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983Y1 -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983Y1
KR200249983Y1 KR2020010022478U KR20010022478U KR200249983Y1 KR 200249983 Y1 KR200249983 Y1 KR 200249983Y1 KR 2020010022478 U KR2020010022478 U KR 2020010022478U KR 20010022478 U KR20010022478 U KR 20010022478U KR 200249983 Y1 KR200249983 Y1 KR 200249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4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케이
Priority to KR2020010022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83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출되었을 때 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용이하게 알리도록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송신기가 단말기의 이어폰 또는 안테나에 장착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출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수신기는 커플링된 해당송신기에서 발신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단하고 해당송신기에서의 신호일 경우에만 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신호로 출력하여, 동일한 지역내에 다수의 송수신기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도 커플링된 해당수신기만이 동작하도록 한다.The cal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losed to easily notify the user wirelessly of the call stat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led. To this end, the transmitter is mounted on an earphone or an antenna of the terminal, detect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led, and outputs a call signal, and the receiver selectively judg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transmitter coupled and i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Only the corresponding receiver is operated even when there are multiple users of the transceiver in the same area.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에서 호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출 상태임을 모듈화된 수신기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진동, 발광, 발음 등의 방법으로 알려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cting a call signal genera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ed from a base station, a user having a modular receiver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nforms by a method such as light emission or pronunciation.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상대와 육성 통화를 포함하여 문자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and users can use various functions such as text messages and data transmission, including foster calls with a desired partner, regardless of place or time.

휴대용으로 개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포켓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여 사용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착신 상태를 발음, 발광 또는 진동과 같은 모드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운전 중과 같은 경우에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핸드프리 기능이 부가적으로 구현되고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eloped for portable use is carried by a user in a pocket or a bag,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function of notifying a user of an incoming state in a mode such as pronunciation, light emission, or vibration. In addition, a hand free function is additionally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is driving.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착신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가 발음 모드에서 호출되는 착신음을 감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중질서를 위하여 착신 알림 모드가 발광 또는 진공 모드로 전환되어서 가방 등에 보관되므로, 사용자는 착신에 따른 진동이나 발광을 인식하기 어렵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detect an incoming call that is called in a pronunciation mode when an incoming call is made in a noisy area. In addition, in a public pla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light emitting or vacuum mode for the public order and stored in a bag,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vibration or light emission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9-17650호에 '무선호출인식기능을 구비한 반지'가 개시된 바 있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00-20848호에 '반지형태를 갖는 무선호출 수신기'가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ring having a wireless call recognition function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17650, and has a ring shape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20848. A radio call receiver has been disclosed.

상기 1999-17650호는 무선호출 기지국이나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한 무선호출기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이나 빛으로 이를 알리도록 반지를 구성한 것이며, 2000-20848호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의해 착신 상태를 달리하여 알리기 위한 착신 표시를 달리함으로써 피호출자가 호출자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반지 형태의 무선호출 수신기를 구성한 것이다.In 1999-17650, a ring is configured to receive a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a wireless pag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a call signal from a wireless calling base station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o notify it of vibration or light. The ring-type wireless call receiver is configured to allow the called party to easily recognize the caller by changing the incoming call indication to notify the call by changing the incoming state by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기지국으로 피드백되는 응답신호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 및 검출하여 동작되는 것으로서, 이들 RF 신호를 수신하는 반지를 제작하는 것은 그 구성상 어려움과 제작상 어려움이 있고, 커플링되지 않은 인접한 수신기를 동작시킬 우려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operated by receiving and detecting a response signal fed back to the base station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manufacturing a ring for receiving these RF signals has its construction difficulties and manufacturing difficulties, There is a risk of operating adjacent uncoupled receivers.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와 커플링되는 실1999-17650호의 '무선호출인식기능을 구비한 반지'는 호출에 대한 확인만 가능하여 그 용도가 한정되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ring with wireless call recognition function' of the real 1999-17650 coupl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only confirm the call, its use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function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송신기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수신기를 모듈화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알림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easily notify the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user located in a short distance by modularizing the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er possessed by the us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되면서 그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게 수신기를 모듈로 구성하고, 수신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상태를 검출하고 무선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알림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detach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figure the receiver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its output ports, the receiver detects the c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a signal output wirelessly to move to the user Incoming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easily inform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실시예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an embodiment.

