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944Y1 - 운동장비 - Google Patents

운동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944Y1
KR200253944Y1 KR2020010024201U KR20010024201U KR200253944Y1 KR 200253944 Y1 KR200253944 Y1 KR 200253944Y1 KR 2020010024201 U KR2020010024201 U KR 2020010024201U KR 20010024201 U KR20010024201 U KR 20010024201U KR 200253944 Y1 KR200253944 Y1 KR 200253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quipment
exercise
furniture
equipm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종
Original Assignee
정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종 filed Critical 정철종
Priority to KR2020010024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944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가 가구형 박스 구조물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운동장비로서 상자형 구조물과 구조물 내부 공간을 옷장이나 책장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운동기구를 설치하고 이용하기 위한 구조 및 공간으로 함께 사용하고, 보관 시 겉 모양이 일반 가구와 같도록 하여 운동장비를 설치할 공간, 분위기 상의 제약이 줄여,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도 비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운동장비의 몸체를 실내의 가구와 같은 형태와 크기로 제작함은 물론이고, 정면에는 문을 설치하고 문을 포함한 노출면을 면체로 구성하고 미려하게 디자인하며, 강체로 몸체의 강도를 강화하여 통상의 운동장비의 기능부위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기능부위 중 길이가 긴 것은 몸체 내에 접어 넣을 수 있게 하며, 배선이 몸체에 포함되게 하여 전동 장비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장비{Exercise tool}
본 고안은 공간 활용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운동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운동장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실내에서 달리기를 위한 러닝머신(10)이고, 도 1의 (B)는 상체와 하체를 운동할 수 있는 통상의 장비를 나타내는데, 러닝머신(10) 러닝부(10e)와 몸체(10b) 및 조정판(10a) 등으로 구성되며 러닝부(10e)는 몸체(10b) 형성된 축(10d)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된다. 통상의 운동장비는 기능부위와 기능부위를 지지하는 비기능부위로서의 몸체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러닝머신(10)에 있어서 기능부위는 러닝부(10e)와 조정판(10a)으로 볼 수 있고, 몸체(10b)는 비 기능부위로 볼 수 있다. 도 1의 (B)의 장비에서 기능부위는 역기(11a), 의자(11r), 추(11w), 도르래(11d), 연결끈(11p), 손잡이(11c) 등이고, 기타 부위는 이들을 지지하는 몸체(11d)이다. 본 고안에서 운동기구라 함은 통상의 각종 운동장비의 기능부위를 통칭하는 것이다.이들 장비는 접을 수 있는 것도 가정 혹은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기엔 무겁고 부피가 커서 설치, 운반, 보관 및 이용이 불편하고, 설치한 겉 모양이 실내 분위기와 잘 어울리지 않아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잘 이용되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운동장비의 공간 활용성과 이용 할 때 편의성 및 외형에서 초래되는 설치상의 융통성을 향상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통상 비치하는 옷장이나 책장과 같은 형태의 가구형 구조물을 구성하고, 구조를 내부공간은 운동기구의 설치와 옷장 등의 가구용으로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운동기구를 보관 및 설치 가능 하고, 그 외형이 가구와 같도록 구성된 운동장비(80)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물은 일반 가구보다 기계적 강도가 크게 제작되어야 하며, 통상의 가구가 육면체의 외형과 가로 및 세로 구조물로 제작되므로 각 구조물에 운동기구가 보관, 설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운동장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배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이용하는 형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이용하는 형태를 예시하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내부 배치된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러닝머신 11 : 운동기구
12 : 고정수단 20 : 의자
22 : 하체운동기구 30 : 역기
40 : 복부운동기구 50 : 허리맛사지기구
