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49Y1 -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 Google Patents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49Y1
KR200253149Y1 KR2020010025299U KR20010025299U KR200253149Y1 KR 200253149 Y1 KR200253149 Y1 KR 200253149Y1 KR 2020010025299 U KR2020010025299 U KR 2020010025299U KR 20010025299 U KR20010025299 U KR 20010025299U KR 200253149 Y1 KR200253149 Y1 KR 200253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upport
sliding body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철
Original Assignee
허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철 filed Critical 허만철
Priority to KR2020010025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49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임시적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반 및 보관등이 용이토록 사용시에만 펼쳐서 저수용풀을 설치함으로서 가뭄시의 급수용 저장조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립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110)와 인접한 상기 지주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사이드바(120)로 구성되는 형틀(100)과; 상기 형틀(100)내부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뭉치(2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바아(220)로 이루어지는 스포트(200)와; 상기 지주(110)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지고 다수의 결착부(301)에 상기 사이드바(120) 그리고 보조바아(220)가 결합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닥체(300)와; 상기 바닥체(3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체(300)에 일단이 결합되는 사이드바(120)의 타단부가 결합되어져 상기 지주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접철이 이루어짐을 기술적 요지로 함으로써 사용 및 설치를 간편토록 하고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foldable water-reservor frame}
본 고안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 프레임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설치 및 보관등이 용이토록 접철이 이루어지는 하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에 비해 그 부피나 무게가 가벼워 가뭄시에 식수가 부족하게되는 낙도지방등에 식수를 공급코자 할 때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공사장등에서도 작업용수를 확보코자 할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이다.
갈수기에 생활용수가 부족하게 되는 섬지방이나 고지대 지역에서는 급수차량으로부터 생활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여 사용하게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큰 플라스틱제의 드럼형 급수통을 사용하게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제의 급수통은 그 부피가 크게되고 무게 또한 무거워 사용 및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며, 특히 섬지방으로 생활용수를 공급함에 있어서는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게되어 운반비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많은 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면서도 접철이 가능한 구조로 프레임을 제작하여 비 사용시에는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무게도 줄일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 도1의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을 접었을 때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에 대한 상세도.
도 4 - 슬라이딩체에 대한 상세도.
도 5 -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형틀 110 : 지주
120 : 사이드바 200 : 스포트
210 : 뭉치 220 : 보조바아
300 : 바닥체 310 : 제1브라켓
320 : 제2브라켓 400 : 슬라이딩체
410 : 제1슬라이딩체 420 : 제2슬라이딩체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립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인접한 상기 지주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사이드바로 구성되는 형틀과; 상기 형틀내부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뭉치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바아로 이루어지는 스포트와; 상기 지주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지고 다수의 결착부에 상기 사이드바 그리고 보조바아가 결합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체에 일단이 결합되는 사이드바의 타단부가 결합되어져 상기 지주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접철이 이루어짐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은 미 사용시에는 접어서 적은 공간을 차지토록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펼치고 그 내부에 튜브를 설치함으로서 간편하게 물탱크를 구성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은 갈수기에 긴급한 급수를 목적으로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건설현장등에서 소요되는 용수를 저장하는 것 외에도 어린이를 위한 가정용 수영장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첨부되는 도 1은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상기 도 1을 접었을때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은 사각형상을 이루게 되며, 그 구성으로서 크게 형틀(100), 스포트(200), 바닥체(300) 및 슬라이딩체(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형틀(100)은 전체적인 외곽형태를 이루게되는 부분으로서 네모서리와 측면에 세워지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들을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개체를 이루게하는 사이드바(12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사이드바(120)와 지주를 체결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바닥체(300)와 슬라이딩체(400)가 상기 지주의 최하부와 그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체(400)는 상기 지주(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체(40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이에 연결되는 사이드바(120)는 수직에 가깝게 접혀져 상기 지주간의 거리를 좁혀지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체(400) 및 바닥체(300)에 연결되는 사이드바(120)의 상호간 작동에 의해 전체적인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의 사이즈는 축소 혹은 확장된다.
