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231Y1 - 풋 스위치 - Google Patents

풋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231Y1
KR200256231Y1 KR2020010027267U KR20010027267U KR200256231Y1 KR 200256231 Y1 KR200256231 Y1 KR 200256231Y1 KR 2020010027267 U KR2020010027267 U KR 2020010027267U KR 20010027267 U KR20010027267 U KR 20010027267U KR 200256231 Y1 KR200256231 Y1 KR 200256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sing
contact terminals
lower cas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완제
Original Assignee
조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완제 filed Critical 조완제
Priority to KR202001002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231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를 들면 골프공 공급기에서 골프공을 하나씩 공급할 때 사용되는 풋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풋 스위치는, 고정되는 상태의 하부케이싱(60)과; 상기 하부케이싱에 대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일정구간 하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하면에 누름돌기(54)가 성형된 상부케이싱(50);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서로 접촉되는 내측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접촉단자(62,6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누름돌기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가 접촉하여 온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의 내측단부는 케이싱의 중심부분에 위치하고, 접촉단자의 적어도 일측에는, 외측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로 부터 접촉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로 성형되는 보호리브가 하부케이싱에 성형되어 있다.

Description

풋 스위치{Foot switch}
본 고안은 풋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단자의 온오프동작이 확실하고 외부의 이물질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하여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풋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풋 스위치, 통상 골프연습장에서 골프공을 배급하는 공급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스위칭장치를 누르게 되면, 내부의 접촉단자이 온상태로 되면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골프공이 공급장치를통하여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풋 스위치에 대한 종래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과 하부케이싱(20)으로 외형이 형성된다. 상부케이싱(10)의 내측 하부에는 링형상의 상부접촉단자(12)가 부착되어 있고, 하부케이싱(20)의 상측에도 동일한 형상의 하부접촉단자(2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싱(10)과 하부케이싱(20) 사이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S)이 개재된 상태로 조립된다. 상부케이싱(10)과 하부케이싱(2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술한 스프링(S)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싱(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성형되고 체결공을 구비하고 있는 체결보스(6)가 하부케이싱(20)의 체결공(8)에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스크류(2)에 의하여 체결되어 양자가 고정된다.
이렇게 상부케이싱(10)과 하부케이싱(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싱(10)은 스프링(S)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상방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각각의 케이싱(10,20)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단자(12,22)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싱(10)을, 사용자가 발로 누르게 되면 상기 링형상의 상부접촉단자(12)가 상부케이싱(10)과 같이 하강하게 되어, 하부케이싱(20)에 설치된 하부접촉단자(22)에 접촉하게 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접촉단자(12,22)는, 각각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12,22)를 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예를 들면 원형으로 구성되는 상부케이싱(10)을 사용자가 발로 누를때, 상부케이싱(10)의 어느측에서 누르더라도 상기 접촉단자(12,22)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12,22)를 링형상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상기 접촉단자을 링형상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케이싱(10,20)의 내부에서 점유하는 부분이 많게 되는데, 주로 케이싱(10,20) 내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나 풋 스위치는, 통상 발을 이용하여 접촉시키도록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바닥면에 놓여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풋 스위치가 바닥면에 놓이게 되면, 습기의 침투가 우려된다. 이렇게 습기가 침투하게 되면, 도전성 금속재로 만들어지는 상기 접촉단자(12,22)가 녹슬게 되는 등 손상될 수 있어서, 부분적으로 접촉단자의 접촉시 스위치의 온기능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12,22)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도금처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실질적으로 생산코스트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종래와 같이 접촉단자의 표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12,22)가 케이싱(10,20) 내부에서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케이싱(10,20) 외부에 침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상기 접촉단자(12,22) 부근에 모여서 정상적인 스위치의 동작을 저해하게 될 우려가 있다.
풋 스위치는, 상부케이싱(10)의 어떠한 부분을 누르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인, 외부에서의 습기의 침투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 등에 대해서는 충분히 해결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습기 또는 이물질의 침투에 대하여 충분히 보호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단자 부분의 부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풋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풋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풋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풋 스위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상부케이싱 54 ..... 누름돌기
60 ..... 하부케이싱 62, 64 ..... 접촉단자
66 ..... 보호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풋 스위치는, 고정되는 상태의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에 대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일정구간 하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하면에 누름돌기가 성형된 상부케이싱;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서로 접촉되는 내측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누름돌기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가 접촉하여 온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의 내측단부는 케이싱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의 적어도 일측에는, 외측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접촉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로 성형되는 보호리브가 하부케이싱에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한쌍의 접촉단자는, 띠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싱 외부에서 침투하는 이물질에 대하여 단자가 충분히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케이싱의 누름에 의하여 보다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신뢰성 높은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 풋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풋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풋 스위치는 상부케이싱(50)과 하부케이싱(6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케이싱(50)과 하부케이싱(6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케이싱 내부에 접촉단자을 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하부케이싱(6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싱(60)의 내부에는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접촉단자(62,64)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접촉단자(62,64)는 이격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접촉단자(64)가 하방으로 눌러지면 양자가 도통하게 되면서 스위치는 온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62,64)는 평판상의 띠형상을 가지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외측단부(62a,64a)는 하부케이싱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단부(62a,64a)가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싱(60)의 중심부분에서는 상기 각각의 접촉단자(62,64)가 중첩될 수 있는 상태이고, 그 중심부분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62,64)는, 하부케이싱(60)의 중심부분에서 양자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접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62,64)가 하부케이싱(60)의 중심부분에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하부케이싱(60)의 중심부분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62,64)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리브(66)가 접촉단자의 형상을 따라 상부로 일정 간격 돌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보호리브(66)는, 케이싱(50,60)의 외부에서 침입하는 물기 또는 이물질에 대하여 상기 접촉단자(62,64)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접촉단자(62,64)의 접촉부분을, 케이싱(50,60)의 중심부분에 형성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케이싱의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가 접촉단자의 접촉부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 접촉단자(62,64)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싱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 성형되는 보호리브(66)를 상기 접촉단자(62,64)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물기가 상기 접촉단자(62,64)에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접촉단자(62,64)가 물기에 의하여 부식되거나,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케이싱(50)의 하면 중심부분에는 상기 접촉단자(64)를 누르기 위한 누름돌기(54)가 일정한 높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돌기(54)는, 상부케이싱(50)과 하부케이싱(6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단자(64)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되고, 상부케이싱(50)이 눌러지면, 상기 접촉단자(64)를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돌기(54)가 하방으로 눌러지면 접촉단자(64)의 내측단부가 하방으로 눌러지면서, 그 하부에 있는 접촉단자(62)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케이싱(50)의 저면에는, 하부케이싱(60)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보스(5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케이싱(60)에는 상기 결합보스(52)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6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싱(50)과 하부케이싱(60)의 결합은, 종래와 같이 체결스크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 양자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싱(50)과 하부케이싱(60) 사이에는,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개의 스프링(S)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싱(50)과 하부케이싱(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케이싱(50)은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누름돌기(54)가 접촉단자(64)와는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접촉단자(62,64)를 온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누름돌기(54)가 상부케이싱(50)의 중심부분 저면에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상기 상부케이싱(50)의 외측의 어떠한 부분을 누른다고 하더라도, 상기 누름돌기(54)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누름돌기(54)를 형성하여 상부케이싱(50)의 어디를 누르더라도 누름돌기(54)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촉단자(64)을 하부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상부케이싱(50)의 어떠한 부분을 누르더라도 스위치의 온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누름돌기(54) 및 접촉단자(62,64)의 배치 및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링형상 단자와 동일한 기능을 충분히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접촉단자(62,64)의 접촉부분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작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접촉의 신뢰성 및 장기간 사용을 고려하여, 상기 접촉단자(62,64)의 접촉부분에,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 도금(예를 들면 은도금)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그 코스트는 극히 저렴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의 접촉단자를 사용하되, 이는 누름돌기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누름돌기 및 접촉단자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상부케이싱의 어떠한 부분을 누른다고 하더라도, 신뢰성있는 스위치의 접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풋 스위치로써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분히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단자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소형이고, 더욱이 케이싱 내부에서 중심부분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케이싱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 및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거나 부식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보호리브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접촉단자를 더욱 확실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풋 스위치는, 장기간 사용에도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고정되는 상태의 하부케이싱(60)과;
    상기 하부케이싱에 대하여 스프링(S)에 의하여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일정구간 하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하면에 누름돌기(54)가 성형된 상부케이싱(50);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서로 접촉되는 내측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접촉단자(62,6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누름돌기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가 접촉하여 온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의 내측단부는 케이싱(50,60)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의 적어도 일측에는, 외측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로 부터 접촉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로 성형되는 보호리브가 하부케이싱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스위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촉단자는 띠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스위치.
KR2020010027267U 2001-09-06 2001-09-06 풋 스위치 KR200256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67U KR200256231Y1 (ko) 2001-09-06 2001-09-06 풋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67U KR200256231Y1 (ko) 2001-09-06 2001-09-06 풋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231Y1 true KR200256231Y1 (ko) 2001-12-13

