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46Y1 -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46Y1
KR200255346Y1 KR2020000033619U KR20000033619U KR200255346Y1 KR 200255346 Y1 KR200255346 Y1 KR 200255346Y1 KR 2020000033619 U KR2020000033619 U KR 2020000033619U KR 20000033619 U KR20000033619 U KR 20000033619U KR 200255346 Y1 KR200255346 Y1 KR 200255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ezoelectric plate
separator
plate
botto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스웨이
Original Assignee
조스 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스 웨이 filed Critical 조스 웨이
Priority to KR2020000033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46Y1/ko

Links

Landscapes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일종의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로 다음을 포함한다.
하나의 안이 둥근 원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밑 덮개와 역시 안이 둥근 원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하나의 윗 덮개가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하나의 스폰지를 준비하고 그 한 표면을 밑 덮개의 움푹 들어간 곳에 덮어 연결시키는데 바탕벽에 꽉 밀착시켜 덮히게 한다. 그리고 다른 한 면은 금속 압전판의 아래 면에 긴밀히 연결한다.
하나의 전로판을 금속 압전판 상부 표면에 꽉 붙이는데 그중 전로판의 상부표면은 고무 재질, 혹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연성 격리판에 붙인다. 이연성 격리판의 바깥 둘레는 원형 오목조의 벽에 밀접히 연결시켜 둥근 원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곳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형 공명공간이 되게 하여 음파의 진동을 이용, 고음 주파수 반응을 보강하여 발화의 고음부분을 높여 소리의 전달이 실제로 이루어지게 한다.

