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28Y1 -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28Y1
KR200250628Y1 KR2020010021129U KR20010021129U KR200250628Y1 KR 200250628 Y1 KR200250628 Y1 KR 200250628Y1 KR 2020010021129 U KR2020010021129 U KR 2020010021129U KR 20010021129 U KR20010021129 U KR 20010021129U KR 200250628 Y1 KR200250628 Y1 KR 200250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hot water
inlet
water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박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박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Priority to KR2020010021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28Y1/ko

Links

Landscapes

  • Multiple-Way Valv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냉수 또는 온수의 압력에 따라 유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의 압력이 떨어져 수온 자체의 온도가 급변하게될 때 발생되는 열 쇼크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11)와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12)가 절곡된 형태로 인접하고,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유출구(13)와 냉수가 유출되는 냉수유출구(14)가 이루어진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부(20)를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부(20)의 내부에 피스톤(30)을 삽입 구성하여, 상기 피스톤(30)이 온수 및 냉수의 유입 압력에 따라 배출되는 온수 및 냉수의 유량이 가변 되도록 좌우 이동됨으로써, 배출되는 혼합수(냉수+온수)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A VALVE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PRESSURE FOR STANDARDIZING WATER TEMPERATURE}
본 고안은 냉, 온수와 같은 유체 제어용 밸브(Valv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수 또는 온수의 압력에 따라 유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의 압력이 떨어져 수온 자체의 온도가 급변하게될 때 발생되는 열 쇼크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정의 경우 목욕실에 설치된 냉·온수용 샤워기나 주방에 설치된 냉·온수용 분사기는 그 배관을 살펴보면, 냉수관과 온수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한쪽(목욕실 또는 주방)의 물을 사용하면 다른 쪽의 수온에 변화가 오게 된다. 예를 들어, 목욕실에서 적정 수온을 맞추어 놓고 샤워를 하고 있는데, 주방에서 물을 사용하게되면, 순간적으로 수온이 급변하여 뜨겁거나 차가운 물이 나오게 되는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열 쇼크 등의 불미스런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수 또는 온수의 압력이 각각 변화하더라도 배출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자동 조절함으로써, 결국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순간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의 압력이 떨어져 수온 자체의 온도가 급변하게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열 쇼크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와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가 절곡된 형태로 인접하고,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유출구와 냉수가 유출되는 냉수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온수 및 냉수유입구와 온수 및 냉수유출구 사이에는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냉수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유입구와, 상기 온수유출구와 연결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냉수유출구와 연결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하여 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중앙에 형성되어 온수 및 냉수의 유로를 차단하는 중앙차단부와, 상기 중앙차단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중앙차단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냉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의 내측에 일부가 각각 삽입 형성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완충부와, 상기 중앙차단부와 제1가압부 사이에 형성되어 온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피스톤공과, 상기 중앙차단부와 제2가압부 사이에 형성되어 냉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3 및 제4피스톤공으로 구성된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부에 상기 피스톤이 삽입된 후, 몸체부의 일측에 개방된 부위를 2중의 오링과 함께 밀봉 결합하는 캡; 을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의 다른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압력조절밸브 10: 몸체부
11: 온수유입구 12: 냉수유입구
13: 온수유출구 14: 냉수유출구
20: 실린더부 21: 제1유입구
22: 제2유입구 23: 제1유출구
24: 제2유출구 30: 피스톤
31: 중앙차단부 32: 제1가압부
33: 제2가압부 34, 35: 완충부
36: 제1피스톤공 37: 제2피스톤공
38: 제3피스톤공 39: 제4피스통공
40: 캡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11)와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12)가 절곡된 형태로 인접하고,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유출구(13)와 냉수가 유출되는 냉수유출구(14)가 형성되는 몸체부(10)가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온수 및 냉수유입구(11)(12)와 온수 및 냉수유출구(13)(14) 사이에는 원통형의 파이프인 실린더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20)는 상기 온수유입구(11)와 연결되는 제1유입구(21)와, 상기 냉수유입구(12)와 연결되는 제2유입구(22)와, 상기 온수유출구(13)와 연결되는 제1유출구(23)와, 상기 냉수유출구(14)와 연결되는 제2유출구(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온수유입구(11) 일측에는 제1공간부(15)가, 냉수유입구(12) 일측에는 제2공간부(16)가, 온수유출구(13) 일측에는 제3공간부(17)가, 냉수유출구(14) 일측에는 제4공간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부(20)에는 상기 제1공간부(15)와 연결되는 제1공간유입공(25)과, 상기 제2공간부(16)와 연결되는 제2공간유입공(26)과, 상기 제3공간부(17)와 연결되는 제3공간유입공(27)과, 상기제4공간부(18)와 연결되는 제4공간유입공(28)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 및 실린더부(20)에 형성된 각각의 공간부(15~18) 및 공간유입공(25~28)은 유체의 완충작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20)의 