한편,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는 스포트(200)가 설치되어지며 이것은 뭉치(210)와 보조바아(220)로 구성된다. 상기 스포트(200)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튜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위로서 상기 지주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닥체(300)와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바아(220)들이 중앙에 형성되는 뭉치(210)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스포트(200)는 상기 슬라이딩체(40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이 축소될때 상기 뭉치(210)는 상기 보조바아(220)들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된다.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이들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형틀(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형틀(100)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의 전체적인 외곽을 이루게 되는 부위이며, 지주(110)와 사이드바(12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110)를 중공의 사각부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네모서리부와 네측면 중앙부에 상기 지주가 설치되고, 인접한 지주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사이드바(120)가 사용된다. 상기 지주(110)에 상기 사이드바(12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는 후술하게되는 바닥체(300)와 슬라이딩체(400)가 그 기능을 하게된다.
상기 사이드바(120)는 엑스형상으로 배치되는 2개의 부재가 한개소의 사이드바를 이루게되며, 상기 2개의 부재가 크로스되는 부에는 고정핀(105)이 삽입되어져 상기 고정핀(105)을 축으로 하여 상기 사이드바(120)는 회동하게된다.
상기 형틀(100)은 바닥체(300)와 슬라이딩체(400)와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바닥체(300)와 슬라이딩체(4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바닥체(300)는 제1브라켓(310)과 제2브라켓(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310)은 상기 지주(110)중 네모서리에 위치되는 지주의 하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브라켓(320)은 네측면에 위치되는 지주의 하부에 설치되는 요소이다.
첨부되는 도3은 상기 제1브라켓(a) 및 제2브라켓(b)에 대한 상세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에는 3개소의 결착부(301)가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의 관통홀(302)이 돌출되어져 있다. 상기 결착부(301)에는 사이드바(120) 및 보조바아(220)의 단부가 위치되며 고정핀(105)에 의해 체결되고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브라켓(310)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착부(301)에는 상기 사이드바(120)의 일 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바의 타단부는 후술할 슬라이딩체(4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브라켓(3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결착부(301)에는 보조바아(220)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보조바아의 타단부는 뭉치(21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브라켓(320)은 T(티)자형상을 이루게 되며 수평부에 형성되는 결착부(301)에는 사이드바(120)가 결합되고 수직부에는 보조바아(220)가 결합된다.
다음으로는, 슬라이딩체(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도 4는 상기 슬라이딩체에 대한 상세도로서 상기 지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체(400)는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지주(110)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체(410)와 측면부에 형성되는 지주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체(4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도4의 에이(a)는 제1슬라이딩체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며 ㄱ 자형상을 이루게되고 꼭지부에는 상기 지주가 삽입되는 관통홀(3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양단부에는 상기 사이드바(120)가 결합될 수 있는 결착부(401)가 각각 구비되어져 고정핀(105)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2슬라이딩체(420)는 T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센터부에 지주가 삽입되는 관통홀(302)이 구비되고 좌우측으로 결착부가 형성되어져 사이드바가 결합된다.
상기 제1슬라이딩체 및 제2슬라이딩체는 상기 지주에 삽입되어져 상하로 이동되며, 이에 결합되는 상기 사이드바(120)도 연동되어 회동됨에 의해 외곽을 이루게되는 상기 형틀(100)의 사이즈가 조정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체(410)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가동핀(402)이 설치되어지며, 이것은 상기 지주에 형성되는 고정홈(115)에 삽탈되어져 상기 제1슬라이딩체(410)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가동핀(402)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탄지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1슬라이딩체(410)를 이동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가동핀(402)을 당겨 이동가능상태로 두고 상기 제1슬라이딩체가 이동되어 고정홈(115)에 상기 가동핀(402)이 위치되면 자동으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동핀은 전진되어 상기 고정홈(115)에 끼워져 외력이 없이는 더 이상의 상하이동은 발생치 않게된다.