Family

ID=7310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267U KR200256231Y1 (ko) 2001-09-06 2001-09-06 풋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2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1036B2 (en) Sealed board-mounted electrical switch
US7279652B2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US6271487B1 (en) Normally open extended travel dual tact switch assembly with sequential actuation of individual switches
US6512827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5803243A (en) Latching rocker switch
US4146767A (en) Push-button switch
US20120018291A1 (en) Switch assembly
US4556769A (en) Key switch devices with key guide means
US6956179B2 (en) Rocker/pushbutton switch
MY124657A (en) Push-on switch
CN107112156B (zh) 电子部件用轻触开关
KR200256231Y1 (ko) 풋 스위치
US20100230267A1 (en) Push switch
US20090057110A1 (en) Vibration switch
US7994441B2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KR100405994B1 (ko) 푸쉬버튼 스위치
US6233136B1 (en) Structure of water and dust-proof control box
US6274834B1 (en) Push-button switch with part to a wire rod exposed to an inside bottom of housing to form a contact portion
JP2008305694A (ja) 携帯電子機器のスイッチ作動用ゴムキーの保持構造
US6878893B2 (en) Tactile switch
JP5429315B2 (ja) 接触部材
ATE237184T1 (de) Kontaktanordnung an einem vorwähler
US4281232A (en) Small illuminating switch
JP2004139997A (ja) 押釦スイッチ
WO2004049507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flectable contacts and fusible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