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96Y1 - Mobile statio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handsfree set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Mobile statio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handsfree set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896Y1
KR200252896Y1 KR2020010023584U KR20010023584U KR200252896Y1 KR 200252896 Y1 KR200252896 Y1 KR 200252896Y1 KR 2020010023584 U KR2020010023584 U KR 2020010023584U KR 20010023584 U KR20010023584 U KR 20010023584U KR 200252896 Y1 KR200252896 Y1 KR 200252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phone
phone terminal
main body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5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장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영 filed Critical 장재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896Y1/en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충전기 및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지로 감싼 착탈식의 배터리팩을 사용하지 않고,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에 내장시키며, 산발적으로 위치했던 충전 또는 통신용 접속단자들을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의 뒷면의 일정 영역에 형성시켰다. 또한, 충전기 및 핸즈프리 세트도 본 고안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접속단자들과 상응하는 위치에 접속단자들을 형성시켰다.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모델이 변하더라도 배터리팩을 별도로 개발할 필요가 없으며, 이동전화 단말기에 형성되는 접속단자의 규격을 준수한다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회사나 모델에 무관하게 동일한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환경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충전기에 결합하여 충전을 실시하는 도중에도 데이터 통신을 비롯한 부가서비스를 실시할 수도 있으며, 차량에 부착된 핸즈프리 세트와의 설치 또는 해제를 한번의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harger, and a vehicle hands-free se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he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removable battery pack wrapped with a resin to supply power, and is built into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sporadicly located charging or communication connection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body It was formed in a certain area of the back. In addition, the charger and the hands-free set also formed the connection terminal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ven if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hanges, there is no need to develop a battery pack separately, and if the standards of the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mobile phone terminal are complied with, the same charger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r mode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Not only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but also the user's convenience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solved. In addition, additional services, including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er to perform charging, and the installation or release of the handsfree set attached to the vehicle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only one operation. .

Description

이동 통신용 단말기, 충전기 및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MOBILE STATIO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HANDSFREE SET FOR AUTOMOBILE}Mobile terminal, charger and hands-free set for vehicle {MOBILE STATIO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HANDSFREE SET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개선된 단자 구조를 갖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충전기 및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내장되며, 충전단자, 오디오단자, 데이터통신단자, 및 예비단자를 이동 통신용 단말기의 뒷면 표면의 평면 영역에 형성시키고, 충전기 및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가 이동 통신용 단말기의 개선된 단자와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충전기 및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harger and a hands-free set for a vehicle having an improved termina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ilt in, and a charging terminal, an audio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pare terminal are mov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harger and a vehicle hands-free set, which are formed in the planar area of the back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rein the charger and the vehicle hands-free set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mproved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통신산업은 고도화의 사회로 갈수록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다량의 정보 전달이 요구되며,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전송, 화상전송, 인터넷 통신의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보다 더 많은 정보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수요자의 요구와 전세계 통신시장의 단일화라는 전제 하에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전화는 물론 데이터 및 동영상 멀티미디어까지 송수신 가능한 멀티미디어 이동통신의 단일규격이 요구되어왔다. 이러한 이동통신기기 및 통신시스템의 기능도 고기능·다기능·저 전력·저가격화되고, 소형·경량화 추세로 가고 있다. 그리고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부품의 개발이 중요한 요소로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이동통신서비스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그와 연관된 시스템, 부품, S/W 등 다양한 산업의 발전이전개되고 있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dustry is required to transfer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faster and more precisely to the society of advanced society, and various functions of data transmission, image transmission and internet communication as well as voice are required. Under the premise of demanding users to receive more information and services and the unification of the global telecommunications market, a single standard of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video multimedia as well as telephone, anytime, anywhere, has been required. The functions of su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munication systems are also becoming more functional, multifunctional, lower power, and lower in cost, and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mponents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is being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other words, with the rapid growth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dustries such as systems, components, and software related to them is being developed.