도 4은 도 3의 송신기의 상세 회로도.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transmitter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목걸이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ceiver configured in the neck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무선 이어폰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ceiv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wireless earphon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팔찌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racele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on the bracelet.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시계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ceiv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watc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연결구에 장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감지해서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송신기와, 상기 호출신호 송신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증폭한 후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 수 있는 통보신호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수신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기가 커플링된 해당송신기의 출력만을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ounted on the call connec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c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a call signal wirelessly, and And a call signal receiver wirelessly connected to a call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ing and amplifying the call signal wirelessly and outputting the call signal as a notification signal for the user to know the c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rece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the notification signal selectively by determining only the output of the coupled transmitter.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l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어폰 연결 포트(12)를 가지며,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 송신기(20)와 수신기(30)가 구성된다. 송신기(20)는 본체(22)와 와이어(26)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연결 포트(12)에 접속되는 접속부(24)로 구성되며, 접속부(24)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어폰 연결 포트(12)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송신기(20)의 인터페이스를 이룬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s an earphone connection port 12,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tter 20 and a receiver 30 are configured. The transmitter 20 is composed of a connection part 24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 and a wire 26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connection part 24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port 12 of the) forms the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transmitter 20.

여기에서 송신기(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호출된 상태를 접속부(24)를통한 신호의 감지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호출신호를 수신기(30)로 송출한다.Here, the transmitter 20 recognizes the call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the detection of the signal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4, and transmits the call signal to the receiver 30.

송신기(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에 삽입 방식으로 고정되는 착탈부(28)가 도 1과 같이 구성되거나, 이와 다르게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 또는 자석에 의한 자력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 또는 일면에 고정되는 착탈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ransmitter 20 has a detachable portion 28 fixed to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n inserting manner as shown in FIG. 1, or alternative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y an adhesive force by an adhesive or a magnetic force by a magnet. It may have a removable structure that is fixed to one side or one si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20)가 삽입 방식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에 대응되는 송신기(20)의 일면에 착탈부(28)가 형성되며, 착탈부(28)는 송신기(20)의 일면의 길이 방향 양변부에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착탈부(28)에 형성된 채널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면이 끼워짐으로써 송신기(20)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고정된다.In order to fix the transmitter 20 as shown in FIG. 1, the detachable part 28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mitter 2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detachable part 28 is provided. ) Is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s face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transmitter 20 so that a channel is formed therebetween.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fitted into the channel formed in the detachable part 28 so that the transmitter 20 is fix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한편, 송신기(20)가 접착력이나 자력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에 대응되는 송신기(20)의 일면에 접착제 또는 자석(도시되지 않음)이 구성되어야 한다. 물론 이때 자석이 부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 또는 일면은 자석과 결합될 수 있는 금속 부재 또는 자석이 대응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되는 자석과 송신기에 구성되는 자석 또는 금속부재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자기적인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계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transmitter 20 to be fixed by adhesive force or magnetic force, an adhesive or a magnet (not shown) should be configur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mitter 2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course, at this time, one side or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which the magnet is attached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metal member or magnet that can be coupled to the magnet. When the magnet configu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agnet or metal member configured in the transmitter are coupled, it is desirable to form a magnetic closed circuit to prevent the magnetic field from leaking.

그리고, 송신기(20)는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배터리의 충전시 접속을 위하여 형성된 핀과 결합되는 핀 결합부(미도시됨)나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상의 종단부에 구성되는 커넥터(14)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20 is connected to a pin coupled to the pin formed for connection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ot shown) or mobile communic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in order to receive power for oper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or 14 which is constituted at the normal end of the terminal 10.

이와 같이 상술한 송신기(20)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fixing the above-described transmitter 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thi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tention.

그 예로써 도 2와 같이 다른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nother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안테나(16)와 리드선(27)으로 연결되게 송신기(20a)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송신기(20a)는 안테나(16)에 수신되는 신호를 센싱한다.That is, the transmitter 20a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antenna 16 and the lead wire 2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ere the transmitter 20a senses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16.

한편, 수신기(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가방이나 포켓 등에 소지하기 편하도록 클립과 같은 고정부재가 일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기(30)는 사용자의 편리성이나 외관상 미려함을 고려하여 슬림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3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may be configured on a surface such as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clip or a pocket, the receiver 30,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or appearance beautiful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lim.