60 : 상체운동기구 80 : 운동장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을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2의(A)는 두 개의 가구(71) 사이에 가구(71)와 외형이 유사한 운동장비(80)를 배치한 것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여러 개의 운동장비(80a, 80b, 80c)를 가구(71)와 가구 (71a)와 함께 배치한 것으로 내부에 운동기구가 보관 및 설치되고 외형이 육면체인 운동장비(80, 80a, 80b, 80c)로서, 책장이나 옷장과 같은 일반 가구(71)와 같이 건물 벽(70)에 설치하고, 가구의 문(83)과 같은 외형을 갖춘 문(84)이 있으며 여유공간(88)은 책꽂이 등으로 활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배치의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각종 운동기구와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 강도가 크게 제작된 몸체(89)와 수평 구조물(37, 38, 39) 상에 운동기구들이 설치된 형태를 나태는 것으로서, 몸체(89) 중 상부몸체(81)에 위치한 여유공간(88)에 책장(81a)과 옷장(81b)이 구비되고, 하부몸체(82)에는 각종 운동장비가 배치된 것으로서, 전선(94)와 콘센트(93)과 플러그(92)로 구성된 배선(91)이 설치되고, 건물벽에 볼트 등으로 운동장비(8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멍(96)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89)의 상부에는 몸체(89)를 건물 천정에 압압할 수 있는 받침대(87)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몸체(89)가 움직이지 않게 해준다. 각종 운동기구를 설치 혹은 보관할 수 있는 구조물(37, 38, 39)에는 축(21, 26)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도록 운동기구(24, 24a)를 구성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축(21)은 상하 회전을 위한 것이고 축(26)은 좌우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또 회전이 가능한 신장측정용 자(97)와 다리미받침(98)이 구비되어 있다. 몸체(89)는 기계적 강도가 높아야 하므로 자체 중량이 크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가 용이 하도록 분리 및 조립형으로 구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상 하부몸체로 구분하는 것은 그 실시예의 하나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이용하는 형태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사용 할 운동기구들을 전개한 것을 나타낸다. 회전하여 전개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회전 축(21, 26)에 조립된 러닝머신(25)과 역기(30) 등을 이용할 때 필요한 의자(20)가 배치 된 것과 또 몸체(89)에 러닝머신(25)을 조정하는 조정판(27)이 부착되어 있다. 구조물(38)에는 허리맛사지기구(50)와 의자(20)에 장착된 하체운동기구(22), 윗몸 일으키기를 할 수 있는 발걸이(99)가 배치 될 수 있다. 의자(20)에는 복부운동기구(40)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의자(20) 양측면에 레일(41)을 고정하고, 그 내부에 스프링(42)에 결합된 슬라이더(44)가 구성되며, 나사에 의해 슬라이더(44)와 장탈착 되는 손잡이(43)로 구성되어 있어서 엎드린 채 손잡이(43)를 밀고 당기며 운동할 수 있다. 레일(31)에 조합되는 이동걸이(32)의 일단에 역기를 지지할 수 있는 ∪자 형태를 하고, 이동걸이(32)의 슬라이드 부분에는 레일(31)의 핀구멍(34, 34a)과 핀(33)을 통해 조합되는 핀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역기(30)을 지지하고 또한 몸체(89) 공간 내로 쉽게 이동시켜 보관 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는 구조물(39)에 부착된 레일(31)에 운동기기가 조합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또한 역기(30)의 축(36)은 실린더(35)와 조합되어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것이다. 축(36)과 실린더(35)는 3단 혹은 4단으로 구성하 면 전체 길이를 더욱 길게 구성할 수 있다. 핀구멍(34)과 핀구멍(34a)은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걸이(32)를 밀어 넣고 핀(33)으로 안쪽 핀구멍(34)에 이동걸이(32)를 고정하면 역기(30)를 보관하게 되는 형태가 되고, 바깥쪽 핀구멍(34a)에 이동걸이(32)를 고정하면 역기를 이용한 운동을 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본 도면에 나오는 장비 이외에도 자전거 형태의 운동기구나 노 젖는 형태의 운동기구 등 각종 운동기구도 회전축 위나 레일 위에 설치하여 쉽게 꺼내고 넣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이용하는 형태를 예시하는 또 다른 사시도로서 상체운동을 위한 손잡이(62)에 연결되고 도르래(65)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끈(67)은 추(61)에 연결되고 손잡이(62)는 연결끈(66)에 의해 손잡이(63)에 연결된다. 연결끈(66)과 손잡이(63)은 통상 좌우 대칭으로 구성하는 것이나 도 5에서는 일부를 생략하였다. 