이동통신가입자수는 전 세계적으로 93년 35만 명에서 99년 3억7,000명으로 가입자수가 1000배 이상 증가하였다. IMT-2000이 상용화가 된 후 2005년에는 약 1억 5,000만 명의 가입자가 발생할 전망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단말기의 수요도 2005년에는 9억 4,0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단말기, 시스템시장을 포함한 세계 이동통신시장은 총 553억 9,400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에서 만도 2000년 5월 현재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약 2,727만 명에 달하며, IMT-2000 이동통신서비스가 상용화되게 되면 향후 2005년 이내에 기존의 유·무선 가입자를 포함한 가입자 수가 4,626만 명(IMT-2000 2,085만 명, CDMA 2,441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IMT-2000이 상용화된 이후 오는 2005년에 세계 이동통신부품 시장에서는 470억 달러의 수요창출이 있을 전망이며, 국내 이동통신 부품시장의 경우는 2005년에 1조 5,510억원의 시장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국내 통신부품시장이 연간 3조원의 규모로 볼 때 IMT-2000의 상용화로 인해 어마어마한 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number of mobile subscribers increased more than 1000 times from 350,000 in 1993 to 37,000 in 1999.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IMT-2000, about 150 million subscribers are expected in 2005. The demand for terminals is expected to reach 940 million in 2005. The global mobile telecommunications market, including the handset and system markets, is expected to form a total of $ 53.95 billion. In Korea, as of May 2000, Korea's mobile telecommunications subscribers amounted to about 27.72 million, and if IMT-2000'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came commercially available, the number of subscribers including existing wired / wireless subscribers within the next 2005 was 44.62 million (IMT -2000 20.85 million, CDMA 24.41 million).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IMT-2000, the world's mobile parts market will generate $ 47 billion in demand in 2005, and the domestic mobile parts market will reach 1.5 trillion won in 2005. do. Given that the domestic telecom parts market is estimated at 3 trillion won a year, a huge market is formed by the commercialization of IMT-2000.

이동통신부품의 기술은 고집적화, 초고속화, 저전력화, 저각격화의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향후 시스템 자체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전망이다. 여기에서 이동통신부품은 우선 시스템용이냐, 단말기에 사용되느냐, 기지국에 사용되느냐, 아니면 중계기용이냐에 따라 그 용도가 달리 사용되게 된다. 여기에는 크게 내부용과 외부용으로 나뉘기도 한다.The technology of mobile communication parts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high integration, ultra high speed, low power, and low angle, and the system itself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 module in the future.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onent is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it is used for a system, a terminal,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It is divided into two types, internal and external.

외부용품으로는 안테나(Antenna),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키패드(Keypad), 2차전지(Battery), 케이스(Case), 스피커(Speaker), 마이크(Microphone) 등이 있다. 반면 내부용품으로는 RF부품, IF부품, BB부품, 기타수동부품 등으로 구분된다.External items include an antenna, a display panel, a keypad, a secondary battery, a case, a speaker, a microphone,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internal parts are classified into RF parts, IF parts, BB parts, and other passive parts.

도 1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대부분의 이동전화 단말기는 크게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41)와 본체(41) 뒷면에 착탈할 수 있는 배터리팩(4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터리팩(42)은 별도의 제조 공정을 통하여 배터리 셀이 수지로 감싸이고 충전단자를 배터리팩(42)의 하단밑면에 형성된 탈착식 형태로 사용자가 필요시 분리 또는 결합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44는 오디오단자이며, 45는 데이터통신단자를 각각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Referring to Figure 1, most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is composed of a battery pack 42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41 and the back of the main body 41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Here, the battery pack 4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ell is wrapped in the resin through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charging terminal is detachabl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42 so as to be separated or combined when necessary. . In FIG. 1,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an audio terminal, and 45 denotes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가 배터리팩(42)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41)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41)의 뒷면에 있는 분리버튼(42a)을 위로 밀면서 배터리팩(42)을 당기면 된다.When the user removes the battery pack 42, while holding the main body 41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with one hand, while pushing the release button 42a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41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with the other hand Pull the battery pack 42.

