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20Y1 -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Solenoid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20Y1
KR200250620Y1 KR2020010020968U KR20010020968U KR200250620Y1 KR 200250620 Y1 KR200250620 Y1 KR 200250620Y1 KR 2020010020968 U KR2020010020968 U KR 2020010020968U KR 20010020968 U KR20010020968 U KR 20010020968U KR 200250620 Y1 KR200250620 Y1 KR 200250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il
solenoid valve
bobb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재호
윤진섭
Original Assignee
배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호 filed Critical 배재호
Priority to KR2020010020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2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20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럿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외측에 코일(22)이 권취될 수 있는 코일권취부(28)와, 상기 코일권취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플런저공간를 일체로 구비하는 보빈(20)과; 상기 보빈의 플런저공간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 다른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지는 플런저(30); 그리고 상기 플런저공간에서 플런저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6)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력에 의하여, 상기 플런저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구성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공정이 단순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저코스트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ot solenoid valve.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20) integrally provided with a coil winding (28) on which an outer coil (22) can be wound and a plunger space provided inside the coil winding; A plunger 30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plunger space of the bobbin and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a spring 26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nger downward in the plunger spac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the coil, the plunger is configured to move upward. Therefore, since the number of components is substantially reduced and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at a substantially low cost can be expected.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Solenoid Valve

본 고안은 파일럿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의 내부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함으로써, 생산코스트 저감 및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ot solenoid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enoid valve configured to achieve a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and productivity by simplify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alve.

도 1a 및 도 1b에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2a)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과, 상기 코일(2)의 외측면을 감싸는 브라켓(4)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2)이 권취된 부분의 중심부분에는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력선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플런저(10)가 설치되어 있다.1A and 1B show the construction of a typical solenoid valve in cross section. As shown, a coil 2 wound around the bobbin 2a and a bracket 4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2 are inclu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rtion in which the coil 2 is wound, a plunger 10 that moves up and down by a magnetic force line formed by the coil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브라켓(4)의 내측에서 플런저(10)는 캡(8)에 의하여 그 이동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8)의 내측 상단부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어 있어서, 상기 플런저(10)를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캡(8)과 보빈(2a) 사이에는 슬리브(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6)의 중심부분에는 공극(6a)가 형성되어 있다.And inside the bracket 4, the plunger 10 has a movement path formed by the cap (8). And the spring S is interposed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said cap 8, and the said plunger 10 is elastically supported below. A sleeve 6 is provided between the cap 8 and the bobbin 2a, and a gap 6a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leeve 6.

도 1a는 코일(2)에 전류가 인가되기 전의 상태를, 그리고 도 1b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코일(2)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에서는 전자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자력은 자로를 형성하는 브라켓(4)과 슬리브(6)를 따라 공극(6a)으로 집중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계는 상기 공극(6a)을 중심으로 상하에 극성이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코일(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력은, 코일의 권취방향에 따라 좌우되는데,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극(6a)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S극이, 그리고 하부에는 N극이 형성될 것이다.FIG. 1A shows a state before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 and FIG. 1B shows a state where a current is applie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 an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coil 2,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air gap 6a along the bracket 4 and the sleeve 6 forming the magnetic path. 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is formed with different polaritie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oid 6a.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 depends o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B, an S pol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6a. N poles will be formed at the bottom.

이렇게 상기 코일(2) 주변에 자계가 형성되면, 상기 플런저(10)는 스프링(S)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부로 이동하는 플런저(10)는, 상기 극성의 중심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공극(6a)에 그 중심부분이 위치하도록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런저(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플런저(10)의 상부 이동에 따라 유체의 단속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il 2 in this way, the plunger 10 is moved upwar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 At this time, the plunger 10 moving upwards is mov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located in the cavity 6a, which can be called the center portion of the polarity, which substantially moves the plunger 10 upward. . Therefore, in the part in which such a solenoid valve is installed, the interruption of the fluid is made according to the upper movement of the plunger 1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상의 단점이 지적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the following structural disadvantages are pointed out.