그리고, 수신기(30)는 사용자의 이용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팬던트(목걸이)(100)에 결합될 수 있고, 도 6와 같이 이어링(12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팔찌(130)에 부착될 수 있고, 도 8과 같이 시계(140)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r 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shown in FIGS. 5 to 8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user. Specifically, the receiver 30 may be coupled to the pendant (necklace) 100 as shown in FIG. 5. 6 may be attached to the ear ring 120, may be attached to the bracelet 130, as shown in Figure 7, and may be attached to the watch 140, as shown in FIG.

특히 도 7과 같이 시계(140)에 수신기(30)가 채용되는 경우 내장형으로 시계(140)의 본체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particular, when the receiver 30 is employed in the watch 140 as shown in FIG. 7, the receiver 30 may b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watch 140.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상술한 수신기(20)는 송신기(10)에서 송출되는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도록 실시예가 구성되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유선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기(20)는 호출신호의 수신시 발음, 발광 또는 진동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receiver 2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 wirelessly, it may be implemented by wir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the receiver 20 is pronounced when receiving the call signal, Notifies the user of the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light emission or vibration.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송신기(20) 및 수신기(30)의 구성을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20 and the receiver 30 constituted by the embodiments of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에서 송신기(20)는 본체(22)의 내부 회로도의 블록도이며, 센서(41)는 도 1과 같이 접속부(24)와 와이어(26)로 연결되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어폰 연결 포트(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착신 상태를 센싱하도록 구성되거나, 도 2와 같이 리드선(27)으로 안테나에 연결되어서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FIG. 3, the transmitter 20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main body 22, and the sensor 4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4 and the wire 26 as shown in FIG. 1 to connect the ear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configured to sense the incoming state by sens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port 12, or connected to the antenna by the lead wire 27 as shown in Figure 2 detects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to se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It can be configured to.

센서(41)가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되었음을 검출하면 검출 신호를 호출신호 발생부(42)로 출력하고, 호출신호 발생부(42)는 커플링된 해당 수신기가 판단하여 선택할 수 있는 호출신호를 발생시켜서 안테나(43)를 통하여 출력한다. 센서(42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포트로부터 착신되었을 때에 발생되는 신호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전파가 수신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호출신호 발생부(42)는 센서(41)로부터 입력이 있을 때에 해당수신기가 판단하여 선택할 수 있는 고유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호출신호 발생기(42)가 발생시킬 수 있는 고유의 신호는 AM, FM, PCM 등이 포함된다.When the sensor 41 detect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the sensor 41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all signal generator 42, and the call signal generator 42 generates a call signal that can be determined and selected by the coupled receiver. To be output through the antenna 43. The sensor 421 detects a signal generated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from the earphone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urrent generated as a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signal generator 42 generates a unique signal that can be determined and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receiver when there is an input from the sensor 41. Unique signals that the call signal generator 42 can generate include AM, FM, PCM, and the like.

도 4에 호출신호 발생부(42)의 한 예에 대한 상세 회로가 개시되어 있으며,이를 참조하면 호출신호 증폭부(42)는 센서(41)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저항 R1과 커패시터 C1로 필터링하고, 저항 R2, R3, R4, R5 및 트랜지스터 Q1로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커패시터 C2와 저항 R6 및 커패시터 C3로 출력을 조절하고, 트랜지스터 Q2, 가변콘덴서 C4, 저항 R7, 캐패시터 C5 및 인덕터 L1로 출력 주파수를 조절하여 호출 신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4 illustrates a detailed circuit of an example of the call signal generator 42. Referring to this, the call signal amplifier 42 filters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41 with a resistor R1 and a capacitor C1. After amplifying the resistors R2, R3, R4, R5 and transistor Q1, the amplified signal is regulated by capacitor C2, resistor R6 and capacitor C3, and transistor Q2, variable capacitor C4, resistor R7, capacitor C5 and inductor. 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call signal by adjusting the output frequency with L1.