이때 통상의 가구는 그 높이가 상체운동기구(60)을 설치할 정도로 높기 때문에 가구형으로 제작된 운동장비(80)에 충분히 설치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레버(53, 53b)를 레버(53a)에 조립하여 손 혹은 발로 움직이면 축(51)을 중심으로 레버의 움직임이 연결끈(55)를 통해 추(54)로 연결되어 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역기의 대체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과 같은 수직 운동이 아닌 수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경첩(97a)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신장측정용 자(97)가 예시되었다. 고정수단(17)은 몸체(89)에 조합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몸체(89)가 의자(20) 방향으로 넘어지는 힘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예시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두개 이상의 운동장비(80a, 80b, 80c)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세 개의 운동장비(80a, 80b, 80c)이 조합되고 옷장(73)과 책장(72)의 조립체가 운동장비들과 조합된 것이다. 운동장비(80c)는 상체운동기구이고 의자(20), 역기(30), 러닝머신(25)가 분산 배치되어 한번에 여러 사람이 운동기구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특히 역기(30)는 세 개의 운동장비(80a, 80b, 80c)에 걸쳐 설치될 수 있음을 예시하며, 설치 혹은 운반 시 운반 단위를 작게 할 수 있다.도 2와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 도시 중에서 운동장비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노출면은 도 2의 정면과 윗면, 기타 도면에서는 사용자들보다 전체 높이가 높다고 볼 경우 정면으로 볼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면체를 조합하여 내부가 보이기 않게 하고, 그 면을 가구와 같이 미려하게 디자인 함은 물론이다. 반면 도 6의 운동장비(80a)에서와 같이 골격만으로 구성한 것은 운동장비(80)을 구성하는 면중에서 노출되지 않는 면은 각 면을 구성하는 강체만으로도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면체로 덮지 않음으로써 각 면을 구성하는 구조물의 내부 공간이 빈 상태로 제작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다. 문(84)에 거울(85)을 부착하여 운동할 때 이용할 수도 있다. 역기(30)는 3개의 운동장비(80a, 80b, 80c)에 걸쳐 설치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다. 고정수단(12)은 운동장비(80a, 80b, 80c)의 조합체가 운동기구를 이용할 때 의자(20)가 있는 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구비된 것으로 도 6에 예시된 것은 실린더(13)과 축(14)과 실린더(15)로 구성되며, 실린더는 구조물(38)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15)는 의자(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의자(20)을 사용하기 위해 수평으로 펼친 후 피스톤(14)로 두 실린더(13, 15)를 연결하면 운동장비(80a, 80b, 80c)가 의자 방향으로 넘어지는 힘을 고정수단(12)의 조합체와 의자(20)및 의자(20)의 다리(20a)에 의해 상쇄시킬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예시에 누락된 다양한 운동기구를 본 고안에 배치 하는 것을 배제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 시 역기(30)나 추(61) 대신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나 유압 이나 자석 혹은 공압 실린더를 이용한 운동기구를 비롯해 통상의 각종 운동기구로 몸체(89) 내부를 구성 할 수 있는 것이며 또 문(84)의 일부를 의자(2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운동장비는, 도 2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문(84)을 닫으면 벽(70)에 설치된 가구와 같은 형상과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 적은 소형 주택, 사무실, 숙박시설 등에서도 다양한 운동기구를 실내에 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보관에 있어서 실내 분위기와 조화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수시로 운동할 수 있게 해 준다. 또 운동장비(80) 상단이나 하단 등 여유 공간을 가구와 같이 옷장이나 책장 혹은 이불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운동장비(80)의 각 구조물(37, 38, 39)에 각종 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데, 특히 회전 축(21, 26)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레일(31)을 이용해 운동기구를 이용하고 보관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상체운동기구(60)의 경우 실내의 기구가 통상 충분히 높기 때문에 기구형으로 제작된 운동장비(80)에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하다. 