반면, 사용자가 배터리팩(42)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팩(42)의 하단과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41)의 하단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접하도록 압력을 가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ombines the battery pack 42, the pressure is applied 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ttery pack 42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41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

또한, 사용자가 이동전화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충전을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기(51)를 이용하여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 충전방법은 배터리팩(42)이 결합된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41)를 충전기(51)의 충전구에 직접 넣을 수도 있으며, 배터리팩(42)만 충전기(51)의 충전구에 넣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 또는 배터리팩(42)이 충전기(51)의 충전구에 삽입되면, 두 충전단자(43,52)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접속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needs to charge while using the mobile phone terminal, the charging may be performed using the charger 51 shown in FIG. 2. The charging method may directly insert the main body 41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ombined with the battery pack 42 into the charging port of the charger 51, or only the battery pack 42 may be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of the charger 51. . Therefore, when the mobile phone terminal body 11 or the battery pack 42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of the charger 51, the two charging terminals 43 and 52 are connected to be in an electrically conductive state.

그러나, 최근의 배터리팩 제조 기술과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력소모 제어 기술이 발전되면서 배터리 사용기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예비 배터리팩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배터리팩의 전력이 과다하게 소모된 경우 새로운 배터리팩으로 교환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나 가정에 충전기를 구비시켜 놓고 필요시 배터리팩이 결합된 이동전화 단말기를 충전구에 넣어 충전을 실시하고 있는 추세이다.However, the recent battery pack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technology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has been increasing battery life. Therefore,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carry spare battery packs and the battery pack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excessively consumed,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m with new battery packs. It is a trend that the combined mobile phone terminal is charged in the charging port.

따라서, 종래의 분리형 배터리팩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a removable battery pack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 번째,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배터리팩의 밑면에 충전단자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전화 단말기의 디자인이나 크기가 달라지면 배터리팩의 충전단자의 크기나 위치도 조금씩 변경되어야 한다.First, since the charging terminal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ttery pack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if the design or siz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changed, the size or posi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should be changed little by little.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업체가 다른 경우, 배터리팩을 같이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같은 제조업체의 제품이라도 모델에 따라 배터리팩을 공용할 수 없는 것이다. 실제로, 이동전화 단말기의 새로운 모델이 약 6개월마다 출시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디자인과 크기가 상이하여 새로운 배터리팩을 개발하여야만 한다.Therefore, if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different, not only can not use the battery pack, of course, even if the product of the same manufacturer can not shar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model. Indeed, new models of mobile handsets are released about every six months, but in most cases they have different designs and sizes and must develop new battery packs.

두 번째, 제조업체에서는 단종 모델에 대한 배터리팩을 처리하여야 하는데, 배터리팩을 감싸고 있는 수지를 제거하여 배터리 셀만 빼내어서, 유사한 모델의 배터리팩으로 제조하거나 A/S 용도로 비축한다. 따라서, 업체의 입장에서는 수지를제거하는 공정과 이에 따른 비용이 소요된다.Second, manufacturers need to deal with battery packs for discontinued models. Remove the resin that surrounds the battery pack, and remove only the battery cells, making them similar battery packs or stocking them for A / S. Therefore, for the company, the process of removing the resin and the cost accordingly.

세 번째, 사용자들은 이동전화 단말기를 새로운 모델로 교체하는 경우, 이전모델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배터리팩 및 충전기를 보유해야하며, 이러한 제품들이 버려진다고 할 때 심각한 공해문제를 발생시킨다.Third, when users replace the mobile phone terminal with a new model, they must have a battery pack and a charger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of the previous model, causing serious pollution problems when these products are discarded.

도 2는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용 충전기의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충전기 본체(51)는 충전구에 내에 도 1에 보인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단자(43)와 상응하는 위치에 충전기의 충전단자(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기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구매할 때,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업체에서 사용자에게 동시에 주고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charger. Referring to FIG. 2, the charger main body 51 of the conventional charger is formed in the charging port 52 of the charg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43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shown in FIG. These chargers are simultaneously given to the user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terminal when purchasing the mobile terminal.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harger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 번째,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가 동일한 모델이 아니면 함께 사용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장기간 지방 출장을 가는 사용자들은 출장지에서 동일한 모델의 충전기가 없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 반드시 충전기를 가지고 출장을 가야한다.First,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s could not be used together unless they were the same model. Therefore, long-term local business users must travel with a charger to prepare for the case where there is no charger of the same model in the travel destination.

