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039Y1 -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039Y1
KR200255039Y1 KR2020010024843U KR20010024843U KR200255039Y1 KR 200255039 Y1 KR200255039 Y1 KR 200255039Y1 KR 2020010024843 U KR2020010024843 U KR 2020010024843U KR 20010024843 U KR20010024843 U KR 20010024843U KR 200255039 Y1 KR200255039 Y1 KR 200255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inner space
base plate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훈
장문석
장철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10024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0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8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using renewables, e.g. solar cooking stoves, furnaces or solar heating

Landscapes

  • Cook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가 저장되는 베이스판과 다단으로 이루어진 측벽을 결합시켜 열박스를 구성하므로써, 운반 및 보관시에는 상기 단열재를 베이스판의 내부 공간에 저장하고 내부 공간이 빈 측벽의 높이를 줄여 컴펙트화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열박스의 측벽 높이를 높인 후 상기 베이스판의 내부 공간에 충진된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를 측벽의 내부 공간으로 이송시켜 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와 보관을 편리하도록 한 태양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는, 운반용 손잡이(H)가 구비되며 측벽 상부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판(21)과; 열박스의 내부 공간(CS)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하여 상부 측벽부재(22A)의 상단면의 단열씰(R)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상부 측벽부재(22A)의 외주면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투명 커버(24)와;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 공간(IS)이 형성되도록 상·하단부의 각 결합편(S)(S')에 의해 각 측벽부재의 내벽(IW)과 외벽(OW)이 상호 한 몸체를 이루며, 상기 내부 공간(IS)을 통하여 상측 측벽부재가 하측 측벽부재 내부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다단식으로 이루어진 2중벽 구조의 다수 측벽부재(22A)(22B)(22C)들로 구성된 측벽(22)과; 하부 측벽부재(22C)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단열재(25)가 저장되는 내부공간(LR)과 상기 측벽부재(22C)와의 결합면을 따라 단열재 이송공(IH)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공(IH)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L)가 상면(US)의 배면에 구비된 베이스판(23)과; 베이스판(23) 내지는측벽(22)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충진되는 경량의 세라믹비드형의 단열재(25)로 구성되며, 상기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측벽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는 측벽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리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반과 보관이 매우 편리하며, 운반과 보관이 편리한 만큼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용으로 그 보급이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공해발생이 전혀 없고 산불 등의 화재 위험이 적은 저온의 에너지원으로서 일반주택 및 산간지역은 물론 피크닉을 위한 휴대용 조리기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The solar cooker to be carried conveniently}
본 고안은 태양열을 이용하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분말 내지는 소경 구 형상으로 다수의 기공(pores)들이 형성되어 있는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베이스판의 중앙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확보되며 다단으로 이루어진 측벽을 결합시켜 열박스를 구성하되, 베이스판과 측벽의 결합면에 개폐가 가능한 단열재 이송공을 구비하여 운반시에는 단열재를 상기 베이스판에 저장하고 단열재 이송공을 막은 후 몸체의 높이를 줄여 운반하며, 사용시에는 열박스의 높이를 높이고 이송공을 열어 베이스판에 저장된 단열재를 열박스의 내부 공간에 채운 다음 이송공을 막은 후 조리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는 조리기의 에너지원은 크게 전기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전기와, 직접적인 연소 화염을 이용하는 LNG나 LPG와 같은 가스 또는 석유 등의 화석연료로 대별할 수 있으나, 상기 전기 에너지 역시 석유를 연소시켜 발전하는 화력 발전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되는 연료는 거의 모두 화석 연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석 연료는 그 매장량에 있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연소시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각종 환경 공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기위한 전세계적인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른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원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태양열, 조력, 풍력 등의 환경친화적인 천연의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기 에너지원들은 에너지 밀도가 낮아 즉시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자연 에너지원들 중에서 가장 널리 실용화되어 사용되는 것은 태양열으로서, 태양열은 다른 천연 에너지원과 달리 작은 규모의 장치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주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현재 태양열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 분야는, 집열판을 이용한 건물의 난방이나 태양열 전지를 이용한 전기의 생산에 집중되고 있으나, 태양열은 복잡한 장치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하여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곳에서 연료의 운반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하여 야외용으로 적합한 각종 휴대용 태양열 조리기가 개발되었다.