Description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Structural of a vibration form of microphone for the larynx cavity}
본 고안은 일종의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발화자의 발화소리의 진실감을 제고하고 비음이나 혼성음을 억제하는데 유효한장치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기존의 「접촉 압적식 마이크 」 는 아래의 단점이 있다.
첫째로 스프링이 음파를 받을 때 점 입력의 방식으로 음파를 전달하기 때문에 마치 연못에 돌을 던져 일어나는 파문처럼 내보낸 음파(소리)가 진실감을 잃는다.
둘째로 금속의 전기가 통하는 조각 둘레가 윗 덮개의 주변 끝부분과 앞 덮개의 안쪽 벽면에 접촉되어 있어 만약 외계의 소음이 너무 클 때 그 소음으로 발생하는 소리 진동파가 윗 덮개에 부딪히게 되고 뒷 덮개로 조성된 내부공간은 더 나아가 압전판 위에 소음으로 형성된 소음진파를 조성하기 때문에 청자가 듣는 발화자의 소리는 진실감을 잃을 뿐 아니라 발화자 외부의 소음 역시 들리게 된다.
셋째로 종래의 마이크는 공명공간의 진동형식을 채용하기 않아 높은 주파수 반응이 부족하고 고음 부분에 실제적이지 못하며 때문에 고음 부분에서 비음이나 혼합음이 들리는 불량율이 높다.
때문에 이렇게 고음 주파수 반응을 보강하여 발휘자의 소리가 고음부분에서진실감을 잃지 않고 전달하느냐 하는 것이 본 고안의 연구, 창작과제이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바로 일종의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로 하나 이상의 공명공간을 형성시켜 음파의 공동 진동을 이용, 고음 주파수 반응을 보강하여 발화자의 고음 부분이 그 소리의 진실성을 잃지 않고 전달하게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종의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로써 바탕 내부에 큰 면적의 스폰지를 상감식으로 끼워 넣어 압전판을 완전히 눌러 음파의 전도가더욱 광범위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 도면을 배합하여 그 특징과 조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부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밑 덮개 : 10
원형 오목조 : 12, 22
윗 덮개 : 20
본체 : 30
압전판 : 40
전로판 : 50
연성 격리판 : 60, 65
바깥 주변 : 61
공명공간 : 62
수폰지 : 70
밑 덮개 벽면 :121, 221
선 가락 :S
먼저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구조는 하나의 안이 원형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조(12)의 밑 덮개(10)를 하나의 역시 원 모양으로 파여진 오목조(22)의 윗 덮개(20)와 연결하여 밑 덮개(10)와 윗 덮개(20)가 하나의 몸체(30)를 이루게 한다.
하나의 스폰지(70)중 한 표면을 밑 덮개(10)의 원형 오목조(12)에 덮어 연결하고 밑 덮개의 벽면(121)에 꽉 밀착시키고, 다른 한 표면은 금속 압전판(40)의 아래 표면에 긴밀히 연결시킨다.
하나의 전로판(50)을 금속 압전판(40)의 윗 표면에 강력히 붙이는데 그 중 전로판(50)의 위 표면을 고무 혹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 연성 격리판(60)에 붙인다. 이 연성 격리판(60)의 외부 둘레(61)는 윗 덮개(20)의 원형 오목조(22)의 벽면에 밀접히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원형 오목조(22)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된 공명공간(62)이 생기게 한다.
이러한 주요 특징에 의거하여 설계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연성 격리판(62)의 윗부분에 다시 연성 격리판(65)을 성치하면 도3에서와 같이 복수의 공명공간(62)이 생기게 된다
전술한 주요 특징에 의거하여 그중 전로판(50)과 금속 압전판(40)의 바깥 둘레는 두 개의 오목조(21)(22)의 종향 벽면(즉 내부벽면)에 접촉되지 않게 한다.
실시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도1,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은 원형의 연성 격리판(60)을 이용하는데 이 연성 격리판(60)은 연성의 비금속 재질이 좋으며 원형 격리판(60)의 외부 둘레를 원형 오목조(22)의 벽면에 밀폐시킨다. 또 밑 덮개의 벽면(221)과 원형 격리판(60) 사이에 하나의 공명공간(62)을 형성시킨다. 이 공명공간(62)의 실제 기능은 소리파에너지가 공명공간(62)내에서 만나 공진 공간을 형성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성하는데 있다.
도2에서 보이는 대로 인체가 인후 진동으로 발음하게 될 때(음파 진동의 내원) 접촉면(11)은 음파를 밑 덮개(10)의 벽면(121)에 전달하고 이 벽면(121)은 음파를 스폰지(70)에 전달한다. 스폰지(70)은 음파를 평면 다선식으로 압전판(40)과 전로판(50) 및 원형의 연성 격리판(60)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원형 연성 격리판(60)이 전달한 진동파는 공명공간(62)내에서 공진을 일으키고 공명공간의 모양과 내부 면적의 크고 작음에 따라 각기 다른 주파수에 따른 진폭이 증강되는 효과를 얻게된다. 그 원리는 타악기(북과 같은)와 같다. 따라서 음파 에너지가 공명공간(62)에서 공진하는 것을 이용하여 고음 주파수 반응을 보강하는데 이론적으로 그 주파수는 응당 약 300KHZ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발화자의 고음부분을 진실되게 전달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 윗 덮개(20)외부의 배경 잡음파는 윗 덮개(20)로부터 공명공간(62)으로 진입하여 원형 격리판(60)에 작용하는데 이때 잡음파의 진파는 윗 덮개(20)의「딱딱한 재질」에서 원형 격리판(60)의「부드러운 재질」로 전달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잡음 진파가 쇠미해진다. 바구어 말하면 배경잡음을 효과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연성 격리판(60)은 수요에 따라 다층식의 장치(도3에서 예시한 대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공명공간(62)을 구비한 공명공간은 주파수 공진 효과를 조성하여 각종 가능한 반응 주파수를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수용에 부합된다.
스폰지(70)의 내부는 다수의 기포체와 S선 모양의 많은 가닥으로 형성된 공간조합으로 이 스폰지(70)는 가소성(압축성)을 갖고 있어 실제적으로 꽉 눌러지지만 너무 나 납짝하게 눌러서는 안된다. 스폰지(70)의 외부둘레와 압전판(40)의 외부둘레는 같으며 이로써 그 주변이 원형 오목조(12)의 측면 내벽과 접촉하지 않는다. 밑 덮개(10)가 인후피부의 접촉면(11)과 밀접되면 스폰지(70)와 밑 덮개의 벽면(121)이 비교적 큰 면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넓은 범위로써 정확하게 발화자의 진동 음파를 접수할 수 있다. 때문에 발화자가 발화하여 음파가 진동될 때접촉면(11)은 음파를 밑 덮개(10)의 벽면(121)에 전달하고 밑 덮개 벽면(121)은 음파를 스폰지(70)에 전달한다. 도3을 참고하면, 스폰지(70) 내부에는 가로세로 복잡한 S선이 분포하는데 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S선은 음파를 평면 다선으로 압전판(40)에 전달한다. 학리적으로 말하면 밴드의 넓이(Band width)를 증가시켜 음파를 전달하는 것인데 이러한 평면식의 소리파 전도는 전체 압전판(40) 전부가 균등히 발화자의 소리진파를 접수하게 되므로 발화자의 소리는 진실성을 잃지 않는다.
본 고안의 전로판(50) 및 점토 재질의 도자기 압전판(40)의 주변은 모두 원형 오목조(21)(12)의 내부 벽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전로판(50), 압전판(40)은 모두 밑 덮개(10) 및 윗 덮개(20)와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위 덮개(20)(혹은 밑 덮개(10)) 본체의 플라스틱 재질이 접수한 배경 소음진파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밖에 금속 압전판(40)은 그 표면에 점토질의 얇은 막을 한층 입히면 소리를 낮게 전환하는 연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통형으로 움푹 들어간 원형 오목조(12)를 가진 밑 덮개(10)와 이와 동일한 원형 오목조(22)을 가진 윗 덮개(20)가 하나의 본체(30)를 이루며, 일면은 밑 덮개 벽면(121)의 바닥에 밀착시켜 덮이게 하고 타면은 금속 압전판(40)의 하단면에 긴밀히 연결되는 원통형 스폰지(70)와 상부표면이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구성된 연성 격리판(60)에 부착되고 다시 금속 압전판(4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지는 전로판(50)과 적어도 하나이상의 밀폐형 공명공간(62)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움푹 들어간 윗 덮개(20)의 원형 오목조(22)의 벽면에 외부 원주가 밀착되게 하는 격리판(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성 격리판(60)의 윗부분에 다시 하나의 연성 격리판(65)을 설치하여 복수의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구강 마이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전로판(50)과 금속 압전판(40)의 외부 원주가 두 개의 원형오목조(12)(22)의 내벽에 접촉되지 않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구강 마이크 구조.
KR2020000033619U 2000-11-27 2000-11-27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KR200255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19U KR200255346Y1 (ko) 2000-11-27 2000-11-27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19U KR200255346Y1 (ko) 2000-11-27 2000-11-27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46Y1 true KR200255346Y1 (ko) 2001-12-13

