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510Y1 -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510Y1
KR200254510Y1 KR2020010025827U KR20010025827U KR200254510Y1 KR 200254510 Y1 KR200254510 Y1 KR 200254510Y1 KR 2020010025827 U KR2020010025827 U KR 2020010025827U KR 20010025827 U KR20010025827 U KR 20010025827U KR 200254510 Y1 KR200254510 Y1 KR 200254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ands
body part
free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8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대환
Original Assignee
장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환 filed Critical 장대환
Priority to KR2020010025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5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510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즈 프리 세트 또는 핸즈프리를 위한 잭이나 마이크 및 스피커등과 같은 부가장비를 필요로 함이 없이 핸드폰 자체로서 직접적인 핸즈 프리를 제공할 수 있는 핸드폰 홀딩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핸드폰 홀딩장치는, 핸드폰을 직접적으로 홀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에 홀딩된 핸드폰을 핸즈프리하게 매달기 위한 헤드 걸이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상기 헤드 걸이부를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고정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obile phone hold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hands free directly as a mobile phone itself without the need for a hands free set or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jack or a microphone and a speaker for hands free. Such a cell phone holding device includes a body part for directly holding a cell phone, a head hook part for extending the body part to freely hang the cell phone held in the body part, and being slidably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dy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necting portion for fixedly connecting the head hook portion integrally to the body portion.

Description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Mobile phone holding device for hands-free function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이나 차량의 운전중의 통화에 사용하기 적합한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holding device for a hands-free function suitable for use during work or a call while driving a vehicle.

최근, 무선통신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하여 널리 보급된 무선통신 단말기예컨대 핸드폰(hand held phone)은 통화를 위한 호출자 또는 피호출자가 사무실이나 집등의 일정한 장소에 있지 않더라도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이동무선통신의 장점 때문에 그 사용이 급증되고 있다. 또한, 전자부품의 집적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그러한 핸드폰은 갈수록 소형 경량화 되는 추세여서 휴대하기가 더욱 간편해지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핸드폰을 남녀노소의 구별없이 누구나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바로 요즈음의 추세이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widely use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and held phone) can receive a call service even if a caller or callee for a call is not in a certain place such as an office or a home. Because of its advantages, its use is soaring. In addition, thanks to the advancement in the integration technology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mobile phones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making them easier to carry. Therefore, it is a trend these days that such a mobile phone is used by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한편, 손을 주로 사용하는 작업시 또는 자동차의 운전시등에는 정확한 작업이나 안전을 위해 통화자의 양손이 자유롭게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핸드폰의 통화를 위한 핸드폰 사용은 통화자의 한손 또는 양손의 사용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고 제한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핸드폰의 보급과 더불어 작업 또는 운전중에 핸드폰 통화를 돕는 핸즈 프리 세트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when working mainly with hands or driving a car, both hands of the caller should be freely guaranteed for accurate work or safety. However, the use of the mobile phone for the call of the mobile phone is a fact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in not limiting the use of one or both hands of the caller. In order to solve such drawbacks, the hands-free set which helps the mobile phone call during work or driving as well as the spread of mobile phones is widely used.

