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557Y1 -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557Y1
KR200250557Y1 KR2020010020188U KR20010020188U KR200250557Y1 KR 200250557 Y1 KR200250557 Y1 KR 200250557Y1 KR 2020010020188 U KR2020010020188 U KR 2020010020188U KR 20010020188 U KR20010020188 U KR 20010020188U KR 200250557 Y1 KR200250557 Y1 KR 200250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washer
needle
curtain rai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진
Original Assignee
이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진 filed Critical 이해진
Priority to KR2020010020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557Y1/ko

Link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너트와 볼트의 조임수단에 의하여 커텐레일을 천정판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커텐레일(1)에 캡워셔(4)를 접합해서 비교적 긴 볼트(2)를 끼운 다음, 안쪽너트(5),연질워셔(6), 고무워셔(7), 침상팔랑개비(9)순으로 끼우며, 또한 침상팔랑개비(9)외측에는 고무워셔(7'), 연질워셔(6')및 바깥너트(5')순으로 끼워서 나사조임한 연후에 천정판(8)의 구멍에 너트(5)(5')와 침상팔랑개비(9)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강제적으로 밀어넣어서, 침상팔랑개비(9)외주면이 외측으로 펴지게하여 볼트로 조여붙임한 구조이다.

Description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A Fixed appliance of a curtain rod on ceiling board}
본 고안은 커텐레일을 천정에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천정판에 나사붙임식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물의 천정판은 손쉽게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일부를 떼어내거나, 또는 이를 원상태로 다시 복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천장판에 필요로 하는 커텐레일을 고정하는 방법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ㄱ'자형 볼트에 의하여 커텐레일을 천장판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나사부분은 천정판 아래쪽으로 향하도록하고, 'ㄱ'자형으로 절곡된 부분은 천정판에 미리 천공하여있는 구멍에 끼워넣어서, 그 절곡부로 하여금 천정판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해서 나사부에 의해 커텐레일을 나사조임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ㄱ'자형 볼트와 천정판과의 고정상태가 불완전하여서, 그 볼트자체의 유동으로 인해 커텐레일 역시 유동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커텐레일 이면에 깔고 볼트머리하부와 맞닿음하는 환형의 캡워셔와, 볼트의 안쪽에는 볼트와 나사끼움이되어 있는 안쪽너트와, 상기 안쪽너트와 접합해서 볼트회전시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연질이 합성수지제 워셔와, 상기 합성수지제워셔와 접합하는 고무제워셔와, 커텐레일을 천정판에 고정할때 볼트의 나사조임으로 천정판의 슬라브쪽 표면에 박혀지는 침상팔랑개비와, 상기 침상팔랑개비와 접합하는 고무워셔와, 바깥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제워셔와, 볼트의 회전시 정지된 상태의 나사조임이 되는 바깥너트로 이루어 진다.
본 고안에 따라 침상팔랑개비는 바깥너트와 같이 천정판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을 통과해서 볼트에 의한 나사조임시 천정판의 표면에서 전개되면서 중합하여 걸림판 작용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침상팔랑개비의 안쪽과 바깥쪽에 접합되는 고무제워셔와 연질워셔는 안쪽너트와 바깥쪽너트와 접합해서 볼트의 회전시 너트의 회전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침상팔랑개비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쪽과 바깥쪽 너트가 조여진 상태에서 미리 천공되어 있는 천장판의 구멍을 통과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에 의해 커텐레일을 천정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에 의해 커텐레일을 천정에 고정시킨 상태의 단면도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고무워셔를 생략한 전체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텐레일 2 : 볼트 5,5' : 너트
6 : 연질워셔 7,7' : 고무워셔 8 : 천정판
9 : 침상팔랑개비 10 : 구멍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분해사시도로, 커텐레일(1)에는 볼트(2)가 끼워질 수 있는 볼트구멍(3)이 천공되어 있어서, 먼저 볼트(2)를 환형의 캡워셔(4)에 끼운다음, 볼트구멍(3)에 끼워서, 안쪽너트(5)와 연질워셔(6)및 고무워셔(7)를 순차적으로 끼우고, 이어서 천정판(8)표면에 걸림판 작용을 하는 침상팔랑개비(9)를 끼우며, 침상팔랑개비(9)를 끼운 다음에는 고무워셔(7')와 연질워셔(6')및 바깥너트(5')순으로 나사끼움하되, 안쪽너트(5')와 볼트(2)머리와의 간격을 어느정도 두어서 안쪽과 바깥쪽 너트(5)(5')를 서로가 조여지도록 나사조임하고, 천정판(8)에 안쪽과 바깥쪽 너트(5)(5')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천공되어 있는 구멍(10)내로 볼트(2)의 머리부분 반대쪽을 반강제적으로 밀어넣거나, 아니면 망치등으로 볼트(2)머리부분을 때리게되면 도 3과 같이 침상팔랑개비(9)는 천정판(8)의 구멍(10)을 통과함과 동시에 금속재의 탄발력에 의하여 좁혀졌던 상태에서 넓게 펼쳐지게 되므로, 침상팔랑개비(9)의 외주부는 천정판(8)의 구멍(10)의 외경보다 더 넓게 확대하여 천정판(8)의 표면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침상팔랑개비(9)에 의해 커텐레일(1)은 천정판(8)에 매달려져 있는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볼트(2)머리를 돌리게 되면, 안쪽과 바깥쪽 너트(5)(5')는 정지된 상태에서 볼트(2)머리쪽으로 조여지면서 침상팔랑개비(9)도 따라 천정판(8)표면을 향해 전개되면서 압착하여 도 4와 같이 형성된다.
볼트(2)의 회전시 안쪽과 바깥쪽 너트(5)(5')는 마찰력이 뛰어난 연질워셔(6)(6'), 고무워셔(7)(7')와 서로 마찰하기 때문에 볼트(2)회전시 너트(5)(5')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커텐레일(1)을 천정판(8)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공간이 낮거나 협소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고무워셔(7)(7′)를 생략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콘크리트층이다.
상기한 고정구의 구성에 의해 기존의 천정판(8)을 일부 떼어내거나 또는 떼어낸 부분을 다시 원상으로 복구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소정 크기의 구멍(10)만을 천공하게 되면 나사 조임식으로 커텐레일(1)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천정판(8)에 설치할 수 있고, 게다가, 볼트(2)의 머리를 드라이버등으로 돌리게 되면, 너트(5)(5')는 정지된 상태에서 풀림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캡워셔(4)와 커텐레일(1)의 구멍(3) 끼워진 길이가 비교적 긴 볼트(2)에는 안쪽을 향해서 안쪽너트(5)와 연질워셔(6)및 고무워셔(7)를 순차적으로 끼운 다음, 6각의 너트형태로 다소 절곡되어 있는 침상팔랑개비(9)를 끼우고, 상기 침상팔랑개비(9)의 바깥쪽으로는 고무워셔(7')와 연질워셔(6')및 바깥너트(5')를 끼워서 나사붙임이 되어 있는 커텐레일고정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천정판(8)에는 커텐레일(1)을 설치할 위치에 너트(5)(5')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10)을 천공하되, 이 구멍(10)에 침상팔랑개비(9)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 강제적으로 밀어넣은 다음 침상팔랑개비(9)의 외주부는 천정판(8)의 표면에 벌어져 걸리도록 하여서 볼트(2)의 머리부분 회전에 의하여 너트(5)(5')의 조임으로 커텐레일(1)이 천정판(8)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KR2020010020188U 2001-07-04 2001-07-04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KR200250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88U KR200250557Y1 (ko) 2001-07-04 2001-07-04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88U KR200250557Y1 (ko) 2001-07-04 2001-07-04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557Y1 true KR200250557Y1 (ko) 2001-11-16