상기 코일(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전자력을 집중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의 외측(보빈의 내측)에 자성체로 형성되는 슬리브(6) 및 보빈외측에 브라켓(4)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리브(6) 및 브라켓(4)의 존재는, 실질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의 내부 구성을 복잡하게 하여 플런저(10)의 이동공간인 캡(8)을 별도로 두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부품이 없으면, 실질적으로 코일(2)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력을 집중시킬 수 없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In order to concentrate the electromagnetic force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 a sleeve 6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on the outer side (inside of the bobbin) of the plunger and a bracket 4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bbin. However, the presence of such a sleeve 6 and bracket 4 substantially complicate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leaving the cap 8, which is the movement space of the plunger 10, separat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since there is no component like the above, since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2 cannot be concentrated substantially, it can be said to be essential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따라서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ubstantially complicated.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함으로서 구성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성 향상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e simpler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구조에서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력의 집중을 위하여 설치되는 슬리브 및 브라켓을 삭제함과 동시에, 캡은 보빈에 일체화시키고, 플런저를 영구자석화하여 전자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착안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le eliminating the sleeve and bracket installed for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ructure, the cap is configured to integrate the bobbin and to permanently magnetize the plunger to concentrate the electromagnetic force I'm thinking about.

도 1a는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인가전 단면도.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applying the current of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도 1b는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인가후 단면도.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applying the current of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도 2a는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인가전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rrent application of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인가전 단면도.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rrent application of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가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oleno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보빈 22 ..... 코일20 ..... Bobbin 22 ..... Coil

24 ..... 플런저공간 26 ..... 스프링24 ..... Plunger Space 26 ..... Spring

28 ..... 코일권취부 30 ..... 플런저28 ..... coil winding part 30 ..... plung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외측에 코일 권취될 수 있는 코일권취부와, 상기 코일권취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플런저공간를 일체로 구비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플런저공간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 다른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지는 플런저; 그리고 상기 플런저공간에서 플런저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bbin that can be coiled on the outside and the bobbin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nger space provided inside the coil winding; A plunger installed vertically in the plunger space of the bobbin and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lunger downward in the plunger space.

그리고 상기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력에 의하여, 상기 플런저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the coil, the plunger is configured to be moved upwar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일럿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구성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공정이 단순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저코스트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Such a configuration of the pilot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substantially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and thus,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at a substantially low cost can be expected. .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는 전류가 인가되기 전의 상태를, 그리고 도 2b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2 is a sectional view of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hows a state before a current is applied, and FIG. 2B shows a state where a current is applie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빈(20)은, 그 외측면에 코일(22)이 권취될 수 있는 코일권취부(28)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코일권취부(28)의 내부는 플런저(30)의 상하운동 통로를 형성하는 플런저공간(2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공간(24)의 상부에는 스프링(26)이 삽입되어 있어서, 스프링(26)에 의하여 상기 플런저(30)는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As shown, the bobbin 20 by this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il winding part 28 by which the coil 22 can be wound on the outer side surface.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oil winding 28 forms a plunger space 24 forming a vertical movement passage of the plunger 30. A spring 26 is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space 24, so that the plunger 30 is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by the spring 26.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플런저(30)는, 영구자석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은 예를 들면, 상기 플런저(30)는, 상부에는 S극이 그리고 하부에는 N극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만들고 있다.And the plunger 30 by this invention is shape | molded by a permanent magnet. For example, as illustrated, the plunger 30 is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an S pole at the top and an N pole at the bottom.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이 보빈(20)에, 코일권취부(28) 및 플런저공간(24)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 구조에서의 캡 및 슬리브의 구성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구성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를 의미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coil winding 28 and the plunger space 24 integrally with the bobbin 20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omit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and the sleev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Meaning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improve productivity.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구조의 단순화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런저(30)를 영구자석으로 형성함으로써,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속의 누설을 최대한 방지하고 상기 영구자석 플런저(30)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bstantially forming the plunger 30 as a permanent magnet,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magnetic flux formed by the coil to the maximum and to concentrate on the permanent magnet plunger 30 It is based on what you do.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전체적인 작동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a는 전류가 인가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코일(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력이 형성되는데, 코일의 권취방향에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전자력이 형성된다. 즉 상기 코일(22)의 상부에는 N극이, 그리고 하부에는 S극이 형성되도록 전자력이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FIG. 2A shows a state before a current is applied,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in this state,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2B. At this tim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2, an electromagnetic force is formed, and according to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an electromagnetic force is formed. That is,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formed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22 to form the N pole and the lower S pole.