한편, 송신기(20)에서 출력되는 호출 신호는, 도 3와 같이, 수신기(30)에서 안테나(51)를 통하여 수신되며, 수신기(30)는 안테나(51)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52), 필터(5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기준주파수 신호와 혼합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믹서(53), 믹서(53)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호출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증폭/비교부(54) 및 호출 상태를 알리기 위한 통보 모드를 제어하는 호출 통보 선택부(55)가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call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20 is received by the receiver 30 through the antenna 51, and the receiver 30 filters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51. 52), a mixer 53 for mixing a signal filtered by the filter 52 with a reference frequency signal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desired frequency band, and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mixer 53 to determine a call state. Comparing amplification / comparison section 54 and call notification selection section 55 for controlling a notification mode for informing the call status are configured.

그리고, 호출 통보 선택부(55)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증폭/비교부(54)의 신호가 호출 통보 선택부(55)를 경유하여 스피커(56), 액츄에이터(57) 또는 발광다이오드(LED)(58)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Then,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call notification selecting unit 55, the signal of the amplification / comparing unit 54 passes through the call notification selecting unit 55 to the speaker 56, the actuator 57 or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 58) to be selectively output.

그에 따라 스피커(56)는 호출 신호가 인가되면 발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액츄에이터(57)는 호출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자(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켜서 진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LED(58)는 호출신호가 인가되면 발광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speaker 56 is configured to perform a pronunciation operation when a call signal is applied, and the actuator 57 is configured to operate a vibrator (not shown) to perform a vibration operation when the call signal is applied, and the LED 58 ) Is configured to perform a light emitting operation when a call signal is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의 실시예가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송신기(20)를 설치하고, 수신기(30)를 포켓 등에 소지하여 착신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한 위치에 둔다. 만일 수신기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목걸이(100), 이어링(120), 팔찌(130), 시계(140)로 구현되면 이들을 착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installs the transmitter 20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checks the incoming state by carrying the receiver 30 in a pocket or the like. It is put in the position which is easy to do it. If the receiver is implemented as a necklace 100, earrings 120, bracelets 130, watches 140 as shown in Figure 5 to 8 wear them.

그에 따라서 제 3자가 사용자와 통화를 위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이동통신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호출이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어폰 연결 포트(12)를 통하여 착신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착신 신호를 센싱한 송신기(20)는 호출신호 발생부(42)를 통하여 해당 수신기가 판단하여 선택할 수 있는 호출신호를 발생시켜서 안테나(43)를 통하여 무선으로 수신기(30)에 호출신호를 송신한다.Accordingly, when a third party attempts to make a call with a user, a call is mad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not show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utputs an incoming signal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port 12. Then, the transmitter 20, which senses the incoming signal, generates a call signal that can be determined and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receiver through the call signal generator 42, and transmits the call signal to the receiver 30 wirelessly through the antenna 43. do.

그에 따라서 수신기(30)는 안테나(51)에 수신된 신호를 필터(52)에서 필터링하고 믹서(53)에서 기준주파수 신호와 믹싱한 후 증폭/비교부(54)에서 증폭하여 기준신호와 비교한다. 이때 증폭/비교부(54)에서 호출신호의 송신으로 확인되면, 증폭/비교부(54)는 그에 따른 호출 신호를 호출통보 선택부(55)로 출력한다.Accordingly, the receiver 30 filters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51 in the filter 52, mixes the reference frequency signal in the mixer 53, and then amplifies the signal in the amplification / comparison unit 54 to compare it with the reference signal. . At this time, if the amplification / comparison unit 54 confirms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call signal, the amplification / comparison unit 54 outputs the call signal according to the call notification selection unit 55.

호출통보 선택부(55)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발음, 발진, 발광 모드가 결정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서 증폭/비교부(54)의 출력 신호를 출력할 대상이 미리 지정된다.The call notification selection unit 55 determines the pronunciation, oscillation, and light emission modes in advance by the user, and accordingly, a target to output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cation / comparison unit 54 is predetermined.

만일, 호출통보 선택부(55)에 의하여 수신기(30)가 발음 모드로 설정된 상태이면, 호출신호가 스피커(56)로 전달되어 착신 상태가 발음으로 알려지고, 사용자는 수신기(30)가 발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호출이 있는 것을 인식한다.If the receiver 30 is set to the pronunciation mode by the call notification selecting unit 55,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56 so that the incoming state is known as a pronunciation, and the user is pronounced the receiver 30. Recognize that there is a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따라서,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는 수신기의 발음, 발광, 발진 상태를 인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led in a noisy area,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ognizing the pronunciation, light emission, and oscillation state of the receiver.