상기한 핸즈 프리 세트는 통상적으로 핸드폰을 거치하게 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스피커와 마이크용 잭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중 또는 운전중에 있는 통화자는 미리 핸즈 프리 세트에 자신의 핸드폰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두면, 전화를 걸거나 받을 시 핸즈 프리 세트의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송출하고 핸즈 프리 세트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듣게 되므로 핸드폰을 직접 손에 잡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The hands-free set typically includes a main body for mounting a mobile phone and a jack for a speaker and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refore, if a caller who is working or driving in advance connects his / her mobile phone to the hands-free set in advance, when the user makes or receives a call, the caller sends out the voice through the hands-free set microphone and the speaker of the other hand through the hands-free speaker. You will hear the voice, so you can make calls without holding your phon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핸드폰 핸즈프리의 기술은 별도로 핸즈 프리 세트를 구입하여 차량에 장착하거나 스피커와 마이크용 잭을 구입하여 몸에 지니고 다녀야하는 번거로운 문제 및 비용문제가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하여 들리는 상대방의 음성이 음성처리 및 감도문제에 기인하여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동시에 마이크를 통하여 송출되는 호출자의 음성도 피호출자에게 왜곡 없이 전달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ands-free technology has a cumbersome problem and cost problem that you need to buy a separate hands-free set to be mounted in a vehicle or to purchase a speaker and a microphone jack to carry on the body. In addition,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heard through the speaker is not properly transmitted due to voice processing and sensitivity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the voice of the caller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i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to the called party without distor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량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소형 경량화되어 가고 있는 핸드폰의 특징을 기반으로 핸드폰을 직접 홀딩할수 있는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mobile phone holding device for a hands-free function that can directly hold the mobile phon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phone is being reduced in size and light weigh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핸즈 프리 세트 또는 핸즈프리를 위한 잭이나 마이크 및 스피커등과 같은 부가장비를 필요로 함이 없이 핸드폰 자체로서 직접적인 핸즈 프리를 제공할 수 있는 핸드폰 홀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holding device that can provide a hands-free directly as a mobile phone itself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hands-free set or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jack or a microphone and a speaker for hands-fre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이렉트 핸즈 프리 핸드폰 홀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 hands-free cell phone holding device that can directly deliver the user's voice.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에 따르면, 핸드폰을 직접적으로 홀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에 홀딩된 핸드폰을 핸즈프리하게 매달기 위한 헤드 걸이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상기 헤드 걸이부를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고정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holding device for the hands-fre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for holding the mobile phone directly, and the mobile phone extended to the body portion held in the body portion to hang hands free And a head hook part for connecting the head hook part which is slidably conta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integrally fixed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holding device for hands-fre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중 바디부의 구체도2 is a specific view of the body portion of FIG.

도 3은 도 1중 플로팅부의 구체도3 is a specific view of the floating part of FIG.

도 4는 도 1중 플로팅 너트부의 구체도Figure 4 is a specific view of the floating nut portion in Figure 1

도 5는 도 1중 헤드 걸이부의 구체도Figure 5 is a specific view of the head hook portion of Figure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핸드폰 10 : 바디부1 cell phone 10 body

20 : 헤드걸이부 30 : 연결부20: head hook portion 30: connection portion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 및 타의 목적들, 특징, 그리고 구조상의 이점들은,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structur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etailed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핸드폰 홀딩장치는, 핸드폰(1)을 직접적으로 홀딩하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에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10)에 홀딩된 핸드폰을 핸즈프리하게 매달기 위한 헤드 걸이부(20)와,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상기 헤드 걸이부(20)를 상기 바디부(10)에 일체로 고정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holding device for hands-fre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bile phone holding device, the body portion 10 for holding the mobile phone 1 directly, and the mobile phone extended to the body portion 10 and held in the body portion 10 to hang hands-free Basically, the head hook portion 20 for connecting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 for fixedly connecting the head hook portion 20 which is in sliding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o the body portion 10 integrally. It is equipped with.

상기 바디부(10)는 통상의 폴더 타입 핸드폰의 추세에 맞게 90도 이상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핸드폰(1)을 내부면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석 편이 내부 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석 편의 구비가 곤란할 경우에는 좌우의 날개부분을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소자의 힘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고정하여 핸드폰의 측면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바디부(10)에는 핸드폰(1)의 수화기가 부착된 곳 즉, 폴더형 핸드폰인 경우에 핸드폰 덮개의 외부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에는 창(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창(11)을 통해서는 상기 핸드폰(1)의 안테나가 설정된 최대 길이까지 신장될 수 있으며, 최근의 듀얼 폴더 핸드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창이 덮개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바로 볼 수 있게 한 구조의 핸드폰일 경우 상기 창(11)을 통해서는 외부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창의 문자 및 숫자가 통화자의 눈에 바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의 세부는 도 2에 도시된다.The body portion 10 is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a typical folder type mobile phone. 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attach the mobile phone (1) to the inner surface, a magnet piec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art, and when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magnet piece, the left and right wing portions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orce of an elastic element such as a spring. It can be fixed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Preferably, the body part 10 may be formed with a window 11 at a part where the handset of the mobile phone 1 is attached, that is, a part of the mobile phone cover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mobile phone cover. Through the formed window 11,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1 can be extended up to the set maximum length, and the mobile phone having a structure such that a display window can be directly viewed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a cover, such as a recent dual folder mobile phone. In one case, the letters and numbers of the display window located outside the window 11 can be immediately seen in the eyes of the caller. Details of the body portion 10 are shown in FIG. 2.