복부운동기구(40)는 무릎을 꿇어 바닥에 엎드려 운동하던 기존의 방식의 것에 비해 무릎을 꿇지 않고 엎드려 운동할 수 있어 편안함을 제공한다. 여러 칸에 운동기구를 구비하는 경우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각 장비를 이용할 수 있고, 충분한 공간 확보를 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운동장비(8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이 되어 있어 다리미나 구급약상자 등을 비치 및 활용하기 쉽고 신장 측정용 자는 반 영구적인 것이므로, 성장기 아동들의 신장을 장기간에 걸쳐 용이하게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몸체(89) 내부에 운동기구가 보관 및 설치되고, 그 외형이 가구와 같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비
  2. 제 1항에서 운동장비의 외형을 가구와 같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운동장비(80)의 몸체(89)의 구성을, 외형의 노출면을 면체로 구성하며,
    정면에 노출면이 미려하게 디자인된 문(84)을 설치하고,
    몸체(89)의 크기를 통상의 가구와 같은 크기로 구성하며,
    운동기구를 보관 및 설치함에 있어서는,
    몸체(89)는 운동기구의 하중과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체를 포함하며,
    운동기구가 강체상에 설치 된 것과,
    구조물(39)에 부착된 레일(31)에 운동기구가 조합된 것과,
    몸체(89)의 구조물(37, 38, 39)에 설치된 축(21, 26)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도록 운동기구(20, 24a)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비(80)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몸체(89)에 배선(9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비(80)
  8. 삭제
KR2020010024201U 2001-08-02 2001-08-02 운동장비 KR200253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01U KR200253944Y1 (ko) 2001-08-02 2001-08-02 운동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01U KR200253944Y1 (ko) 2001-08-02 2001-08-02 운동장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943A Division KR20030011521A (ko) 2002-05-13 2002-05-13 운동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944Y1 true KR200253944Y1 (ko) 2001-11-23

Family

ID=7306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201U KR200253944Y1 (ko) 2001-08-02 2001-08-02 운동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9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0761A (en) Spring type exercising device
US11596850B2 (en) Exercise rack enclosure system
US9289063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744400B2 (en) Exercise apparatus
KR102388167B1 (ko) 조절이 가능한 저항 밴드 체계를 활용한 의자
US20070032357A1 (en) User-defined exercise apparatus
CN100518861C (zh) 自立式芭蕾杆练习装置
US20060052220A1 (en) Exercise apparatus
US332989A (en) Cabinet exercising apparatus
US20100267526A1 (en) Exercise devices utilizing door and/or door frame for support
US20110197795A1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US9884220B2 (en) Potable cable resistance pulley exercise equipment and related methods
US6132343A (en) Physical conditioning apparatus
KR200253944Y1 (ko) 운동장비
US6880185B1 (en) Convertible loft furniture
KR20030011521A (ko) 운동장비
WO2018154157A1 (es) Cama convertible en gimnasio multifunción
US20050130816A1 (en) Abdominal exerciser
KR200263909Y1 (ko) 육면체 몸체 내부에 러닝머신이 배치되는 운동장비
KR200267742Y1 (ko) 육면체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운동장비
US20160249736A1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0864109B1 (ko) 벽체에 설치되는 헬스기구 장치
KR200257659Y1 (ko) 가구
EP1201269B1 (en) Collapsible physical training device
GB2269313A (en) "Modular furnitur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