable coupling device with overlength storage for jumper cables
CN210222316U (zh) 光纤接入盒
KR100683643B1 (ko) 팬아웃케이블 내장형 블럭
WO2013100445A1 (ko)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KR200228295Y1 (ko) 광 접속셀프
KR100760716B1 (ko) 지하용 광 중간 절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