Family

ID=7309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19U KR200255346Y1 (ko) 2000-11-27 2000-11-27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23137T1 (de) Akustische vorrichtung mit biegewellenmoden
US4979219A (en) Piezoelectric speakers
US5492047A (en) Sound muffling, tone maintaining drum practice apparatus
JP2004523259A5 (ko)
WO2001078059A3 (en) Piezoelectric biological sounds monitor
CN107333216A (zh) 扬声器箱
DE69829943D1 (de) Gerät mit eingebautem elektroakustischen wandler zur optimalen sprachwiedergabe
CN207612403U (zh) 扬声器箱
DE602006015436D1 (de) Lautsprecher
EP1100071A3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KR200255346Y1 (ko) 진동식 구강 마이크의 구조
JPS6024054Y2 (ja) 圧電型スピ−カ
CN209134632U (zh) 一种耳机腔胆宝结构
TWM574321U (zh) 具立體環繞音場之提琴擴音環
US6907121B1 (en) Impedance matched horn having impedance matched to impedance of an ear
US20150160618A1 (en) Acoustic radiating membrane for a musical watch
JP2001339793A (ja) 圧電音響装置
JP4075244B2 (ja) スピーカ
CN214851694U (zh) 一种新型手持式音箱麦克风
JP2000209697A (ja) スピ―カ
CN207603845U (zh) 一种音头支架及麦克风
JPS6336700A (ja) 圧電発音体
CN207354590U (zh) 扬声器箱
JPH02101894A (ja) 音響振動装置
RU2001101191A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