내부에는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피스톤(30)이 삽입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30)은 중앙에 형성되어 온수 및 냉수의 유로를 차단하는 중앙차단부(31)와, 상기 중앙차단부(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가압부(32)와, 상기 중앙차단부(31)의 타측에 형성되어 냉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가압부(33)와, 상기 제1가압부(32) 및 제2가압부(32)의 내부에 일부가 각각 삽입 형성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완충부(34)(35)와, 상기 중앙차단부(31)와 제1가압부(32) 사이에 형성되어 온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피스톤공(36)(37)과, 상기 중앙차단부(31)와 제2가압부(33) 사이에 형성되어 냉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3 및 제4피스톤공(38)(39)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부(20)가 형성된 몸체부(10)의 일측은 개방된 형태로,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된 후, 2중의 오링(41)(42)과 함께 캡(40)으로 밀봉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부(34)(35) 및 오링(41)(42)은 고무재질이며, 몸체부(10)는 85%이상의 동을 함유한 주물이고, 실린더부(파이프관)(20)와 피스톤(30)은 스테인레스이다.
이와 같이 구성시켜서된 본 고안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온수 및 냉수의 압력이 일정한 경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의 위치가 실린더부(20)의 정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온수는 몸체부(10)의 온수유입구(11)→실린더부(20)의 제1유입구(21)→피스톤(30)의 제1 및 제2피스톤공(36)(37)→실린더부(20)의 제1유출구(23)→몸체부(10)의 온수유출구(13)로 흐르게 되고, 냉수는 몸체부(10)의 냉수유입구(12)→실린더부(20)의 제2유입구(22)→피스톤(30)의제3 및4피스톤공(38)(39)→실린더부(20)의 제2유출구(24)→몸체부(10)의 냉수유출구(14)로 흐르며, 이때 상기 피스톤(30)의 제1가압부(32) 및 제2가압부(33)에 의해 개방되는 제1유출구(23) 및 제2유출구(24)의 크기가 동일하여 배출되는 온수 및 냉수의 유량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냉수의 압력이 높아지면 냉수유입구(12) 및 제2유입구(22)를 통해 실린더부(20) 내로 유입되는 냉수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도 2에서와 같이 피스톤(30)의 중앙차단부(31)를 좌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30)의 제1가압부(32)는 제1유출구(23)를 크게 개방시키게 되고, 제2가압부(33)는 제2유출구(24)를 거의 폐쇄시키게 되어, 온수유출구(13)로는 많은 양의 온수가 유출되고 반대로 냉수유출구(14)로는 적은 양의 냉수가 유출되어 결과적으로, 온수유출구(13) 및 냉수유출구(14)에 연결되는 미도시된 샤워기(또는 분사기)에서 배출되는 혼합수(온수+냉수)의 수온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한편, 온수의 압력이 높아지면 온수유입구(11) 및 제1유입구(21)를 통해 실린더부(20) 내로 유입되는 온수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도 3에서와 같이피스톤(30)의 중앙차단부(31)를 우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30)의 제2가압부(33)는 제2유출구(24)를 크게 개방시키게 되고, 제1가압부(32)는 제1유출구(23)를 거의 폐쇄시키게 되어, 냉수유출구(14)로는 많은 양의 냉수가 유출되고 반대로 온수유출구(13)로는 적은 양의 온수가 유출되어 결과적으로, 온수유출구(13) 및 냉수유출구(14)에 연결되는 미도시된 샤워기에서 배출되는 혼합수(온수+냉수)의 수온은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결국, 유입되는 냉, 온수 압력에 따른 상기 피스톤(30)의 움직임으로 혼합수(냉수+온수)의 수온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완전 자동으로 압력변화에 관계없이 1℃이내에서 선택(냉, 온)적으로 수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동부품으로 냉, 온 공급배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배관의 압력 손실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배관에 편리하게 적용됨으로 어떤 구조나 각도로도 설치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 조절이 아닌 압력조절로서 수온을 조절함으로써 안전하고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11)와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12)가 절곡된 형태로 인접하고,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유출구(13)와 냉수가 유출되는 냉수유출구(14)가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온수 및 냉수유입구(11)(12)와 온수 및 냉수유출구(13)(14) 사이에는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구(11)와 연결되는 제1유입구(21)와, 상기 냉수유입구(12)와 연결되는 제2유입구(22)와, 상기 온수유출구(13)와 연결되는 제1유출구(23)와, 상기 냉수유출구(14)와 연결되는 제2유출구(24)를 포함하여 된 실린더부(20);
    상기 실린더부(20)의 내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중앙에 형성되어 온수 및 냉수의 유로를 차단하는 중앙차단부(31)와, 상기 중앙차단부(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가압부(32)와, 상기 중앙차단부(31)의 타측에 형성되어 냉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가압부(33)와, 상기 제1가압부(32) 및 제2가압부(32)의 내측에 일부가 각각 삽입 형성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완충부(34)(35)와, 상기 중앙차단부(31)와 제1가압부(32) 사이에 형성되어 온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피스톤공(36)(37)과, 상기 중앙차단부(31)와 제2가압부(33) 사이에 형성되어 냉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3 및 제4피스톤공(38)(39)으로 구성된 피스톤(30); 및
    상기 실린더부(20)에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된 후, 몸체부(10)의 일측에 개방된 부위를 2중의 오링(41)(42)과 함께 밀봉 결합하는 캡(40);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온수유입구(11) 일측에는 제1공간부(15)가, 냉수유입구(12) 일측에는 제2공간부(16)가, 온수유출구(13) 일측에는 제3공간부(17)가, 냉수유출구(14) 일측에는 제4공간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부(20)에는 상기 제1공간부(15)와 연결되는 제1공간유입공(25)과, 상기 제2공간부(16)와 연결되는 제2공간유입공(26)과, 상기 제3공간부(17)와 연결되는 제3공간유입공(27)과, 상기 제4공간부(18)와 연결되는 제4공간유입공(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KR2020010021129U 2001-07-12 2001-07-12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KR200250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129U KR200250628Y1 (ko) 2001-07-12 2001-07-12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129U KR200250628Y1 (ko) 2001-07-12 2001-07-12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28Y1 true KR200250628Y1 (ko) 2001-10-19