일사 조건은 좋으나 경제가 뒤떨어지는 아프리카 등의 후진국 뿐만 아니라 미국과 같은 선지국에서도 태양 에너지 기술의 교육 및 보급을 위하여 활발히 보급되고 있는 상기 태양열 조리기는 반사판, 단열재 등의 재질에 따라 통상 95∼150℃정도까지 가열된다.
상기 태양열 조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대략 사각 박스의 형상을 하는 태양열 조리기는, 하면에 반사판(11A)이 부착된 뚜껑(11)과 단열재로 이루어진 열박스(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박스(12)의 상단에는 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투명 커버(12A)가 구비되고, 열박스(12)의 내면에는 반사판이, 저면에는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검정색의 집열판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태양열 조리기는 뚜껑을 닫힌 상태에서 운반되거나 보관되며, 야외에서 사용시에는 뚜껑을 열어 태양열이 박스내로 진행되도록 하므로써 밀폐된 박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되는 상기 태양열 조리기의 효율은 태양열을 열박스내로 전달시키는 반사판 내지는 집광판의 성능과 열박스의 단열성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열박스에 전달된 태양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외부에 대한 열박스의 단열성은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태양열 조리기는 충분한 단열성 확보를 위하여 열박스를 구성하는 측벽의 두께가 두껍게 되는 바, 열박스 전체 부피에 대한 음식물이 조리되는 장소인 열박스의 내부 공간 점유 비율이 작아 조리되는 음식물에 대한 조리구의 부피가 과다한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이와 같은 태양열 조리구를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운반이나 보관에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조리 용적에 대하여 전체 용적이 과다하게 큰 종래 태양열 조리기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박스 측벽을 구성하는 형태가 고정된 단열재를 충진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경량(輕量)소경(小經)의 세라믹비드형으로 하고, 열박스의 베이스판과 측벽 내부에 공간을 구비시키는 동시에 측벽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상기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를 열박스의 측벽과 베이스판의 내부 공간 중 한 곳에 이송, 충진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이나 보관시에는 단열재가 없는 측벽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운반과 보관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태양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태양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태양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4는 측벽을 구성하는 중간 측벽부재의 배면도.
도 5는 측벽부재들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조리기의 단면도.
도 6은 베이스판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 고안 태양열 조리기
11. 뚜껑 12. 열박스
21. 반사판 22. 측벽
23. 베이스판 24. 투명 커버
25. 단열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태양열 조리기의 열박스 측벽의 내부 공간에 채워질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가 저장되며 측벽과의 결합면에 개폐가 가능한 단열재 이송공이 구비된 열박스 베이스판과,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의 열박스 측벽과,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는 크게 태양열을 열박스내로 유도하는 반구형 또는 투구형 반사판과, 열박스 상단의 단열을 위한 투명 커버와,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판 및 측벽으로 이루어진 열박스와, 상기 베이스판에 채워지는 경량의 세라믹비드형의 단열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는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상태의 단열재를 이용하면서 베이스판과 측벽의 결합면에 구비된 개폐가 가능한 단열재 이송공을 통하여 상기 경량의 세라믹비드형의 단열재가 선택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베이스판과 측벽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키되, 측벽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다수의 측벽부재로 측벽을 구성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의 태양열 조리기는 단열재를 베이스판의 내부 공간에 저장하고, 다단으로 이루어진 측벽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이송이 수월하도록 컴펙트화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측벽의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 내부 공간에 저장된 단열재를 측벽의 내부 공간으로 이송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일실시예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의 사시도를, 도 3에 단면도를, 도 4에 측벽을 구성하는 중간 측벽부재의 저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태양열 조리기(2)는 운반용 손잡이(H)가 구비되며 측벽 상부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판(21)과; 열박스의 내부 공간(CS)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하여 상부 측벽부재(22A)의 상단면에 부착된 링형 단열씰(R)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투명 