따라서 상기 코일(22)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력에 의하여,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지는 플런저(30)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플런저(30)의 이동량은 상기 코일(22)에서 발생하는 전자력과, 영구자석의 자계가 중심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the coil 22, the plunger 30 made of a permanent magnet is moved upwards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plunger 30 is generated in the coil 22 The magnetic force and the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are moved to the center.

도 3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가, 입구(In) 및 출구(Out)를 가지는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플런저(30)가 동작하게 되면, 플런저(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40)이 동작하면서, 상기 입구(In)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파이프 내부에서 통과시켜 출구(Out)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pipe having an inlet (In) and an outlet (Out) so as to intercept a fluid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 . Therefor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valv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lunger 30 operates, the diaphragm 40 installed under the plunger 30 operates, and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n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 to discharge to the outlet (Out).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보빈에 코일권취부 및 플런저통로를 일체로 성형하면서, 플런저(30)를 영구자석으로 성형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mold the plunger 30 into a permanent magnet while integrally molding the coil winding part and the plunger passage in the bobbin.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scope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질적인 내부 구성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인하여 저코스트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ubstantial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is significantly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at low cost due to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solenoid valve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assembling process.

Claims (1)

외측에 코일(22) 권취될 수 있는 코일권취부(28)와, 상기 코일권취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플런저공간(24)를 일체로 구비하는 보빈(20)과;A bobbin 20 having integrally a coil winding portion 28 that can be wound around the coil 22 and a plunger space 24 provided inside the coil winding portion; 상기 보빈의 플런저공간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 다른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지는 플런저(30); 그리고A plunger 30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plunger space of the bobbin and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상기 플런저공간에서 플런저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nger downward in the plunger space; 상기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력에 의하여, 상기 플런저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nger is configured to be moved upwar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the coil.
KR2020010020968U 2001-07-11 2001-07-11 Solenoid valve KR2002506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68U KR200250620Y1 (en) 2001-07-11 2001-07-11 Solenoid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68U KR200250620Y1 (en) 2001-07-11 2001-07-11 Solenoid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20Y1 true KR200250620Y1 (en) 2001-10-19

Family

ID=7310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68U KR200250620Y1 (en) 2001-07-11 2001-07-11 Solenoid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2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298B1 (en) Composite magnetic circuit double-permanent magnet electromagnet and composite magnetic circuit double-permanent magnet high-speed solenoid valve
CN106032852B (en) Solenoid valve
CN101105165B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US10734147B2 (en) Electromechanical solenoid having a pole piece alignment member
CN1727665B (en) Fuel injection valve having small sized structure
CN102162417A (en) Fuel injection valve
JP2005030586A (en) Electromagnetic fluid control valve
JPH0332898B2 (en)
KR200461496Y1 (en) solenoid valve
JPH0215098Y2 (en)
JP4161217B2 (en) Fuel injection valve
KR200250620Y1 (en) Solenoid valve
CN1360663A (en) Fuel injection valve
CN111828661A (en) Novel self preservation formula solenoid valve
CN208967186U (en) A kind of solenoid valve
KR100532974B1 (en) Solenoid valve assembly
CN106015694B (en) A kind of energy-saving electrical magnetic assembly
CN210069083U (en) Electromagnetic unit of valve
KR20030037283A (en) Solenoid valve
CN117167507A (en) Electromagnetic valve
CN208967184U (en) A kind of solenoid valve
KR101032976B1 (en) solenoid valve
CN211315282U (en) Movable iron core switch structure of control valve
CN109194085B (en) Large-stroke permanent magnet torquer
JP2513676Y2 (en) soleno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