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238Y1 - 식생 블록 - Google Patents

식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238Y1
KR200250238Y1 KR2020010020162U KR20010020162U KR200250238Y1 KR 200250238 Y1 KR200250238 Y1 KR 200250238Y1 KR 2020010020162 U KR2020010020162 U KR 2020010020162U KR 20010020162 U KR20010020162 U KR 20010020162U KR 200250238 Y1 KR200250238 Y1 KR 200250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getation block
space
block
g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평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태
Priority to KR2020010020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238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경사면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대형으로 설치되어 법면의 무너짐을 보호하는 한편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킨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생블록과 식생블록 사이공간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면적을 형성시키되 식생블록이 방향에 관계없이 결합되어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몸체에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사방으로 동일 구조의 결합 수단에 의해 방향성없이 인접된 식생블록과 사방으로 결합되게 하되 상기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이 결합되어 맞닿는 면적을 줄여 결합공간을 형성시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다 많은 면적에 식물이 자라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식생블록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식생블록의 설치후 보다 많은 면적에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 블록{Plant growth type block}
본 고안은 일반 경사면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대형으로 설치되어 법면의 무너짐을 보호하는 한편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킨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생블록과 식생블록 사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되 식생블록이 방향에 관계없이 결합되어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
일반 경사면이나 하천 등의 경사 법면은 흙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블록을 설치 사용하고 있으나, 근자에는 호안블록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형성시킨 식생블록을 사용하므로써 법면의 무너짐을 보호하는데도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기존의 식생블록은 사방으로 인접된 식생블록과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갖추는 한편 식생블록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공간을 형성시켜 식생블록 설치 후 식생공간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같이 식생블록 자체에만 식생공간을 형성시킨 경우 식생공간이 좁아질 수 밖에 없어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서의 목적달성이 미흡한 것이며, 식생블록의 결합에 있어서 방향성을 갖고 결합되게 되어있어 대형 식생블록은 설치작업시 방향을 맞추어 가며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어려운 것이었다.
즉 대형 식생블록은 크레인등으로 들어서 법면에 설치하게 되나 식생블록의 결합위치가 방향성을 갖고 결합되는 경우 크레인에 매달린 식생블록의 방향을 맞추어가며 결합시키기는 어려운 것이다.
본 고안은 블록몸체에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사방으로 동일 구조의 결합 수단에 의해 방향성없이 인접된 식생블록과 사방으로 결합되게 하되 상기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이 결합되어 맞닿는 면적을 줄여 블록사이에 결합공간을 형성시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다 많은 식생면적을 확보하여 식물이 자라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기존의 식생블록은 인접된 식생블록 사이에 식물이 자랄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은 인접된 식생블록을 최소한의 결합수단으로 결합시켜식생블록 사이에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많은 식물이 자랄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결합수단에 방향성을 갖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과 신속성을 갖춤으로서 시공비절감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식생블록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식생블록 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식물이 식재된 상태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0 : 식생블록 2 : 몸체
3, 15 : 식생공간 5,5',11,21 : 돌기부
본 고안은 블록몸체(2)내부에 폐공간인 식생공간(3)이 다수개 형성되고 대략적으로 +자형을 갖는 식생블록(1)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사방으로 돌기부(5)(5')를 형성시키되 상기 돌기부(5)에는 결합돌기(6)와 결합홈(7)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기부(5')의 선단은 인접된 식생블록(10)에 형성된 돌기부(11)의 선단과 공간없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돌기부(5')(11)가 결합된 측면에는 또 다른 식생블록(20)에 형성된 돌기부(21)의 선단과 공간 없이 결합되게 하며, 상기 식생블록(1)(20)사이에는 식생공간(15)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식생블록(1)은 돌기부(5)(5')가 몸체(2)의 사방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 자 형태를 갖추도록 하되 상기 돌기부(5)는 결합돌기(6)와 결합홈(7)을 갖추며 4 개의 돌기부(5)(5')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식생블록(1)의 돌기부(5')의 선단은 인접된 식생블록(10)의 돌기부(11)의 선단과 밀착 결합되게 형성되고, 두 개의 돌기부(5')(11)의 선단이 맞닿은 면의 측면으로 또 다른 식생블록(20)의 돌기부(21)의 선단이 밀착 결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식생블록(1)을 설치할 때 돌기부(5)(5')의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 없이 맞추게 되면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크레인으로 식생블록(1)을 들어 결합시킬 때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돌기부(5)의 선단은 공간 없이 밀착되게 결합되어지나 돌기부(5)와 돌기부(5')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시켜 공간과 공간이 서로 만나서 식생공간(15)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식생블록(1)은 횡으로 식생블록(1)(10)끼리 결합시킨 후 식생블록(1)(10)사이에 돌기부(2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식생블록(20)을 끼워 맞춤으로서 식생블록(20)을 결합시킬 수 있으나, 이때 식생블록(20)의 돌기부(21)는 + 자 형태로 형성되고 그 모양이 동일하므로 어느 돌기부(21)가 끼워지더라도 결합에는 문제가 없어 식생블록(2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식생블록(1)(10)(20)끼리 결합시키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10)사이에 별도의 폐쇄된 공간인 식생공간(15)에 형성되어 식물(8)이 식재될 공간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식생블록(1)(20)사이에 식생공간(15)이 별도로 형성되더라도 돌기부(5)(11)가 견고히 결합되어 있어 식생블록(1)(20)의 결합력이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식생공간(15)의 확보로 보다 자연친화적인 식생블록(1)으로 법면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이 식생공간(15)이 크게 늘어날수록 콘크리트 구조물인 식생블록(1)은 보이지 않고 외부에서 식물(8)만 보이게 되며, 식생공간(15)이 늘어난 만큼 많은 량의 식물(8)이 식재되어 자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다.
특히 본 고안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되어지는 대형 식생블록(1)(10)의 결합공간에 별도의 식생공간(15)을 형성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기존의 식생블록에서는 몸체(2)내에만 식생공간(3)이 형성되어 있을 뿐 본 고안과 같이 식생블록의 결합면에 사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만들어 주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법면을 보호하고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공간이 형성된 식생블록에 있어서,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에 맞닿는 면에서 몸체에 형성된 식생공간과는 별도로 식생공간을 형성시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늘려 주므로써 환경친화적인 제품 제공이 가능하며, 식생블록의 설치작업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작업이 용이 한 것이다.