도 2는 도 1중 바디부(10)의 구체도로서, 참조 부호 10b는 상기 바디부(10)의 정면도이고, 참조 부호 10c는 상기 10b의 상부 평면도이며, 참조 부호 10a는 상기 10b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취한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10)는, 자석편이 내장되는 홈(10-7)을 가지며 핸드폰(1)의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수용부(10-3)와, 상기 메인 수용부(10-3)와는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메인 수용부(10-3)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서브 수용부(10-5)와, 상기 메인 및 서브 수용부의 주면과는 대체로 직각으로 부착 형성된 양쪽날개(10-1,10-2)를 구비한다. 상기 양쪽 날개(10-1,10-2)는 신체와의 접촉시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기 위해 스펀지 또는 고무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수용부(10-3)의 바깥 면에는 상기 핸드폰(1)의 통화 시 미세한 각도조절을 위해 반구형 돌기(10-4)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부(10)의 제작은 사출 성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프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body portion 10 in FIG. 1, wherein 10b is a front view of the body portion 10, 10c is a top plan view of the 10b, and 10a is a cut line of the 10b.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s show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ody portion 10 has a groove 10-7 in which a magnet piece is built, and has a main accommodating portion 10-3 for accommodating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1, and the main accommodating portion ( 10-3) at both ends of the sub-receiving portion 10-5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accommodating portion 10-3 and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main surfaces of the main and sub-accommodating portions. (10-1,10-2) is provided. Both wings 10-1 and 10-2 may be attached with a sponge or rubber to provide a soft feel upon contact with the body.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receiving portion (10-3) is provided with a hemispherical protrusion (10-4) for fine adjustment of the angle during the call of the mobile phone (1). The body part 10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d the material may be plastic or synthetic resin.

도 3은 도 1중 플로팅부(32)의 구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헤드 걸이부의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서 플로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반구형돌기(10-4)와 접촉되는 내주면(32d)과,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트부(32b)와, 브라켓부(32a)로 형성된다. 여기서, 조임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보울트부(32b)는 4개의 서브 조각(32c)으로 분리된다.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floating part 32 of FIG. 1,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2d in contact with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10-4 so that one end of the head hanger part floats and slides in the body part. And a bolt portion 32b having a screw thread and a bracket portion 32a. Here, the bolt portion 32b is divided into four sub pieces 32c to provide a tightening function.

도 4는 도 1중 플로팅 너트부(31)의 구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플로팅부(32)의 보울트부(32b)에 조립되는 너트부(31b)를 외경부(31a)내에 형성하고 있다.Fig. 4 shows a specific view of the floating nut part 31 in Fig. 1, and the nut part 31b assembled to the bolt part 32b of the floating part 32 is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part 31a.

도 5는 도 1중 헤드 걸이부(20)의 구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바디부(10)에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10)에 홀딩된 핸드폰(1)을 핸즈프리하게 매달기 위해, 통화자의 머리부분에 얹혀지기 좋은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헤드 걸이부(20)의 중간 부분에는 2단으로 접기 좋은 접음 부(22)가 설치되며, 개방 끝단에는 착용시 튼튼한 고정을 위해 감촉이 좋은 고무 또는 가죽재질의 조임 걸림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 걸이부(2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또는 강철등으로 내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부에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또는 그와 같은 성질의 소재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헤드 걸이부(20)는 착용시 견고하게 밀착시키면서 동시에 무게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면의 좌측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2중의 프레임(20a)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head hanger 20 of FIG. 1, which extends to the body 10 to hang hands-free on the mobile phone 1 held by the body 10. It has a good shape to be placed on the head. In addition, a folding portion 22 that is easily folded in two stages is install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head hook portion 20, and the fastening catching portion 21 of rubber or leather material having a good feel for a firm fixing when worn at the open end. Is formed. The material of the head hook portion 20 may be made of elastic stainless steel or steel, etc., the outside may be a soft plastic or a material of the same nature. The head hanger 20 is preferably formed of a double frame 20a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burden while at the same time tightly wearing.