또한, 공공장소에서도 수신기를 소지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착신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r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user in a public place with a receiv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신기는 보다 용이한 착용 및 감지를 위하여 목걸이, 이어링, 머리핀, 팔찌, 시계 등에 적용될 수 있어서 그 사용상 편리함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necklace, earrings, hairpins, bracelets, watches, etc. for easier wearing and sensing can be ensured convenience in us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소음이 많은 지역이나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수신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인식할 수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receiver in a noisy area or a public place,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It should be seen as belonging.

Claims (9)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려주는 무선 호출 인식장치에 있어서,In the wireless call recognition device for informing the c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호출 신호를 센싱하여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A transmitter installed detachabl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all signal wirelessly by sensing a call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에 사용자가 미리 정한 수신 모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려주는 수신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And a receiver for notifying the c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reception mode predetermined by a user after receiving and amplifying the call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기는,The transmitter,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검출신호에 대한 커플링된 상기 수신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호출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호출신호 발생부와,A cal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ll signal selectable by the receiver coupled to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상기 호출신호 발생부에서 증폭된 호출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제 1 안테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And a first antenna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all signal amplified by the call signal genera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에 리드선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를 센싱하여 착신상태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The sensor unit is connected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lead wire,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incoming state by sens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와이어로 연결된 접속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The sensor unit cal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기는,The receiver,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A second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된 호출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A filter unit which filters the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antenna;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된 호출신호와 기준 주파수신호와 혼합하는 믹서부와,A mixer unit for mixing the call signal and the reference frequency signal filtered from the filter unit; 상기 믹서부에서 출력된 호출신호를 증폭하고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증폭/비교부와,An amplification / comparison unit for amplifying the call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and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signal; 상기 증폭/비교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는 호출통보 선택부와,A call notification selection unit determining an output path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cation / comparison unit; 상기 호출통보 선택부에서 출력된 호출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리는 통보신호로 출력하는 호출통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인식장치.And a call notification means for outputting a call signal output from the call notification selecting unit as a notification signal for notifying a call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호출통보 수단은, 통보음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리는 발음 수단, 진동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리는 발진 수단, 및 빛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리는 발광 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The call notification means includes: a sounding means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ound to notify the c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oscillation mean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for indicating a c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ing light to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for notifying the statu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기는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으로 상기 이동동신 단말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The transmitter is provided with a magnet inside,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agnetic for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인식장치.And the receiver is wired to the transmit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기는 시계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The receiver is a cal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mbedded in the clock.
KR2020010022478U 2001-07-25 2001-07-25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KR2002499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478U KR200249983Y1 (en) 2001-07-25 2001-07-25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478U KR200249983Y1 (en) 2001-07-25 2001-07-25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471 Division 2001-07-24 2001-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83Y1 true KR200249983Y1 (en) 2001-11-22

Family

ID=7306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478U KR200249983Y1 (en) 2001-07-25 2001-07-25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8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05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ote incoming call notification for cellular phones
US62492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lor based alerting signals
US61812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essure based alerting signals
US20080268780A1 (en) Wireless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08147A1 (en) Two-purpose wireless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in driving
JP2003218989A (en) Call receiving device
US20110057809A1 (en) Personal alert device
KR200249983Y1 (en)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KR20030010448A (en) Apparatus for notify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US20030083111A1 (en) Compact mobile phone device with hook
KR200427211Y1 (en) A call alerting belt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01204Y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charging cradle
JP2011097178A (e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0179809Y1 (en) Transmit/receive apparatus of cellular telephone
KR200235580Y1 (en) Wireless Hands-free Set for Mobile Phones
KR200402242Y1 (e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f a call signal in a Mobile phone
KR200326419Y1 (en) Wireless earphone for mobile phone
KR200225458Y1 (en) Bluetooth wireless headset for both writing and communicating
JPH1079780A (en) Calling device for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3060768U (en) Transmitted radio wave confirm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KR200248693Y1 (en) Wireless Handsfree for Cellular-phones
KR200323771Y1 (en) Device for wireless terminal of mobile portable telephone
KR20010103989A (en)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phone
KR200175009Y1 (en) Wireless handfre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75317B1 (en) hand fre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