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826Y1 -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826Y1
KR200253826Y1 KR2020010025972U KR20010025972U KR200253826Y1 KR 200253826 Y1 KR200253826 Y1 KR 200253826Y1 KR 2020010025972 U KR2020010025972 U KR 2020010025972U KR 20010025972 U KR20010025972 U KR 20010025972U KR 200253826 Y1 KR200253826 Y1 KR 200253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base plate
microwave oven
casing
protrud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5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826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싱과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열실어셈블리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 직립 성형되는 측면(41)과, 상기 측면의 외측에 고정되는 아웃케이싱(30)의 측면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측면(41) 또는 그것에 고정되는 아웃케이싱의 측면의 적어도 일측에, 타측을 향하여 돌출 성형되는 돌출접촉부를 성형하고, 상기 돌출접촉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스크류로 양자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접촉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에 성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Assembl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싱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시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을살펴보면, 음식물을 넣어서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을 구비하는 가열실어셈블리(4)와, 상기 가열실어셈블리(4)를 덮으면서, 전체적인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싱(10)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어셈블리(4)의 저면은 베이스플레이트(6)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의 측면(6a)은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성형된다.
상기 아웃케이싱(10)의 측벽(10a)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의 측면(6a)와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인 전자레인지의 외관 구성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케이싱(10)의 측벽(10a)의 하단부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의 측면(6a)는, 전부분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예를 들면 체결 스크류(도시 생략) 등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의 측면(6a)과, 아웃케이싱(10)의 측벽(6a)의 중첩되는 부분은, 서로 전체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자레인지의 구동이 시작되면,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 그리고 이들 부품을 발열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부품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은 상술한 아웃케이싱(10) 및 가열실어셈블리(4)에도 전달된다.
그러나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상기 아웃케이싱(10) 및 가열실어셈블리(4)에 있어서, 아웃케이싱(10)의 측벽(10a) 및 베이스플레이트(6)의 측면(6a)는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체결되어 있고, 이들 부분에도 상술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상기 측벽(10a)과 측면(6a) 사이에서는,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아웃케이싱(10)과 베이스플레이트(6)의 측면(6a)의 접촉부분에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10a)과 측면(6a) 사이는, 일부분에서만 스크류로 고정되어 있고,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실질적으로 미세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하 미세한 간격에 진동이 전달되면 실질적으로 금속성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조에 의하면, 아웃케이싱(6)과 베이스플레이트(6)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아웃케이싱(10)의 측벽(10a)과 베이스플레이트(6)의 측면(6a) 사이에, 소정의 쿠션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양자를 체결하기로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별도의 쿠션부재를 개재하는 것은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생산코스트의 증가와 조립공정의 복잡화로 인한 생산성의 한계 등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도출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베이스플레이트의 부분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아웃케이싱 40 ..... 베이스플레이트
41 ..... 측면 42 ..... 돌출접촉부
44 ..... 체결공 46 ..... 비접촉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열실어셈블리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 직립 성형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외측에 고정되는 아웃케이싱의 측면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측면 또는 그것에 고정되는 아웃케이싱의 측면의 적어도 일측에, 타측을 향하여 돌출 성형되는 돌출접촉부를 성형하고, 상기 돌출접촉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스크류로 양자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접촉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성형되거나, 아웃케이싱의 내측면에 성형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케이싱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아웃케이싱(30)과 베이스플레이트(40)과의 관계를 전자레인지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베이스플레이트(40)에는, 상방으로 일부가 직립한 측면(4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은, 실질적으로 아웃케이싱(30)과 체결되기 위한 부분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측면(41)의 일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만들어지는 돌출접촉부(42)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돌출접촉부(4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의 일부를,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외측으로 더욱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접촉부(42)에는, 체결공(44)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44)은, 아웃케이싱(30)과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스크류(S)에 의하여 양자를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에, 돌출접촉부(42)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측면(41)에는 외측으로 프레스 가공된 돌출접촉부(42)와, 상기 돌출접촉부(42) 이외의 비접촉부(46)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돌출접촉부(42)는 아웃케이싱(30)의 내측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고, 상기 비접촉부(46)는 아웃케이싱(30)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접촉부(4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에서 하나 또는 둘 정도의 복수개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에 상기 아웃케이싱(30)을 체결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40)와 아웃케이싱(30)을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 조립한 상태에서, 스크류(S)를 상기 체결공(44)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고정되어,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과, 아웃케이싱(10)의 측벽(30)이 스크류(S)에 의하여 고정될 때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고 결합하게 된다.
베이스플레이트(40) 측면(41)의 외측이, 아웃케이싱(30)의 측벽(30)의 측면 내측면과 결합할 때, 상술한 돌출접촉부(42)가 측벽(30)의 내측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과 아웃케이싱(30)은 스크류(S)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아웃케이싱(30)과 베이스플레이트(40)는, 상술한 돌출접촉부(42) 만이 접촉하는 상태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 측면(41)의 비접촉부(46)는 아웃케이싱(30)과는 일정간격(상기 돌출접촉부의 돌출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구동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도, 상기 돌출접촉부(42) 만이 아웃케이싱(3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소음의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즉 전자레인지에서 베이스플레이트(40)과 아웃케이싱(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전자레인지의 구동에 의하여 그 접촉부분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의하면, 베이스플레이트(40)와 아웃케이싱(30) 사이에서 접촉부분이 상기 돌출접촉부(42)에 의하여 더욱 한정되고 있으며, 특히 돌출접촉부(42)가 스크류(S)에 의하여 아주 긴밀하게 아웃케이싱(30)과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음의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거나 거의 없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30)와 아웃케이싱(30) 사이에서 돌출접촉부(42)를 성형하여, 양자의 접촉부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 접촉부분을 스크류(S)를 이용하여 아주 긴밀하게 체결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변형 가능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촉부(42)는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에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서로 접촉하는 베이스플레이트(40)의 측면(41) 또는 아웃케이싱(30)의 측면 사이에 돌출접촉부(42)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돌출접촉부를, 상기 아웃케이싱(30)의 측면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돌출접촉부를 아웃케이싱의 측면에 형성할 경우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성형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싱과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시 접촉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접촉되는 부분이 스크류에 의하여 강하게 체결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Claims (3)