Family

ID=7310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129U KR200250628Y1 (ko) 2001-07-12 2001-07-12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260A (en) Flow-rate limiting valve for inserting between a shower hose and a hand shower
AU656558B2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mixing valve
EP0614033B1 (en) Temperature responsive 3-way line valve with shape memory alloy actuator
CN108758012B (zh) 阀及其热水系统
CN110291485B (zh) 设置有压力平衡器的混合阀
ATE210257T1 (de) Wasserschlag verhinderndes hilfsgesteuertes ventil mit gewundenem durchflussweg zwischen einlass und steuerkammer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CN112128432B (zh) 一种用于有毒气体管道的泄压电磁阀
HU9303460D0 (en) Recirculation valve
CN101178128B (zh) 防烫安全阀
CN113324073B (zh) 三合一水龙头系统
CN102804095B (zh)
KR200250628Y1 (ko)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JP3738289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三方切換弁
CN200965066Y (zh) 防烫安全阀
CA2351277A1 (en) Faucet assembly
JP2001026954A (ja) 切り替え弁
US3428087A (en) Anti-hammer faucet device
US3120854A (en) Automatic fluid pressure equalizing assembly
US20040094214A1 (en) Piston pressure balancer for hot and cold water mixer valves
CN102777648B (zh) 一种流量限制截流阀
JPS6040874A (ja) 湯水混合栓
ES511213A0 (es) Perfeccionamientos en valvulas controladora del flujo de fluidos.
EP3165987B1 (en) Flushing means for valve
IL286954B (en) Flow controlled pist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