두 번째, 동일한 제조업체에서 생산하는 이동전화 단말기라 하더라도 모델에 따라 충전기를 공용할 수 없다. 실제로, 이동전화 단말기의 새로운 모델이 약 6개월마다 출시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디자인과 크기가 상이하여 새로운 배터리팩 및 충전기를 개발하여야만 한다.Second, even i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produced by the same manufacturer, you can not share the charger depending on the model. Indeed, new models of mobile phone terminals are released about every six months, but in most cases they are different in design and size and must develop new battery packs and chargers.

세 번째, 대부분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데이터통신단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 밑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전화 단말기를 충전기의 충전구에 넣어 충전을 실시하는 중에는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없다.Third, since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of most mobile telephone terminals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as shown in FIG. 1,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of the charger. none.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의 사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는 핸즈프리 세트 본체(61)와, 본체(61)에서 입출되는 이어폰 잭(62)과, 충전단자(63) 및 마이크(6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핸즈프리 세트는 차량 운전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실시하기 위하여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핸즈프리 세트의 본체(61)를 차량에 장착하고, 이어폰 잭(62)을 이동전화 단말기(41)의 오디오단자(44)에 연결하고, 충전단자(63)를 차량에서 제공하는 전원단자에 연결한 상태에서, 착신 또는 발신 통화시 마이크(64)를 이용하여 통화를 실행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ehicle hands-free set. Referring to FIG. 3, a conventional vehicle hands-free set includes a hands-free set main body 61, an earphone jack 62 entering and exiting from the main body 61, a charging terminal 63, and a microphone 64. The hands-free set is used in a vehicle to make a phone call using a mobile phone terminal when driving the vehicle. That is, the user may install a main body 61 of the hands-free set to the vehicle, connect the earphone jack 62 to the audio terminal 44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41, and supply the charging terminal 63 to the vehicle.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call is carried out using the microphone 64 during an incoming or outgoing call.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핸즈프리 세트의 접속단자와 이동전화 단말기의 접속단자들의 위치가 산발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핸즈프리와 연결하는데 불편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전화 단말기를 핸즈프리 세트에 설치하는 경우에 충전단자 및 이어폰 잭을 차량의 전원단자 및 이동전화단말기의 오디오단자에 각각 연결하고, 하차 시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각각 해제하여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영업을 하는 경우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설치 및 해제동작을 하루에도 여러 차례 반복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since th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onventional hands-free set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mobile handsets are sporadically located, it is inconvenient to connect the users' mobile phones with the hands-free. For example, when the user installs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the hands-free set,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earphone jack must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vehicle and the audio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car must be released in the reverse order of installation. . In particular, when the user is operating by using a vehicle, the installation and release operations described above will have to be repeated several times a day.

더욱이, 사용자가 차량에 운행중인 상태에서 데이터통신까지 대비하고 다녀야되는 상황이라면 이동전화 단말기와 핸즈프리 세트의 설치 및 해제 작업시 사용자 부하가 더욱 늘어날 것이며, 승차와 하차가 빈번한 경우 이에 따른 부하는 더욱 가중될 것이다.Furthermore, if the user is required to carry out data communication while driving in a vehicle, the user load will be increased dur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hands-free set. Will be.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터리를 이동전화 단말기에 내장하고, 배터리팩의 하단에 형성시켰던 충전단자를 이동전화 단말기의 뒷 표면의 일정 영역에 구성시킨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battery is built in a mobile phone terminal, the charging terminal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ttery pack in a certain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configu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충전단자, 오디오단자, 데이터통신단자, 예비단자를 이동전화 단말기의 뒷 표면의 일정 평면 영역에 동시에 구성시킨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ventional charging terminal, an audio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pare terminal are simultaneously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flat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뒷 표면에 형성된 표준화된 접속단자를 구비한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모두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er capable of charging b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standardized connection terminal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은 이동전화 단말기가 충전 중에도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er capable of performing voice or data communication while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charging.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단 한번의 단자 결합으로 충전기능, 음성통신 기능, 데이터통신 기능 등의 다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접속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s-free set for a vehicle that can provide a connection state capable of providing a plurality of functions such as a charging function,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by combining a mobile terminal with a single terminal. will b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 통신용 단말기는 무선통신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셀을 내장하고 있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측 표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부로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having a battery cell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rface, and consists of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or the control uni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는 하나 이상의 충전 및 통신용 단자들이 일 측 표면의 일정영역에 구성된 이동전화 단말기의 접속 단자부와 결합했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토록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와, 외부 통신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one or more terminals fo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in a certain area of one surface It is composed of a connection device fo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는 하나 이상의 충전 및/또는 통신용 단자들이 일 측 표면의 일정영역에 구성된 이동전화 단말기의 접속 단자부와 결합했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토록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와, 코드가 권취를 형식으로 입출되는 음성수신장치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hands-fre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one or more charging and / or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onfigured in a certain area of one surface, the cord is It is composed of a voice receiving device that enters and exits a winding form.

