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576Y1 - Liquid case - Google Patents

Liquid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576Y1
KR200255576Y1 KR2020010027544U KR20010027544U KR200255576Y1 KR 200255576 Y1 KR200255576 Y1 KR 200255576Y1 KR 2020010027544 U KR2020010027544 U KR 2020010027544U KR 20010027544 U KR20010027544 U KR 20010027544U KR 200255576 Y1 KR200255576 Y1 KR 200255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let
container
partition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5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용진
Original Assignee
윤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진 filed Critical 윤용진
Priority to KR2020010027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57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576Y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내에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여 액체를 용기에서 쏟을 때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의 유입으로 액체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쏟을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forming an air inlet in the inlet of the liquid container so that the air flows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air inlet when the liquid is spilled from the container, the phenomenon that the liquid is clogged by the inlet of the air It relates to a liquid container that can be spilled smoothly without being generated.

본 고안은 마개(3)가 설치되는 원형의 주입구(2)와 손잡이(4)를 형성한 액체용기(1)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2)의 내주면에 일측에 주입구(2)의 상부에 이르도록 칸막이(5)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이 칸막이(5)에서 손잡이(4)의 내주면에 이르는 공기 유입통로(6)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칸막이(5)는 주입구(2)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칸막이(5)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주입구(2)의 단면적을 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ontainer (1) formed with a circular inlet (2) and the handle (4) is provided with a stopper (3), to the upper side of the inlet (2) on one sid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2) The partition 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ir inlet passage 6 from the partition 5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 shape may be formed, or both ends of the partition 5 may be formed to be bent inward to form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jection hole 2.

Description

액체용기 {Liquid case}Liquid container {Liquid case}

본 고안은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내에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여 액체를 용기에서 쏟을 때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의 유입으로 액체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쏟을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forming an air inlet in the inlet of the liquid container so that the air flows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air inlet when the liquid is spilled from the container, the phenomenon that the liquid is clogged by the inlet of the air It relates to a liquid container that can be spilled smoothly without being generated.

일반적으로 액체를 담기 위한 액체용기는 용기의 상부에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이 주입구에는 마개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를 열고 주입구를 통하여 액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액체를 쏟을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In general, a liquid container for containing a liquid forms an inlet for injecting a liqui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 stopper is installed in the inlet, and the liquid can be opened and the liquid injected or poured through the inlet. It was supposed to b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액체용기의 경우에는 주입된 액체를 쏟아 내기 위해 거꾸로 들게 되면 용기에서 쏟아져 나오는 액체가 상기 주입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 막힘 현상에 의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액체의 흐름이 잠시 정지되었다가 정지된 시간동안 상기 주입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약간의 공기가 들어가 내부의 진공 압력이 낮아지면 다시 액체가 나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서액체가 불규칙하게 쏟아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쏟아지는 액체가 쏟고자 하는 위치에서 이탈되고 상기 액체의 쏟음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liquid container, if it is lifted upside down to pour the injected liquid, the liquid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may block the injection port, and air may not flow into the container due to the blockage phenomenon. Therefore, when the flow of the liquid is stopped for a while and a little air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inlet for a time when the vacuum pressure is lowered, the liquid flows out repeatedly while the liquid is repeatedly releas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uring liquid is released from the position to be poured and the pouring operation of the liquid becomes very inconvenient.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속마개를 따로 형성한 후, 이 속마개에서 내측으로 공기 유입호스를 설치하거나, 상기 주입구와는 별도로 공기 유입구를 형성한 것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것은 상기 속마개와 공기 유입구를 별도로 형성해야 하므로써 용기의 제조가 매우 난해하게 되었으며, 상기 액체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만들기가 난해하면서 이 금형의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결점이 있었고, 또 상기 속마개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입호스의 끝단이 가능한 내벽측으로 기울어져 있어야 하지만, 상기 유입호스의 끝단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유입호스의 끝단이 액체용기의 액체부분에 위치할 때는 액체가 이 공기 유입호스로 같이 나오게 되므로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recent years, after the inner plug is formed separately in the inlet of the liquid container, an air inlet hose is installed inward from the inner plug, or an air inle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of the container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above plug and the air inlet are separately formed,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 mol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container. There was a drawback to be lifted, and the tip of the air inlet hose located inside the fastener should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wall side, but the tip of the inlet hose was not fixed in a fixed position, so the end of the inlet hose was not in a liquid container. When it is in the liquid part of the liquid, the liquid comes out with this air inlet hose. There was a problem with lighting that does not fulfill its original func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액체용기의 주입구내에 공기 유입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액체를 용기에서 쏟을 때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의 유입으로 액체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쏟을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인 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solve and complement, to form an air inlet in the inlet of the liquid container integrally when air flows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air inlet when the liquid is poured from the container To provide a liquid container that can be poured smoothly without the phenomenon of clogging the liquid caused by the inflow of air,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2는 본 고안의 주입구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발췌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let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주입구에 형성되는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시도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tion formed in the in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액체용기1: liquid container