커버(24)와;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 공간(IS)이 형성되도록 브리지의 역할을 하는 하단부의 결합편(S)(S')에 의해 내벽(IW)과 외벽(OW)이 상호 한 몸체를 이루며, 상단면이 막힌 상부 측면부재(22A)를 제외하고 중간 측면부재(22B)와 하부 측면부재(22C)는 상기 결합편(S) 부위를 제외한 상하 단면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IS)을 통하여 상측 측벽부재가 하측 측벽부재 내부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다단식으로 이루어진 2중벽 구조의 다수 측벽부재(22A)(22B)(22C)들로 구성된 측벽(22)과; 하부 측벽부재(22C)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단열재(25)가 저장되는 내부공간(LR)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부재(22C)와의 결합면을 따라 이송공(IH)이 형성된 베이스판(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측벽부재는 최상층이 되는 상부 측벽부재(22A)와 베이스판(23)의 상면에 직립하여 결합되는 하부 측벽부재(22C) 및 상부 측벽부재와 하부 측벽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중간 측벽부재(22B)로 구성되는 바,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측벽부재의 외경은 상부, 중간, 하부 측벽부재의 순으로 커지며, 각 측벽부재의 벽 두께는 상부, 중간, 하부 측벽부재의 순으로 두껍게 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벽부재(22A)는 중간 측벽부재(22B)의 내부로, 중간 측벽부재는 하부 측벽부재(22C)의 내부로 삽입,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측벽부재(22A)의 상단면에는, 열박스 내부에 축적되는 태양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투명 커버(24)의 하면에 밀착되는, 대략 '오링(O-ring)' 형상의 고무링과 같은 단열씰(R)(seal)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 측벽부재들이 상호 완전히 삽입되거나 인출되었을 때, 그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측벽의 내, 외주면에는 걸림구의 역할을 하는 요홈(G) 및 돌기(C)가 형성되어 인접 측벽부재 사이의 결합 상태를 안정시켜 준다.
또한, 본 고안의 태양열 조리기를 구성하는 베이스판(23)의 내부에 저장된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를 측벽(22)의 내부 공간(IS)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우선 상부 측벽부재의 측벽 내부 공간에 삽입된 중간 및 하부 측벽부재가 완전히 인출되도록 상부 측벽부재를 들어올려 측벽의 높이를 최대화한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 상면(US)의 배면에 부착된 다수의 지지편(K)에 의해 지지되며 회전시 베이스판의 단열재 이송공(IH)에 일치되는 다수의 관통공(LH)이 구비된 원판상의 개폐구(L)에 부착된 손잡이(HD)를 회전시켜 상기 관통공(LH)과 이송공(IH)을 일치시킨 후, 베이스판이 상부에, 상부 측면부재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 고안의 태양열 조리기를 거꾸로 들어 베이스판 내부의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가 자유 낙하에 의해서 측벽의 내부로 이송되도록 흔들어 준다.
이때, 상기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베이스판(23)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 수록 상호 대향 위치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가이드판(G)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판의 내부에 저장되었던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를 측벽(22)의 내부로 이송시킨 후, 상기 베이스판의 이송공(IH)을 패쇄한 다음 베이스판이 하부에, 상부 측면부재가 상부에 오도록 본 고안의 태양열 조리기를 바닥에 놓으면 사용 준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베이스판으로부터 측벽 내부로 떨어지는 단열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부 측벽부재(22A)의 상단면은 패쇄된 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부 측벽부재의 내외벽(IW)(OW)을 연결하는 상단부 결합편(S')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퀴살의 형태를 하는 중간 및 하부 측벽부재(22B)(22C)의 결합편(S)과 달리내외벽(IW)(OW) 상단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하부 측면부재(22C)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베이스판(23)과의 결합을 위한 플렌지(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 태양열 조리기의 뚜껑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 반사판(21)의 외면과 베이스판의 상면(US)에는 운반시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반사판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도면 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는 측벽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리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반과 보관에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운반과 보관이 편리한 만큼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용으로 그 보급이 증대될 수 있을 것이며,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열 조리기는 공해발생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산불 등의 화재위험이 적은 저온의 에너지원으로서 일반주택 및 산간지역은 물론 피크닉을 위한 휴대용 조리기로 충분히 효용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지대된다.