도 1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도 2는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용 충전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for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도 3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용 핸즈프리 세트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s-free set for a conventional mobile telephone terminal.

도 4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이동전화 단말기기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embedded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기의 단자배치를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arrangement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단자 배치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n improved terminal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고안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단자 배치구조를 갖는 핸즈프리 세트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sfree set having an improved terminal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이동전화 단말기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battery embedded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ar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이동전화 단말기와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세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battery-equipped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ands-free s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 : 이동전화 단말기11: mobile phone terminal

12 : 배터리 셀12: battery cell

12a :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단자12a: Power terminal of mobile phone terminal

13 :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단자13: charging terminal of mobile phone terminal

14 : 이동전화 단말기의 오디오단자14: Audio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15 : 이동전화 단말기의 데이터통신단자15: Data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16 : 이동전화 단말기의 예비단자16: spare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21 : 충전기21: charger

22 : 충전기의 충전단자22: charging terminal of the charger

23 : 충전기의 오디오단자23: Audio terminal of the charger

24 : 충전기의 데이터통신단자24: Data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harger

25 : 충전기의 예비단자25: spare terminal of the charger

26 : 충전기의 잭26: jack of charger

27 : 연결 잭27: connection jack

31 : 핸즈프리 세트31: Hands Free Set

32 : 핸즈프리 세트의 충전단자32: Charging terminal of hands free set

33 : 핸즈프리 세트의 오디오단자33: Hands-free set audio terminal

34 : 핸즈프리 세트의 데이터통신단자34: hands-free set data communication terminal

35 : 핸즈프리 세트의 예비단자35: spare terminal of hands free set

36 : 이어폰36: earphon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첫 번째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이동전화 단말기기의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기의 단자배치를 보인 사시도 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embedded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arrangement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는 배터리 셀(12)을 내장하고 있는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와,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뒷 표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며, 배터리 셀(12) 또는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 내부에 있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부(1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속 단자부(11∼13)는 배터리 셀(12)의 단자(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13)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디오단자(14),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통신단자(15) 및 예비단자(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에는 필요시 배터리 셀을 새로운 배터리 셀로 교환할 수 있도록 개폐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구는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열 수 있는 열림 버튼의 형태도 가능하지만 볼트를 이용하여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배터리 셀을 수지로 감싼 배터리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배터리팩 제조 공정이 불필요하고, 이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올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main body 11 having a battery cell 12,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main body 11, the battery It consists of connection terminal parts 11-13 connected with the control part (not shown) inside the cell 12 or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Here, the connection terminal parts 11 to 1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2a of the battery cell 12, the charging terminal 13 for supplying power, the audio terminal 1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electrically. It consists of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15 and a preliminary terminal 16 connected to. Here,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main body 11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battery cell to replace the battery cell with a new battery cell if necessary. The opening and closing is also possible in the form of an open button that can be easily opened by the user as in the prior art, it is preferable to open and close using a bolt.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manufacturing process is unnecessary for the mobile phone terminal manufacturer because it does not use a battery pack wrapped with the resin as in the prior art, thereby increas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서는 단지 4개의 접속단자를 보였지만,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향후 IMT-2000 단말기에서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의 기능과 부가서비스가 많아질수록 여러 종류의 단자가 추가될 수도 있으며, 반면 불필요한 단자는 제거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four connection terminals are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configure the necessary terminals. As in the IMT-2000 terminal, various types of terminals may be added as functions and additional services of the mobile terminal increase, while unnecessary terminals may be remove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각 접속단자(11∼13)가 충전기 또는 핸즈프리의 상대단자가 돌기처럼 튀어나온 숫 단자(+)를 받아들이기 위한 암 단자(-) 이지만, 필요에 따라 숫 단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each terminal 11 to 13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11 receives a male terminal (+) from which a counterpart of a charger or hands-free protrudes like a projection (−). ), Bu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male terminal (+) if necessary.