2 : 주입구2: inlet

3 : 마개3: stopper

4 : 손잡이4: handle

5 : 칸막이5: dividers

6 : 공기 유입통로6: air inlet passage

마개(3)가 설치되는 원형의 주입구(2)와 손잡이(4)를 형성한 액체용기(1)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2)의 내주면에 일측에 주입구(2)의 상부에 이르도록 칸막이(5)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이 칸막이(5)에서 손잡이(4)의 내주면에 이르는 공기 유입통로(6)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칸막이(5)는 주입구(2)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칸막이(5)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주입구(2)의 단면적을 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In the liquid container 1 formed with a circular inlet 2 and a handle 4 in which a stopper 3 is installed, a partition (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 so as to reach an upper portion of the inlet 2. 5) is formed in one piece and the air inlet passage 6 extending from the partition 5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4 is formed in one piece. The partition 5 has a 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let 2. It may be formed, or both ends of the partition (5) is formed to be bent inwardly to be configured to form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jection port (2).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마개(3)를 열고 상기 원형의 주입구(2)를 통하여액체를 주입한 상태에서 이를 다시 쏟을 겨우에는 상기 손잡이(4)를 잡고 액체용기(1)를 거꾸로 들게 되는 데, 상기 액체용기(1)를 거꾸로 들게 되면, 상기 주입구(2)를 통하여 액체가 토출되고 이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주입구(2)의 내주면에 일측에 주입구(2)의 상부에 이르도록 형성한 칸막이(5)의 일측 공기 유입통로(6)로 공기가 유입되며, 이 공기 유입통로(6)로의 공기 유입에 따라 상기 액체용기(1)내에 진공이 형성되지 않게 되고, 상기 액체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lift the liquid container (1) upside down while holding the handle (4) to open the stopper (3) and spilled again in the state of injecting the liquid through the circular inlet (2) When the liquid container 1 is lifted upside down, the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2, and when the liquid is discharged, the liquid container 1 is formed to reach the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hole 2 at one sid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2. Air flows into one side of the air inlet passage 6 of the partition 5, and as a result of the air inflow into the air inlet passage 6, no vacuum is formed in the liquid container 1, and the liquid is smoothly discharged. It is done.

또, 상기 칸막이(5)가 주입구(2)의 상부에 이르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되는 액체가 상기 공기 유입통로(6)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 되는 것으로 상기 칸막이(5)의 형상을 주입구(2)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칸막이(5)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태로 형성하게 될 경우, 상기 주입구(2)의 단면적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5 is formed to a position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2, the discharged liquid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ir inflow passage 6, so that the shape of the partition 5 is changed to the injection port ( According to the shape of 2) or when form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partition 5 is bent inwardly, it is possible to form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jection port (2).

또한, 상기 칸막이(5)는 액체용기(1)의 제조시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제조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칸막이(5)가 형성되는 액체용기(1)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5 is molded and manufactured integrall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liquid container 1,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liquid container 1 in which the partition 5 is formed.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공기 유입통로(6)를 액체용기(1)의 주입구(2) 내부에서 손잡이(4)에 이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통로(6)의 선단에는 상기 주입구(2)와 격리되는 칸막이(5)를 액체용기(1)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액체용기(1)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므로써 액체용기(1) 내부의 액체를 쏟아내는데 있어서 매우 신속하고 안정된 형태로쏟아 낼 수 있고 액체용기(1)의 외부로 상기 공기 유입수단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용기의 형상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액체용기(1)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선성이 높고 제조 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n air inlet passage 6 to reach the handle 4 in the inlet 2 of the liquid container 1, the inlet (2) at the tip of the air inlet (6)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liquid container (1) by forming the partition (5), which is isolated from the liquid container (1) integrally, and the liquid inside the liquid container (1) by the smooth inflow of air In pouring, it can be poured in a very fast and stable form, and since the air inflow mean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quid container 1, the shape of the container can be made beautiful, and the structure of the liquid container 1 is simple and the fish It is characterized by high lighting properties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s.

Claims (3)

마개(2)가 설치되는 원형의 주입구(2)와 손잡이(4)를 형성한 액체용기(1)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2)의 내주면에 일측에 주입구(2)의 상부에 이르도록 칸막이(5)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이 칸막이(5)에서 손잡이(4)의 내주면에 이르는 공기 유입통로(6)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In the liquid container 1 formed with a circular inlet 2 and a handle 4 in which a stopper 2 is installed, a partition (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 so as to reach an upper portion of the inlet 2. 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q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let passage (6) from the partition (5)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4) is formed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5)는 주입구(2)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The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jection ho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5)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주입구(2)의 단면적을 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The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partition (5) are formed to be bent inward to form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jection hole (2).
KR2020010027544U 2001-09-08 2001-09-08 Liquid case KR20025557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544U KR200255576Y1 (en) 2001-09-08 2001-09-08 Liquid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544U KR200255576Y1 (en) 2001-09-08 2001-09-08 Liquid ca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277A Division KR20030021831A (en) 2001-09-08 2001-09-08 Liquid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576Y1 true KR200255576Y1 (en) 2001-12-13

Family

ID=7305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544U KR200255576Y1 (en) 2001-09-08 2001-09-08 Liquid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57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4295A (en) Spout for liquid container
KR200255576Y1 (en) Liquid case
KR20030021831A (en) Liquid case
JP2013508226A (en) Bottle cap assembly
JP2008162633A (en) Container
KR200287921Y1 (en) Blower forming receptacle
JP2000318020A5 (en)
KR200393970Y1 (en) Air feed mechanism of the water bottle where the straw is had built-in
KR200175990Y1 (en) Liquid case
CN112810991A (en) Conjoined bottle cap
KR200196149Y1 (en) A water pail equipped with air passageway
KR100526153B1 (en) Stopper for liquid containers
KR20010037502A (en) Liquid case
KR200365965Y1 (en) A cap of liquid bottle
JPH0736532Y2 (en) Pitcher
JP2588647Y2 (en) Injection molded container
JP2004291307A (en) Back flow preventing valv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288396Y1 (en) A washstand
KR200347208Y1 (en) Stopper for liquid containers
JPS5828985Y2 (en) injection container lid
JPS5811759Y2 (en) Injection nozzle for synthetic resin molded bags
KR200179945Y1 (en) Exhaust of liquid vessel
JP2512283B2 (en) Tabletop container for liquid seasonings
JPH0720039Y2 (en) Fixed amount discharge stopper
JPH083316Y2 (en) Tabletop container for liquid season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