  1. 가열실어셈블리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 직립 성형되는 측면(41)과, 상기 측면의 외측에 고정되는 아웃케이싱(30)의 측면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측면(41) 또는 그것에 고정되는 아웃케이싱의 측면의 적어도 일측에, 타측을 향하여 돌출 성형되는 돌출접촉부를 성형하고, 상기 돌출접촉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스크류로 양자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촉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촉부는 아웃케이싱의 측면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KR2020010025972U 2001-08-27 2001-08-27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KR200253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972U KR200253826Y1 (ko) 2001-08-27 2001-08-27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972U KR200253826Y1 (ko) 2001-08-27 2001-08-27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826Y1 true KR200253826Y1 (ko) 2001-11-22

Family

ID=7306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972U KR200253826Y1 (ko) 2001-08-27 2001-08-27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8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3826Y1 (ko) 전자레인지의 케이싱 결합장치
JP2001057495A (ja) 包囲体
KR100218960B1 (ko) 전자렌지의 휴즈홀더 고정장치
KR100303561B1 (ko) 전자렌지의 컨트롤패널
KR100487340B1 (ko) 전자 레인지의 조립 구조
KR20030052284A (ko) 전자레인지의 히터커버
KR100286561B1 (ko) 전자렌지의전원코드조립구조
KR0125920Y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고정장치
KR100302902B1 (ko) 전자렌지의 콘덴서 고정장치
KR200212595Y1 (ko) 소음방지구조를 갖는 전자렌지용 저판
KR920008211Y1 (ko) 코드 스톱퍼가 형성된 안테나 단자판
KR200193961Y1 (ko) 전자렌지의 고압 콘덴서 고정구조
KR100395928B1 (ko) 전자렌지의 내부케이스
KR100420353B1 (ko) 전자레인지용 도어
KR970003854Y1 (ko) 전자제품의 접지판 고정구조
KR19980027389U (ko)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체결구조
KR20030079361A (ko) 전자레인지의 외부케이스 장착구조
KR200214855Y1 (ko) 전자레인지의 후면커버
KR19990017335U (ko) 전자렌지용 버튼의 구조
KR960009856Y1 (ko) 전자렌지의 보강구조
KR100278452B1 (ko) 전자렌지용크러스티트레이지지구조
KR0130119Y1 (ko) 전자렌지의 출력 변환구조
KR19980029164U (ko) 전자레인지의 상부 히터 체결구조
KR20000002665U (ko) 전자렌지용 변압기의 체결구조
KR20040061359A (ko)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