도 8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이동전화 단말기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를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21)와 결합되도록 살짝 올려놓으면, 두 기기의 충전단자, 오디오 단자, 데이터통신단자, 예비단자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battery embedded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ar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when the mobile phone terminal body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lightly placed to be coupled with the charger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terminals, audio terminals,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and spare terminals of the two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t becomes the state which can be turned o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는 충전 및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접속단자들이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뒷면의 일정 영역에 일시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표준화된 규격을 제공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디자인이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접속단자의 위치 및 크기와는 무관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ardized standard since connection terminals providing charg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re formed at a time in a certain area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main body 11. Easy to do Therefore, even if the design or siz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different, it is irrelevant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onnection terminal.

결국,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배터리 셀을 수지로 감싸고, 배터리팩의 밑면에 충전 단자를 형성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나 디자인이 바뀌어도 종래와 같이 배터리팩을 새롭게 개발할 필요가 없다.As a result, a manufacturer of a mobile phone terminal does not need to wrap the battery cell with resin and form a wiring for forming a charging terminal on the bottom of the battery pack. Therefore, even if the size or design of the product is changed, the battery pack can be newly developed. no need.

특히,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업체는 본 고안의 적용으로 사용자에게 두 개 주던 배터리팩을 하나만 줘도 되기 때문에 이동전화 단말기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종래에 야기되었던 환경문제도 줄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may not only improv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but also reduce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in the related art becaus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ive only one battery pack to the user.

도 9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이동전화 단말기와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세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를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세트(31)와 결합되도록 살짝 올려놓으면, 두 기기의 충전단자, 오디오 단자, 데이터통신단자, 예비단자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battery-embedded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ands-free s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9, if the vehicle mobile phone terminal body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lightly put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hands-free set 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ging terminal, audio terminal, data communication terminal, spare terminal of the two devices Becomes electrically conductive state.

두 번째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단자 배치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21)와, 충전기 본체(21)의 일정 평면영역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22∼25)와, 접속 단자부(22∼25)의 데이터통신단자(24)와 외부 통신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잭(27)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26)로 구성된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n improved terminal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er main body 21, connection terminal parts 22 to 25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ne area of the charger body 21, and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connection terminal parts 22 to 25. 24 and a connecting jack 27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26 for supplying power.

여기서, 접속 단자부(22∼26)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단자, 오디오단자, 데이터통신단자, 예비단자와 상응하는 충전단자(22),오디오단자(23), 데이터통신단자(24)와 예비단자(25)로 구성되며, 필요시 원하는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terminals 22 to 26 are charging terminals, audio terminals,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spare terminals 22, audio terminals 23,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24, and spar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mobile phone terminals. It consists of 25, and can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 desired terminals if necessary.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를 충전 및 통신용 단자들이 일정영역에 구성된 이동전화 단말기와 결합하는 것을 도 8에 나타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가 충전기(21)와 결합되도록 올려놓으면, 충전기(21)의 충전단자(22)에 인가되는 전원이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전원단자(13)로 인가된다.6 shows a combination of the charger and the terminal for charg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region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8, when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body 11 is placed to be coupled with the charger 21, the power a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22 of the charger 21 is appli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body 11. 13) is applied.