Claims (1)

  1. 몸체(2)내부에 폐공간인 식생공간(3)이 다수개 형성되고 대략적으로 +자형을 갖는 식생블록(1)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사방으로 돌기부(5)(5')를 형성시키되 상기 돌기부(5)에는 결합돌기(6)와 결합홈(7)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기부(5')의 선단은 인접된 식생블록(10)에 형성된 돌기부(11)의 선단과 공간없이 결합되게 하며,
    상기 돌기부(5')(11)가 결합된 측면에는 또 다른 식생블록(20)에 형성된 돌기부(21)의 선단과 공간없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식생블록(1)(10)의 결합면 사이에는 식생공간(15)이 형성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KR2020010020162U 2001-07-04 2001-07-04 식생 블록 KR200250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62U KR200250238Y1 (ko) 2001-07-04 2001-07-04 식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62U KR200250238Y1 (ko) 2001-07-04 2001-07-04 식생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238Y1 true KR200250238Y1 (ko) 2001-11-16

Family

ID=7308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62U KR200250238Y1 (ko) 2001-07-04 2001-07-04 식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2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425B1 (ko) * 2001-11-19 2005-10-12 주식회사 테포시티 호안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425B1 (ko) * 2001-11-19 2005-10-12 주식회사 테포시티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922B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200396205Y1 (ko) 친환경 식생블럭
KR200250238Y1 (ko) 식생 블록
KR200383918Y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KR200249425Y1 (ko) 식생 블록
CN104674756A (zh) 一种卡锁式生态护坡构件及卡锁式生态护坡施工工艺
KR200416526Y1 (ko)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KR200330338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383793Y1 (ko) 친환경 식생블럭
KR200395381Y1 (ko) 대칭형 암·수 연결구를 갖는 호안블럭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100776417B1 (ko) 곡면시공이 용이한 식생블록
CN205530130U (zh) 一种连锁生态砖
KR200403165Y1 (ko) 에버그린엑스 식생블록
KR200364567Y1 (ko) 옹벽 블록
KR200385191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덮개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361732Y1 (ko) 식생 옹벽블록
KR200361081Y1 (ko) 축조 및 식생용 블록
KR200217683Y1 (ko) 식생공간을 가지는 호안블록
KR200388836Y1 (ko)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설치구조
KR200348427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400428Y1 (ko) 식생 기능을 가지는 법면용 블럭어셈블리
CN210066774U (zh) 一种自稳式连锁生态砌块
KR200247936Y1 (ko)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