Family

ID=7306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88U KR200250557Y1 (ko) 2001-07-04 2001-07-04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5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08B1 (ko) 2008-03-18 2010-03-04 김정옥 천정 거치물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08B1 (ko) 2008-03-18 2010-03-04 김정옥 천정 거치물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429A (en) Roof anchor and stress plate assembly
US4309135A (en) Concrete anchor
US5746556A (en) Anchor unit with expansive anchor member expanded by utilizing turning force of bolt
KR200416368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볼트
KR200250557Y1 (ko) 커텐레일 고정용 고정구
RU200310734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вай
US6244549B1 (en) Fitting adapted for holding spacedly a support member on an upright wall
KR200432250Y1 (ko)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
JP5031742B2 (ja) 中実基盤へ定着させるための取付部材
JP2009299704A (ja) ナット緩み止めクリップ
US4859127A (en) Spring wire fasten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06105Y1 (ko) 셋트 앙카 볼트
KR101079061B1 (ko) 엘이디 램프의 조명 각도 조절장치
KR20030073767A (ko)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부재
JP3135453U (ja) ワイヤ端部の張設受け構造とワイヤ張設装置
KR0127817Y1 (ko) 매설용 앵커 볼트
KR910003265B1 (ko) 판넬부착용 나사고정구
KR20090005484U (ko) 풀림 방지형 렌치볼트
KR20200004219A (ko) 목재 및 철재구조물의 결합용 체결구
KR200318896Y1 (ko) 풀림방지용 고정구조
KR19980060488U (ko) 가구결속용 고정구
JP2003184845A (ja) 接合金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372236Y1 (ko) 앙카볼트
KR200163890Y1 (ko)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KR200360452Y1 (ko) 앙카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