또한, 충전기(21)의 데이터통신단자(24)는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데이터통신단자(15)가 전기적으로 교통하도록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 중에도 연결 잭(27)을 통하여 외부의 통신기기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24 of the charger 21 is connected so that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15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main body 11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24 of the charger 21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jack 27 during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Data communication with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s is possible.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업체에서는 새로운 이동전화 단말기를 개발하여도 사용자는 동일한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세계의 모든 제조 업체가 이동전화 단말기의 모델과 무관하게 한 모델의 충전기만을 생산해도 무방하다는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장기간 지방 출장을가는 경우, 식당이나 기차 등에 한 모델의 충전기만 비치시켜도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 manufacturer of a mobile phone terminal develops a new mobile phone terminal, the user can use the same charger. This flexibility means that all manufacturers in the world can produce only one model of charger, regardless of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For example, if a particular user is going on a long-term local business trip, all users can get the same charging service by having only one model of charger in a restaurant or train.

세 번째 실시 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세트는 핸즈프리세트 본체(31), 핸즈프리세트 본체(31)의 일정 평면영역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32~35)와, 접속 단자부(32~35)의 오디오단자(38)와 연결되며 권취롤 형식으로 입출되는 이어폰(36)으로 구성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hands-free s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hands-fre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ands-free set main body 31, the connection terminal parts 32 to 35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ne area of the hands-preset main body 31, and the audio of the connection terminal parts 32 to 35.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38 and consists of an earphone 36 which is input and output in the form of a winding roll.

여기서, 접속 단자부(32~36)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단자, 오디오단자, 데이터통신단자, 예비단자와 상응하는 충전단자(32),오디오단자(33), 데이터통신단자(34)와 예비단자(35)로 구성되며, 필요시 원하는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terminals 32 to 36 are charging terminals, audio terminals,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spar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s 32, audio terminals 33,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34 and the spare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t is composed of 35, it can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 desired terminals if necessary.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세트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 및 해제할 경우, 단 한번의 동작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를 두 기기의 단자들(13~16, 32~35)이 서로 일치하도록 핸즈프리 세트 본체(31)와 결합하면, 각각의 단자들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핸즈프리 세트 본체(31)의 충전단자(32)는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충전단자(13)와 연결되어, 차량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에 내장된 배터리 셀(12)에 공급한다. 핸즈프리 세트(31)의 오디오 단자(33)는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오디오단자(14)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신호나 발신호에 따른 전화통화를 가능한 상태를 만든다. 또한, 핸즈프리 세트(31)의 데이터통신단자(34) 및 예비단자(35)도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1)의 데이터통신단자(15) 및 예비단자(16)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 시스템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The biggest feature of the hands-fre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user installs and releases the vehicle, only one operation is possible. That is, as shown in FIG. 9, a user in a vehicle combines the mobile phone terminal main body 11 with the hands-free set main body 31 such that the terminals 13 to 16 and 32 to 35 of the two devices coincide with each other. Each terminal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charging terminal 32 of the hands-free set main body 31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3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main body 11, so that the battery cell built in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main body 11 receives power provided from the vehicle. It supplies to (12). The audio terminal 33 of the hands-free set 31 is connected to the audio terminal 14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body 11, so that the user can make a telephone call according to an incoming or outgoing call. 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34 and the spare terminal 35 of the hands-free set 31 are also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15 and the spare terminal 16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main body 11, respectively. Make the service provided availa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용 단말기, 충전기, 핸즈프리 세트에 따르면, 이동전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지로 감싼 착탈식의 배터리팩을 사용하지 않고, 이동전화 단말기의 본체에 내장시키며, 산발적으로 위치했던 충전 또는 통신용 접속단자들을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의 뒷면의 일정 영역에 형성시켰다. 또한, 충전기 및 핸즈프리 세트도 본 고안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접속단자들과 상응하는 위치에 접속단자들을 형성시켰다.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harger, and the hands-fre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built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without using a removable battery pack wrapped with resin, and is sporadic. The charging or communication connection terminals, which were positioned as, wer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In addition, the charger and the hands-free set also formed the connection terminal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모델이 변하더라도 배터리팩을 별도로 개발할 필요가 없으며, 이동전화 단말기에 형성되는 접속단자의 규격을 준수한다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조회사나 모델에 무관하게 동일한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환경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even if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hanges, there is no need to develop a battery pack separately, and if the standards of the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mobile phone terminal are complied with, the same charger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r model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Not only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but also the user's convenience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solved.