상기한 도면들은 본 고안의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예를 든 경우만 도시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조립의 방법이 사안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bove drawings are shown only one exampl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a variety of changes in shape, the method of assembly may of course var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면, 별도의 부가장비를 구비함이 없이도 작업이나 운전중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흔들림 없이 통화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핸드폰의 송화기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By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talk without shaking in the state in which both hands can be freely used during operation or operation without having additional equipment, and the user's voice can be transferred to the handset of the mobile phone. Can be delivered directly.

상기한 본 고안은 예시된 도면을 위주로 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variou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well as other embodiments that are equivalen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부가장비를 구비함에 없이도 작업이나 운전중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작업 또는 안전 운전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reely use both hands during work or operation even without having additional equipment, thereby ensuring a safe work or safe operation.

Claims (3)

핸드폰 홀딩장치에 있어서,In mobile phone holding device, 핸드폰을 직접적으로 홀딩하는 바디부와,Body part for holding the mobile phone directly, 상기 바디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에 홀딩된 핸드폰을 핸즈프리하게 매달기 위한 헤드 걸이부와,A head hook portion extending to the body portion to hang hands-free on the mobile phone held by the body portion;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상기 헤드 걸이부를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고정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connection part for fixedly connecting the head hanger part which is slidably conta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헤드 걸이부의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서 플로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플로팅 부와,A floating portion for allowing one end of the head hook portion to float and slide in the body portion; 상기 플로팅 부에 접촉되는 헤드걸이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부에 결합되는 플로팅 너트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floating nut portion coupled to the floating portion to fix the headres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loating portion to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핸드폰의 통화 시 미세한 각도조절을 위해 하단 바깥에 반구형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has a hemispherical protrusion on the bottom of the body for fin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call.
KR2020010025827U 2001-08-24 2001-08-24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KR2002545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827U KR200254510Y1 (en) 2001-08-24 2001-08-24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827U KR200254510Y1 (en) 2001-08-24 2001-08-24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510Y1 true KR200254510Y1 (en) 2001-11-26

Family

ID=7310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827U KR200254510Y1 (en) 2001-08-24 2001-08-24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51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553B1 (en) 2005-07-11 2006-10-13 주식회사 아트랑 Cellularphone accessary and combined cellularphone rest and cellularphone accessa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553B1 (en) 2005-07-11 2006-10-13 주식회사 아트랑 Cellularphone accessary and combined cellularphone rest and cellularphone accessa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318A (en) Convertible handset device for telephone sets
EP1244278B1 (en) Portable telephone attachment for person hard of hearing
US20060177086A1 (en) Tubular,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254510Y1 (en) a hold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CN208241835U (en) Earphone
KR200266220Y1 (en) Hands free for cellular phone
US6252555B1 (en) Antenna clip for electronic components
KR200168337Y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for attaching to goggles
KR200282160Y1 (en) hanger
KR200302706Y1 (en) earphone inner sunglass
KR200284358Y1 (en) Earphone retractor built into the inside of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KR200233027Y1 (en)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CN209949377U (en) Bluetooth headset with function is reminded in vibrations
KR200221488Y1 (en) Hands free for pocket telephone
KR100393325B1 (en) Shoulder Mount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200190254Y1 (en) Folder type handphone using earhanger
KR200253382Y1 (en) Portable phone for using hand-free apparatus
KR200286783Y1 (en) LCD and Dial hansfree earphone
JP3214844U (en) Smartphone holder
KR200287418Y1 (en) Removable hands fee using a mounting member
KR200215255Y1 (en) A hands free type receiver
KR200287419Y1 (en) Removable hands fee using a mounting member
KR200210404Y1 (en) Handsfree for an automobile
KR200253141Y1 (en) Handsfree device for vehicles
KR200284969Y1 (en) Helmet having telephone communic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