Claims (5)

  1. 태양열 조리기에 있어서, 운반용 손잡이(H)가 구비되며 상부 측벽부재(22A)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판(21)과;
    측벽(22)과 베이스판(23)으로 이루어진 열박스의 내부 공간(CS)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하여 상부 측벽부재(22A)의 상단면에 구비된 단열씰(R)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상부 측벽부재(22A)의 외주면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투명 커버(24)와;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25)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 공간(IS)이 형성되도록 상·하단부의 결합편(S)(S')에 의해 각 측벽부재의 내벽(IW)과 외벽(OW)이 상호 한 몸체를 이루며, 상기 내부 공간(IS)을 통하여 상측 측벽부재가 하측 측벽부재 내부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다단식으로 이루어진 2중벽 구조의 상부, 중간 및 하부 측벽부재(22A)(22B)(22C)들로 구성된 측벽(22)과;
    상기 하부 측벽부재(22C)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경량의 세라믹비드형단열재(25)가 저장되는 내부공간(LR)과 상기 측벽부재(22C)와의 결합면을 따라 경량의 세라믹비드형 단열재 이송공(IH)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공(IH)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L)가 상면(US)의 배면에 구비된 베이스판(23)과;
    베이스판(23) 내지는 측벽(22)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충진되는 경량의 세라믹비드형의 단열재(2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벽부재의 벽 두께는 상부(22A), 중간(22B), 하부(22C) 측벽부재의 순으로 두꺼움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벽부재의 내, 외주면에는 걸림구의 역할을 하는 요홈(G) 및 돌기(C)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측벽부재(22A)의 내외벽(IW)(OW)을 연결하는 상기 상단부 결합편(S')은 내외벽(IW)(OW) 사이의 상단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중간 및 하부 측벽부재(22B)(22C)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편(S)은 바퀴살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3)의 내부 공간에는 세라믹 비드형 단열재(25)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 수록 상호 대향 위치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가이드판(G)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KR2020010024843U 2001-08-16 2001-08-16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Expired - Lifetime KR200255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43U KR200255039Y1 (ko) 2001-08-16 2001-08-16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43U KR200255039Y1 (ko) 2001-08-16 2001-08-16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039Y1 true KR200255039Y1 (ko) 2001-11-26

Family

ID=7306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843U Expired - Lifetime KR200255039Y1 (ko) 2001-08-16 2001-08-16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0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16393A1 (en) Multi-function solar cooking appliance
Mawire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two solar cooking storage pots combined with wonderbag slow cookers for off-sunshine cooking
US20090133688A1 (en) Solar cooking pot
US11982494B2 (en) Multi-purpose heat transfer and storage device
CN105455608A (zh) 高效节能烹饪器具及其支架
KR200255039Y1 (ko) 휴대가 간편한 태양열 조리기
CN205181066U (zh) 一种高效节能烹饪器具及其支架
KR200360562Y1 (ko) 회전판을 이용한 휴대용 태양열 조리기
ES2982122T3 (es) Dispositivo de cocción solar estacionario de interiores conectado a una cocina
CN2143298Y (zh) 炉灶锅架式余热利用热水保温器
CN208536413U (zh) 太阳能烹饪装置及框架结构
CN209058663U (zh) 一种带有内部蓄热结构的新型保温杯
CN201847485U (zh) 一种便携式野炊复合锅灶
CN205625044U (zh) 单兵野战炊具
CN207575001U (zh) 高效吸收太阳辐射能的加热器皿
CN105476449A (zh) 一种户外便携式加热锅
CN220554468U (zh) 一种太阳能烤炉
KR200170614Y1 (ko) 휴대용 히트파이프 온수기
CN211260989U (zh) 一种柱式火盆取暖器
Ogbekhiulu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olar powered electric cooker
TW201940822A (zh) 利用太陽能加熱之容器
CN2274462Y (zh) 真空胆太阳能热水瓶
CN212788288U (zh) 一种储热型户外烤炉
CN201662243U (zh) 太阳能灶
CN211270232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8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8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