또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충전기에 결합하여 충전을 실시하는 도중에도 데이터 통신을 비롯한 부가서비스를 실시할 수도 있으며, 차량에 부착된 핸즈프리 세트와의 설치 또는 해제를 한번의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services, including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er to perform charging, and the installation or release of the handsfree set attached to the vehicle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only one operation.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이를 충전하기위한 충전기, 그리고 차량용 핸즈프리세트를 예를 들었지만, PDA를 비롯한 휴대용 정보 기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terminal, a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hands-free set for a vehicle are exemplified,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including a PDA.

Claims (9)

무선통신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셀을 내장하고 있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본체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having a battery cell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상기 본체의 일 측 표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Th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or the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디오단자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통신단자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is selectively configured from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to supply power, an audio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 셀을 교환하기 위한 개폐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hole for exchanging the battery ce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부의 각 단자의 형상은 돌기처럼 튀어나온 숫 단자 또는 상기 숫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암 단자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each terminal of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is selected from a male terminal protruding like a projection or a female terminal for accommodating the male terminal. 이동 통신용 단말기 본체와,The terminal body for mobile communication, 상기 본체의 내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임의의 평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충전 및/또는 통신용 접속 단자 형성한 접속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And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ternal circuit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having one or more charging and / or communication connection terminals formed in an arbitrary planar area of the main body. 충전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정 평면영역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와, 상기 접속 단자부의 특정 단자와 외부 통신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 구성되는 충전기.And a charger main body,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nar area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specific terminal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와,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단자와,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통신단자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7. The charg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is configured selectively from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an audio terminal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and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핸즈프리 세트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정 평면영역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와, 상기 접속 단자부의 특정 단자와 연결되는 음성수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A hands-free set for a vehicle, comprising: a hands-free set main body,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nar area of the main body, and a voice receiver connected to a specific terminal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와,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단자와,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통신단자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The hands-free s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is selectively configured from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an audio terminal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and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
KR2020010023584U 2001-06-16 2001-08-02 Mobile statio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handsfree set for automobile KR200252896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4206 2001-06-16
KR1020010034206 2001-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896Y1 true KR200252896Y1 (en) 2001-11-23

Family

ID=7310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584U KR200252896Y1 (en) 2001-06-16 2001-08-02 Mobile statio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handsfree set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89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67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and wireless protocol capability to a wireless device, such as a wireless phone
US7072675B1 (en) Wireles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le handset cordless telephone system
CN208353374U (en) A kind of mobile phone
US20050272471A1 (en) Base unit with interchangeable interface for remote unit
KR200416690Y1 (en) A gender changer for interfaces of mobile phones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US20030092468A1 (en) Combination thinline phone and PDA
KR200252896Y1 (en) Mobile statio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handsfree set for automobile
CN202261489U (en) Wireless fixed telephone
WO2020135013A1 (en) Cell phone and host
CN101094263B (en) Handset device possessing function of talk back, and battery
CN209913868U (en) Mobile phone for realizing talkback function through pluggable talkback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N103634430A (en) Separable large-screen mobile phone
CN102790927A (en) Multimedia player and wireless earphone matching with same
CN203135879U (en) A vehicle-mounted Bluetooth device
JP2009296779A (en) Char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CN202759497U (e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interphone function
CN202183790U (en) Intelligent telephone set
KR200195459Y1 (en) portable telephone charger laying terminal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N212305625U (en) Changeable bluetooth headset that is used as intercom receiver that charges
KR200377087Y1 (en) Battery charger supporting a local communication system for a mobile phone
CN201114622Y (en) A mobile phone battery device with inter-speaking function
KR200406739Y1 (en) Versatile Bluetooth Headset Device
KR100698321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5208151A (en) Mobile phone capable of being comb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