보다 견고한 구조를 위해서 상기 가동핀(402)을 모든 슬라이딩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설치의 편리를 위해 한두개소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지주(110)의 하측부에는 돌출된 돌기(117)가 구비되도록 하며 이것은 상기 제2슬라이딩체(420)에 형성되는 스토퍼(406)와 맞닿아 더 이상 상기 제2슬라이딩체(42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즉, 상기 돌기(117)에 상기 제2슬라이딩체(420)에 형성되는 스토퍼(406)가 맞닿게 되었을 때가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의 최대 외곽사이즈가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딩체(410)에 가동핀(402)을 설치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420)에는 스토퍼(406)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가 설치되는 지주에 돌기(117)를 형성시켜 상기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이 최대 사이즈로 펼쳐졌을때 더 이상 상기 슬라이딩체(410,4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적합하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슬라이딩체 및 제2슬라이딩체 모두에 가동핀 및 스토퍼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는, 스포트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뭉치와 보조바아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포트(200)는 상기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뭉치(210)를 중심으로 상기 보조바아(220)가 상기 바닥체와 체결되어짐에 의해 전체적인 프레임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되고 또한, 튜브를 설치하여 물을 저장할때 지면과의 접촉부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상기 뭉치(210)에는 총 8개의 결착부(20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각각의 결착부(201)에는 상기 바닥체(300)에 일단이 결합된 보조바아(220)의 타단부가 고정핀(105)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이 접혀지게되면, 상기 뭉치(210)는 상기 형틀(100)의 외곽이 좁혀짐과 동시에 상부로 이동되어져 최소의 크기로 접혀지게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저수조로서 사용될 때의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어서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110)에 삽입되는 숫부재(112)를 설치하며 상하로 높이조절을 가능토록 하고 상기 숫부재(112)의 상단부에는 천막(119)과 같은 부재의 끝부분을 고정시킴으로서 그늘을 형성시킬 수 있는 지붕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튜브(130)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주에 부착될 수 있는 결속수단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은 갈수기등에 급수를 위한 저장조로도 사용이 가능하게되고 공사현장등에서 소요되는 용수를 저장하는데도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가정에서 어린이들을 위한 소형풀장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게된다.

Claims (4)

  1.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립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110)와 인접한 상기 지주(110)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사이드바(120)로 구성되는 형틀(100)과;
    상기 형틀(100)내부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뭉치(2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바아(220)로 이루어지는 스포트(200)와;
    상기 지주(110)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지고 다수의 결착부(301)에 상기 사이드바(120) 그리고 보조바아(220)가 결합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닥체(300)와;
    상기 바닥체(3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체(300)에 일단이 결합되는 사이드바(120)의 타단부가 결착부(401)에 결합되어져 상기 지주(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접철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120)는,
    엑스형상을 이루면서 2개의 부재가 각기 상기 바닥체(300)와 슬라이딩체(400)에 각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2개의 부재의 접합면에는 고정핀(105)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체(400)는,
    상기 지주(110)상에 형성되는 고정홈(115)에 삽입되어져 일정높이를 유지토록하는 가동핀(40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10)는,
    삽탈되는 숫부재(112)가 구비되어져 상기 지주의 최대높이가 조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KR2020010025299U 2001-08-21 2001-08-21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KR200253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299U KR200253149Y1 (ko) 2001-08-21 2001-08-21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299U KR200253149Y1 (ko) 2001-08-21 2001-08-21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149Y1 true KR200253149Y1 (ko) 2001-11-22

Family

ID=7308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299U KR200253149Y1 (ko) 2001-08-21 2001-08-21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843B1 (en) Support structure for collapsible shelter
US4779635A (en) Collapsible canopy with telescoping roof support structure
RU2140513C1 (ru) Складной навес
ES2258049T3 (es) Proteccion desplegable y replegable.
US20040144412A1 (en) Tent structure
US6725873B2 (en) Foldable tent frame
WO2002068779A1 (fr) Tente pliable pourvue d&#39;avancees
US3263692A (en) Tent
KR20080003634U (ko) 접이식 테이블의 절첩 구조
JP2009257080A (ja) テント
US7712261B2 (en) Collapsible structure with self-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erecting a collapsible structure
KR200253149Y1 (ko) 접이식 물탱크 프레임
JP4245171B2 (ja) 折畳式の屋根構造及び該屋根構造を有する二脚の屋根構造体
JP5662069B2 (ja) 組立式水槽
CN206681476U (zh) 一种可收纳的帐篷
KR102600707B1 (ko) 콤비형 대형텐트 프레임
CN209924575U (zh) 一种帐篷的改进结构
CN208310406U (zh) 一种方便运输的围栏
ES2301431B1 (es) Caseta modular plegable.
KR20200002155U (ko)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캐노피
KR101153274B1 (ko) 접철식 천막
US6474617B1 (en) Apparatus to support a light post and such a lamp post
KR20120059145A (ko) 접철식 천막의 연결구조
JP3080107U (ja) 組み立て式フェンス
JP7128986B1 (ja) コンビ型の大型テント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